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012B1 - Cf3o-함유 엔아미노케톤 및 cf3o-함유 피라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Cf3o-함유 엔아미노케톤 및 cf3o-함유 피라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012B1
KR102085012B1 KR1020147024063A KR20147024063A KR102085012B1 KR 102085012 B1 KR102085012 B1 KR 102085012B1 KR 1020147024063 A KR1020147024063 A KR 1020147024063A KR 20147024063 A KR20147024063 A KR 20147024063A KR 102085012 B1 KR102085012 B1 KR 10208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nmr
mhz
cdcl
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596A (ko
Inventor
세르기이 파제노크
베르나르 랑글루아
티에리 빌라드
쥴리앙 바르비옹
올리비에 마렉
장-피에르 보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filed Critical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00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1/18One oxygen or sulfur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1/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 C07C225/02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25/14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 C07C225/1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doubly—bound oxygen atoms not being part of a —CHO group, e.g. amino keto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unsaturated and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F3O-그룹을 함유하는 신규 엔아미노케톤, CF3O 그룹을 함유하는 신규 피라졸-유도체, 및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한 후, 얻은 CF3O-엔아미노케톤을 히드라진으로 폐환하여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피라졸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피라졸-유도체의 신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F3O-함유 엔아미노케톤 및 CF3O-함유 피라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CF3O-containing enaminoketones and their util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CF3O-containing pyrazoles}
본 발명은 CF3O-그룹을 함유하는 신규 엔아미노케톤, CF3O 그룹을 함유하는 신규 피라졸-유도체, 및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한 후, 얻은 CF3O-엔아미노케톤을 히드라진으로 폐환하여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피라졸을 수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피라졸-유도체의 신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활성 성분에서 치환체로서의 불소는 중대하고 그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불소화된 살충제의 가장 큰 그룹은 트리플루오로메틸 그룹 (주로 방향족 환내)을 함유하는 화합물, 그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불소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화합물이다. 단 5개의 살충제만이 OCF3-그룹을 함유하며, 시판중에 있다. 현재 개발중에 있는 불소화된 화합물의 수는 살충제 매뉴얼 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2003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개발중에 있는 모든 활성 성분의 일부 35-5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치환된 아렌의 제조를 위해, 방향족 메틸 그룹의 염소화 및 불소로의 치환이 [Yagupol'skii, L. M. Dokl. Akad. Nauk SSSR]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아릴 포르메이트가 사불화황으로 처리되는 경우, (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렌은 [Sheppard, W. A. J. Org. Chem. 1964, 29, 1-11]에 기술된 바와 같이, 9 내지 81% 범위의 수율로 얻어진다.
[Kuroboshi, M.; Suzuki, K.; Hiyama, T. Tetrahedron Lett. 1992, 33, 4173-4176; Kanie, K.; Tanaka, Y.; Suzuki, K.; Kuroboshi, M.; Hiyama, T. Bull. Chem. Soc. Japan 2000, 73, 471-484; Kuroboshi, M.; Kanie, K.; Hiyama, T. Adv. Synth. Catal. 2001, 343, 235-250 및 Shimizu, M.; Hiyama, T. Angew. Chem. Int. Ed. 2005, 44, 214 - 23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산화적 플루오로탈황화 불소화는 상당한 과량의 불화수소-피리딘 및 1,3-디브로모-5,5-디메틸히단토인으로 디티오탄산염 (크산토게네이트)을 (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렌으로 중간 내지는 우수한 수율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분명히, 트리플루오로메틸 에테르에 대한 최적의 합성은 전체 OCF3 부분의 직접 도입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올레핀과 트리플루오로메틸 하이포플루오라이트를 래디칼 축합하여야 하는데 (Rozen, S. Chem. Rev. 1996, 96, 1717-1736), 이는 매우 위험하고, 독성적이다. 그 후로, 트리플루오로메톡사이드로 친핵성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를 수행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CF3O- 음이온은 저온에서 조차 플루오라이드 및 플루오로포스겐으로 붕괴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도들은 실패하고 말았다.
DE 10 2007 036702 Al호는 임의로 CF3O-그룹을 치환체로서 함유하는 피라졸릴페닐 유도체 그룹에서의 제초제를 포함하는 제초적 상승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DE 102006 050516 Al호는 임의로 CF3O-그룹을 함유하는 디하이드로피라졸론-유도체 및 약물로서 사용하기 위한 그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이들 두 문헌은 모두 CF3O-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어떻게 CF3O-그룹이 피라졸 부분 또는 그의 전구체로 도입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밝히지 않았다.
현재 트리플루오르메톡시피라졸의 제조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농약 성분에서 헤테로사이클릭 구조가 중요하고 일반적으로 불소 원자 및 불소화된 그룹이 사용되기 때문에, OCF3-헤테로사이클을 제조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성분이 생겨날 것이다.
-OCF3 피라졸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한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CF3 피라졸의 제조를 위해 산업적 규모로 실시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하고 경제적으로 실행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문제가, 먼저 화학식 (I)의 작용기화된 엔아미노케톤을 제조한 후, 이들 작용기화된 엔아미노케톤을 화학식 V-1 또는 V-2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로 전환시키는 화학식 V-1 또는 V-2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 제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되었다.
따라서 일 측면으로, 본 발명은 (A) 화학식 II의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 시약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1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1 내지 5개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5-C10 아릴, 또는 산소 및 질소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C5-C10 아릴이고,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5-C10 아릴, 산소 및 질소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C5-C10 아릴이거나, 또는 함께, 5 또는 7 원 환을 형성한다.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I 또는 II에서 R1은 2-푸릴,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염소 원자로 치환된 페닐이고,
화학식 I에서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이다.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화학식 I 또는 II에서 R1은 2-푸릴, 페닐, 클로로페닐 또는 디클로로페닐이고,
화학식 I에서 R2 및 R3은 C1 알킬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화학식 II의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 시약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제공하고,
(B)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화학식 IV의 히드라진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V-1 또는 V-2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3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4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5
R4-NH-NH2 (IV)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4는 H, 또는 C1-C6 알킬이다.
