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633B1 -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633B1
KR102085633B1 KR1020190104175A KR20190104175A KR102085633B1 KR 102085633 B1 KR102085633 B1 KR 102085633B1 KR 1020190104175 A KR1020190104175 A KR 1020190104175A KR 20190104175 A KR20190104175 A KR 20190104175A KR 102085633 B1 KR102085633 B1 KR 10208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electronic device
line
touch inpu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114A (ko
Inventor
강태호
Original Assignee
강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호 filed Critical 강태호
Priority to KR1020190104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6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는,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와, 상기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출력 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METHOD OF CONTROLLING OUTPUT OF ELECTRONIC DEVICE USING TOUCH TECHNOLOGY}
본 발명은 터치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직관적인 터치 입력을 통해서 전자기기의 출력(output)을 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전자기기들, 예를 들어 TV, 스마트폰, 스마트 밴드, 에어컨, 냉장고, 선풍기, 히터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전자기기들의 출력, 예를 들어 TV의 채널변경, 스마트폰의 음량, 냉장고의 냉장온도, 선풍기의 바람 세기, 이외에도 TV, 스마트폰, 냉장고, 선풍기 등의 전원 온(On)/오프(Off) 등을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전자기기들마다 상이한 각각의 조정방법을 습득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을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6077호(등록일: 2007년 02월 15일)가 있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터치 입력을 통해서 전자기기의 출력(Output)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은,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와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형은 라인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라인의 시점에서 터치된 포인트 또는 상기 라인의 끝점에 터치된 포인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라인의 시점에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라인의 끝점에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형은 라인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라인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와 상기 라인의 시점의 왼쪽 영역 또는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라인과 상기 라인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와 상기 라인의 시점의 왼쪽 영역 또는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기기의 2개의 출력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형은 서로 교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인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교차되는 둘 이상의 라인에 의해서 형성되는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교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인에 의해 구분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형은 다각형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되는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형은 다각형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되는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입력되는 라인이거나 또는 상기 다각형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따라 또는 상기 다각형과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따라,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뿐만 아니라,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연관 속성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자체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 전에,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미리 알려주는 전조(predict) 정보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전조 정보의 입력이 감지된 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터치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터치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 출력 조정 방법은, 터치 입력부에서 라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상기 라인 상에서, 또는 상기 라인 이외의 영역에서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은, 터치 입력부에서 다각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 정보를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 출력 조정 방법은, 터치 입력부에서 다각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 정보를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 출력 조정 방법은, 터치 입력부에서 라인들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라인들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라인들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관적인 터치 입력을 통해서 전자기기의 출력(Output)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라인과 포인트 간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라인과 드래그 라인 간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라인과 포인트 간에 상대적 위상관계가 같은 3가지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1)는 전자기기(10), 예를 들어 TV와 별도의 전자장치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기기(10)의 내부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출력 조정 장치(1)가 전자기기(10)와 별도의 전자장치로 구현되는 실시예로,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밴드, 스마트폰,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노트북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에서 전자기기(10)의 실시예로, TV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 조정 장치(1)와 통신이 가능하며 출력 조정 장치(1)로부터 전송되는 조정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장치(10)는 TV 이외에도 냉장고, 히터, 선풍기, 에어컨, MP3 플레이어 또는 조명등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조정 장치(1)로부터 수신된 조정 정보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출력이 조정되는데, 이러한 전자기기(10)의 출력은 전자기기(1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가 TV인 경우, 전자기기(10)의 출력은 음량 및 채널변경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10)가 에어컨인 경우, 전자기기(10)의 출력은 에어컨의 냉방 세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10)가 선풍기인 경우, 전자기기(10)의 출력은 선풍기의 바람 세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10)가 조명등인 경우, 전자기기(10)의 출력은 조명등의 조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조정 장치(1)는 터치 입력되는 라인과 포인트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 또는 라인과 다른 라인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조정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조정 장치(1)는 터치 입력부(2)와 출력 조정부(3)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부(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 터치 입력부(2)는 터치패드(touch pad), 터치 패널(touch panel) 또는 모니터 화면에 터치 패널을 덧붙여서 제작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외에 터치 입력부(2)는 모니터 화면과 같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전자장치의 하우징(housing) 외부면, 예를 들어 버튼(button)이 형성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하우징에 터치 패널을 덧붙여서 제작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부(2)는 터치 패널이 부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터치 패널을 덧붙여서 제작될 수 있다.
