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121B1 - Floor heating device - Google Patents

Floor he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121B1
KR102086121B1 KR1020180086748A KR20180086748A KR102086121B1 KR 102086121 B1 KR102086121 B1 KR 102086121B1 KR 1020180086748 A KR1020180086748 A KR 1020180086748A KR 20180086748 A KR20180086748 A KR 20180086748A KR 102086121 B1 KR102086121 B1 KR 10208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mney
diaphragm
frame
heating device
he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1808A (en
Inventor
강장희
Original Assignee
강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장희 filed Critical 강장희
Priority to KR102018008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121B1/en
Publication of KR2020001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8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들 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 아궁이를 가지고 상부로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통풍구를 구비한 다수의 격판이 포함된 가열구조체와; 상기 아궁이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그 하단부가 가열구조체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된 굴뚝과; 상기 가열구조체에 지지된 상태로 가열구조체를 커버하는 그물망 형태의 메쉬플레이트와; 상기 메쉬플레이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들장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들 난방 장치는, 고래둑이,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나란한 철제 격판으로 이루어지되 격판이 아궁이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열기나 연기의 역류가 없어 그만큼 열효율이 뛰어나고 시공이 간편하다. 또한, 굴뚝의 일부가 실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므로 한겨울에도 굴뚝이 냉각되지 않으므로 배연효율이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배출이 원활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ose heating device. It includes a base providing a horizontal support surface; A heating structure positioned on the base, the frame including a frame open at one side and having an upper end; A chimney positioned opposite to the archery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heating structure and extending upward; A mesh plate of a mesh type covering the heating structur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eating structure; It includes a saddle field stacked on top of the mesh plate.
The sadd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whale bank is made of a plurality of side-by-side iron diaphragm with air passages formed, but because the diaphragm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subfamily, there is no heat or smoke backflow, so the thermal efficiency This is excellent and easy to construct.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chimney is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room, because the chimney is not cooled even in the winter, the flue gas efficiency does not fall, so the smoke is smoothly discharged.

Description

구들 난방 장치{Floor heating device}Floor heating device

본 발명은 구들 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래가 아궁이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굴뚝의 일부가 실내를 통과하도록 설계된 구들 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ose he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oose heating device designed to allow a portion of the chimney to pass through the room while the whale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head.

구들 난방은, 방바닥에 평평하게 배치된 구들장을 가열하여, 실내의 공기를 덥히는 전통적 난방방식이다. 이러한 구들 난방을 위한 구조는, 불을 떼는 아궁이, 열과 연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로서 구들장이 열에 의해 가열되게 하는 고래, 고래를 통과한 연기를 배기하는 굴뚝을 갖는다. 고래는 다양한 형식으로 배열된 고래둑 사이의 공간으로서, 아궁이로부터 발생한 열기가 장거리 우회하며 가급적 넓은 면적에 열을 전달하게 하나.Good heating is a traditional heating method of heating the air in the room by heating a flat field is placed flat on the floor. Such a structure for heating the bulb has a fire extinguisher having a chimney for exhausting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whale and the whale which causes the saddle field to be heated by heat as a passage through which heat and smoke pass. Whales are spaces between whale banks arranged in various forms,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ubfamily is diverted to long distances, allowing heat to be transferred to large areas.

이러한 구들 난방은, 황토 등을 사용하는 친환경 전통 주택의 보급과 맞물려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바닥이나 벽면을 황토로 마감한 주택의 난방을 구들 난방 방식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Such heating of the ondol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conjunction with the spread of eco-friendly traditional houses using loess and the like. For example, in many cases, the heating of a house with an ocher finish on the floor or wall is applied by heating.

그런데 종래의 구들 난방 장치에 있어서, 고래가 아궁이를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배열된 타입은, 역풍이 가해질 때 열기와 연기가 아궁이로 역류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고래가 반복적으로 구부러진 ㄹ자 형태를 이루는 타입은, 역류의 부담이 없기는 하지만,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연기가 굴뚝으로 제대로 빠지지 않아 고래에 머물러 있다가 아궁이로 빠져나오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goose heating device, the type in which the whale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arb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heat and smoke easily flow back to the argus when a backwind is applied. In addition, the type of the w-shape in which the whale is repeatedly bent, although there is no burden of backflow, is not exhausted smoothly. In other words, the smoke does not fall into the chimney, so it stays in the whale.