본 발명은 또한 (A) 화학식 II의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 시약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제공하고,
(B)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화학식 IV의 히드라진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B)는 메탄올, 에탄올, 및 트리플루오로에탄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중에서 수행되는,
화학식 V-1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을 위치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6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7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8
R4-NH-NH2 (IV)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IV)에서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나, 수소는 아니다.
화학식 V-1 또는 V-2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을 제조하거나, 화학식 V-1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을 위치선택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화학식 IV, V-1, 또는 V-2에서 R4는 H, 또는 C1-알킬이다.
단계 (A)는 화학식 (II)에 따른 트리플루오로메톡시케톤을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아미노포르밀화 시약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4081905945-pct00009
화학식 (II)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케톤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거나, [Marrec, et al. Advanced Synthesis & Catalysis (2010), 352(16), 2831-2837, WO 2009141053 A1 20091126, DE 102008024221, Marrec, et al. Journal of Fluorine Chemistry (2010), 131(2), 200-207]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I)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케톤은 상응하는 메틸케톤으로부터 출발하여 2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메틸케톤을 하기 문헌 방법에 의해 직접 α-요오드화한다(Synthesis 2007, 3113-3116; Tetrahedron Lett. 2006, 47, 6883-6886). 이어, 생성된 α-요오도메틸케톤을 트리플루오로메틸트리플레이트와 AgF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요오드를 CF3O 그룹으로 치환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서 2-(트리플루오로메톡시)케톤은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과 천천히 반응하여 신규 CF3O-엔아미논을 제공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아미노포르밀화를 위해 다음의 시약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아세탈, 페닐메틸포름아미드디메틸아세탈, 또는 DMF/POCl3 (빌스마이어(Vilsmeier) 반응에 의한 화합물 III-2의 전구체). 이들 시약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아세탈이 아미노포르밀화 시약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A)에 사용되는 아미노포르밀화 시약은 화학식 III-1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I-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0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1
상기 식에서,
R2 및 R3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5 및 R6은 C1-C6-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은 (A)는 50 ℃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는 80 ℃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A)는 DMF,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중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따라, 반응 시간은 3-10 시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응 시간은 4-5 시간이다.
단계 (B) 폐환
단계 (B)는 반응식 2에 따라,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화학식 (IV)의 히드라진으로 폐환하여 화학식 (V-1 또는 V-2)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피라졸로 전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2
상기 반응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메틸히드라진의 사용으로, 아세트산에서 2개의 위치이성체인 피라졸이 60:40 비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을 위치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메탄올, 에탄올, 및 트리플루오로에탄올로부터 선택되는 덜 산성인 용매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폐환 (B)는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니트릴,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부티로니트릴,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유기 산, 바람직하게는 포름산 또는 아세트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상이한 용매중에서 수행된다. 폐환 (B)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용매는 메탄올 및 에탄올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폐환 (B)는 0 ℃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30 ℃ 범위의 온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화학식 (I)의 피라졸은 R1이 2-푸릴인 경우, CF3O-그룹을 가지는 신규 피라졸산으로 추가 전환될 수 있다 (반응식 3):
반응식 3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3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R1이 2-푸릴이고, R4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V-1의 화합물을 산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VI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4
상기 식에서,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화학식 VI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산은 RuCl3/NaIO4, RuO4, O3, KMnO4, 및 CrO3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제를 사용하여 화학식 V-1의 화합물을 산화하여 얻는다(여기서, R1은 2-푸릴이고, R4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시스템 RuCl2/NaIO가 사용되는 경우, 피라졸 1 당량에 대해 0.05 당량의 RuCl3 및 10 당량의 NaIO4가 사용된다.
반응식 3에서의 반응을 위한 용매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산화제에 대해 불활성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 화학식 VI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산의 제조방법은 헥산/AcOEt/H2O, CCl4/CH3CN/H2O, H2O/MeCN/AcOEt, 및 H2O/CH2Cl2/MeCN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중에서 수행된다. 헥산/AcOEt/H2O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비는 헥산/AcOEt/H2O의 혼합물에 대해서는 1/1/2이고, CCl4/CH3CN/H2O의 혼합물에 대해서는 2/2/3이다.
산화는 0 ℃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30 ℃ 범위의 온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5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V-1 또는 V-2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6
상기 식에서, R1 및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V-1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7
상기 식에서, R1 및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V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8
상기 식에서, R4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일반 정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할로겐 (X)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불소, 염소 및 브롬이 사용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불소 및 염소가 사용된다.
적절히 치환된 그룹은 일- 또는 다치환될 수 있으며, 다치환된 경우, 치환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 (-X)로 치환된 알킬 그룹은,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 (CF3), 디플루오로메틸 (CHF2), CF3CH2, ClCH2, CF3CCl2 및 CHF2CCl2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알킬 그룹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임의로 산소, 질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킬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CONR'2) 그룹 (여기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이고, 질소, 산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다)에서 선택되는 추가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정의 C1-C12-알킬은 알킬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특히,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부틸, n-펜틸, n-헥실, 1,3-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n-헵틸, n-노닐, n-데실, n-운데실 및 n-도데실의 의미를 포함한다.
