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083B1 -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083B1
KR102085083B1 KR1020180006409A KR20180006409A KR102085083B1 KR 102085083 B1 KR102085083 B1 KR 102085083B1 KR 1020180006409 A KR1020180006409 A KR 1020180006409A KR 20180006409 A KR20180006409 A KR 20180006409A KR 102085083 B1 KR102085083 B1 KR 10208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ptocurrency
amount
change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193A (ko
Inventor
박헌서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0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8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e-cash details, e.g. blinded, divisible or detecting double spe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서버에서 수행되는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잔돈 금액을 더한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는 단계;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미만인 경우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제1 금액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제1 금액이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제1 금액 중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제2 금액으로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고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제1 금액에서 제2 금액을 차감한 제3 금액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METHOD FOR PROVIDING CHARGE SAVING UBY USING CRYPTO-CURRENCY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상점 등에서 발생하는 잔돈을 적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상점이나 매장에서 고객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현금으로 결제할 경우, 차액에 대해서 거스름돈이 발생할 수 있고, 판매자 측은 거스름돈을 동전과 같은 잔돈으로 지급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자 측은 매일 개점하기 전에 인력 및 비용을 투입하여 일정한 수량의 동전을 잔돈 준비금으로 확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매번 거래마다 캐셔(cashier)가 일일이 동전을 세어서 거스름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고객의 대기시간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판매자 측에 대한 고객의 서비스 불만족이 증가하고 또한 판매자 측의 매출기회가 감소될 가능성이 있는 등 기회비용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고객 측이 거스름돈으로 동전과 같은 잔돈을 받으면, 동전이 부피 및 무게를 많이 차지하는바, 소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전이 지갑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 사용할 정도로 효용 값어치가 크지 않고, 부피 및 무게를 많이 차지하는바, 고객 측은 휴대하지 않고 서랍이나 저금통 같은 저장공간에 모아놓게 된다. 이에 따라, 모인 동전은 상당기간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동전 등의 화폐는 사장되지 않고 유통되어야 하는 것으로, 동전이 사용되지 않고 한곳에 모여 있을 경우 시중에 유통되는 동전이 모자라게 되어 다시 동전을 발행하여야 하므로 발권비용이 증가되고, 이는 국민의 세금이 비생산적인 곳에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잔돈 적립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되며,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상기 잔돈 금액을 더한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금액 중 상기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제2 금액으로 상기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에서 상기 제2 금액을 차감한 제3 금액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는, 결제 단말 장치와 통신하여 잔돈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며,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결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상기 잔돈 금액을 더한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미만인 경우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으로 갱신하는 적립금 관리부; 및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금액 중 상기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제2 금액으로 상기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 관리부는,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에서 상기 제2 금액을 차감한 제3 금액으로 갱신한다.
한편, 상기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그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립 요청된 잔돈 금액을 잔돈 적립금에 더한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여 해당 금액이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금액으로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함으로써, 판매자가 동전과 같은 잔돈을 준비하기 위해 드는 인적, 물적, 시간적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암호화 화폐와 연계하여 적립된 잔돈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 시스템에서 잔돈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는 잔돈 적립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 시스템에서 잔돈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설명되는, "결제 단말 장치"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이외에는, 일반적인 IC 카드 리더부나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를 이용하여 고객의 카드로부터 리딩되는 카드 정보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OS 단말기 또는 CAT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시점 관리를 위한 POS 고유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구비한 고객 카드를 통한 전자결제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결제 단말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결제 단말 장치의 기능이 휴대 단말에 결합되는 형태가 가능하게 된 바, "결제 단말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휴대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결제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은 결제 단말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150), 관리 서버(200) 및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단말 장치(100)가 구비된 가맹점에서 신용 카드 등을 이용한 카드 결제가 있는 경우, 결제 단말 장치(100)는 구매자의 신용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읽어들인 후 해당 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 