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153B1 -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153B1
KR102086153B1 KR1020180045229A KR20180045229A KR102086153B1 KR 102086153 B1 KR102086153 B1 KR 102086153B1 KR 1020180045229 A KR1020180045229 A KR 1020180045229A KR 20180045229 A KR20180045229 A KR 20180045229A KR 102086153 B1 KR102086153 B1 KR 10208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air
tube body
patient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645A (ko
Inventor
김만수
이규창
이동건
표승현
Original Assignee
김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수 filed Critical 김만수
Priority to KR102018004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1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는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브레이스와, 상기 브레이스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레이스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는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에어튜브를 통해 쿠션감이 좋아 통증을 감소시키며, 또한 에어 튜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이로 인해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Air tube sling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환자를 이송하기 사용되는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트랜스퍼)이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또는 원하는 목적지로 혼자서 움직이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허약한 노인과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들은 일반적으로 인지 기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신체 능력의 저하로 인하여 트랜스퍼, 보행 등 기능에서의 제한이 나타난다.
특히, 재활 및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노인 및 환자들은 트랜스퍼 기능이 심하게 감소하여 앉고 일어서거나, 침대에서 다른 침대 및 의자, 휠체어로 이동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노인 및 환자의 트랜스퍼를 주로 보호자나 의료 및 간병 인력이 보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노인 및 장애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트랜스퍼를 보조하기 위한 인력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소수의 보호자 또는 간병 인력이 다수의 노인 및 환자의 트랜스퍼를 보조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향후에는 노인 및 입원 환자의 증가로 인해 이러한 부담이 더욱 더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환자 이송용 트랜스퍼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31431호에 환자 이송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부착된 하나이상의 지지수단; 상기 베이스 위의 홈위치와 연장된 위치사이에서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부착된 슬라이드 조립체; 및 테이블 조립체가 환자와 환자를 지지하는 표면사이에서 움직일때, 역회전하는 각 상부 및 하부벨트로 둘러싸이는 상부 및 하부 테이블을 가지고, 상기 상부 테이블을 상기 하부 테이블에서 수직으로 분리하는 동안 상기 상부 테이블의 하나 이상의 측면 플레이트를 측면으로 수축하기 위한 통합수단을 가지는 상기 슬라이드 조립체에 부착된 테이블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테이블이 상기 슬라이드 조립체에 고정되고, 상기 통합수단이, 상기 슬라이드 조립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단부 플레이트,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상기 테이블 조립체의 세로 중심라인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진 하나이상의 가이드 슬롯을 내부에 가지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단부에 부착된 하나이상의 위치설정 포스트로 구성되고, 상기 위치설정 포스트가 상기 가이드 슬롯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 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345273호에 지면에 지지되며 캐스터가 형성되어 이동 가능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 외팔보 형태로 수평으로 결합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일단에 결합되며 환자가 안착되는 행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붐대와 지주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길이의 신축 작동에 의해 상기 붐대를 회전시켜 행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지주의 하부와 상기 받침대에 형성되어 지주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이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기어실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실의 상부에는 이송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실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구가 상기 지주의 상부 지주관체에 힌지로 결합된 통체와; 상기 이송통로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며 상단에 형성된 연결구가 붐대에 힌지로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을 지지하도록 이송통로 내에 장착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기어실에 배치되는 종동베벨기어와, 상기 종동베벨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주동베벨기어로 구성된 기어구동부와; 상기 기어실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베벨기어에 결합되는 회전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환자 리프트 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자 이송용 트랜스퍼는 노인 및 환자의 트랜스퍼를 보호자나 의료 및 간병 인력이 보조하는 방법은 보조자가 환자의 신체를 직접 들거나 다리와 몸을 지지하여 일으켜 세운 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보조자의 특정 부위에 많은 부하와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해 근골격계에 부담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보조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트랜스퍼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는 크게 매트형과 하네스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매트형인 경우에는 신체 사이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매트를 환자의 몸 아래에 깔기 위해 많은 힘이 요구되며, 환자가 인지 기능 저하를 가진 경우 낙상의 위험이 크고, 휠체어나 의자와 같은 장소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하네스형인 경우에는 안정성이 뛰어나며, 침대나 휠체어와 같이 다양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체격에 따라 일일이 벨크로를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착용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며, 벨크로 장치로 인해 피부가 약화된 환자에게 마찰로 인한 피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에어 튜브를 통해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수동적 관절의 움직임을 유발 및 쿠션감이 좋아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며, 다양한 신체 사이즈의 환자에도 모두 적용가능한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는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브레이스와, 상기 브레이스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레이스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는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에어 튜브를 통해 쿠션감이 좋아 통증을 감소시키며, 또한 에어 튜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이로 인해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에 장착되는 에어 튜브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 튜브 착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 개요도.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는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브레이스(100)와, 상기 브레이스(10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수단(500)과, 상기 구동수단(50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레이스(10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받침프레임(20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60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상면 중앙부근에는 지지대(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500)은 드럼이 포함된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드럼에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장착되는 와이어(520)와, 상기 와이어(520)의 끝단부에 브레이스(100)의 걸고리(130)에 체결되는 링형상의 술랑(530)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와이어(520)는 지지대(300)의 상단을 타고 넘어가도록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520)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게 됨으로써 브레이스(100)는 승·하강 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브레이스(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는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튜브몸체(110)와,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공급밸브(120)와,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상기 구동수단(100)에 체결되는 걸고리(130)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에 장착되는 에어 튜브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 튜브 착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의 다른 실시예 개요도이다.