한편, 종래 구들난방의 경우, 굴뚝이 실외에 배치되기 때문에, 추운 겨울철에 배연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굴뚝 자체가 차가운 온도 환경에서 냉각될 경우, 굴뚝 내에 냉각공기의 하향류가 만들어져 고온의 공기가 하향류에 막혀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eating heating, because the chimney is disposed outdoor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lue gas efficiency in cold winter. This is because when the chimney itself is cooled in a cold temperature environment, downward flow of cooling air is created in the chimney, and hot air is blocked by the downward flow so that it cannot rise properly.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693호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Domest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2693 (Mobile loess firewood gudeulbang and mobile buildings using it)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65221호 (구들 시스템)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765221 (School System)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열기나 연기의 역류가 없어 그만큼 열효율이 뛰어나고 시공이 간편하며, 한겨울에도 굴뚝이 냉각되지 않으므로 배연효율이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배출이 원활한 구들 난방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no backflow of heat or smoke, the heat efficiency is excellent, and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because the chimney is not cooled in the middle of winter, the flue gas efficiency does not fall, providing a smooth heating device for the discharge of smoke.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구들 난방 장치는,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 아궁이를 가지고 상부로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통풍구를 구비한 다수의 격판이 포함된 가열구조체와; 상기 아궁이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그 하단부가 가열구조체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된 굴뚝과; 상기 가열구조체에 지지된 상태로 가열구조체를 커버하는 그물망 형태의 메쉬플레이트와; 상기 메쉬플레이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들장을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ed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base providing a horizontal support surface; A heating structure which is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includes a frame open at an upper side with a hooker on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inner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vents; A chimney positioned opposite to the archery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heating structure and extending upward; A mesh plate of a mesh type covering the heating structur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eating structure; It includes a saddle field stacked on top of the mesh plat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격판은 아궁이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프레임에 밀폐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rame is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the diaphragm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basement and both ends thereof are hermetically fixed to the frame.

또한, 상기 베이스의 지지면에 대한 각 격판의 높이는, 아궁이로부터 굴뚝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져, 상기 메쉬플레이트가 굴뚝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each diaphragm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of the base becomes higher as it goes toward the chimney direction from the arch, and the mesh plate is disposed so as to incline upward in the chimney direction.

또한, 상기 격판의 통풍구는,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와 연기를 통과시켜 굴뚝으로 유도하는 구멍으로서, 격판의 양단부측에 형성되며 아궁이에서 굴뚝을 향하는 직선유로를 형성하는 가속통로와, 상기 가속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아궁이로부터 굴뚝을 향하는 곡선유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ent hole of the diaphragm is a hole for passing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in the arch, leading to the chimney, is formed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diaphragm and the acceleration passage for forming a straight path from the arch to the chimney, and between the acceleration passage It is located and includes a main passage that provides a curved flow path from the suburb to the chimney.

아울러, 상기 격판은 상호 이웃하는 두 장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일측 격판의 메인구멍은 격판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고, 타측 격판의 메인구멍은 상기 가속통로의 측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iaphragm adjacent to each other to form a set, the main hole of one of the diaphragm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diaphragm, the main hole of the other diaphragm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acceleration passage.

또한, 상기 프레임은 강철판으로 제작되며 그 내주면에는 수직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격판의 양단부가 상기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rame is made of a steel plat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rtical fitting groove is formed, both ends of each of the diaphragm is fitted to be fixed to the fitting groove is fixed.

또한, 상기 구들장의 상부에, 상기 구들장을 커버하며 수평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모르타르층이 적층되고,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모래층이 더 적층되며,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원목으로 제작된 마루부재가 적층 구성된다.In addition, a mortar layer covering the saddle field and providing a horizontal bottom surface is stacked on top of the saddle field, a sand layer is further stacked on top of the mortar layer, and a floor member made of solid wood is stacked on top of the sand layer.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굴뚝의 하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영역에 수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루부재 상부의 거주공간을 통과하고, 굴뚝의 거주공간에 노출된 부분에, 굴뚝의 보온을 위한 커버가 랩핑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himney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frame, passes through the living space above the floor member, the cover for the insulation of the chimney in the portion exposed to the living space of the chimney It is wrapp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구들 난방 장치는, 고래둑이,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나란한 철제 격판으로 이루어지되 격판이 아궁이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열기나 연기의 역류가 없어 그만큼 열효율이 뛰어나고 시공이 간편하다.The saddle he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whale bank is made of a plurality of side-by-side iron diaphragm with air passages are formed, but the diaphragm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base of the fire, there is no heat or smoke backflow, so the thermal efficiency This is excellent and easy to construct.