정의 사이클릭 C3-12-알킬 그룹은 사이클릭 알킬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특히,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및 사이클로옥틸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알케닐 그룹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단일 불포화 (이중 결합)를 포함하고, 임의로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또는 이중 불포화 또는 산소, 질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케닐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CONR'2) 그룹 (여기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이고, 질소, 산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다)에서 선택되는 추가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정의 C2-C12-알케닐은 알케닐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특히,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비닐; 알릴 (2-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1-메틸에테닐); 부트-1-에닐 (크로틸), 부트-2-에닐, 부트-3-에닐; 헥스-1-에닐, 헥스-2-에닐, 헥스-3-에닐, 헥스-4-에닐, 헥스-5-에닐; 헵트-1-에닐, 헵트-2-에닐, 헵트-3-에닐, 헵트-4-에닐, 헵트-5-에닐, 헵트-6-에닐; 옥트-1-에닐, 옥트-2-에닐, 옥트-3-에닐, 옥트-4-에닐, 옥트-5-에닐, 옥트-6-에닐, 옥트-7-에닐; 논-1-에닐, 논-2-에닐, 논-3-에닐, 논-4-에닐, 논-5-에닐, 논-6-에닐, 논-7-에닐, 논-8-에닐; 데스-1-에닐, 데스-2-에닐, 데스-3-에닐, 데스-4-에닐, 데스-5-에닐, 데스-6-에닐, 데스-7-에닐, 데스-8-에닐, 데스-9-에닐; 운데스-1-에닐, 운데스-2-에닐, 운데스-3-에닐, 운데스-4-에닐, 운데스-5-에닐, 운데스-6-에닐, 운데스-7-에닐, 운데스-8-에닐, 운데스-9-에닐, 운데스-10-에닐; 도데스-1-에닐, 도데스-2-에닐, 도데스-3-에닐, 도데스-4-에닐, 도데스-5-에닐, 도데스-6-에닐, 도데스-7-에닐, 도데스-8-에닐, 도데스-9-에닐, 도데스-10-에닐, 도데스-11-에닐; 부타-1,3-디에닐, 펜타-1,3-디에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알키닐 그룹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이중 불포화 (삼중 결합)를 포함하고, 임의로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단일 또는 이중 불포화 또는 산소, 질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탄화수소 그룹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키닐 그룹은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CONR'2) 그룹 (여기서, R'는 수소 또는 질소, 산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C1-12-알킬 그룹이다)에서 선택되는 추가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정의 C2-C12-알키닐은 알키닐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특히,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에티닐 (아세틸에닐); 프로프-1-이닐 및 프로프-2-이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아릴 그룹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산소, 질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고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CONR'2) 그룹 (여기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이고, 질소, 산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다)에서 선택되는 추가 그룹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이다.
정의 C5-18-아릴은 5 내지 18개의 원자를 가지는 아릴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특히, 이 정의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페닐, 사이클로헵타트리에닐, 사이클로옥타테트라에닐, 나프틸 및 안트라세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산소, 질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는 정의 C5-18-아릴 그룹은, 예를 들어,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롤릴, 3-피롤릴, 3-이속사졸릴, 4-이속사졸릴, 5-이속사-졸릴, 3-이소티아졸릴, 4-이소티아졸릴, 5-이소티아졸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5-피라졸릴,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1,2,4-옥사디아졸-3-일, 1,2,4-옥사디아졸-5-일, 1,2,4-티아디아졸-3-일, 1,2,4-티아디아졸-5-일, 1,2,4-트리아졸-3-일, 1,3,4-옥사디아졸-2-일, 1,3,4-티아디아졸-2-일 및 1,3,4-트리아졸-2-일; 1-피롤릴, 1-피라졸릴, 1,2,4-트리아졸-1-일, 1-이미다졸릴, 1,2,3-트리아졸-1-일, 1,3,4-트리아졸-1-일; 3-피리다지닐, 4-피리다지닐,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2-피라지닐, 1,3,5-트리아진-2-일 및 1,2,4-트리아진-3-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아릴알킬 그룹 (아르알킬 그룹)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C1-8-알킬렌 쇄를 가질 수 있고, 아릴 백본 또는 알킬렌 쇄에서 산소, 질소, 인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임의로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CONR'2) 그룹 (여기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이고, 질소, 산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다)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는 아릴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이다.
정의 C7-19-아르알킬 그룹은 백본 및 알킬렌 쇄에 총 7 내지 19개의 원자를 가지는 아릴알킬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아릴 백본에 5 또는 6개의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와 알킬렌 쇄에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C7-19-아르알킬 그룹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정의는 예를 들어 벤질 및 페닐에틸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알킬아릴 그룹 (알크아릴 그룹)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C1-8-알킬렌 쇄를 가질 수 있고, 아릴 백본 또는 알킬렌 쇄에서 산소, 질소, 인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임의로 -R', 할로겐 (-X), 알콕시 (-OR'), 티오에테르 또는 머캅토 (-SR'), 아미노 (-NR'2), 실릴 (-SiR'3), 카복실 (-COOR'), 시아노 (-CN), 아실 (-(C=O)R') 및 아미드 (-CONR'2) 그룹 (여기서, R'는 수소 또는 C1-12-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2-10-알킬 그룹, 특히 바람직하게는 C3-8-알킬 그룹이고, 질소, 산소, 인 및 황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다)으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의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아릴 그룹이다.
정의 C7-19-알킬아릴 그룹은 백본 및 알킬렌 쇄에 총 7 내지 19개의 원자를 가지는 알킬아릴 그룹에 대해 본원에서 정의된 가장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 아릴 백본에 5 또는 6개의 탄소 원자 또는 헤테로원자와 알킬렌 쇄에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C7-19-아르알킬 그룹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정의는 예를 들어 톨릴-, 2,3-, 2,4-, 2,5-, 2,6-, 3,4- 또는 3,5-디메틸페닐의 의미를 포함한다.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알킬아릴 및 아르알킬 그룹은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질소, 산소, 인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헤테로원자는 지정 탄소 원자를 대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 가능한 상이한 이성체 형태, 특히 입체이성체, 예를 들어 E- 및 Z-이성체, 스레오- 및 에리스로-이성체뿐 아니라 광학 이성체, 및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토토머의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E- 및 Z-이성체, 스레오- 및 에리스로-이성체 및 또한 광학 이성체, 이들 이성체의 임의 혼합물 및 또한 가능한 토토머 형태를 모두 기술하고 청구한다.