출력 조정부(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한다.
출력 조정 장치(1)에서 터치 입력부(2)와 출력 조정부(3)는 분리되어 실시 또는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로, 터치 입력부(2)는 스마트 밴드에 구현되고, 출력 조정부(3)는 스마트폰에 구현되어 원격으로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밴드에 구현된 터치 입력부(2)를 통해서 입력된 터치 정보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면, 스마트폰에 구현된 출력 조정부(3)가 이를 해석해서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자기기(10)가 TV인 경우를 예로 들어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가 발생되어 TV의 출력이 조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며, 전자기기(10)가 TV인 경우 발생 되는 조정정보에는 음량 조절 및 채널 변경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대한 예시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도형은 점(point) 또는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된 모양(shape)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양(shape)에는 선(line), 원(circle),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polygon) 등이 있다.
도 2는 라인과 포인트 간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라인(20)이 드로잉(drawing) 방향으로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왼쪽에 1개의 포인트(31)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되거나 또는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오른쪽에 1개의 포인트(32)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렇게 라인(20)이 입력된 후 라인(20)의 드로잉 방향 왼쪽에 1개의 포인트(31)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1단계 증가시키는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음량 증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라인(20)이 입력된 후 라인(20)의 드로잉 방향 오른쪽에 1개의 포인트(32)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1단계 감소시키는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음량 감소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b)는 라인(20)이 드로잉 방향으로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의 동일 위치에서 2개의 포인트(33, 34)가 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렇게 라인(20)이 입력된 후 라인(20)의 시점로부터 일정 거리 내 라인(20) 상의 동일 위치에 2개의 포인트(33, 34)가 입력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2단계 감소시키는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음량 감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라인(20)의 끝점로부터 일정 거리 내 라인(20) 상의 동일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입력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 증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c)는 라인(20)이 드로잉 방향으로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의 다른 위치에 4개의 포인트(35, 36, 37, 38, 39)가 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2의 (d)는 라인(20)이 드로잉 방향으로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의 다른 위치에 2개의 포인트(39, 40)가 터치 입력되고,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왼쪽에 2개의 포인트(41, 42)가 터치 입력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2의 (e)는 라인(20)이 드로잉 방향으로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왼쪽에 1개의 포인트(43)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되거나 또는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오른쪽에 1개의 포인트(44)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되고, 이후에 라인(20)의 시점를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5, 46, 47)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되거나 또는 라인(20)의 끝점 포인트를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8, 49, 50)가 터치 포인트 입력된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도 2의 (e)는 라인(20)이 드로잉 방향으로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의 시점를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5, 46, 47)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되거나 또는 라인(20)의 끝점를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8, 49, 50)가 터치 포인트 입력되고,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왼쪽에 1개의 포인트(43)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되거나 또는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오른쪽에 1개의 포인트(44)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경우를 예시할 수 있다.
즉 도 2의 (e)는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터치될 수 있고, 라인(20)의 시점의 왼쪽 영역 또는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전자기기(10)의 2개의 출력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의 음량 및 채널을 조정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로,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라인(20)의 시점의 왼쪽 영역 또는 라인(20)의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채널 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자기기(10)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의 (e)에서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1개의 포인트(31)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1단계 증가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에 1개의 포인트(32)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1단계 감소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e)에서 라인(20)의 시점의 왼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5, 46, 47)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3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20)의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8, 49, 50)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3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채널 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전자기기(10)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20)의 시점의 왼쪽 영역 또는 라인(20)의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의 (e)에서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에 1개의 포인트(31)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1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에 1개의 포인트(32)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1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e)에서 라인(20)의 시점의 왼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5, 46, 47)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3단계 감소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인(20)의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3개의 포인트(48, 49, 50)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3단계 증가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2의 (f)는 라인(20) 및 라인(20)의 시점에 터치된 포인트(51) 또는 라인(20)의 끝점에 터치된 포인트(52)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다.
