KR102086287B1 -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287B1
KR102086287B1 KR1020190065310A KR20190065310A KR102086287B1 KR 102086287 B1 KR102086287 B1 KR 102086287B1 KR 1020190065310 A KR1020190065310 A KR 1020190065310A KR 20190065310 A KR20190065310 A KR 20190065310A KR 102086287 B1 KR102086287 B1 KR 102086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oundary stone
boundary
stones
n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길
Original Assignee
정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길 filed Critical 정영길
Priority to KR102019006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2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2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2Coverings, the surface of which consists partly of prefabricated units and partly of sections mad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tegratedly constructing a curb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urb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integratedly constructing a curb,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and enabling an unskilled worker to easily construct a curb,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urb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integratedly constructing a curb comprises: a holding unit; a coupling unit for supporting the holding unit; and a horizontal body for holding a curb.

Description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Boundary ston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계석 바닥 높이에 맞춰 설치한 이형철근 또는 블럭으로 형성된 거치부의 상부에 제1개의 경계석을 안착 시킨 후,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수평체를 체결하여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설치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for a boundary ston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he first boundary stone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a mounting portion formed of a deformed steel bar or a block install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oundary stone, It relates to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to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n-th boundary stone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 by fastening the horizontal body, and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화강암 같은 자연석이나 콘크리트로 제작된 인조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을 길이가 긴 블록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된 것으로, 차도와 인도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이 인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road boundary stones are manufactured by molding various materials including natural stone such as granite or artificial stone made of concrete into a long block shape, and are installed between a roadway and sidewalks to prevent vehicles from entering India. have.

이러한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을 따라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에 하단이 묻히도록 시공되며 도로경계석의 양측을 따라 인도와 도로가 설치된다.These road boundary stones are constructed so that the bottom is buried on the concrete foundation plac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roadway and the sidewalks, and sidewalks and roads are installed along both sides of the road boundary stones.

종래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을 따라 거푸집을 설치하여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게 되면 도로경계석을 콘크리트에 일렬로 올려놓은 후 각 도로경계석의 높이가 서로 일치되도록 조절한다.Looking a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onventional road boundary stone, first install the formwork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driveway and the sidewalk and cast concrete first, and when the concrete is hardened to some extent, put the road boundary stone in line with the concrete Adjust the height of the road boundary to match each other.

그리고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면 양생된 콘크리트부분보다 높고 넓게 거푸집을 재차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하여 콘크리트 기초를 제작하여 도로경계석의 하단이 콘크리트 기초에 매입되도록 한다. And when the concrete is completely cured, the formwork is re-installed higher and wider than the cured concrete part, and the concrete is cast secondly to make the concrete foundation so that the bottom of the road boundary stone is embedded in the concrete foundation.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경계석이 충분히 길게 시공되면 콘크리트 기초와 도로경계석을 따라 인도와 차도를 설치한다.In addition, if the boundary stone is constructed long enough in this way, sidewalks and driveways are installed along the concrete foundation and road boundary stone.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로경계석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기초에 경계석을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2번 타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a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concrete has to be cast twice to fix the boundary stone on the concrete foundation, the work is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and expensive.

또한,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굳은 후 도로경계석을 올려놓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까지 기다린 다음 추가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작업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이 번거롭고 1차 타설된 콘크리트에 도로경계석을 올려놓을 때 도로경계석의 무게에 의해 도로경계석이 침하되어 경계석의 레벨과 선형을 일치시키는데 많은 노력과 기술이 요구된다.In addition, after the concrete is first poured, the concrete is hardened to some extent, then the road boundary stone is placed, and the first poured concrete is waited until the curing is completely cured. When placing a road boundary stone, the road boundary stone is settled by the weight of the road boundary stone, and much effort and skill are required to match the level and linearity of the boundary stone.

또한, 콘크리트를 2차에 걸쳐 타설하기 위해선 거푸집의 설치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도로경계석 작업에 따란 시공시간 지연과 함께 작업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2차에 걸친 분리 타설로 도로경계석의 지지력과 충돌저항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tallation of formwork must be repeated in order to cast concrete tw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along with the delay of construction time according to the road boundary stone work.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collision resistance is weak.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이 안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roa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devised.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2671호인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언더블록을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소정의 거리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단부가 보도경계석의 저면과 대면하여 보도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하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재를 상호 연결함과 더불어 보도경계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연결부재로 이루어져 보도경계석의 한쪽 끝단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고정구 및 상기 제1고정구에 의해 한쪽 끝단이 지지된 보도경계석의 다른 한쪽 끝단의 저면에 상단부가 대면하여 보도경계석을 지지함과 더불어 하단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되며, 십자 형상의 평 단면구조를 구비하는 제2고정구로 구성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어 보도경계석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고 있다.For example, look a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72671 "walking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ootpath and pedestal under the block", the upper side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the upper side facing the bottom of the sidewalk boundary stone at the bottom of the sidewalk boundary stone. A pair of first fixing members having a lower end portion formed in a wedge shape and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ground, and a first connection member supporting the sidewalk stone at the bottom while interconnecting the pair of first fixing members. It consists of a first fixing sphere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sidewalk from the bottom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idewalk supported by one end by the first fixing sphere to support the sidewalk and the lower edge wedge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econd fixed ball that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has a cross-sectional flat cross-section structure It is fixed to the ground and provide a boundary stone pedestal and press coverag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ss to support the boundary stone at a constant height.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로경계석을 시공함에 있어서 작업시간을 단축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받침대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비의 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갖게 된다.This prior art is to reduce the working time in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boundary stone, but because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is complicated, there is a significant burden on the purchase cost of the equipment.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은 받침대를 이용하더라도 역시 2번의 콘크리트 타설공정이 그대로 진행됨으로써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can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ing time because the two concrete pouring process proceeds as it is even using a pedestal.

또한, 종래 기술은 받침대에 의해 받쳐지는 도로경계석과 또 다른 도로경계석과의 수평상태를 맞추는 작업이 생략됨으로써 도로경계석들간의 수평이 고르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level between the road boundary stones is not evenly maintained by eliminating the operation of leveling the road boundary stone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another road boundary stone.