실험 부분
방향족 케톤의 직접 α-요오드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추출물(educt)의 합성)
고운 가루의 CuO (1.0 eq.) 및 I2 (1.0 eq.)를 무수 MeOH (C=0.25M) 중 케톤의 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 분동안 교반한 후, 환류하였다. 반응물이 사라지면 (TLC로 관찰),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잔사를 10% Na2S2O3 용액 (10 mL/mmol의 케톤)에 붓고, 혼합물을 AcOEt (3x)로 추출한 뒤, 유기층을 건조시켰다 (Na2SO4).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Synthesis 2007, 3113-3116).
케톤 (1.0 eq.)을 DME (C=0.2M) 중의 I2 (4.0 eq.)와 함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어 90 ℃의 오일조 온도에서 3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 내용물을 냉각하고, AcOEt (2x)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해 Na2S2O3으로 세척하여 미반응 요오드를 제거하였다. 이어, 추출물을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한 다음, 농축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상응하는 α-요오도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Tetrahedron Lett. 2006, 47, 6883-6886).
2-(요오도아세틸)푸란
갈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63 (dd, J = 1.8/0.9 Hz, 1H), 7.32 (dd, J = 3.6/0.9 Hz, 1H), 6.58 (dd, J = 3.6/1.8 Hz, 1H), 4.24 (s, 2H). 13C NMR (75 MHz, CDCl3): δ = 181.9, 149.6, 146.9, 118.8, 112.8, 0.6.
1-(요오도아세틸)-3,5-디클로로벤젠
갈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82 (d, J = 1.8 Hz, 2H), 7.55 (dd, J = 1.8/1.8 Hz, 1H), 4.34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 190.2, 139.1, 135.7, 135.6, 133.2, 127.2, 0.9.
1-(요오도아세틸)-2,3-디클로로벤젠
갈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49 (dd, J = 8.1/1.5 Hz, 1H), 7.35 (dd, J = 7.5/1.5 Hz, 1H), 7.22 (dd, J = 8.1/7.5 Hz, 1H), 4.33 (s, 2H). 13C NMR (75 MHz, CDCl3): δ = 194.3, 138.1, 133.7, 132.6, 128.8, 127.7, 127.5, 6.1.
TFMT 및 AgF로의 친핵성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화학식 II의 화합물 합성):
고무 격막 및 자석 교반기가 장치된 1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AgF (1.1 eq.)를 가하였다. 아르곤 분위기 하에, 무수 CH3CN (C=0.5M)을 첨가하고, 불균질 혼합물을 -30 ℃로 냉각하였다. TFMT (1.1 eq., 300 ㎕/mmol의 요오도아세틸 방향족 화합물)을 첨가하고, 용기를 단단히 막은 후 (반응 진행을 위해 COF2의 자생압이 필요하다), 반응 혼합물을 -30 ℃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친전자체 (1.0 eq., 액체인 경우 순수하게, 또는 오일이나 고체인 경우에는 최소 CH3CN에 용해하여)를 기밀 시린지로 첨가한 후, -30 ℃에서 30 분, 이어 r.t.에서 24 시간동안 (어둡게 하여) 교반을 계속하였다. 마지막으로, 용기를 감압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Celite®을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DCM에 용해한 후, 염수로 세척하여 MgSO4에서 건조시킨 뒤,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상응하는 트리플루오로메틸 에테르를 수득하였다 (J. Fluorine Chem. 2010, 131, 200-207).
1-페닐-2-(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타논
황색 오일. 1H NMR (300 MHz, CDCl3): δ = 7.91 (m, 2H) ; 7.65 (m, 1H) ; 7.52 (m, 2H) ; 5.18 (s, 2H). 13C NMR : 190.2; 134.4; 133.8; 129.1; 127.9; 121.8 (q, J=256.3) ; 68.4 (q, J=2.9). 19F NMR (282 MHz, CDCl3): δ = -61.44 (s, CF3)
1-(2-푸릴)-2-(트리플루오로메톡시)에타논
갈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63 (dd, J = 1.5/0.6 Hz, 1H), 7.35 (dd, J = 3.6/0.6 Hz, 1H), 6.61 (dd, J = 3.6/1.5 Hz, 1H), 5.01 (s, 2H). 13C NMR (75 MHz, CDCl3): δ = 179.4, 150.1, 147.2, 121.6 (q, 1JC-F = 255.0), 118.8, 112.8, 67.6 (q, 3JC-F = 3.0). 19F NMR (282 MHz, CDCl3): δ = -61.65 (s).
1-(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세틸)-3,5-디클로로벤젠
갈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74 (d, J = 1.8 Hz, 2H), 7.59 (dd, J = 1.8/1.8 Hz, 1H), 5.12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 188.1, 136.1, 135.9, 133.9, 127.3, 126.3, 121.5 (q, 1JC-F = 255.6), 68.1 (q, 3JC-F = 3.0). 19F NMR (282 MHz, CDCl3): δ = -61.60 (s).