또한, 굴뚝의 일부가 실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므로 한겨울에도 굴뚝이 냉각되지 않으므로 배연효율이 떨어지지 않아 연기의 배출이 원활하다.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chimney is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room, the chimney is not cooled even in the middle of winter, so the flue gas efficiency does not fall and the smoke is smoothly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열구조체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열구조체의 작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굴뚝의 하단부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goos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parately showing the heating structure shown in FIG. 1.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structure shown in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end of the chimney illustrated in FIG. 1.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oos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10)는, 기존에 돌과 흙으로 이루어지던 고래둑을 철제로 적용하고 더 나아가 고래둑을 종방향이 아닌 횡방향으로 배치한 구조를 가짐으로서, 연기의 흐름을 다소 지연시켜 열흡수를 극대화하는 한편, 구들장에 슬로프를 주어 연기의 자연스런 흐름을 유도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굴뚝의 일부를 건물 안의 주거공간에 배치하여 보온함으로써 굴뚝의 내부 압력을 증폭시켜, 역풍에 의한 아궁이로의 역화를 방지하는 특징을 갖는다.The saddle hea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hale ledges previously made of stone and soil are made of iron, and further, the whale ledges are arranged laterally instead 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layed to maximize the heat absorption, while giving a slope to the field to induce a natural flow of smoke. In addition, by arranging a part of the chimney in a residential space in the building to insulate it to amplif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himney, it has a feature to prevent backfire into the fire by the backwind.

이러한 특징을 갖는 구들 난방 장치(10)의 기본 구성은,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 아궁이를 가지고 상부로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통풍구를 구비한 다수의 격판이 포함된 가열구조체와; 상기 아궁이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그 하단부가 가열구조체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된 굴뚝과; 상기 가열구조체에 지지된 상태로 가열구조체를 커버하는 그물망 형태의 메쉬플레이트와; 상기 메쉬플레이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들장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goose heating device 10 having this feature includes: a base providing a horizontal support surface; A heating structure which is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includes a frame open at an upper side with a hooker on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inner side of the frame and having vents; A chimney positioned opposite to the archery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heating structure and extending upward; A mesh plate of a mesh type covering the heating structur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eating structure; It has a basic structure of the saddle field stacked on top of the mesh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열구조체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열구조체의 작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굴뚝의 하단부를 나타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의 측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heat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eparately showing the heating structure shown in FIG. In addition, Figure 3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structur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end of the chimney shown in FIG. In addi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oos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 난방 장치(10)는, 베이스(11), 가열구조체(20), 굴뚝(40), 메쉬플레이트(31), 구들장(33), 모르타르층(35), 모래층(37), 마루부재(39)를 갖는다.As shown, the he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11, the heating structure 20, the chimney 40, the mesh plate 31, the saddle field 33, the mortar layer 35 And a sand layer 37 and a floor member 39.

먼저, 상기 베이스(11)는 건축물의 기초면으로서 수평의 지지면(11a)을 제공한다. 베이스(11)는 건물을 올릴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기초면이다.First, the base 11 provides a horizontal support surface 11a as a foundation surface of a building. The base 11 is a concrete foundation surface placed on the ground to raise the building.

상기 가열구조체(20)는,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21), 프레임(21)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격판(23), 프레임(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아궁이(25)를 구비한다. The heating structure 20 includes a frame 21 taking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a plurality of diaphragms 23 disposed inside the frame 21, and a suburb 25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21. .