다른 예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90005호인 "블록깔판"을 살펴보면, 블록의 설치 시에 블록 밑에 까는 블록 깔판으로서 경질판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블록의 측방에 위치되고 블록의 양쪽 가장자리가 걸리는 위치에 바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노치 또는 구멍이 구비되며 그 외측에 빠루 걸이부가 구비되어 있다.In anothe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090005 describes a block pallet, which is a block pallet that is placed under a block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block. A notch or a hole for inserting the tip of the bar is provided, and a hook part is provided on the outside thereof.

이러한 종래 기술은 블록이 올라가는 깔판의 빠루걸이부에 빠루를 걸어 블록의 높이에 따른 수평을 맞추도록 하고는 있으나, 블록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는 빠루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prior art is to make the horizontal leve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lock to the pawl hanger portion of the pallet up the block,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tool such as paru is necessary to level the block.

또한, 무거운 블록의 일측을 빠루를 걸어 들어올리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여러 개의 블록들의 수평상태를 블록 개개별로 빠루를 인입하여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정교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lift up one side of the heavy block is not easy to work,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needs to adjus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several blocks by the operation of pulling up the bar by each block, the precision is deteriorated There is thi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267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72671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090005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090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계석 바닥 높이에 맞춰 설치한 이형철근 또는 블록으로 형성된 거치부의 상부에 제1개의 경계석을 안착 시킨 후,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수평체를 체결하여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설치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fter mounting the first boundary ston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formed of the deformed reinforcement or block install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oundary stone, the second to n-th boundary stone horizontal body I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to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 by the fastening and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도로의 일측에 제1 내지 제n개로 배치되는 제1 거푸집과 상기 제1 거푸집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거푸집 사이로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이 설치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에 있어서,I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ar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formwork is arranged on the one side of the road to the first formwork and the second formwork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formwork. ,

상기 경계석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에 배치되는 거치부,Mount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first formwork so as to support both lower sides of the boundary stone,

상기 제1 거푸집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지중에 매립되고 타측이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체결부 및A fasten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ide of the first formwork, one side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to support the mounting part;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제2개의 경계석이 밀착하여 배치 시, 상기 경계석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선을 가지도록 상기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홀딩 하는 수평체를 포함하는When the second boundary stones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 and includes a horizontal body for holding the second to nth boundary stone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stone has the same horizontal line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를 제공한다.To provide factory defaults for boundary stone integ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경계석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연장부가 위치하는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ending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undary stone is seated It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which is bent from one end of the portion extending in another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is loc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지중에 매립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거푸집의 상부에 밀착되고, 내부에 상기 거치부의 상부가 삽입되는 각관 및 상기 각관의 상부 내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거치부의 상부를 가압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관은 상기 조임볼트가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일측이 관통된 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is buried in the grou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to the top of the first formwork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tube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ube includes a tightening bolt for pressuriz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he corner pipe has one side penetrated so that the tightening bolt enters the inside The bolt hole may be formed.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는 플레이트 판형상의 본판과 상기 본판의 상하부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로 형성된 제1 거푸집과 상기 본판의 상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본판의 하부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2 플랜지로 형성된 제2 거푸집으로 형성된 금속재 거푸집 및 상기 금속재 거푸집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장력을 지지하도록 상기 금속재 거푸집의 외측 또는 내측에 결합되는 사선지지팩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재 거푸집은 일측에 고정부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n개를 연속 체결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서로 이웃하는 양단에 암수 깍지를 결합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itial factory integration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shaped main plate and a first formwork formed of a first flange bent in a 'b' shape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plat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plate is incli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etal material formed by the second formwork formed by the photographed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formwork formed by the second flange bent in a '-' shap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main plate and the metal material to support the tension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metal formwork. And an oblique support pack coupled to an outer side or an inner side of the formwork, wherein the metal formwork is mate at both ends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ontinuously fastening the first to nth pieces so that the fixing member is located at one side.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ed produ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경계석을 안치할 위치에 제1 내지 제n개의 제1 거푸집을 배치하는 제1 단계,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for boundary st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integrated factory factory for the boundary stone, the first to nth first formwork are arranged at positions where the boundary stone is to be placed. Stage 1,

제1개의 경계석의 양측 무게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에 상기 거치부를 설치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installing the mounting part on the inside of the first formwork corresponding to both centers of gravity of the first boundary stone,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을 상기 거치부에 안착한 후,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상기 수평체를 체결하여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seating the first boundary stones 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n fastening the horizontal body to one side of the second to nth boundary stones to closely contact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s,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상면과 측면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선형레벨이 되도록 맞추는 제4 단계,A fourth step of matching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so as to have a linear level,

상기 제1 거푸집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2 거푸집을 배치하되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제5 단계,A fifth step of arranging a second formwork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tching the linear and level with each other;

도로의 설계구조의 높이에 맞춰,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6 단계 및A sixth step of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first formwork and the second formwork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design structure; and

상기 제6 단계 이후, 물 경사에 대응하여 미장을 완료하여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상기 수평체, 상기 체결부, 상기 제2 거푸집 및 제1 거푸집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ixth step, the seventh step of curing the concrete by completing the plaster in response to the water inclination, and sequentially removing the horizontal body, the fastening portion, the second formwork and the first formwork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치부의 상부를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 상단에 고정할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거치부를 배치하는 설정단계, 상기 제1 거푸집에 형성된 제1 플랜지의 상부에 내부가 빈 관 형상의 각관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거푸집의 외측에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각관의 내부에 상기 거치부의 상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각관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조임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거치부 및 상기 각관을 체결시키는 체결단계 및 상기 고정대의 일측을 지중에 삽입시키는 삽입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second step is to arrange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by setting the position to be fixed to the inner top of the first formwork; A setting step, an arranging step of forming an inner hollow tube having an inner hollow tube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lange formed in the first mold and disposing the outer portion of the first mold; Inserting a tightening bolt through a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corner tube may include a fastening step of fastening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corner tube and an insertion step of inserting one side of the holder into the groun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경계석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거치블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mounting block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first formwork so as to support both lower sides of the boundary stone.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1개의 경계석의 양측 무게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경계석이 설치될 도로의 지면에 상기 거치블럭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상기 거치부를 배치하는 제1 단계,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for a boundary ston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integrated factory value of a boundary stone. A first step of arranging the mounting portion by arranging the mounting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round;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을 상기 거치부에 안착한 후, 상기 수평체를 제2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체결하여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seating the first boundary stones 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n fastening the horizontal body to one side of the second boundary stones to closely contact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s,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상면 및 측면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선형레벨이 되도록 맞추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fitting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so that they are linear with each other on the same line;