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 중계 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결제 단말 장치(100)는 구매자의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마그네틱 리더, IC 카드 리더 또는 NFC 리더 등)을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결제 중계 서버와 통신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휴대폰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결제 단말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 이외에 점포 판매 시스템과 결합되어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무선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 등을 이용해 결제 중계 서버와 통신하는 CAT(Card Authorization Terminal)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결제 단말 장치(100)에는 결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해 결제 중계 서버에 거래 승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승인 요청을 함으로써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 장치(100)는 거래 승인 또는 취소시 거래 승인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 또는 전표를 출력하거나, 현금 영수증의 발행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 또는 전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단말 장치(100)가 구비된 가맹점에서 현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고객은 결제에 따라 남은 잔돈에 대한 적립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은 잔돈 적립을 요청하기 위해, 고객 자신에 대한 적립자 정보를 가맹점 측에 알려주거나, 또는 잔돈 적립을 위해 미리 발급 받은 잔돈 카드를 가맹점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돈 카드는 고객 측이 구매하거나, 또는 가맹점 측에서 유료 또는 무료로 고객에 제공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잔돈 카드는 RF(Radio Freqiency) 방식의 비접촉식 카드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객은 잔돈 카드를 결제 단말 장치(100)에 태깅함으로써 현금 결제로 인해 발생한 잔돈의 적립을 가맹점 측에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단말 장치(100)은 고객의 잔돈 적립 요청에 따라,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상기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잔돈 적립을 처리하기 위한 서버로서, 고객별 잔돈 적립 현황 등을 관리하고 적립된 잔돈을 암호화 화폐와 연동할 수 있도록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300)와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단말 장치(100)와 통신하여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중계 서버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관리 서버(200)의 역할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용 카드 전자 결제를 중계하는 밴(VAN) 사 측 서버에 의해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요청된 잔돈 적립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결제 중계 서버"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밴(VAN) 사 측 서버 이외에, 신용카드 전자 결제와 관련된 카드사 서버 등 다양한 형태의 금융 서버도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에 따라서는 실제 결제 중계 기능과 다른 부가 기능으로서 별도의 서버 형태로 분리하여 운영되는 서버를 지칭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5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50)는 잔돈을 적립 가능하게 하고, 적립된 잔돈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잔돈 카드 기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잔돈 카드 기능부는 사용자 단말기(150)에 설치된 잔돈 카드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단말기(150)의 구성이 연계하여 상술한 잔돈 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300)는 사용자 간 암호화 화폐의 구입 및 판매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버로서, 암호화 화폐의 거래를 위한 기능 이외에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암호화 화폐는 지폐나 동전과 같은 실물 없이 컴퓨터 등에 정보 형태로 남아 온라인상에서만 거래되는 전자 화폐의 일종으로 가상 화폐라고도 한다.
상기 암호화 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리플, 라이트코인, 대시, 모네로, 이오스, 비트코인 골드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앙향 종류의 암호화 화폐가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과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립 요청된 잔돈 금액을 잔돈 적립금에 더한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여 해당 금액이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금액으로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함으로써, 판매자가 동전과 같은 잔돈을 준비하기 위해 드는 인적, 물적, 시간적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암호화 화폐와 연계하여 적립된 잔돈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적립금 관리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10)는 결제 단말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150) 및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3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부(210)는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거래소 서버(300)로 암호화 화폐 구입 요청을 전송하며,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립금 관리부(230)는 잔돈 적립 요청에 따라 처리된 잔돈 적립금을 적립자별로 관리하며, 그와 함께 잔돈 적립금을 이용한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을 적립자별로 관리할 수 있다.
암호화 화폐는 개당 가격이 변동되며 시세를 형성하고 거래되나, 암호화 화폐의 개당 가격이 높은 경우 소수점 단위로 거래될 수 있다.
다만, 거래소를 통해 거래 가능한 암호화 화폐의 최소 단위는 정해져 있으며,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는 암호화 화폐의 종류 및 거래소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경우 최소 거래 단위가 0.0001 BTC일 수 있으며, 비트코인의 개당 가격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최소 거래 단위는 변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가 거래소별로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잔돈 적립금이 해당 최소 거래 단위의 환산 금액보다 작은 경우에는 잔돈 적립금을 이용한 암호화 화폐의 구입이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200)는 특정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여 암호화 화폐의 구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및 현재 시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암호화 화폐 관련 정보를 기초로 특정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암호화 화폐와 연동해 관리할 수 있다.