이렇게 라인(20)이 입력된 후 라인(20)의 시점에 포인트(51)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전원을 온(On) 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라인(20)의 끝점에 포인트(52)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전원을 오프(Off) 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전원을 오프(Off) 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라인(20)의 시점에 포인트(51)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의 (10)의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라인(20)의 끝점에 포인트(52)가 터치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라인과 드래그 라인 사이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라인(20)이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에서 드래그 되는 드래그 라인(dragged line)(7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드래그 라인(70)은 라인(20)과의 관계에서 라인(20) 상에 위치하는 상대적 위상관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라인(20)이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에 라인(20)의 드로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드래그 라인(70)이 드래그 되는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응되게 라인(20)이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에 라인(20)의 드로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드래그 라인(70)이 드래그 되는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라인(20)이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에 라인(20)의 드로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드래그 라인(70)이 드래그 되는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응되게 라인(20)이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된 후 라인(20) 상에 라인(20)의 드로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드래그 라인(70)이 드래그 되는 경우,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드래그 라인(70)은 라인(20) 상에서 드래그 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드래그 라인(70)은 라인(20)과 교차하도록 드래그 될 수도 있다. 즉 드래그 라인(70)은 라인(70)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교차하거나 또는 라인(70)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한 채 드래그될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드래그 라인(70)은 라인(70) 상이 아닌 터치 입력부(2)의 영역에서도 드래그될 수도 있다.
이러한 드래그 라인(70)은 터치 입력부(2)에 터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그어지는 라인을 의미한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제1 도형이 사각형이고, 제2 도형이 포인트인 경우에 대한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4의 (a)는 사각형의 상하좌우 영역에 터치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출력 조정부(3)는 사각형의 상하좌우 영역에 터치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음량 및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각형의 상단 영역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사각형의 상단 영역에는 포인트(101)가 1개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1단계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하단 영역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사각형의 하단 영역에는 2개의 포인트(102, 103)가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3단계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좌측 영역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사각형의 좌측 영역에는 3개의 포인트(104, 105, 106)가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3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우측 영역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사각형의 우측 영역에는 1개의 포인트(107)가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1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제1 도형이 사각형이고, 제2 도형이 적어도 하나의 라인인 경우, 제1 도형과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4의 (b)는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사각형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드로잉 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출력 조정부(3)는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사각형의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로잉 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음량 및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라인(120)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드로잉 되는 라인(120)의 길이만큼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라인(121)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드로잉 되는 라인(121)의 길이만큼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라인(130)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드로잉 되는 라인(130)의 길이만큼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왼쪽으로 라인(131)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드로잉 되는 라인(131)의 길이만큼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제1 도형이 사각형이고, 제2 도형이 적어도 하나의 라인인 경우, 제1 도형과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즉, 도 4의 (c)는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사각형의 외부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이 드로잉 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출력 조정부(3)는 사각형의 외부 상하좌우 영역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로잉 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음량 및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각형의 외부 상단 영역에서 상방으로 라인(122)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드로잉 되는 라인(122)의 길이만큼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외부 하단 영역에서 하방으로 라인(123)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드로잉 되는 라인(123)의 길이만큼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외부 오른쪽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라인(132)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드로잉 되는 라인(132)의 길이만큼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사각형의 외부 왼쪽 영역에서 왼쪽으로 라인(133)이 드로잉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드로잉 되는 라인(133)의 길이만큼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4의 (d)는 제1 도형이 라인이고, 제2 도형이 포인트인 경우, 2개의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사이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즉, 2개의 라인에 의해서 'X'자 형상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X'자 각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출력 조정부(3)는 2개의 라인에 의해 형성된 'X'자의 4개의 영역(180, 181, 182, 183)에 터치 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음량 및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X'자에 의해 형성된 영역(180)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X'자에 의해 형성된 영역(180)에는 포인트(160)가 1개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1단계 증가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X'자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181)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X'자에 의해 형성된 영역(181)에는 2개의 포인트(161, 162)가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음량을 설정된 음량만큼 2단계 감소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X'자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182)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X'자에 의해 형성된 영역(182)에는 1개의 포인트(170)가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1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X'자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183)에 포인트가 터치 되면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X'자에 의해 형성된 영역(183)에는 3개의 포인트(171, 172, 173)가 터치 되었으므로,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채널을 채널번호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3번 변경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출력 조정부(3)는, 터치 입력부(2)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부(2) 상의 3개의 영역(a, b, c)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게 라인(20)과 포인트(31) 또는 포인트(32)가 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포인트(31)는 라인(20)에 대해서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왼쪽 영역에 위치하며, 포인트(32)는 라인(20)에 대해서 라인(20)의 드로잉 방향의 오른쪽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터치 입력부(2) 상의 3개의 영역(80, 81, 82)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라인(20)과 포인트(31) 또는 포인트(32)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기 때문에,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동일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출력 조정부(3)는,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뿐만 아니라,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연관 속성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자체속성을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1 도형이 라인이고 제2 도형이 포인트인 경우의 연관속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의 (a)에서 라인(20)과 포인트(31) 간의 연관속성은 라인(20)과 포인트(31) 사이의 거리(L2) 및 라인(20)의 길이(L1)의 비율(L2/L1)일 수 있다.