상기 경계석이 설치된 일측에 상기 제1 거푸집을 배치하되 제1 내지 제n개의 거푸집이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제4 단계,A fourth step of arranging the first formwork on one side where the boundary stone is installed, wherein the first to nth formwork fit linear and level with each other,

상기 제1 거푸집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2 거푸집을 배치하되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제5 단계,A fifth step of arranging a second formwork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tching the linear and level with each other;

도로의 설계구조의 높이에 맞춰,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6 단계 및A sixth step of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first formwork and the second formwork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design structure; and

상기 제6 단계 이후, 물 경사에 대응하여 미장을 완료하여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상기 수평체, 상기 제2 거푸집 및 제1 거푸집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ixth step, it may include a seventh step of curing the concrete by completing the plastering in response to the water inclination, and completing the construction by sequentially removing the horizontal body, the second formwork and the first formwork. .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이형철근으로 형성된 거치부에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수평체를 이용하여 수평화 작업을 하면서 연속적으로 안착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시공방법에 비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 미숙련자도 손쉽게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for boundary st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in a general construction method by continuously mounting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using a horizontal body while leveling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using a horizontal bar. Compared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even inexperienced people can easily install the boundary stone.

또한, 본 발명은 연장부가 지중에 매설되고, 수직부가 체결부에 결합되어 안착부에 경계석이 안착 시, 안착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경계석의 수평작업이 수월하고, 안착된 경계석의 선형이 비틀리거나 쓰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ground, the vertical portion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when the boundary stone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horizontal work of the boundary stone, the linear of the seated boundary stone is twisted or fell You can prevent accidents.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 선형이 밀리는 장력을 버팀으로써,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의 품질을 높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the tension pushed linear when placing concrete, it is possible to precise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construction quality and work efficiency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를 거치블럭으로 시공 시, 경계석을 거치블럭의 상부에 안착하는 단순한 공정으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work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by a simple process of seating the boundary ston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block when constructing the mounting block as a mounting 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공장치에 경계석이 서로 밀착하여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일측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일측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의 거치부를 변형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일측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stones are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onstr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 FIG.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FIG. 4.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side.
7 is a flowchart showing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boundary st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ide of FIG. 8.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for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the in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In addition, the term 'compris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the componen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re is no contrary descrip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construction of the boundary stone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공장치에 경계석이 서로 밀착하여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일측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일측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stones are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onstruc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 FIG. 3, 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and FIG. 6 is a view of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ed the completion | finish of the construction of the integrated construction apparatus to one side.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10)는 거치부(100), 체결부(200) 및 수평체(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3,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10 of the boundary sto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00, fastening portion 200 and the horizontal body (300).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10)는 도로의 일측에 제1 내지 제n개로 배치되는 제1 거푸집(11)과 제1 거푸집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거푸집(12) 사이로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13)이 설치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에 있어서, 경계석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제1 거푸집의 내측에 배치되는 거치부(100), 제1 거푸집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지중에 매립되고 타측이 거치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거치부를 지지하는 체결부(200) 및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제2개의 경계석이 밀착하여 배치 시, 경계석의 상면이 동일한 수평선을 가지도록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홀딩 하는 수평체(3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10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formwork 11 is arranged in the first to n-th one side of the road I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in which the first to the n-th boundary stone 13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ormwork 12 disposed to face the first formwork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the first to support the lower both sides of the boundary stone Mounting portion 100 disposed inside the formwork, the outer side of the first formwork is disposed, one side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to support the mounting portion 200 and the first boundary stone of When the two boundary stones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the horizontal body 300 may hold the second to nth boundary stones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stones has the same horizontal lin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치부(100)는 경계석(13)이 안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거푸집(11)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거치부(100)는 현장에서 이형철근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현장의 도로 환경에 대응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2 and 3, the mounting portion 100 is dispos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ormwork 11 so that the boundary stone 13 may be seated and continuously installed. And the mounting portion 100 can be manufactured as a deformed reinforcing bar in the field, thereby, can adjust the height in response to the road environment of the site.

이때, 거치부(100)는 제1개의 거푸집의 내측에 경계석(13)의 하부 길이방향 양측을 지지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2개의 거푸집의 내측 후단에 1개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mounting portion 100 is dispos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stone 13 inside the first formwork. And only one is disposed in the inner rear end of the second formwork.

이는, 제1개의 경계석(13)이 배치된 후, 후술하는 수평체(300)가 제2개의 경계석의 선단에 체결되어 제1개의 경계석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경우, 수평체(300)를 형성하는 평철(320)이 제1개의 경계석 및 제2개의 경계석 상면에 각각 위치하여 제2 경계석의 선단부를 지지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first boundary stone 13 is disposed, the horizontal body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oundary stone to form the horizontal body 300. This is because the flat iron 32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boundary stones and the second boundary stones, respectively, to support the tip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이러한 거치부(100)는 연장부(110), 안착부(120) 및 수직부(130)를 포함한다.The mounting part 100 includes an extension part 110, a seating part 120, and a vertical part 130.

연장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연장부(110)는 제1 거푸집(11)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측이 지중에 매립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Extension portion 110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That is, the extension part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ormwork 11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is embedded in the ground.

이러한 연장부(110)는 후술하는 안착부(120)에 경계석(13)이 안착 시 지지력을 증대하기위해 지중에 매립되어 기둥역할을 한다.The extension 110 is buried in the ground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when the boundary stone 13 is seated in the mounting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serves as a pillar.

또한, 연장부(110)는 도로의 일면이 고르지 않거나 경사지는 경우 지중으로 더 깊이 매립될 수 있다. 즉, 제1 거푸집(11)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 위치하는 각 연장부(110)를 지중에 더 깊이 또는 얕게 매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tension 110 may be embedded deeper into the ground when one side of the road is uneven or slope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embed each extension part 110 located in the front end part and the rear end part of the 1st form | work 11 more deeply or shallowly in the ground.

안착부(120)는 연장부(110)의 타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경계석(13)의 하부가 안착된다.The seating part 120 is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art 110, and the lower part of the boundary stone 13 is seated.