1-(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세틸)-2,3-디클로로벤젠
황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57 (dd, J = 8.1/1.8 Hz, 1H), 7.33 (dd, J = 7.5/1.8 Hz, 1H), 7.26 (dd, J = 8.1/7.5 Hz, 1H), 5.07 (s, 2H). 13C NMR (75 MHz, CDCl3): δ = 192.8, 137.1, 133.9, 133.2, 129.1, 127.7, 127.2, 121.1 (q, 1JC-F = 255.2), 69.7 (q, 3JC-F = 2.9). 19F NMR (282 MHz, CDCl3): δ = -61.28 (s).
1-(트리플루오로메톡시아세틸)-3-클로로벤젠
황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82 (dd, J = 1.2/0.9 Hz, 1H), 7.73 (ddd, J = 7.8/1.5/1.2 Hz, 1H), 7.54 (ddd, J = 7.8/1.5/0.9 Hz, 1H), 7.40 (dd, J = 7.8/7.8 Hz, 1H), 5.14 (s, 2H). 13C NMR (75 MHz, CDCl3): δ = 188.9, 135.2, 135.0, 134.0, 130.2, 127.8, 125.8, 121.4 (q, 1JC-F = 255.1), 68.1 (q, 3JC-F = 2.9). 19F NMR (282 MHz, CDCl3): δ = -61.63 (s).
DMF.DMA로 엔아미노케톤 합성 (화학식 I의 화합물 합성):
트리플루오로메톡시메틸 아릴 케톤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메틸 헤테로아릴 케톤 (1.0 eq.)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 (DMF.DMA) (10 eq.)의 용액을 5 시간동안 환류시켰다 (TLC로 관찰). 반응 혼합물을 식혀 진공에서 농축한 후, 잔사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목적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엔아미노케톤을 수득하였다.
(2Z 또는 2E)-3-(디메틸아미노)-1-페닐-2-(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프-2-엔-1-온
황색 오일. 1H NMR (300 MHz, CDCl3): δ = 7.60 (m, 2H); 7.47-7.33 (massif, 3H) ; 7.01 (broad s, 1H); 3.12 (s, 6H). 13C NMR (75 MHz, CDCl3): δ = 188.5; 145.4; 139.4; 130.6; 128.4; 128.2; 122.9 (m,); 121.3 (q, 1JC-F=255.0); 42.4 (broad s). 19F NMR (282 MHz, CDCl3): δ = -58.96 (s).
(2Z 또는 2E)-3-(디메틸아미노)-1-(2-푸릴)-2-(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프-2-엔-1-온
황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50 (dd, J = 1.5/0.6 Hz, 1H), 7.46 (bs, 1H), 7.10 (dd, J = 3.6/0.6 Hz, 1H), 6.61 (dd, J = 3.6/1.5 Hz, 1H), 3.12 (s, 6H). 13C NMR (75 MHz, CDCl3): δ = 173.9, 151.6, 144.8, 143.5, 121.3, 121.1 (q, 1JC-F = 255.0), 116.9, 111.5, 43.3, 42.6. 19F NMR (282 MHz, CDCl3): δ = -59.47 (s).
(2Z 또는 2E)-3-(디메틸아미노)-1-(3',5'-디클로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프-2-엔-1-온
황색 고체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41 (d, J = 1.8 Hz, 2H), 7.36 (dd, J = 1.8/1.8 Hz, 1H), 7.01 (bs, 1H), 3.10 (s, 6H). 13C NMR (75 MHz, CDCl3): δ = 184.7, 145.3, 141.8, 134.7, 130.1, 126.5, 121.7, 120.9 (q, 1JC-F = 255.5), 30.7, 29.1. 19F NMR (282 MHz, CDCl3): δ = -59.02 (s).
(2Z 또는 2E)-3-(디메틸아미노)-1-(2',3'-디클로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프-2-엔-1-온
갈색 고체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47 (d, J = 8.1 Hz, 1H), 7.26 (dd, J = 8.1/7.5 Hz, 1H), 7.18 (d, J = 7.5 Hz, 1H), 6.56 (bs, 1H), 3.13 (bs, 6H). 13C NMR (75 MHz, CDCl3): δ = 183.2, 147.0, 140.2, 132.9, 130.4, 128.7, 126.4, 125.7, 122.3, 120.6 (q, 1JC-F = 255.4), 46.8, 37.8. 19F NMR (282 MHz, CDCl3): δ = -58.74 (s).
(2Z 또는 2E)-3-(디메틸아미노)-1-(3'-클로로페닐)-2-(트리플루오로메톡시)프로프-2-엔-1-온
갈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52 (bs, 1H), 7.41 (ddd, J = 7.5/1.8/1.2 Hz, 1H,), 7.35 (ddd, J = 7.8/1.8/0.9 Hz, 1H), 7.27 (ddd, J = 7.8/7.5/2.4 Hz, 1H), 6.96 (bs, 1H), 3.07 (s, 6H). 13C NMR (75 MHz, CDCl3): δ = 186.4, 145.3 (bs), 140.8, 134.0, 130.3, 129.3, 128.1, 126.2, 122.1 (bs).121.0 (q, 1JC-F = 255.1), 30.7. 19F NMR (282 MHz, CDCl3): δ = -59.25 (s).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피라졸의 제조 (화학식 V-1 및 V-2의 화합물 합성):
빙초산 (C=0.2M) 중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엔아미노케톤 (1.0 eq.)의 용액에 히드라진 수화물 (N2H4.H2O) (1.0 eq.)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어, AcONa 수용액 (5%)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DCM (3x)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해 포화 수성 NaHCO3, 염수로 세척하고, MgSO4에서 건조시킨 뒤,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피라졸을 수득하였다.