통신부(210)를 통해 잔돈 적립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적립 요청된 잔돈 금액을 더한 제1 금액이 계산되며, 상기 게산된 제1 금액은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이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미만인 경우, 적립금 관리부(230)는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제1 금액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이 1,400원이고, 구입할 암호화 화폐인 비트코인의 현재 시세가 개당 15,000,000원이며, 거래소의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가 0.0001 BTC인 경우, 제1 금액을 비트코인 단위로 환산하면 최소 거래 단위 미만인 0.000093 BTC 이므로, 적립금 관리부(230)는 잔돈 적립금을 1,400원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금액이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제어부(220)는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 중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제2 금액으로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적립금 관리부(230)는 현재까지 적립된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제1 금액에서 제2 금액을 차감한 제3 금액으로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제2 금액은, 제1 금액 이하로서 암호화 화폐 최소 거래 단위의 배수에 해당하는 금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이 1,400원이고, 구입할 암호화 화폐인 비트코인의 현재 시세가 개당 13,000,000원이며, 거래소의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가 0.0001 BTC인 경우, 제1 금액을 비트코인 단위로 환산하면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0.000108 BTC 이므로, 제어부(220)는 최소 거래 단위인 0.0001 BTC에 상응하는 1,300원으로 0.0001 BTC이 구입되도록 처리하며, 적립금 관리부(230)는 1,400원(제1 금액)에서 비트코인 구입에 사용된 1,300원(제2 금액)을 차감하고 남은 100원(제3 금액)을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으로 갱신할 수 있다.
다만, 암호화 화폐 거래소에서 암호화 화폐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의 모든 금액에 대해 거래가 허용되는 경우, 제1 금액이 암호화 화폐 최소 거래 단위에 해당하는 금액 이상이라면, 상기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제2 금액은 제1 금액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이 1,400원이고, 구입할 암호화 화폐인 비트코인의 현재 시세가 개당 13,000,000원이며, 거래소의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가 0.0001 BTC인 경우, 제1 금액은 최소 거래 단위인 0.0001 BTC에 상응하는 1,300원 이상이므로, 1,400원(제1 금액)이 모두 비트코인 구입에 사용되고,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제3 금액)은 0원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갱신되는 적립자별 잔돈 적립금 내역과 잔돈 적립금을 이용해 구입된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은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방법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의 통신부(210)는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S31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적립자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해당 적립자의 암호화 화폐 거래소 ID(또는 일반 ID), 전화번호 또는 QR코드 등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되어,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적립 요청된 잔돈 금액을 더하여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한다(S320 단계).
그를 위해, 제어부(220)는 상기 S310 단계에서 수신된 적립자 식별정보(예를 들어, 거래소 ID 등)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240)를 검색하여,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를 통해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 및 최소 거래 단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암호화 화폐 정보는 통신부(210)가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잔돈 적립 요청 수신, 잔돈 적립금 확인 요청 수신 등) 발생시마다 거래소 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신될 수 있다.
한편,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화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데이터베이스(240)를 통해 확인한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적립 요청된 잔돈 금액을 더하여 현재까지의 잔돈 적립액(제1 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기초하여 상기 잔돈 적립금(제1 금액)을 그에 상응하는 암호화 화폐 단위로 변환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220)는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에 상응하는 암호화 화폐가 해당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미만인지 확인한다(S330 단계).
확인 결과,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이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미만인 경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으로 갱신한다(S340 단계).