즉, 안착부(120)는 연장부(110)의 타단으로부터 제1 거푸집(1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13)의 하부 단방향의 넓이에 대응하여 안착부(120)의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eating part 120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art 110 into the first mold 1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seating portion 12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ower unidirecti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stone 13, as shown in FIG.

수직부(130)는 안착부(1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부(110)가 위치하는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The vertical portion 130 is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seating portion 120 in the other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110 is located.

즉, 수직부(130)는 안착부(120)로부터 제1 거푸집(11)의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후술하는 체결부(200)에 결합되어 안착부(120)가 흔들리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준다.That is, the vertical portion 130 is ben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first formwork 11 from the mounting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the mounting portion 120 from shaking or deforming. Do it.

한편, 수직부(130)는 그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부(120)에 경계석(13)이 안착 시, 경계석(13)의 무게에 의해 제1 거푸집(11)의 상부에 밀착되게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portion 130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bent in one direction extending from one end, when the boundary stone 13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20, the first formwork 11 by the weight of the boundary stone 13 It may als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이때, 수직부(130)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은 후술하는 각관(220)에 체결되어 제1 거푸집(11)의 상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portion bent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30 is fastened to the square tube 2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be fi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ormwork (1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200)는 제1 거푸집(11)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측이 지중에 매립되고 타측이 거치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거치부(100)를 지지한다.2 and 5, the fastening part 200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formwork 11, one side is embedded in the ground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the mounting portion 100 Support.

이를 위해, 체결부(200)는 고정대(210), 각관(220) 및 조임볼트(23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fastening part 200 includes a fixing table 210, a square tube 220 and a tightening bolt 230.

고정대(2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지중에 매립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고정대(210)는 후술하는 각관(220)의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도록 팩을 박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ixture 2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is embedded in the ground. In addition, the fixing stand 210 may be fixed by driving the pack so as to penetrate the inner space of the tube 220 to be described later.

이로 인해, 고정대(210)는 제1 거푸집(11)의 지지를 보강함과 동시에 거푸집과 상호 지지작용을 하면서 수직부(2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fixing stand 210 serves to prevent the vertical portion 220 from shaking while reinforcing the support of the first formwork 11 and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formwork.

각관(220)은 고정대(2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제1 거푸집(11)의 상부에 밀착되고, 내부에 거치부(100)의 상부가 삽입된다.The corner tube 22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xing table 2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ormwork 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s inserted therein.

특히, 각관(220)은 고정대(210)의 일단에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대(210)의 길이를 짧게 절단하여 고정대(210)의 일단에 용접결합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tube 220 may be formed to be bent at one end of the fixture 210, it is possible to shortly cut the length of the fixture 210 to be welded to one end of the fixture 210.

또한, 각관(220)은 조임볼트(230)(240)가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일측이 관통된 볼트홀(22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ube 220 is formed with a bolt hole 221 through which one side is passed so that the tightening bolts 230 and 240 enter inwards.

조임볼트(230)는 각관(220)의 상부 내측으로 진입하여 거치부(100)의 상부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Tightening bolt 230 enters the upper inner side of the tube 220 serves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다시 설명하면, 조임볼트(230)는 각관(220)에 형성된 볼트홀(221)에 나사 체결되어 각관(220)의 내측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각관(2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부(130)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가압함으로써, 수직부(130)가 각관(22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In other words, the tightening bolt 230 is screwed into the bolt hole 221 formed in the square tube 220 to enter the inside of the square tube 220.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130 is firmly connected to the square tube 220 by pressing and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130 positioned inside the square tube 220.

이로 인해, 수직부(130)는 제1 거푸집(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경계석이 안착부(120)에 안착되더라도 흔들리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vertical portion 130 is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ormwork 11 so that the boundary stone is not shaken even when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20.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평체(300)는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제2개의 경계석이 밀착하여 배치 시, 경계석(13)의 상면이 동일한 일직선을 가지도록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홀딩 하는 역할을 한다.2 and 4, in the horizontal body 300, when the second boundary stones ar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 the second to nth piec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stone 13 has the same straight line. It holds the boundary stone.

또한, 수평체(300)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형상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게 경계석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ody 300 may be fastened to the boundary stone symmetrically based on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s herein.

이러한, 수평체(300)는 홀더(310) 및 평철(320)을 포함한다.The horizontal body 300 includes a holder 310 and a flat iron 320.

홀더(310)는 경계석(13)의 양측 및 상부를 둘러싸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홀더(310)는 경계석(13)의 단방향 넓이에 대응하여 길이가 형성되고, 'ㄷ'자의 어느 한 일단은 경계석(13)의 일측에 밀착되어 경계석(13)에 홀더(310)가 체결되도록 체결볼트가 형성된다.The holder 310 is formed in a 'c' shape to surround both side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undary stone 13. The holder 31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unidirectional width of the boundary stone 13, and one end of the letter 'C'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3 such that the holder 310 is fastened to the boundary stone 13. A fastening bolt is formed.

즉, 홀더(310)는 제1개의 경계석의 일단에 밀착되는 제2개의 경계석의 선단에 체결되어 제2개의 경계석의 선단을 지지한다. 이로 인해, 제2개의 경계석의 선단은 홀더(310)가 지지하고, 후단은 거치부(100)의 안착부(120)가 지지하게 된다.That is, the holder 310 is fastened to the tip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irst boundary stone to support the tip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is supported by the holder 310, and the rear end is supported by the seating part 120 of the mounting part 100.

평철(32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홀더(310)의 길이방향 내측에 결합된다.The flat iron 3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310.

이러한 평철(320)은 사각판의 일면을 4개로 균등분할 하는 경우, 약 3/4의 영역이 제2개의 경계석의 선단 상면에 밀착되고, 나머지 1/4의 영역이 제1개의 경계석의 후단 상면에 밀착되어 제1개 및 제2개의 경계석의 상면이 동일한 일적선이 되도록 평평하게 맞추는 역할을 한다.When the flat iron 320 evenly divides one surface of the square plate into four, the area of about 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and the remaining 1/4 area is the top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boundary ston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stones serves to align flat so as to be the same single lin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10)는 금속재 거푸집(400) 및 사선지지팩(500)을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10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etal formwork 400 and diagonal support pack 500.