브레이스(Brace)는 일반적으로 가죽띠, 부목을 가리키는 것으로, 환자 이송용 트랜스퍼에서는 환자의 신체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헝겊 또는 기타 재질로 제작되어 부목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브레이스(100)와, 상기 브레이스(10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수단(500)과, 상기 구동수단(50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레이스(10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받침프레임(200)의 하단에는 바퀴(60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브레이스(100)와, 상기 브레이스(10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수단(500)이 받침프레임(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되, 상기 구동수단(500)은 받침프레임(20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상면 중앙부근에는 지지대(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500)은 드럼이 포함된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드럼에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장착되는 와이어(520)와, 상기 와이어(520)의 끝단부에 브레이스(100)의 걸고리(130)에 체결되는 링형상의 술랑(5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상기 와이어(520)는 지지대(300)의 상단을 타고 넘어가도록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520)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게 됨으로써 브레이스(100)는 승·하강 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지지대(3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지지되도록 도르래(도면 미도시)가 설치되고, 와이어(520)가 도르래를 거치도록 설치되면 브레이스(100)에 의해 체결된 환자의 승·하강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브레이스(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는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튜브몸체(110)와,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공급밸브(120)와,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상기 구동수단(100)에 체결되는 걸고리(130)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용의 안전밸브(15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컴프레셔(Compressor: 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컴프레셔(400)와 에어튜브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에어공급밸브(120) 간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인 튜브(4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튜브(410)의 끝단부에는 에어튜브몸체(110)의 에어공급밸브(120)에 체결되는 관용의 체결콕(420)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에어튜브몸체(110)로서 환자를 감싼 후, 에어튜브몸체(1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140)를 체결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40)는 벨크로 또는 후크 등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컴프레셔(400)를 가동시켜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튜브몸체(110)가 환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에어튜브몸체(110)가 완전히 환자를 지지하게 되면 구동수단(500)를 구동시켜 환자를 승강시켜 이송베드와 같은 이송수단에 환자를 옮겨 싣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에어튜브몸체보다 더 딱딱하거나 원단 두께가 두꺼운 보조에어튜브몸체가 에어튜브몸체 전면에 형성되어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한다.
상기 보조에어튜브몸체 후면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환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마찬가지로 경보를 울리게 한다 충격감지센서와 제어부가 설치되는 경보기가 부착되어 땅에 떨어지는 등의 충격시 경보를 발생하여 주위의 도움을 받는다.
상기 보조에어튜브몸체 내면에는 열전소자 내장포켓이 설치되어 열전소자에 외부전기를 연결하여 따뜻하게 하거나 시원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포켓에는 소독제가 든 얇은 비닐백이 내장되어 큰충격시 비닐백이 터져 소독액이 흘러나와 상처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1차적으로 막는다.
걸고리에는 턴버클(700)이 설치되어 브래이스를 와이어로 연결한뒤에도 미소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한다.