한편, 현재까지 적립된 제1 금액이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제어부(220)는 제1 금액 중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제2 금액으로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며(S350 단계), 적립금 관리부(230)는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제1 금액에서 제2 금액을 차감한 제3 금액으로 갱신한다(S36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처리를 위한 S350 단계에서, 제어부(220)는 해당 적립자의 암호화 화폐 거래소 ID와 암호화 화폐 구입에 사용될 제2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 구입 요청을 거래소 서버(300)로 전송하여, 상기 제2 금액에 상응하는 암호화 화폐가 해당 적립자 명의로 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요청이 거래소 서버(300)에서 처리되어 암호화 화폐 구입이 완료되면, 해당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210)를 통해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은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 정보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암호화 화폐의 구입이 관리 서버(200)를 통해 처리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화폐의 구입은 해당 적립자가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150)를 통해 처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처리를 위한 S350 단계에서, 제어부(220)는 암호화 화폐 구입에 사용 가능한 제2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 구입 알림을 적립자의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하여, 적립자가 사용자 단말기(150)를 이용해 거래소 서버(300)에 접속하여 제2 금액에 상응하는 암호화 화폐를 직접 구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 시스템에서 잔돈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잔돈 적립금을 이용하여 암호화 화폐를 구입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제 단말 장치(100)는 해당 가맹점에서의 현금 결제에 따라 발생한 잔돈을 고객에게 적립시키기 위해 관리 서버(200)로 잔돈 적립 요청을 전송한다(S401 단계).
관리 서버(200)는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402 단계), 상기 수신된 암호화 화폐 현재 시세에 기초하여 현재까지 적립된 잔돈 적립금으로 암호화 화폐를 구입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403 단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0)는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기초하여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그에 상응하는 암호화 화폐 단위로 변환하고, 상기 잔돈 적립금에 상응하는 암호화 화폐가 해당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잔돈 적립금을 이용해 암호화 화폐를 구입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200)는 거래소 서버(300)로 암호화 화폐 구입 요청을 전송하며(S404 단계), 거래소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구입 요청에 따라 해당 적립자의 명의로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암호화 화폐의 구입이 완료되면, 거래소 서버(300)는 해당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S405 단계), 관리 서버(200)는 상기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한다(S406 단계).
한편, 관리 서버(200)는 요청된 잔돈 적립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적립 완료 메시지를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407 단계).
도 5는 잔돈 적립 서비스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150)의 화면(500)에 현재까지 적립된 잔돈 적립금의 내역과 잔돈 적립금을 이용한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2017년 12월 1일에 1,400원이 적립되어 있고, 해당 적립금은 비트코인의 당시 시세(15,000,000원/1BTC)를 기준으로 0.000093 BTC 에 해당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인 0.0001 BTC 미만이므로 암호화 화폐 구입에 사용되지 않고 잔돈 적립금으로 남아 있다.
관리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거래소 서버(300)에 접속하여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암호화 화폐 거래 시세에 따라 잔돈 적립금을 암호화 화폐 단위로 변환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기초하여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암호화 화폐의 단위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암호화 화폐의 단위에 대한 정보를 적립자의 사용자 단말기(150) 및 결제 단말 장치(1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2017년 12월 2일에는, 비트코인의 시세가 14,500,000원/1BTC 으로 하락하여, 잔돈 적립금인 1,400원은 0.000097 BTC 에 해당하게 되었으며, 이는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인 0.0001 BTC 미만이므로 암호화 화폐 구입에 사용되지 않고 잔돈 적립금으로 계속 남아 있게 된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암호화 화폐 거래 시세에 따라 잔돈 적립금을 암호화 화폐 단위로 변환하여, 잔돈 적립금에 상응하는 암호화 화폐가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이 되는 경우 거래소 서버(300)를 통해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를 위해, 관리 서버(200)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따라 잔돈 적립금을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고, 잔돈 적립금이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잔돈 적립금을 이용하여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2017년 12월 3일에는, 비트코인의 시세가 13,000,000원/1BTC 으로 하락하여, 현재까지의 잔돈 적립금인 1,400원은 0.000108 BTC 에 해당하게 되었으며, 이는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인 0.0001 BTC 이상이므로, 잔돈 적립금 중 일부인 1,300원으로 0.0001 BTC이 해당 적립자의 명의로 구입되고, 나머지 100원은 잔돈 적립금으로 남아 있게 된다.