3-페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
백색 고체 (25 ℃에서); Mp = 84-85 ℃; 1H NMR (300 MHz, CDCl3): δ = 9.69 (bs, 1H), 7.73 (m, 2H), 7.62 (bs, 1H), 7.47-7.37 (massif, 3H); 13C NMR (75 MHz, CDCl3): δ = 138.4 (bs), 131.1 (bs), 129.1, 128.8, 129.6 (bs), 126.7, 120.8 (q, 1JC-F = 256.6); 19F NMR (282 MHz, CDCl3): δ = -60.77 (s).
3-(2-푸릴)-4-(트리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
오렌지색 고체 (25 ℃에서). Mp = 85 ℃. 1H NMR (300 MHz, CDCl3): δ = 11.45 (bs, 1H), 7.68 (d, J = 1.2 Hz, 1H), 7.51 (dd, J = 1.8/0.9 Hz, 1H), 6.80 (dd, J = 3.3/0.9 Hz, 1H), 6.56 (dd, J = 3.3/1.8 Hz, 1H). 13C NMR (75 MHz, CDCl3): δ = 144.1, 142.2, 132.2 (bs), 129.3 (bs), 124.9 (bs), 120.8 (q, 1JC-F = 252.2), 111.8, 108.8. 19F NMR (282 MHz, CDCl3): δ = -61.00 (s).
3-(3',5'-디클로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
백색 고체 (25 ℃에서). Mp = 89 ℃. 1H NMR (300 MHz, CDCl3): δ = 11.56 (bs, 1H), 7.68 (bs, 1H), 7.61 (d, J = 1.8 Hz, 2H), 7.36 (dd, J = 1.8/1.8 Hz, 1H). 13C NMR (75 MHz, CDCl3): δ = 137.8 (bs), 135.6, 132.0, 131.9 (bs), 128.7, 125.0, 124.9 (bs), 120.5 (q, 1JC-F = 257.6). 19F NMR (282 MHz, CDCl3): δ = -60.92 (s).
3-(2',3'-디클로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
황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11.13 (bs, 1H), 7.59 (bs, 1H), 7.51 (dd, J = 7.5/1.8 Hz, 1H), 7.28 (dd, J = 7.8/1.8 Hz, 1H), 7.22 (dd, J = 7.8/7.5 Hz, 1H). 13C NMR (75 MHz, CDCl3): δ = 137.1 (bs), 133.9, 132.0, 131.3, 129.8 (bs), 129.7, 127.2, 125.0 (bs), 120.4 (q, 1JC-F = 256.7). 19F NMR (282 MHz, CDCl3): δ = -60.97 (s).
3-(3'-클로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
황색 고체 (25 ℃에서). Mp = 44 ℃. 1H NMR (300 MHz, CDCl3): δ = 12.20 (bs, 1H), 7.63 (bs, 1H), 7.54 (bs, 1H), 7.51 (dd, J = 7.8/1.8 Hz, 1H), 7.26 (dd, J = 7.8/1.8 Hz, 1H), 7.24 (dd, J = 7.8/7.8 Hz, 1H). 13C NMR (75 MHz, CDCl3): δ = 137.8, 134.8, 130.9 (bs), 130.5, 130.1, 128.9, 126.5, 125.7 (bs), 124.7, 120.6 (q, 1JC-F = 257.0). 19F NMR (282 MHz, CDCl3): δ = -61.10 (s).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메틸피라졸의 위치선택적 제조 (화학식 V-1의 화합물 합성):
무수 EtOH (C=0.2M) 중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엔아미노케톤 (1.0 eq.)의 용액에 메틸 히드라진 (MeNHNH2) (5.0 eq.)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r.t.에서 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관찰). 이어,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잔사를 AcOEt에 용해하여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에서 건조시킨 뒤,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트리플루오로메톡실화 메틸피라졸을 수득하였다.
3-(2-푸릴)-1-메틸-4-(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
무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48 (dd, J = 1.8/0.9 Hz, 1H), 7.40 (d, J = 0.9 Hz, 1H), 6.70 (dd, J = 3.3/0.9 Hz, 1H), 6.47 (dd, J = 3.3/1.8 Hz, 1H), 3.90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 145.2, 142.2, 135.0, 129.1 (bs), 122.6, 120.6 (q, 1JC-F = 256.0), 111.1, 108.1, 40.0. 19F NMR (282 MHz, CDCl3): δ = -61.08 (s).
3-(3',5'-디클로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메틸피라졸
황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72 (d, J = 1.8 Hz, 2H), 7.43 (d, J = 1.2 Hz, 1H), 7.30 (dd, J = 1.8/1.8 Hz, 1H), 3.88 (s, 3H). 13C NMR (75 MHz, CDCl3): δ = 138.8, 135.1, 133.7, 130.7 (q, 3JC-F = 2.4), 127.8, 124.6, 123.0, 120.5 (q, 1JC-F = 257.0), 40.0. 19F NMR (282 MHz, CDCl3): δ = -61.20 (s).
3-(2',3'-디클로로벤질)-4-(트리플루오로메톡시)-1-메틸피라졸
백색 고체 (25 ℃에서). Mp = 62 ℃. 1H NMR (300 MHz, CDCl3): δ = 7.51 (dd, J = 7.8/1.5 Hz, 1H), 7.47 (bs, 1H), 7.33 (dd, J = 7.8/1.8 Hz, 1H), 7.24 (dd, J = 7.8/7.8 Hz, 1H), 3.93 (s, 1H). 13C NMR (75 MHz, CDCl3): δ = 140.8 (bs), 133.5, 132.3, 132.0, 131.1 (bs), 130.7, 130.0, 127.0, 122.1, 120.4 (q, 1JC-F = 254.8), 40.0. 19F NMR (282 MHz, CDCl3): δ = -61.12 (s).