여기서, 금속재 거푸집(400)은 플레이트 판형상의 본판(410a)과 본판(410a)의 상하부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410b)로 형성된 제1 거푸집(410)과 본판(410a)의 상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진 경사부(420a)와 경사부(420a) 및 본판(410a)의 하부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2 플랜지(420b)로 형성된 제2 거푸집(420)으로 형성된 것이다.Here, the metal formwork 400 is the first formwork 410 and the main plate 410a formed of a plate-shaped main plate 410a and a first flange 410b bent in a 'b' shape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plate 410a. The second formwork 420 formed of the inclined portion 420a, the inclined portion 420a and the second flange 420b bent in a '-' shap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plate 410a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t is formed as.

즉, 전술한 제1 거푸집(11) 및 제2 거푸집(12)을 금속재 거푸집(400)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replace the first formwork 11 and the second formwork 12 with the metal formwork 400.

또한. 금속재 거푸집(400)은 일측에 고정부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n개를 연속 체결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서로 이웃하는 양단에 암수 깍지를 결합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The metal formwork 400 may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male and female pods at both ends adjacent to each other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continuously fastening the first to nth pieces so that the fixing member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사선지지팩(500)은 금속재 거푸집(400)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장력을 지지하도록 금속재 거푸집(4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결합된다.The diagonal support pack 500 is couple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metal formwork 400 to support the tension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metal formwork 40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and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boundary st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S10)은 제1 단계(S100), 제2 단계(S200), 제3 단계(S300), 제4 단계(S400), 제5 단계(S500), 제6 단계(S600) 및 제7 단계(S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7, the integrated construction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S10) is the first step (S100), the second step (S200), the third step (S300), Fourth step (S400), fifth step (S500), sixth step (S600) and seventh step (S700).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00)는 경계석(13)을 안치할 위치에 제1 내지 제n개의 제1 거푸집(11)을 배치한다. 이때, 제1 거푸집(11)은 서로 선형을 유지하여 상부가 동일한 직선을 가지도록 레벨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 in the first step S100, the first to nth first molds 11 are disposed at positions where the boundary stone 13 is to be plac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ormwork 11 is leveled so that the upper part has the same straight line by maintaining the linearity with each other.

이하,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제1 거푸집(11) 및 제2 거푸집(12)은 금속재 거푸집(400)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거푸집(11)은 본판(410a) 및 제1 플랜지(410b)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inafter, the first formwork 11 and the second formwork 12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nclude the designation of the metal formwork 400. Therefore, the first formwork 11 can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late 410a and the first flange 410b.

제2 단계(S200)는 제1개의 경계석의 양측 무게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제1 거푸집(11)의 내측에 거치부(100)를 설치한다.In the second step S200, the mounting part 100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form 11 in correspondence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both sides of the first boundary stone.

이때, 제2 단계(S200)는 제1개의 제1 거푸집(11)의 내측에 거치부(100)를 서로 이격하여 한 쌍으로 배치하고, 제2개의 제1 거푸집(11)의 내측에 거치부(100)를 후단에 단일로 배치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step (S200) is arranged in a pair of spaced apart the mounting portion 100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irst formwork 11, the mounting portion inside the second first formwork (11) (100) is arranged in a single rear.

이를 위해, 제2 단계(S200)는 설정단계(S210), 배치단계(S220), 체결단계(S230) 및 삽입단계(S24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econd step S200 includes a setting step S210, an arrangement step S220, a fastening step S230, and an insertion step S240.

설정단계(S210)는 거치부(100)의 상부를 제1 거푸집(11)의 내측 상단에 고정할 위치를 설정하여 거치부(100)를 배치한다.In the setting step S210, the mounting unit 100 is disposed by setting a position at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unit 100 is fix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formwork 11.

즉, 거치부(100)를 제1 거푸집(11)의 내측에 설치하기 전에 안착부(120)가 제1 거푸집(11)의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연장부(110)를 지중에 매립하고, 수직부(130)를 제1 거푸집(11)의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 제1개의 제1 거푸집(11)의 선단 및 후단에 배치하여 설치한다.That is, the extension part 110 is buried in the ground so that the seating part 120 faces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ormwork 11 before the mounting portion 100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formwork 11. The part 130 is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ormwork 11 and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first formwork 11.

배치단계(S220)는 제1 거푸집(11)에 형성된 제1 플랜지(410b)의 상부에 내부가 빈 관 형상의 각관(220)을 형성하여 제1 거푸집(11)의 외측에 배치한다.The arrangement step (S2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ld (11) to form a hollow tube 220 having a hollow tube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lange (410b)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mold (11).

체결단계(S230)는 각관(220)의 내부에 거치부(100)의 상부를 삽입시키고, 각관(22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조임볼트(230)를 삽입하여 거치부(100) 및 각관(220)을 체결시키는 단계이다.Fastening step (S230) inserts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0 in the interior of the tube 220, inserting the tightening bolt 230 through a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tube 220, the mounting portion 100 and the tube Step 220 is fastening.

즉, 수직부(130)가 각관(220)의 내부로 삽입되고, 각관(220)에 형성된 볼트홀(221)을 통해 조임볼트(230)가 진입하여 수직부(130)의 외주면을 밀착함으로써, 수직부(130) 및 각관(220)이 체결된다. 이로 인해, 수직부(130)가 고정대(210)에 체결되어 안착부(1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at is, the vertical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ube 220, the tightening bolt 230 enters through the bolt hole 221 formed in the tube 220 to clo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130, The vertical portion 130 and the tube 220 are fastened. As a result, the vertical portion 130 is fastened to the holder 210 to prevent the seating portion 120 from shaking.

삽입단계(S240)는 고정대(210)의 일측을 지중에 삽입시키는 단계로, 제1 거푸집(11)의 외측에 배치된 고정대(210)를 지중에 삽입하여 제1 거푸집(11)을 지지하는 역할을 병행한다.Inserting step (S240) is a step of inserting one side of the fixing base 210 in the ground, the role of supporting the first formwork 11 by inserting the fixing base 21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ormwork 11 in the ground. In parallel.

이러한 삽입단계(S240)는 고정대(210)를 제1 거푸집(11)의 외측에 연결하여 제1 거푸집(11)을 견고히 지지함과 동시에, 경계석(13)을 안착부(120)에 안착시키기 위한 준비 단계인 것이다.This inserting step (S24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ormwork (11) to the support (210) to firmly support the first formwork 11, and to seat the boundary stone 13 to the seating portion 120 It is a preparation step.