2017년 12월 4일에는, 1,000원의 잔돈이 추가 적립되어 잔돈 적립금이 총 1,100원으로 증가되었으며, 비트코인의 시세는 14,000,000원/1BTC 으로 상승하여, 잔돈 적립금인 1,100원은 0.000079 BTC 에 해당하게 되었으며, 이는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인 0.0001 BTC 미만이므로 암호화 화폐 구입에 사용되지 않고 잔돈 적립금으로 계속 남아 있게 된다.
2017년 12월 5일에는, 1,000원의 잔돈이 추가 적립되어 잔돈 적립금이 총 2,100원으로 증가되었으며, 비트코인의 시세는 14,500,000원/1BTC 으로 상승하여, 잔돈 적립금인 2,100원은 0.000145 BTC 에 해당하게 되었으며, 이는 비트코인 최소 거래 단위인 0.0001 BTC 이상이므로, 잔돈 적립금 중 일부인 1,450원으로 0.0001 BTC이 해당 적립자의 명의로 추가 구입되고, 나머지 650원은 잔돈 적립금으로 남아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암호화 화폐 구입을 위한 금액 중 거래소 수수료가 제외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잔돈 적립금과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를 비교하여 암호화 화폐 구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거래소 수수료가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소 수수료가 거래 금액의 0.1%라고 가정하면, 현재까지 적립된 잔돈 적립금이 암호화 화폐 최소 거래 단위에 상응하는 금액에 거래소 수수료를 더한 금액 이상인 경우에, 관리 서버(200)가 잔돈 적립금을 이용해 암호화 화폐를 구입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화폐 시세의 변동성이 큰 경우, 암호화 화폐 현재 시세에 일정 금액을 더한 값과 잔돈 적립금을 비교하여 암호화 화폐 구입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돈 적립 시스템에서 잔돈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로서, 관리 서버(200)가 암호화 화폐 구입 알림을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150)를 통해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 중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제 단말 장치(100)는 해당 가맹점에서의 현금 결제에 따라 발생한 잔돈을 고객에게 적립시키기 위해 관리 서버(200)로 잔돈 적립 요청을 전송한다(S601 단계).
관리 서버(200)는 거래소 서버(300)로부터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602 단계), 상기 수신된 암호화 화폐 현재 시세에 기초하여 현재까지 적립된 잔돈 적립금으로 암호화 화폐를 구입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603 단계).
암호화 화폐 구입이 결정되면,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50)로 암호화 화폐 구입 알림을 전송하며(S604 단계), 사용자 단말기(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거래소 서버(300)로 암호화 화폐 구입 요청을 전송한다(S605 단계).
거래소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된 구입 요청에 따라 해당 적립자의 명의로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고, 암호화 화폐의 구입이 완료되면 해당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50)로 전송한다(S606 단계).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50)는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며(S607 단계), 그에 따라 해당 적립자의 잔돈 적립 내역과 함께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이 관리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요청된 잔돈 적립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적립 완료 메시지를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608 단계).