3-(3'-클로로페닐)-4-(트리플루오로메톡시)-1-메틸피라졸
황색 오일 (25 ℃에서). 1H NMR (300 MHz, CDCl3): δ = 7.83 (bs, 1H), 7.69 (ddd, J = 6.9/1.8/1.2 Hz, 1H), 7.36 (d, J = 1.2 Hz, 1H), 7.29 (dd, J = 7.5/6.9 Hz, 1H), 7.27 (dd, J = 7.5/1.8 Hz, 1H), 3.80. 13C NMR (75 MHz, CDCl3): δ = 140.0, 134.4, 132.6, 130.5 (q, 3JC-F = 2.4), 129.7, 127.9, 126.3, 124.4, 122.9 (bs), 120.5 (q, 1JC-F = 256.4), 39.7. 19F NMR (282 MHz, CDCl3): δ = -61.25 (s).
2-푸릴 부분을 가지는 헤테로사이클의 산화 (화학식 VI의 화합물 합성):
n-헥산/AcOEt/H2O (1:1:2, C=0.1M)의 혼합물중 (2-푸릴)-피라졸 (1.0 eq.)의 용액에 NaIO4 (10 eq.) (첨가전 H2O에 미리 용해될 수 있다), 이어 RuCl3 (0.05M 수용액) (0.05 eq.)을 첨가하였다. 불균질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어, 혼합물을 고체 NaCl (4 g/mmol의 헤테로사이클) 및 최소량의 물에 부었다. 10 분간 격렬히 진탕한 후, 반응 혼합물을 AcOEt (x3)로 추출하였다 (모아진 수성층에 대해 pH=3-4). 유기층을 합해 MgSO4에서 건조시킨 뒤,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 목적하는 조 카복실산을 수득하였다. 반응은 또한 (2-푸릴)피리딘 또는 (2-푸릴)피리미딘을 사용하여서도 수행될 수 있다.
4-(트리플루오로메톡시)-3-카복시-1H-피라졸
백색 고체 (25 ℃에서). 1H NMR (300 MHz, (CD3)2CO): δ = 10.66 (bs, 1H), 7.94 (d, J = 0.9 Hz, 1H). 13C NMR (75 MHz, (CD3)2CO): δ = 160.4, 134.6 (bs), 131.2, 128.0, 121.4 (q, 1JC-F = 254.6). 19F NMR (282 MHz, (CD3)2CO): δ = -61.70 (s).
4-(트리플루오로메톡시)-3-카복시-1-메틸피라졸
백색 고체 (25 ℃에서). 1H NMR (300 MHz, (CD3)2CO): δ = 10.76 (bs, 1H), 7.98 (s, 1H), 3.98 (s, 3H). 13C NMR (75 MHz, (CD3)2CO): δ = 161.3, 134.7, 134.1 (q, 3JC-F = 2.7), 125.6, 121.3 (q, 1JC-F = 254.5), 40.7. 19F NMR (282 MHz, (CD3)2CO): δ = -61.86 (s).

Claims (15)

  1. (A) 화학식 II의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 시약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의 제조방법:
    Figure 112014081905945-pct00019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0

    상기 식에서,
    R1은 1 내지 5개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5-C10 아릴, 또는 산소 및 질소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C5-C10 아릴이고,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5-C10 아릴, 산소 및 질소로부터 선택되는 1, 2 또는 그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가지는 C5-C10 아릴이거나, 또는 함께, 5 또는 7 원 환을 형성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2-푸릴, 페닐, 또는 1 또는 2개의 염소 원자로 치환된 페닐이고,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인 방법.
  3. (A) 화학식 II의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 시약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제공하고,
    (B)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화학식 IV의 히드라진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V-1 또는 V-2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의 제조방법: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1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2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3

    R4-NH-NH2 (IV)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R4는 H, 또는 C1-C6 알킬이다.
  4. (A) 화학식 II의 CF3O-케톤을 아미노포르밀화 시약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제공하고,
    (B) 화학식 (I)의 엔아미노케톤을 화학식 IV의 히드라진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B)는 메탄올, 에탄올, 및 트리플루오로에탄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중에서 수행되는,
    화학식 V-1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을 위치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4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5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6

    R4-NH-NH2 (IV)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V-1)에서 R4는 제3항에 정의된 바와 같으나, 수소는 아니고,
    화학식 (IV)에서 R4는 제3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에 사용되는 아미노포르밀화 시약이 화학식 III-1의 화합물 및 화학식 III-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7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8

    상기 식에서,
    R2 및 R3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R5 및 R6은 C1-C6-알킬이다.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가 50 ℃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가 DMF,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중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B)가 0 ℃ 내지 5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9. R1이 2-푸릴이고, R4는 제3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V-1의 화합물을 산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VI의 트리플루오로메톡시피라졸산의 제조방법:
    Figure 112014081905945-pct00029

    상기 식에서, R4는 제3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10. 제9항에 있어서, 화학식 V-1의 화합물이 RuCl3/NaIO4, RuO4, O3, KMnO4, 및 CrO3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헥산/AcOEt/H2O, CCl4/CH3CN/H2O, H2O/MeCN/AcOEt, 및 H2O/CH2Cl2/MeCN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중에서 수행되는 방법.