도 2의 (b)는 라인(20)과 라인(20) 상의 동일 위치에 터치된 2개의 포인트(33, 34) 간의 연관속성은, 라인(20)의 시점 및 동일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L3) 또는 라인(20)의 끝점 및 동일 위치 사이의 이격거리(L4)와, 라인(20)의 길이(L1)의 비율(L3/L1 또는 L4/L1)일 수 있다.
도 2의 (c)는 라인(20)과 라인(20) 상의 다른 위치에 터치된 4개의 포인트(35, 36, 37, 38) 간의 연관속성은, 라인(20)의 시점 및 4개의 포인트(35, 36, 37, 38)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예를 들어, 라인(20)의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포인트(35)) 사이의 이격 거리(L5)와, 라인(20)의 길이(L1)의 비율(L5/L1)일 수 있다.
이때, 상기 4개의 포인트(35, 36, 37, 38)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로 라인(20)의 시점에서 가장 가까운 포인트(35)를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제2 도형의 자체속성은, 제2 도형이 포인트인 경우, 포인트의 터치 지속시간 또는 터치 면적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도형 및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관계 및 제2 도형의 자체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서, 도 2의 (f)에서 라인(20)의 시점에 포인트(51)가 터치 되거나(이는 라인(20)과 포인트(51)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고려하는 경우임) 또는 라인(20)의 시점에 포인트(51)가 일정시간 이상 터치된 경우(이는 라인(20)과 포인트(51)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뿐만 아니라 포인트(51)의 자체속성까지 고려하는 경우임),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전원을 켜거나, 화면을 켜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상응되게, 도 2의 (f)에서 라인(20)의 끝점에 포인트(52)가 터치 되거나(이는 라인(20)과 포인트(52)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고려하는 경우임) 또는 라인(20)의 끝점에 포인트(52)가 일정시간 이상 터치된 경우(이는 라인(20)과 포인트(52)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뿐만 아니라 포인트(52)의 자체속성까지 고려하는 경우임),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전원을 끄거나, 화면을 끄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의 반대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도 2의 (f)에서 라인(20)의 시점에 포인트(51)가 터치 되거나(이는 라인(20)과 포인트(51)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고려하는 경우임) 또는 라인(20)의 시점에 포인트(51)가 일정시간 이상 터치된 경우(이는 라인(20)과 포인트(51)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뿐만 아니라 포인트(51)의 자체속성까지 고려하는 경우임),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전원을 끄거나, 화면을 끄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잠금을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상응되게, 도 2의 (f)에서 라인(20)의 끝점에 포인트(52)가 터치 되거나(이는 라인(20)과 포인트(52)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를 고려하는 경우임) 또는 라인(20)의 끝점에 포인트(52)가 일정시간 이상 터치된 경우(이는 라인(20)과 포인트(52) 간의 상대적 위상관계뿐만 아니라 포인트(52)의 자체속성까지 고려하는 경우임), 출력 조정부(3)는 전자기기(10)의 전원을 켜거나, 화면을 켜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전자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제1 도형 및 제2 도형 중 터치 입력부(2)에 먼저 입력되는 도형은, 이후에 터치 입력될 도형과의 상대적 위상관계가 명확해지도록 터치 입력부(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도형 및 제2 도형 중 터치 입력부(2)에 먼저 입력되는 도형이 터치 입력부(2) 상에 표시되는 시간은, 이후에 나머지 도형이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도형 및 제2 도형 중 터치 입력부(2)에 먼저 입력되는 도형은, 이후에 나머지 도형이 터치 입력부(2) 상에 입력되는 도중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제1 도형이 라인이고 제2 도형이 포인트 또는 제1 도형인 라인 상에서, 라인과 교차하거나, 또는 라인 이외의 영역에서 드래그 되는 드래그 라인인 경우, 제1 도형이 입력된 후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이 아주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시, 도 1에서 터치 입력부(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미리 알려주는 전조(prediction)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 조정부(3)는 터치 입력부(2)에 전조 도형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이후에 터치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조 도형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이유는, 첫째 전자기기(10)의 안전한 실행을 위해서이다.