한편, 배치단계(S220) 및 삽입단계(S240)는 현장에서 서로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step (S220) and the insertion step (S240) may be carried out by changing the order of each other in the field.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3 단계(S300)는 제1개의 경계석을 거치부(100)에 안착한 후,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수평체(300)를 체결하여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4, in a third step S300, the first boundary stone is seated on the mounting part 100, and then the horizontal body 300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econd to nth boundary stones to form the first. This step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oundary stone.

즉, 제3 단계(S300)는 제1개의 경계석을 안착부(120)에 안착한 후, 수평체(300)를 제2개의 경계석의 선단에 체결하여 평철(320)의 일면이 제1개의 경계석 후단의 상면 및 제2개의 경계석의 선단의 상면에 접촉하게 하여, 제1개 및 제2개의 경계석의 평평한 면으로 맞추도록 한다. 이후, 제3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순차적으로 평평한 면을 맞추며 안착부(130)에 안착시킨다.That is, in the third step S300, the first boundary stone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120, and then the horizontal body 300 is fastened to the tip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so that one surface of the flat iron 320 is rearward of the first boundary ston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ip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be aligned with the fla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stones. Thereafter, the third to n-th boundary stones are sequentially seated on the seating part 130 while making a flat surface.

제4 단계(S400)는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상면과 측면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선형레벨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이다. 이는, 경계석간의 일정한 흐름을 유지하도록 작업구 전체의 선형과 레벨을 교정하는 것으로 전술한 제3 단계(S300)를 참조한다.The fourth step S400 is a step of matching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so as to have a linear level. This is referred to the third step (S300) described above to correct the linearity and level of the entire work tool to maintain a constant flow between the boundary stones.

제5 단계(S500)는 제1 거푸집(11)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2 거푸집(12)을 배치하되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단계이다.The fifth step S500 is a step of arranging the second formwork 1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1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tching the linear and level with each other.

즉, 제5 단계(S500)는 제1 거푸집(11)의 내측에 경계석(13)의 설치를 완료 한 이후, 제1 거푸집(11)의 내측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하여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게 제2 거푸집(12)을 설치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fth step (S500), after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boundary stone 13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ormwork 11, the second formwork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ormwork (11) 12 to install.

이때, 설치되는 제2 거푸집(12)은 제1 거푸집(11)과는 다른 형상으로 제작된다. 제2 거푸집(12)은 후속 공정인 도로포장 아스콘과 재료분리를 방지하고 도로의 수명을 높이기 위해 거푸집의 상단부가 경사부(420a)를 가지도록 제작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formwork 12 to be installed is manufactur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e first formwork 11. The second formwork 12 is manufactured to have an inclined portion 420a at the upper end of the formwork in order to prevent road pavement asphalt and material separation and increase the life of the road.

도 5를 참조하면, 제6 단계(S600)는 도로의 설계구조의 높이에 맞춰, 제1 거푸집(11) 및 제2 거푸집(12)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 5, the sixth step S600 is a step of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first formwork 11 and the second formwork 12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road design structure.

도 6을 참조하면, 제7 단계(S700)는 제6 단계(S600) 이후, 물 경사에 대응하여 미장을 완료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수평체(300), 체결부(200), 제2 거푸집(12) 및 제1 거푸집(11)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 6, in the seventh step S700, after the sixth step S600, plastering is completed in response to water inclination to cure concrete, the horizontal body 300, the fastening part 200, and the second formwork. (12) and the first formwork 11 are sequentially removed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다른 실시예Another embodiment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는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전술한 바를 참고하며, 변형된 구성요소인 거치부(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actory default value of the boundary ston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embodiment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ba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100 is a modified componen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의 거치부를 변형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을 일측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showing Figure 8 in one sid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10')에 있어서, 거치부(100')는 거치블럭으로 형성된다.8 and 9, in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10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100' is formed as a mounting block.

즉, 거치부(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경계석(13)이 도로에 설치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높이를 가진다.That is, the mounting portion 100 ′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boundary stone 13 may be installed on the road.

또한, 거치부(100')는 경계석(13)의 단방향 넓이에 대응하여 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100 ′ preferably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unidirectional width of the boundary stone 13.

이러한 거치부(100')는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어 경계석(13)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모따기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경계석(13)의 하부가 안착되는 부분 및 도로의 지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ounting portion 100 ′ is manufactured in a hexahedral shape to allow the boundary stone 13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by making the shape of the chamfe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or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boundary stone 13 is seated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of the road, and to deform the remaining portion into various shapes.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체결부(200)의 구성을 생략한 장치이다.Therefore, the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10 'of the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omit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200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거치블럭을 이용하여 경계석을 설치하는 것으로 제1 단계 및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을 설치하는 순서를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다.He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excep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step and the first formwork and the second formwork by installing the boundary stone using the mounting block.

따라서, 실시예와 동일한 단계의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한다.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steps as in the embodiment is referred to the foregoing.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n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for a boundary st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oundary stone using the sam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S10')은 제1 단계(S100'), 제2 단계(S200'), 제3 단계(S300'), 제4 단계(S400'), 제5 단계(S500'), 제6 단계(S600') 및 제7 단계(S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integrated construction apparatus and the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S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step S100 ′, a second step S200 ′, and a third step S300 ′. ), A fourth step S400 ', a fifth step S500', a sixth step S600 ', and a seventh step S700'.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단계(S100')는 제1개의 경계석의 양측 무게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경계석(13)이 설치될 도로의 지면에 거치블럭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거치부(1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Referring to FIG. 8, in the first step S100 ′, the mounting blocks 100 ′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round of the road on which the boundary stones 13 are to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boundary stones. ) Step.

즉, 제1 단계(S100')는 제1개의 제1 거푸집(11)이 설치되기 전에 경계석(13)의 하부 양측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2개의 제1 거푸집의 후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거치블럭을 배치한다. 이후, 제3 내지 제n개의 제1 거푸집의 후단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거치블럭을 배치한다.That is, the first step S100 ′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undary stone 13 before the first first formwork 11 is installed. The mounting block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first formwork. Subsequently, the mounting blocks are continuously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s of the third to nth first molds.

제2 단계(S200')는 제1개의 경계석을 거치부(100')에 안착한 후, 수평체(300)를 제2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체결하여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단계이다.In the second step S200 ′, the first boundary stone is seated on the mounting part 100 ′, and then the horizontal body 300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oundary stone to closely contact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 to be.