  12.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112014081905945-pct00030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7024063A 2012-02-16 2013-02-13 Cf3o-함유 엔아미노케톤 및 cf3o-함유 피라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KR102085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56003.9 2012-02-16
EP12356003.9A EP2628722A1 (en) 2012-02-16 2012-02-16 CF3O-containing enaminoketones and their util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CF3O-containing pyrazoles
PCT/EP2013/052829 WO2013120876A1 (en) 2012-02-16 2013-02-13 CF3O-containing enaminoketones and their util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CF3O-containing pyrazo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596A KR20150002596A (ko) 2015-01-07
KR102085012B1 true KR102085012B1 (ko) 2020-03-05

Family

ID=4771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063A KR102085012B1 (ko) 2012-02-16 2013-02-13 Cf3o-함유 엔아미노케톤 및 cf3o-함유 피라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096535B2 (ko)
EP (2) EP2628722A1 (ko)
JP (2) JP6212056B2 (ko)
KR (1) KR102085012B1 (ko)
CN (1) CN104220419B (ko)
BR (1) BR112014019346B1 (ko)
DK (1) DK2822925T3 (ko)
ES (1) ES2701082T3 (ko)
IL (1) IL233625A (ko)
MX (1) MX368424B (ko)
TW (1) TWI597261B (ko)
WO (1) WO2013120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2727B1 (en) 2014-03-24 2018-01-31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preparing 3,5-bis(haloalkyl)pyrazole derivatives from alpha , alpha-dihaloamines and ketimines
EP3015458A1 (en) * 2014-11-03 2016-05-04 Bayer CropScience AG Process for preparing 3,5-bis(haloalkyl)pyrazole derivatives from a,a-dihaloamines and ketimines
MX2017017140A (es) * 2015-06-26 2018-03-09 Bayer Cropscience Ag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pirazoles sustituidos que contienen grupos haloalcoxi-y haloalquiltio a partir de a,a-dihaloalquilaminas y quetiminas.
US20200039920A1 (en) * 2016-10-19 2020-02-06 AGC Inc. Method for producing nitrogen-containing compound
MX2020011275A (es) 2018-04-25 2020-11-13 Bayer Ag Novedosos compuestos de heteroaril-triazol y hetroaril[-]tetrazol como plaguicid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682B1 (ko) * 1991-10-09 2000-05-01 제닌 페트릭 신규 페닐피라졸 살진균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3473B2 (ja) * 1988-07-04 1998-04-2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ピラゾールカルボン酸類の製造方法
FR2707295A1 (fr) * 1993-06-07 1995-01-13 Rhone Poulenc Agrochimie Fongicides pyrazoles substitués en position 3 par un hétérocycle.
JPH09169736A (ja) * 1995-12-21 1997-06-30 Nissan Chem Ind Ltd ピラゾール誘導体及び有害生物防除剤
JP2008513426A (ja) * 2004-09-20 2008-05-01 バイオリポックス エービー 炎症の治療に有用なピラゾール化合物
DE102006050516A1 (de) * 2006-10-26 2008-04-30 Bayer Healthcare Ag Substituierte Dihydropyrazolone und ihre Verwendung
WO2009001126A1 (en) 2007-06-27 2008-12-31 Astrazeneca Ab Substituted piper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baterial agents
DE102007036702A1 (de) * 2007-08-03 2009-02-05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sche kulturpflanzenverträgliche herbizide Kombinationen enthaltend Herbizide aus der Gruppe der Pyrazolyloxyphenyl-Derivate
AU2009246424A1 (en) * 2008-05-16 2009-11-19 Schering Corporation Glucagon receptor antagonist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DE102008024221A1 (de) * 2008-05-19 2009-11-26 Merck Patent Gmbh Herstellung von CF3O-Gruppen enthaltenden Verbindun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682B1 (ko) * 1991-10-09 2000-05-01 제닌 페트릭 신규 페닐피라졸 살진균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01082T3 (es) 2019-02-20
TW201336810A (zh) 2013-09-16
CN104220419B (zh) 2017-03-29
IL233625A (en) 2017-10-31
WO2013120876A1 (en) 2013-08-22
CN104220419A (zh) 2014-12-17
KR20150002596A (ko) 2015-01-07
BR112014019346A2 (ko) 2017-06-20
JP2015511944A (ja) 2015-04-23
JP6212056B2 (ja) 2017-10-11
JP2018008928A (ja) 2018-01-18
BR112014019346A8 (pt) 2017-07-11
BR112014019346B1 (pt) 2020-09-15
MX368424B (es) 2019-10-02
EP2822925A1 (en) 2015-01-14
EP2822925B1 (en) 2018-09-05
TWI597261B (zh) 2017-09-01
US20150018561A1 (en) 2015-01-15
EP2628722A1 (en) 2013-08-21
IL233625A0 (en) 2014-08-31
US9096535B2 (en) 2015-08-04
DK2822925T3 (en) 2019-01-07
MX2014009442A (es)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293B2 (ja) 1−アルキル−3−ハロアルキル−ピラゾール−4−カルボン酸誘導体を位置選択的に合成する方法
KR102085012B1 (ko) Cf3o-함유 엔아미노케톤 및 cf3o-함유 피라졸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JP5503562B2 (ja) 1−アルキル−3−ハロアルキルピラゾール−4−カルボン酸誘導体を位置選択的に合成する方法
EP2473485B1 (en) Process for preparing 1-phenylpyrazoles
BR112015004097B1 (pt) Procedimento para a descarboxilação de derivados do ácido 3,5-bis (haloalquil) -pirazol-4-carboxílico
EP3068769B1 (en) Process for preparing 3,5-bis(haloalkyl)pyrazole derivatives from alpha, aplha-dihaloamines
DK2882717T3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PERFLUORALLY COOL-CONTAINED PYRAZOL CARBOXYLATES
DK3122727T3 (en) METHOD FOR PREPARING 3,5-BIS (HALOGENAL COOL) PYRAZOLD DERIVATIVES OF ALFA, ALFA-DIHALOGENAMINES AND KETIMINES
US10273215B2 (en)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pyrazoles containing haloalkoxy- and haloalkylthio groups from alpha,alpha -dihaloalkylamines and ketimines
DK3046908T3 (en) METHOD FOR PREPARING 5-FLOUR-1-ALKYL-3-FLOURALKYL-1H-PYRAZOL-4-CARBALDEHY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