프레임(21)은 일정 두께를 갖는 띠형 강철판을 폭방향으로 세운 후 양단부를 연결하여 사각형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서 내향면에 다수의 끼움홈(21a)을 갖는다. 끼움홈(21a)은 일정폭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격판(23)의 양단부를 수용 지지한다. 프레임(21)의 하단부는 베이스(11)의 지지면(11a)에 대해 밀폐를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21)의 하단부와 지지면(11a) 사이의 빈틈에 점토나 흙 등을 채워 넣을 수 있다.The frame 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y connecting both ends and then erecting a strip-shaped steel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s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21a on the inward surface thereof. The fitting groove 21a is a groov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to accommodate and support both ends of the diaphragm 23. The lower end of the frame 21 should be sealed against the support surface 11a of the base 11. To this end, clay or dirt may be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rame 21 and the support surface 11a.

또한 프레임(2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θ) 만큼 경사져 있다. 말하자면, 아궁이(25)로부터 아궁이(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2도 내지 3도 정도 상향 경사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사를 줌으로서, 프레임(21)에 지지되는 메쉬플레이트(31)와 구들장(33)을 경사지게 유지할 수 있다. 경사를 주는 이유는 당연히 연기를 원활히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rame 21 is inclined by an angle θ as shown in FIG. 5. In other words, it is inclined upward by 2 degrees to 3 degre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archery 25. By tilting in this way, the mesh plate 31 and the saddle field 33 supported by the frame 21 can be kept inclined. The reason for the slope is, of course, to ensure a smooth discharge of smoke.

경우에 따라 상기 프레임(21)의 둘레를 세라믹 단열제로 마감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circumference of the frame 21 may be finished with ceramic insulation.

아궁이(25)는, 프레임(21)에 공급하기 위한 열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육면체 형태의 케이싱(25a)과 다수의 배열구(25c)를 갖는다. 배열구(25c)는 케이싱 내부의 연소공간(25b)에서 발생한 열을 주변으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아궁이(25)는 그 일부가 프레임(21)의 외측으로 나와 있다. The hooker 25 generates heat for supplying the frame 21, and has a cube-shaped casing 25a and a plurality of arranging holes 25c. The arrangement port 25c is a passage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space 25b inside the casing to the periphery. Part of the bulb 25 is out of the frame 21.

상기 격판(23)은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강철판으로서 그 양단부가 상기 끼움홈(21a)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면(11a)에 지지된다. 각 격판(23)의 높이는 상이하다. 말하자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궁이(25) 측에 위치한 격판의 높이가 가장 낮고 아궁이(25)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아진다. 이와 같이 높이차를 둔 것은 메쉬플레이트(31)와 구들장(33)에 경사를 주기 위한 것이다.Like the frame, the diaphragm 23 is a stee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nd is supported on the supporting surface 11a with both ends thereof fitted in the fitting grooves 21a. The height of each diaphragm 23 is different.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 the height of the diaphragm located on the side of the arching 25 is lowest and graduall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arching 25 is increased. The difference in height is to incline the mesh plate 31 and the saddle field 33.

특히 격판(23)은 아궁이(25)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격판(23) 상호간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격판(23)은 구들장(33)을 지지하는 고래둑의 역할을 한다. 당연히 격판(23)과 격판(23) 사이이 공간은 열기와 연기가 통과하는 고래이다.In particular, the diaphragm 23 i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rching (25). The spacing between the diaphragms 23 may vary as needed. The diaphragm 23 serves as a whale bank supporting the saddle field 33. Naturally, the space between the diaphragm 23 and the diaphragm 23 is a whale through which heat and smoke pass.

또한 각 격판(23)에는 아궁이(25)에서 발생한 열기와 연기를 통과시키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다. 통풍구에는 메인통로(23a)와 가속통로(23b)가 포함된다. 아궁이(25)에서 발생한 열기와 연기는 메인통로(23a)와 가속통로(23b) 통과하여 굴뚝(40)으로 유도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diaphragm 23 is formed with a vent for passing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from the arching (25). The vent includes the main passage 23a and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in the arching 25 are passed through the main passage 23a and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and are led to the chimney 40.

상기 가속통로(23b)는 각 격판(23)의 상단 양측부에 형성된 사각 구멍으로서, 열과 연기를 도 3의 화살표 s방향으로 유도한다. 상기 가속통로(23b)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일직선을 이루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1)의 내측벽과 근접한다.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is a square hol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diaphragms 23 to induce heat and smoke in the direction of arrow s of FIG. 3. The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forms a straight line and is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frame 21 as shown in FIG. 3.