한편, 상기에서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가 특정 암호화 화폐에 대해 특정 거래소를 통해 처리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암호화 화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 화폐가 구입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4)

  1. 관리 서버의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상기 잔돈 금액을 더한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별 시세 정보에 따라 환산하고, 환산된 상기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종류 및 거래소에 따라 상이하게 변동되며, 상기 암호화 화폐의 거래소 서버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화폐 관련 정보로서, 암호화 화폐 거래소별 거래 단위 정보와, 상기 거래소별 암호화 화폐 거래 수수료 정보 및 거래소별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최소 거래 단위 금액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금액 미만인 경우,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으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금액 중 상기 최소 거래 단위 금액에 상응하는 제2 금액으로 상기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에서 상기 제2 금액을 차감한 제3 금액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적립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상기 잔돈이 발생한 가맹점의 결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식별정보는 암호화 화폐 거래소 ID, 전화번호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처리 단계는
    상기 적립자의 암호화 화폐 거래소 ID와 상기 제2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 구입 요청을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적립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화폐 구입 처리 단계는
    상기 제2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 구입 알림을 상기 적립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기초하여,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암호화 화폐의 단위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암호화 화폐의 단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립자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잔돈이 발생한 가맹점의 결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8. 삭제
  9. 결제 단말 장치와 통신하여 잔돈 적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적립 대상인 잔돈 금액과 적립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잔돈 적립 요청을 결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에 상기 잔돈 금액을 더한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별 시세 정보에 따라 환산하고, 환산된 상기 제1 금액을, 암호화 화폐의 종류 및 거래소에 따라 상이하게 변동되며, 상기 암호화 화폐의 거래소 서버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화폐 관련 정보로서, 암호화 화폐 거래소별 거래 단위 정보와, 상기 거래소별 암호화 화폐 거래 수수료 정보 및 거래소별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최소 거래 단위 금액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금액 미만인 경우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으로 갱신하는 적립금 관리부; 및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금액 중 상기 최소 거래 단위 금액에 상응하는 제2 금액으로 상기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립금 관리부는, 상기 제1 금액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제1 금액에서 상기 제2 금액을 차감한 제3 금액으로 갱신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립자에 대한 식별정보와 상기 제2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 구입 요청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화 화폐 구입 알림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립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서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 화폐 거래소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기초하여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을 상기 암호화 화폐의 단위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암호화 화폐의 단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적립자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잔돈이 발생한 가맹점의 결제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도록 하는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암호화 화폐의 현재 시세에 따라 상기 적립자의 잔돈 적립금과 상기 암호화 화폐의 최소 거래 단위와 비교하고, 상기 잔돈 적립금이 상기 최소 거래 단위 이상인 경우 상기 잔돈 적립금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 화폐가 구입되도록 처리하는 서버.
KR1020180006409A 2018-01-18 2018-01-18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KR10208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09A KR102085083B1 (ko) 2018-01-18 2018-01-18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409A KR102085083B1 (ko) 2018-01-18 2018-01-18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93A KR20190088193A (ko) 2019-07-26
KR102085083B1 true KR102085083B1 (ko) 2020-03-05

Family

ID=6746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409A KR102085083B1 (ko) 2018-01-18 2018-01-18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0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307B1 (ko) * 2012-10-19 2014-06-17 김희재 동전적립방법
KR20170015655A (ko)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각국 화폐별 비트코인 환전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트코인 환전방법
KR20170119177A (ko) * 2016-04-18 2017-10-26 심우진 잔돈적립 서버 및 잔돈적립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44B1 (ko) * 2014-11-06 2016-02-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멤버십 포인트 또는 사이버머니를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통화로 전환하여 주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193A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3892B2 (en) Host capture
US9836739B1 (en) Changing a financial account after initiating a payment using a proxy card
US201401642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erson-to-person funds transfers via wireless communications
AU2009239396B2 (en) Prepaid portable consumer device including accumulator
JPH09259193A (ja) 電子マネーシステムの取引方法
US20070131760A1 (en) Electronically Refunding Change from a Purchase Transaction
JP6926452B2 (ja) 決済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決済方法、プログラム
US20170337548A1 (en) Card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US20130317896A1 (en) Internet price matching using a mobile wallet
KR101729162B1 (ko) 금융 오픈 플랫폼 기반의 선불결제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7169551A1 (ja) 給与決済連携システムおよび給与決済連携方法
JP4326165B2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JP6785646B2 (ja) 引落処理装置
JP5953360B2 (ja) 資金移動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215139A1 (en) Prepaid card loan mechanism and methods of completing transactions and transforming goods
KR101709438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839925B1 (ko) P2p 대출 연계 즉시결제시스템
KR101851325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2085083B1 (ko)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JP2005317040A (ja) Icカード及び電子マネー入金システム
JP2005189938A (ja) クレジットの利用ポイントを電子マネー化したクレジット決済処理システム及びクレジット決済処理方法
JP2018045446A (ja) 決済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114882A (ko) 실거래에서 거스름돈 발생시 동전 등 현금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모바일 거스름돈 및 돼지저금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5196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잔돈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30082670A (ko) 상호적립카드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시스템 및 포인트 적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