터치 입력부(2)의 터치 입력을 통해서 정보가 입력되다 보니, 사용자가 원치 않는 노이즈가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라인을 그리고 포인트를 찍는 명령어는 얼마든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아도 터치 입력부(2)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로 주머니속에 들어있는 스마트폰이 엉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거나 원하지 않은 전화가 걸리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와같이 제어에서 오입력은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X'자와 같은 복잡한 전조 도형의 입력을 받는 이유는 이와 같은 오입력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둘째로, 암호화를 위해서이다. 전조 도형을 먼저 입력받는 이유는 외부 사용자가 전자기기(10)를 실행하지 못하도록 암호패턴을 설정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에서 전조 도형을 입력받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입력부(2)에 탭(tap)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설정된 음성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전조 도형, 탭 또는 설정된 음성 등을 전조 정보로 통칭할 수 있다. 설정된 음성 등을 전조 정보로 입력받기 위해서는 터치 입력부(2)는 외부의 마이크에 연동되거나 또는 내부에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조 정보는 오입력을 방지하고 또는 암호화 기능을 위해서 입력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관적인 터치 입력을 통해서 손쉽게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1)의 블록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장치(1)에 의해서 수행되는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부(2)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한다(S1)
출력 조정부(3)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한다(S2).
이때, 출력 조정부(3)는, 상기 터치 입력부(2)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서, 출력 조정부(3)는,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뿐만 아니라,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연관 속성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자체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 전에, 상기 터치 입력부(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미리 알려주는 전조(predict)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S2)에서, 상기 출력 조정부(3)는, 상기 전조 도형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터치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부(2)에서 라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10).
상기 터치 입력부(2)에서 상기 라인 상에서, 상기 라인과 교차하거나, 또는 상기 라인 이외의 영역에서 드래그되는 드래그 라인(dragged line)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11).
출력 조정부(3)에서, 상기 라인 및 드래그 라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와 상기 드래그 라인의 길이 및 드래그 방향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실시간으로 조정한다(S12).
이때 출력 조정부(3)는, 상기 터치 입력부(2)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라인과 드래그된 라인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 및 상기 드래그 라인의 길이 및 드래그 방향이 같으면, 상기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은, 상기 라인 및 드래그 라인의 터치 입력 전에, 상기 터치 입력부(2)에서 상기 조정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라인 및 드래그 라인의 터치 입력을 미리 알려주는 전조(predict)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S12)에서, 상기 출력 조정부(3)는, 상기 전조 도형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상기 터치 입력부(2)에서 터치 입력된 상기 라인과 드래그된 라인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 및 상기 드래그 라인의 길이 및 드래그 방향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부(2)에서 라인(line)과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20).
출력 조정부(3)에서, 상기 라인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한다(S21).