상기 각 가속통로(23b)를 연결하는 경로는 아궁이(25)와 굴뚝(40)을 연결하는 가장 짧은 최단코스이다. 가속통로(23b)를 통과하는 연기의 유량은 전체 연기 유량의 10% 미만이다.The path connecting each of the acceleration passages 23b is the shortest shortest course connecting the archery 25 and the chimney 40. The flow rate of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is less than 10% of the total smoke flow rate.

이와 같이 가속통로(23b)를 적용한 이유는, 최소한의 연기를 굴뚝(40)을 통해 보다 빨리 배기시킴으로써 연기의 역류를 방지함과 아울러 가열구조체(20) 내부의 열을 퍼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is applied in this way is to exhaust the minimum amount of smoke through the chimney 40 more quickly to prevent backflow of the smoke and to improve the spreadability of heat inside the heating structure 20.

고래가 종방향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가속통로가 필요 없을 것이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고래, 즉, 격판(23)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더욱이 격판(23)의 양단부가 프레임(21)에 밀폐되어 있는 경우는, 연기와 열기가 격판(23) 사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가속통로(23b)를 적용하여 역류를 방지하고 열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wha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cceleration passage will not be necessary, bu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hale, that is, the diaphragm 23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furthermore, both ends of the diaphragm 23 are sealed to the frame 21. In this case, since the smoke and heat stay between the diaphragms 23 for a long time,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is applied to prevent backflow and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메인통로(23a)는, 아궁이(25)와 굴뚝(40) 사이에 곡선유로를 제공하는 통로이다. 즉, 아궁이(25)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연기는, 각 격판(23)의 메인통로(23a)를 차례로 통과하며 굴뚝(40)을 향한다. 메인통로(23a)는 격판마다 그 위치가 상이하다. 말하자면, 두 장의 격판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일측 격판의 메인구멍은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고, 나머지 격판의 메인구멍은 가속통로(23b)의 측부에 근접 배치되는 것이다.The main passage 23a is a passage providing a curved passage between the arch 25 and the chimney 40. In other words,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from the arch 25 passes through the main passage 23a of each of the diaphragms 23 one after another, toward the chimney 40. The main passage 23a has a different position for each diaphragm. In other words, two partitions constitute one set, the main hole of one of the partitions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the main hole of the remaining partitions is disposed close to the side of the acceleration passage 23b.

따라서 연기와 열기는, 격판(2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통로(23a)를 통과한 후 두 갈래로 갈라져 격판의 양단부측으로 이동한 후 다른 메인구멍을 통과하고, 그 후 하나로 합쳐져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통로를 통과한다. 연기와 열기가 분류 및 합류를 반복하며 고래(24)를 차례로 통과하는 것이다. Therefore, smoke and heat pass through the main passage 23a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aphragm 23, split into two parts, move to both ends of the diaphragm, and then pass through other main holes, and then merge into one to form a central portion. Pass through the main passage. Smoke and heat repeat the sorting and confluence, passing through the whale 24 in turn.

상기 격판(23)의 양면에도 세라믹 단열재를 부착 구성할 수 있다.A ceramic insulating material may be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diaphragm 23.

한편, 상기 굴뚝(40)은, 프레임(21)의 귀퉁이부에 두 개가 설치된다. 굴뚝(40)은 그 하단부가 베이스(11)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굴뚝(40)은, 사각덕트의 형태를 취하는 굴뚝본체(41)와 굴뚝본체(41)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커버(43)를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wo chimneys 40 are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frame 21. The chimney 4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its lower end supported by the base 11. The chimney 40 includes a chimney body 41 and a cover 43 partially surrounding the chimney body 41 in the form of a square duct.

상기 굴뚝본체(41)의 하단부에는 흡기구(41c)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41c)는 고래(24)를 통과한 연기를 받아 굴뚝본체(41) 내부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도면부호 41d는 철망이다. An inlet port 41c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himney body 41. The intake port 41c is a passage that guides the smoke passing through the whale 24 into the chimney body 41. Reference numeral 41d is a wire mesh.