제3 단계(S300')는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상면 및 측면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선형레벨이 되도록 맞추는 단계이다.In the third step S300 ′,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so as to have a linear level.

제4 단계(S400')는 경계석(13)이 설치된 일측에 제1 거푸집(11)을 배치하되 제1 내지 제n개의 거푸집이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S400 ′ is a step in which the first formwork 11 is disposed on one side where the boundary stone 13 is installed, and the first to nth formwork fit linear and level with each other.

즉, 제4 단계(S400')는 거치블럭의 상부에 안착된 경계석(13)의 설치를 완료 한 후, 경계석(13)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거푸집(11)을 설치하는 것이다.That is, the fourth step (S400 ') is to install the first die 1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boundary stone 13 after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boundary stone 13 seated on the top of the mounting block.

제5 단계(S500')는 제1 거푸집(11)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2 거푸집(12)을 배치하되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단계이다.The fifth step S500 ′ is a step of arranging the second formwork 1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matching the linearity and level with each other.

제6 단계(S600')는 도로의 설계구조의 높이에 맞춰, 제1 거푸집(11) 및 제2 거푸집(12)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다.The sixth step S600 ′ is a step of pouring concrete between the first formwork 11 and the second formwork 12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road design structure.

제7 단계(S700')는 제6 단계(S600') 이후, 물 경사에 대응하여 미장을 완료하여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수평체(300), 제2 거푸집(12) 및 제1 거푸집(11)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단계이다.In the seventh step S700 ′, after the sixth step S600 ′, the plastering is completed in response to water inclination to cure concrete, and the horizontal body 300, the second formwork 12, and the first formwork 11 are formed. Steps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by removing sequentiall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appended claim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s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modifications.

10, 10' :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11 : 제1 거푸집
12 : 제2 거푸집
13 : 경계석
100 : 거치부
110 : 연장부
120 : 안착부
130 : 수직부
140 : 거치블럭
200 : 체결부
210 : 고정대
220 : 각관
221 : 볼트홀
230 : 조임볼트
300 : 수평체
310 : 홀더
320 : 평철
400 : 금속재 거푸집
410 : 제1 거푸집
410a : 본판
410b : 제1 플랜지
420 : 제2 거푸집
420a : 경사부
420b : 제2 플랜지
500 : 사선지지팩
S10, S10' :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S100, S100' : 제1 단계
S200, S200' : 제2 단계
S300, S300' : 제3 단계
S400, S400' : 제4 단계
S500, S500' : 제5 단계
S600, S600' : 제6 단계
S700, S700' : 제7 단계
10, 10 ': Integrated construction device of boundary stone
11: first formwork
12: second formwork
13: boundary stone
100: holder
110 extension
120: seating part
130: vertical part
140: mounting block
200: fastening part
210: holder
220: each tube
221: bolt hole
230: Tightening bolt
300: horizontal body
310: Holder
320: flat iron
400: metal formwork
410: the first formwork
410a: Main Edition
410b: first flange
420: second formwork
420a: inclined portion
420b: second flange
500: diagonal support pack
S10, S10 ': Integral construction device of boundary stone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S100, S100 ': first step
S200, S200 ': second stage
S300, S300 ': 3rd step
S400, S400 ': 4th step
S500, S500 ': 5th step
S600, S600 ': 6th step
S700, S700 ': 7th step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n개의 제1 거푸집과 상기 제1 거푸집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거푸집 사이로 제n개의 경계석이 설치되는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이 지중에 매립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타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고, 경계석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거치부;
상기 제1 거푸집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체결부; 및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2개의 경계석을 홀딩하여 상면이 동일한 일직선을 가지도록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홀딩하는 수평체를 포함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경계석을 안치할 위치에 제n개의 제1 거푸집을 배치하는 제1 단계;
제1개의 경계석의 양측 무게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에 상기 거치부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을 상기 거치부에 안착한 후,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상기 수평체를 체결하여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제3 단계;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상면과 측면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선형레벨이 되도록 맞추는 제4 단계;
상기 제1 거푸집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2 거푸집을 배치하되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제5 단계;
도로의 설계 구조의 높이에 맞춰,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6 단계 이후, 물 경사에 대응하여 미장을 완료하여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상기 수평체, 상기 체결부, 상기 제2 거푸집 및 제1 거푸집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치부의 상부를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 상단에 고정할 위치를 설정하여 상기 거치부를 배치하는 설정단계;
상기 제1 거푸집에 형성된 제1 플랜지의 상부에 내부가 빈 관 형상의 각관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거푸집의 외측에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각관의 내부에 상기 거치부의 상부를 삽입시키고, 상기 각관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조임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거치부 및 상기 각관을 체결시키는 체결단계; 및
상기 제1 거푸집의 외측에 배치된 고정대의 일측을 지중에 삽입하여 상기 제1 거푸집을 지지하는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It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formwork where the nth boundary stones are installed between the nth first formwork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ad and the second formwork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ide A bent portion formed in the ground and including an extension portion bent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a seat portion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boundary stone is seated, and a vertical portion bent from one side of the seat portion and extended in one direction;
A fastening part disposed outside the first formwork to support the mounting part; And
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actory default of integration of the boundary stone including a horizontal body for holding the second boundary stone to hold the second boundary ston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 to have the same straight line,
A first step of placing the nth first formwork at a position where the boundary stone is to be placed;
A second step of installing the mounting part inside the first formwork in correspondence with both centers of gravity of the first boundary stone;
A third step of seating the first boundary stones 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n fastening the horizontal body to one side of the second to nth boundary stones to closely contact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s;
A fourth step of matching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so as to have a linear level;
A fifth step of arranging a second formwork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atch each other linearly and levelly;
A sixth step of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first formwork and the second formwork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esign structure of the roadway; And
After the sixth step, the seventh step of curing the concrete by completing the plaster in response to the water inclination, and sequentially removing the horizontal body, the fastening portion, the second formwork and the first formwork to complete the construction Including,
The second step is
A setting step of arranging the mounting part by setting a position to fix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art to an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formwork;
An arranging step of forming an inner tube having a hollow tube shape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lange formed on the first mold and disposing the outer tube of the first mold;
A fastening step of inserting an upper portion of the holder into the inside of the tube and inserting a fastening bolt through a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tube to fasten the holder and the tube; And
And an insertion step of supporting one side of the first formwork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fixing stand disposed outside the first formwork into the ground.
Integral construction device of boundary stone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로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n개의 제1 거푸집과 상기 제1 거푸집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거푸집 사이로 제n개의 경계석이 설치되되, 상기 경계석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거푸집의 내측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거치블럭으로 형성되는 거치부와 상기 제1 거푸집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는 체결부 및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되는 제2개의 경계석을 홀딩하여 상면이 동일한 일직선을 가지도록 제2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을 홀딩하는 수평체를 포함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1개의 경계석의 양측 무게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경계석이 설치될 도로의 지면에 상기 거치블럭을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상기 거치부를 배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을 상기 거치부에 안착한 후, 상기 수평체를 제2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체결하여 상기 제1개의 경계석의 일측에 밀착하여 배치하는 제2 단계;
제1 내지 제n개의 경계석의 상면 및 측면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여 선형레벨이 되도록 맞추는 제3 단계;
상기 경계석이 설치된 일측에 상기 제1 거푸집을 배치하되 제1 내지 제n개의 거푸집이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제4 단계;
상기 제1 거푸집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2 거푸집을 배치하되 서로 선형과 레벨을 맞추는 제5 단계;
도로의 설계구조의 높이에 맞춰, 상기 제1 거푸집 및 제2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제6 단계 이후, 물 경사에 대응하여 미장을 완료하여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상기 수평체, 상기 제2 거푸집 및 제1 거푸집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시공을 완료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제1개의 제1 거푸집의 후단과 제2개의 제1 거푸집의 선단이 접촉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거치블럭을 배치함으로써, 제1개의 경계석 및 제2개의 경계석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거치블럭이 위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The nth boundary stones are installed between the nth first formwork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oad and the second formwork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and each other inside the first formwork to support both lower sides of the boundarystone. Hold a second portion formed by the mounting block spaced a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and holding the fasten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boundary ston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 in the same straight line In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ntegrated factory value of the boundary stone including a horizontal body for holding the second to nth boundary stones to have,
A first step of arranging the mounting portions by arranging the mounting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ground of the road where the boundary stones are to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both centers of gravity of the first boundary stones;
A second step of seating the first boundary stones 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n fastening the horizontal body to one side of the second boundary stones to closely contact one side of the first boundary stones;
A third step of aligning the upper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nth boundary stones so as to have a linear level on the same line;
A fourth step of arranging the first formwork on one side where the boundary stone is installed, wherein the first to nth formwork fit linearly and level with each other;
A fifth step of arranging a second formwork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ormwor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atch each other linearly and levelly;
A sixth step of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first formwork and the second formwork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esign structure of the roadway; And
After the sixth step, to finish the plastering in response to the water slope to cure the concrete, and the seventh step of completing the construction by sequentially removing the horizontal body, the second formwork and the first formwork,
In the first step, the first boundary stone and the second boundary stone contact each other by arranging the mounting bloc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rear end of the first first formwork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first formwork contact each other. Wherein the mounting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ntegral construction device of boundary stone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20190065310A 2019-06-03 2019-06-03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0862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10A KR102086287B1 (en) 2019-06-03 2019-06-03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10A KR102086287B1 (en) 2019-06-03 2019-06-03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287B1 true KR102086287B1 (en) 2020-03-06