상기 걸고리의 수직부에는 상부와 하부로 두 개로 분리된 후, 서로 마주보는 끝단에는 돌기(71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외주연에는 나선이 돌출형성되되, 걸고리의 상부수직부에 형성된 돌기에는 왼나사가 형성되고, 걸고리의 하부수직부에 형성된 돌기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의 상부수직부와 하부수직부 사이에는 결합너트(720)가 설치되어, 상기 결합너트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걸고리의 상부수직부와 하부수직부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브래이스를 와이어로 연결한뒤에도 미소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는 공기가 주입되고 배출되는 에어 튜브를 통해 쿠션감이 좋아 통증을 감소시키며, 또한 에어튜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이로 인해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브레이스 110. 에어튜브몸체 120. 에어공급밸브
130. 걸고리 140. 고정부 150. 안전밸브
200. 받침프레임
300. 지지대
400. 컴프레셔 410. 튜브 420. 체결콕
500. 구동수단 510. 모터 520. 와이어
530. 슬링
600. 바퀴
700. 턴버클 710. 돌기 720. 결합너트

Claims (3)

  1.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브레이스(100)와, 상기 브레이스(10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수단(500)과, 상기 구동수단(50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레이스(100)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20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60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상면에는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개별적으로 감싸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브레이스(100)와, 상기 브레이스(10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수단(500)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구동수단(500)은 받침프레임(20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상면 중앙부근에는 지지대(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500)은 드럼이 포함된 모터(510)와, 상기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드럼에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장착되는 와이어(520)와, 상기 와이어(520)의 끝단부에 브레이스(100)의 걸고리(130)에 체결되는 링형상의 술랑(530)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와이어(520)는 지지대(30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51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520)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게 됨으로써 브레이스(100)는 승·하강 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대(3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지지되도록 도르래가 설치되고, 와이어(520)가 도르래를 거치도록 설치되면 브레이스(100)에 의해 체결된 환자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브레이스(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방향으로는 길게 형성되어 있는 에어튜브몸체(110)와,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공급밸브(120)와,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상기 구동수단(500)에 체결되는 걸고리(130)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에어튜브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안전밸브(15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받침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컴프레셔(Compressor: 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컴프레셔(400)와 에어튜브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에어공급밸브(120) 간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인 튜브(410)가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튜브(410)의 끝단부에는 에어튜브몸체(110)의 에어공급밸브(120)에 체결되는 체결콕(420)이 장착되는 것으로, 에어튜브몸체(110)로서 환자를 감싼 후, 에어튜브몸체(1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140)를 체결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컴프레셔(400)를 가동시켜 에어튜브몸체(1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튜브몸체(110)가 환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에어튜브몸체(110)가 완전히 환자를 지지하게 되면 구동수단(500)를 구동시켜 환자를 승강시켜 이송수단에 환자를 옮겨 싣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에어튜브몸체(110)보다 더 딱딱하거나 원단 두께가 두꺼운 보조에어튜브몸체가 에어튜브몸체 전면에 형성되어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는 것이며,
    상기 보조에어튜브몸체 후면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환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마찬가지로 경보를 울리게하고, 충격감지센서와 제어부가 설치되는 경보기가 부착되어 충격시 경보를 발생하는 것이며,
    상기 보조에어튜브몸체 내면에는 열전소자 내장포켓이 설치되어 열전소자에 외부전기를 연결하여 따뜻하게 하거나 시원하게 하는 것이며, 또 하나의 포켓에는 소독제가 든 비닐백이 내장되어 충격시 비닐백이 터져 소독액이 흘러나와 상처부위가 감염되는 것을 1차적으로 막는 것이 특징인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45229A 2018-04-18 2018-04-18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KR102086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29A KR102086153B1 (ko) 2018-04-18 2018-04-18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229A KR102086153B1 (ko) 2018-04-18 2018-04-18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45A KR20190121645A (ko) 2019-10-28
KR102086153B1 true KR102086153B1 (ko) 2020-04-23

Family

ID=6842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229A KR102086153B1 (ko) 2018-04-18 2018-04-18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1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92B1 (ko) 2010-05-25 2012-1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강천자 시술을 위한 환자 리프트 장치
KR101704998B1 (ko) * 2015-08-11 2017-02-09 국립암센터 환자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1221D0 (en) * 1998-12-04 1999-03-10 Huntleigh Technology Plc Bed
KR20030016902A (ko) * 2001-08-23 2003-03-03 박승부 환자용 재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92B1 (ko) 2010-05-25 2012-1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강천자 시술을 위한 환자 리프트 장치
KR101704998B1 (ko) * 2015-08-11 2017-02-09 국립암센터 환자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645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893A (en) Physical therapy apparatus
US4446587A (en) Patient positioning device
US5280657A (en) Sheet position adjustment assembly and method
TWI450712B (zh) 翻身移位機
US10182956B2 (en) Transport apparatus
US4999862A (en) Wheelchair mounted invalid lift
US5117516A (en) Patient sling
US9254233B2 (en) Apparatus for lifting persons
US20170056263A1 (en) Hospital bed with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bed sheets without disturbing occupied person, also a method of preventing and relieving ulcers
US8011044B1 (en) Pressure relieving body support
TWI691324B (zh) 牽引式翻身輔具及牽引式翻身裝置
US7354382B1 (en) Wheeled ambulation and lifting apparatus
CN113164312B (zh) 患者提升器
EP3117815B1 (en) Pull-type body turning aid
US20170000670A1 (en) Hospital bed with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bed sheets without disturbing occupied person, also a method of preventing and relieving ulcers
KR102086153B1 (ko) 에어 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KR102086152B1 (ko)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의 브레이스
GB2231790A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6684419B1 (en) Bedside lower extremity lifting apparatus
CN115227517A (zh) 一种电动坐式移位机装置及方法
TWM597132U (zh) 具有支撐架的多功能護理床
KR20220003811A (ko)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의 브레이스
KR20220003815A (ko) 에어튜브 슬링식 트랜스퍼 장치
EP1496829B1 (en) Device for moving handicapped people
EP3849488A1 (en) Patient-supp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