아울러 굴뚝본체(41)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배연구(41a)가 형성되어 있다. 배연구(41a)는 연기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구멍이다. 도면부호 41b는 풍향유도판이다. 풍향유도판(41b)은 굴뚝의 상부를 지나는 공기에 상향류의 흐름을 유도하여 배기효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굴뚝(40)에 있어서 배연구(41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실외에 노출됨은 당연하다.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chimney body 41, a plurality of ship research 41a is formed. The ship study 41a is a hole for releasing smoke into the atmosphere. Reference numeral 41b denotes a wind direction guide plate. Wind direction guide plate (41b) serves to increase the exhaust efficiency by inducing the flow of upstream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op of the chimney. Naturally, a portion of the chimney 40 in which the ship study 41a is formed is exposed to the outdoors.

특히 상기 굴뚝(40)은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거주공간(15)을 통과한다. 즉 굴뚝(40)의 일부가 거주공간(15)내에 위치하는 것이다. 거주공간(15)은 마루부재(39)와 벽체(13)에 의해 구획된 실내 공간이다.In particular, the chimney 40 extends vertically, a part of which passes through the living space 15. That is, a part of the chimney 40 is located in the living space 15. The living space 15 is an indoor space partitioned by the floor member 39 and the wall 13.

이와 같이 굴뚝(40)의 일부를 거주공간(15) 내부로 들인 이유는, 겨울철에 굴뚝(40)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굴뚝을 통해 찬공기가 내려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굴뚝(40)의 내부 온도가 적어도 외부의 공기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기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는 것이다.The reason why the chimney 40 is part of the living space 15 is to prevent the cooling of the cold air down through the chimney by preventing the chimney 40 from cooling in winter. That is, by keep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imney 40 at least higher than the outside air to induce a smooth discharge of the smoke.

상기 커버(43)는 굴뚝(40)의 거주공간에 노출된 부분을 감싸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커버(43)는 적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The cover 43 serves to wrap and insulate a portion exposed to the living space of the chimney 40. If necessary, the cover 43 may not be applied.

한편, 상기 메쉬플레이트(31)는 그물망 형태의 부재로서, 프레임(21) 및 격판(23)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구들장(33)을 지지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메쉬플레이트(31)는 아궁이(25)에서 굴뚝(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져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esh plate 31 is a member in the form of a net, and supports the saddle field 33 in a stat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21 and the diaphragm 23. As mentioned above, the mesh plate 31 is inclined upwar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himney 40 from the arching 25.

구들장(33)은 일정 사이즈를 갖는 사각판형 부재로서 다수개가 상호 밀착되어 하나의 층을 이룬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구들장(33)이 메쉬플레이트(31)에 지지되므로, 구들장(33)의 저면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θ 만큼 경사져 있다. 이러한 경사는 열과 연기의 원활한 유동을 감안한 설계 사항이다.The saddle field 33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 plurality of them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lay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saddle field 33 is supported by the mesh plate 31, the bottom surface of the saddle field 33 is inclined by an angle θ as shown in FIG. 5. These slopes are designed to allow for a smooth flow of heat and smoke.

상기 구들장(33)의 상부에는 모르타르층(35)이 적층된다. 모르타르층(35)은 무수축 고강도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평평하게 펴 바른 것으로서, 그 상면은 수평의 바닥면(35a)이고 저면은 경사면(35b)이다. 바닥면(35a)은 지면에 대해 수평한 수평면이다. 또한 경사면(35b)은 구들장(33)층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각도(θ)를 갖는 면이다. The mortar layer 35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saddle field 33. The mortar layer 35 is formed by pouring non-shrink high strength mortar and spreading it flat. The top surface is a horizontal bottom surface 35a and the bottom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35b. The bottom surface 35a is a horizontal plane horizontal to the ground. Incidentally, the inclined surface 35b is a surface having the same angle θ as that of the inclined field 33 layer.

아울러, 모르타르층(35)은 상호 연접하는 구들장(33)을 잡아 고정하는 홀더의 역할을 겸한다. 즉, 측방향으로 밀착하고 있는 구들장(33)의 간격을 견고히 유지하여 구들장의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rtar layer 35 serves as a hold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saddle field 33 to be mutually connected. In other words, by maintai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addle field 33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m.