이때, 출력 조정부(3)는, 상기 터치 입력부(2) 상에서 터치 위치와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출력 조정부(3)는,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뿐만 아니라,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른 상기 라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연관 속성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전부가 상기 라인 상의 동일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중 일부가 상기 라인 상의 동일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나머지가 상기 라인 상이 아닌 위치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관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상기 라인 상의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라인의 시점 및 상기 동일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상기 라인의 끝점 및 상기 동일 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와, 상기 라인의 길이 사이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연관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상기 라인 상의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라인의 시점 및 상기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 사이의 이격 거리 또는 상기 라인의 끝점 및 상기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 사이의 이격거리와, 상기 라인의 길이 사이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연관 속성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가 상기 라인 상이 아닌 상기 터치 입력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라인 상이 아닌 상기 터치 입력부의 영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 중 어느 하나의 포인트와 상기 라인 사이의 이격 거리와, 상기 라인의 길이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포인트의 자체 속성은, 상기 포인트의 터치 지속시간 또는 터치 면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은, 상기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 전에,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상기 조정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미리 알려주는 전조(predict)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10)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S21)에서 상기 출력 조정부(3)는, 상기 전조 도형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터치 입력된 상기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출력 조정 장치
2 : 터치 입력부
3 : 출력 조정부
10 : 전자기기

Claims (17)

  1. 삭제
  2.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와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제1 도형은 라인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라인의 시점에서 터치된 포인트 또는 상기 라인의 끝점에 터치된 포인트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라인의 시점에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거나 또는 볼륨이나 채널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라인의 끝점에 포인트가 터치된 경우 전자기기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 시키거나 또는 볼륨이나 채널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4.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와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제1 도형은 라인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라인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와 상기 라인의 시점의 왼쪽 영역 또는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를 포함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라인과 상기 라인의 드로잉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영역 또는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와 상기 라인의 시점의 왼쪽 영역 또는 끝점의 오른쪽 영역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기기의 2개의 출력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6.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와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제1 도형은 서로 교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인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교차되는 둘 이상의 라인에 의해서 형성되는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교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라인에 의해 구분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8.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와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제1 도형은 다각형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되는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10.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와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 사이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제1 도형은 다각형이며, 상기 제2 도형은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되는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입력되는 라인이거나 또는 상기 다각형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다각형에 의해서 구분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따라 또는 상기 다각형과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에 따라,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뿐만 아니라, 상기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연관 속성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자체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13.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 전에,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터치 입력을 미리 알려주는 전조(predict) 정보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전조 정보의 입력이 감지된 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터치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형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형의 상대적 위상관계에 따라, 전자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14. 터치 입력부에서 라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상기 라인 상에서, 또는 상기 라인 이외의 영역에서 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15. 터치 입력부에서 다각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topology)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 정보를 동일하게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 출력 조정 방법.
  16. 터치 입력부에서 다각형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다각형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 정보를 동일하게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 출력 조정 방법.
  17. 터치 입력부에서 라인들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 조정부에서 상기 라인들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에 따라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전자 기기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조정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 상에서 터치 위치 및 방향이 다르더라도, 상기 라인들 및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상대적 위상 관계가 같거나 또는 상기 상대적 위상관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인트의 자체속성 및 연관속성 중 적어도 하나가 같으면, 상기 조정 정보를 발생하는,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 출력 조정 방법.
KR1020190104175A 2019-08-26 2019-08-26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KR10208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175A KR102085633B1 (ko) 2019-08-26 2019-08-26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175A KR102085633B1 (ko) 2019-08-26 2019-08-26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118A Division KR102017381B1 (ko) 2017-08-29 2017-08-29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114A KR20190103114A (ko) 2019-09-04
KR102085633B1 true KR102085633B1 (ko) 2020-03-06

Family

ID=6795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175A KR102085633B1 (ko) 2019-08-26 2019-08-26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6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KR100686077B1 (ko) 2005-01-17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린이용 리모컨 및 그의 이용 방법
KR101101945B1 (ko) * 2009-09-14 2012-01-02 (주)포커스컴퍼니 터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리모컨 및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1447886B1 (ko) * 2012-11-26 2014-10-0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4927B1 (ko) * 2015-12-11 2021-10-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114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57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controller for an energy-consuming system having spatially related discrete display elements
KR102229356B1 (ko) 제어 장치
CN104660799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4115078A (zh) 用于控制家庭装置的装置、方法以及时间线用户界面
JP6215933B2 (ja) 入力装置及び動作要求を入力する方法
JP6489214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0990261B2 (en) HVA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visual obscurity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7943385A (zh) 参数调节方法以及参数调节装置
CN105137774A (zh) 一种智能家电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671205B2 (en) 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051068B1 (ko) 스마트폰에서 게임 화면의 가상키 조절방법
JP2017521793A (ja) ユーザ入力に基づいて制御システムのためのジェスチャ区域定義データを取得する方法
KR20160062548A (ko) 집중 조작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5633B1 (ko)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CN108444073B (zh) 空调控制界面的操作反馈方法、控制器及空调
KR102017381B1 (ko)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및 장치
CN105808189A (zh) 显示方法和电子设备
JP6049494B2 (ja) 携帯端末
WO2016123847A1 (zh) 应用控制方法及装置
JP2016224666A (ja) 入力制御プログラム、入力装置
KR102061941B1 (ko) 지능형 단축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장치
KR201300111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60124460A (ko)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
WO2020259331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5194998A (ja) ウェアラブル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