Family

ID=6980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10A KR102086287B1 (en) 2019-06-03 2019-06-03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287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005A (en) 2001-07-10 2003-03-28 Global System Presents:Kk Block planking and block execution method using it
KR20030057840A (en) * 2001-12-29 2003-07-07 조용우 Method for dry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road boundary stone supporting device
KR100670099B1 (en) * 2006-02-07 2007-01-17 최재필 Curb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72671B1 (en) 2006-11-30 2007-11-02 신상종 Support for sidewalk boundary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81429A (en) * 2010-01-08 2011-07-14 조용우 Form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method using thesame
KR101207100B1 (en) * 2012-05-30 2012-12-03 정영길 Hoarstone construction device and hoar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61084B1 (en) * 2014-06-17 2014-11-13 신두식 Apparatus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005A (en) 2001-07-10 2003-03-28 Global System Presents:Kk Block planking and block execution method using it
KR20030057840A (en) * 2001-12-29 2003-07-07 조용우 Method for dry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road boundary stone supporting device
KR100670099B1 (en) * 2006-02-07 2007-01-17 최재필 Curb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72671B1 (en) 2006-11-30 2007-11-02 신상종 Support for sidewalk boundary ston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81429A (en) * 2010-01-08 2011-07-14 조용우 Form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method using thesame
KR101207100B1 (en) * 2012-05-30 2012-12-03 정영길 Hoarstone construction device and hoar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61084B1 (en) * 2014-06-17 2014-11-13 신두식 Apparatus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56B1 (en) Boundary stone establishing structure and method
US9637874B2 (en) Form assembly for paving materials
JP4947779B2 (en) Laying concrete products
US7614830B1 (en) Pre-cast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KR102086287B1 (en) Boundary stone unification construction apparatus and boundary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3569878B2 (en) Jig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labs
US20060248847A1 (en) Method for providing a pad to support heavy equipment
KR101544985B1 (en) Socket type precast concrete panel and pav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86470B1 (en) Dowel Bar steel form
KR200900708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boader stones between footway and roadway
KR100432863B1 (en) Method for dry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road boundary stone supporting device
KR101071691B1 (en) Using the contact type form and the contact type form civil engineering, road construction method of boundary stone gutter
KR101158445B1 (en) Form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and method using thesame
US20160281302A1 (en) Forms and screed for paving materials
KR101167582B1 (en) Block unit for expansion
KR100953962B1 (en) Floating construction apparatus for boundary stone
KR101496420B1 (en) Prop for boundary stone
KR20240015338A (en) Method for installing road boundary stone A boundary stone install frame
KR200272862Y1 (en) Supporting device for constructing road boundary stones
JP3662207B2 (en) Construction block for concrete foundation f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foundation for construction
KR100682066B1 (en) Construction process of a sewer
KR20110051567A (en) Precast concrete road boundary part, method of forming the road boundary part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of forming the same
KR20120019043A (en) Mould and constructing process using the same
KR101182201B1 (en) Assembly form for boundary stone
JP2616833B2 (en) Construction method of large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