상기 모르타르층(35)의 상측부에는 모래층(37)이 위치한다. 모래층은 맥반석모래로 이루어진 층이다. 모래층(37)의 두께는 6cm 내지 8cm 일 수 있다. 모래층(37)은 구들장(33)과 모르타르층(35)을 통해 상부로 올라온 열을 축열 보존하며 거주공간(15)으로 서서히 지속적으로 방열하는 역할을 한다. 모래층(37)의 내부에는 무수한 공극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축열 능력이 뛰어나다. 필요에 따라 모래층(37)의 적층시 적절한 접착성분을 추가할 수 있다.The sand layer 37 is positioned above the mortar layer 35. The sand layer is composed of elvan sand. The sand layer 37 may have a thickness of 6 cm to 8 cm. The sand layer 37 heat-preserves heat that has risen upwards through the saddle field 33 and the mortar layer 35 and gradually serves to continuously radiate heat into the living space 15. Since the inside of the sand layer 37 contains numerous voids, the heat storage capability is excellent. If necessary, an appropriate adhesive component may be added when the sand layer 37 is laminated.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는 마루부재(39)가 깔린다. 마루부재(39)는 가령 아파트의 거실에 시공되는 순수 원목마루로서, 상호 연접된 상태로 거주공간(15)의 바닥면을 제공한다. 여건에 따라 강화마루를 적용할 수도 있다.The floor member 39 is laid on the sand layer. The floor member 39 is, for example, a solid wood floor that is constructed in a living room of an apartment, and provides a bottom surface of the living space 15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reinforced floors may be appli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for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10:구들 난방 장치 11:베이스 11a:지지면
13:벽체 15:거주공간 20:가열구조체
21:프레임 21a:끼움홈 23:격판
23a:메인통로 23b:가속통로 24:고래
25:아궁이 25a:케이싱 25b:연소공간
25c:배열구 31:메쉬플레이트 33:구들장
35:모르타르층 35a:바닥면 35b:경사면
37:모래층 39:마루부재 40:굴뚝
41:굴뚝본체 41a:배연구 41b:풍향유도판
41c:흡기구 41d:철망 43:커버
10: heating device 11: base 11a: ground
13: wall 15: residence space 20: heating structure
21: frame 21a: fitting groove 23: plate
23a: Main passage 23b: Accelerated passage 24: Whale
25: goose 25a: casing 25b: combustion space
25c: arrangement sphere 31: mesh plate 33: ball field
35: mortar layer 35a: bottom surface 35b: inclined surface
37: sand layer 39: floor member 40: chimney
41: chimney body 41a: pear research 41b: wind direction guide plate
41c: Intake vent 41d: Wire mesh 43: Cover

Claims (11)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에 아궁이를 가지고 상부로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통풍구를 구비한 다수의 격판이 포함된 가열구조체와;
상기 아궁이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그 하단부가 가열구조체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된 굴뚝과;
상기 가열구조체에 지지된 상태로 가열구조체를 커버하는 그물망 형태의 메쉬플레이트와;
상기 메쉬플레이트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들장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격판은 아궁이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프레임에 밀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의 지지면에 대한 각 격판의 높이는, 아궁이로부터 굴뚝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져, 상기 메쉬플레이트가 굴뚝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판의 통풍구는,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기와 연기를 통과시켜 굴뚝으로 유도하는 구멍으로서,
격판의 양단부측에 형성되며 아궁이에서 굴뚝을 향하는 직선유로를 형성하는 가속통로와,
상기 가속통로 사이에 위치하며 아궁이로부터 굴뚝을 향하는 곡선유로를 제공하는 메인통로를 포함하는 구들 난방 장치.
A base providing a horizontal support surface;
A heating structure located on an upper side of the base, the frame including a frame open at one side of the base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disposed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frame and provided with vents;
A chimney positioned opposite to the archery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heating structure and extending upward;
A mesh plate of a mesh type covering the heating structur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heating structure;
It includes a saddle field stacked on top of the mesh plate,
The frame takes the form of a square frame,
The diaphragm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lative to the base of the bushing and both ends thereof are hermetically fixed to the frame,
The height of each of the diaphragm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rface of the base is increased from the arch to the chimney direction, so that the mesh plate is inclined upward in the chimney direction,
The vent of the diaphragm is a hole that leads to the chimney through the heat and smoke generated in the firewood,
An acceleration passag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and forming a straight flow path from the arch to the chimney;
And a main passage located between the acceleration passages and providing a curved flow path from the arch to the chimne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상호 이웃하는 두 장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일측 격판의 메인구멍은 격판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하고,
타측 격판의 메인구멍은 상기 가속통로의 측부에 형성된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phragm is a set of two neighboring sheets,
The main hole of one diaphragm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end of the diaphragm,
And a main hole of the other diaphragm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acceleration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강철판으로 제작되며 그 내주면에는 수직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격판의 양단부가 상기 끼움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져 고정된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made of steel shee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vertical fitting groove is formed,
Both ends of each of the diaphragm heating device is fitted and detachably fixed to the fit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들장의 상부에, 상기 구들장을 커버하며 수평의 바닥면을 제공하는 모르타르층이 적층된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mortar layer on the top of the field, covering a layer of mortar and providing a horizontal bottom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층의 상부에 모래층이 더 적층된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ll heating device in which a sand layer is further stacked on top of the mortar lay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원목으로 제작된 마루부재가 적층 구성된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Gould heating device comprising a floor member made of solid wood stacked on top of the sand lay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의 하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측영역에 수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마루부재 상부의 거주공간을 통과하는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chimney extending vertically while being accommodated in an inner region of the frame, passing through the living space above the floor memb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굴뚝의 거주공간에 노출된 부분에, 굴뚝의 보온을 위한 커버가 랩핑되어 있는 구들 난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Gould heating device that is covered with a cover for the insulation of the chimney portion exposed to the living space of the chimney.
KR1020180086748A 2018-07-25 2018-07-25 Floor heating device KR102086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48A KR102086121B1 (en) 2018-07-25 2018-07-25 Floor h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748A KR102086121B1 (en) 2018-07-25 2018-07-25 Floor he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808A KR20200011808A (en) 2020-02-04
KR102086121B1 true KR102086121B1 (en) 2020-03-06

Family

ID=6957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48A KR102086121B1 (en) 2018-07-25 2018-07-25 Floor he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12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173Y1 (en) * 2004-11-26 2005-03-29 김용주 sauna parlor which is made by yellow soil
KR101492610B1 (en) * 2012-12-07 2015-02-11 민경주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house possible for moving
KR101498433B1 (en) 2014-11-24 2015-03-03 신규홍 Moving houses Heating is bulttae
KR101775465B1 (en) * 2016-06-27 2017-09-19 안병연 A Goodeu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93Y1 (en) 2008-05-07 2008-12-05 김종욱 Movable type yellow soil room and movable building therewith
KR101765221B1 (en) 2016-10-24 2017-08-04 (주)계림건축사사무소 Hypocaust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173Y1 (en) * 2004-11-26 2005-03-29 김용주 sauna parlor which is made by yellow soil
KR101492610B1 (en) * 2012-12-07 2015-02-11 민경주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house possible for moving
KR101498433B1 (en) 2014-11-24 2015-03-03 신규홍 Moving houses Heating is bulttae
KR101775465B1 (en) * 2016-06-27 2017-09-19 안병연 A Goodeu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808A (en) 202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693Y1 (en) Movable type yellow soil room and movable building therewith
KR101481086B1 (en) korean hypocaust improving efficiency of heating
RU145321U1 (en) CHIMNEY
RU174725U1 (en) FURNACE FOR FURNACE OR FIREPLACE
JP6217804B1 (en) Ondol structure
KR102086121B1 (en) Floor heating device
KR20060085129A (en) Portable Wellness House
KR101765221B1 (en) Hypocaust system
KR101696802B1 (en) korean hypocaust for heating system
CN211041109U (en) Floor radiation layer group of 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492610B1 (en)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house possible for moving
KR101754641B1 (en) Join Moving House having double heating system
KR101998710B1 (en) Goodeul Assembly
KR101530596B1 (en) Korean floor heating device
KR20130123127A (en) Floor construct device for preventing noise
JP4012870B2 (en) Underfloor heat storage structure
US6543440B2 (en) Fireplace assembly
KR101448226B1 (en) Double-floor heating structure using a floor-heating
KR101348697B1 (en) Structure of smoke-exhaust channel for ondol hot floor
KR101369505B1 (en) Assembled heating panel for hot water boiler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52717A (en) Transportable Korean Floor
RU157323U1 (en) LOW BUILDING
KR20160004071U (en) Prefabricated heating panel structure for hot water boilers
KR200362128Y1 (en) Heating panel for fabrication
KR20150146002A (en) Hot-water heating systems utilizing rocket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