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897B1 -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897B1
KR102084897B1 KR1020190150322A KR20190150322A KR102084897B1 KR 102084897 B1 KR102084897 B1 KR 102084897B1 KR 1020190150322 A KR1020190150322 A KR 1020190150322A KR 20190150322 A KR20190150322 A KR 20190150322A KR 102084897 B1 KR102084897 B1 KR 10208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ag
wheelchair
seat
storage devic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2334A (ko
Inventor
전흥기
김동준
박희정
우슬기
이정민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9015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8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를 통해 소변백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하는 수납본체와; 상기 수납본체를 휠체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Apparatus attachable to wheelchair for receiving urine bag and wheelchair capable of receiving urine bag}
본 발명은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소변백을 사용하여야 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변백은 항상 환자의 허리보다 낮게 위치시켜야 한다.
그런데, 환자가 휠체어를 사용할 경우 환자가 소변백을 허리보다 낮게 위치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기존의 휠체어에는 등받이 바깥쪽에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곳은 환자의 허리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이다.
보호자가 있는 경우에도 보호자는 서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역시 소변백을 환자의 허리보다 낮게 위치시키기가 매우 불편하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045319호(의자용 착탈식 수납함, 2011년 6월 29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에 있어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를 통해 소변백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하는 수납본체와; 상기 수납본체를 휠체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납기구는, 상기 수납본체가 상기 휠체어의 시트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휠체어에 고정되며, 상기 휠체어에 고정 시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시트의 전방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소변백을 비스듬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단부를 상기 휠체어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단부를 상기 휠체어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소변백 수납 시 상기 소변백의 무게에 의해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는, 상기 시트와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시트와 밀착하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에 접근 및 이격할 수 있는 제3부분; 및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을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를 포함하는 휠체어 본체와; 상기 시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 중 상기 시트의 전방단부에 인접한 제1단부는 상기 시트와 밀착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 중 상기 시트의 후방단부와 인접한 제2단부는 상기 시트와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에 소변백을 수납하면 상기 제2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시트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소변백을 비스듬히 수용하는 휠체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단부는 열려 있거나 열려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단부는 닫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단부와 상기 휠체어 본체를 연결하는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변백 수납 시 상기 신축부재는 길이가 증가하여 상기 제2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소변백 제거 시 상기 신축부재는 길이가 감소하여 상기 제2단부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단부는, 상기 시트와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시트와 밀착되어 있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에 접근 및 이격할 수 있는 제3부분; 및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을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소변백 수납 시 상기 제2부분은 길이가 증가하여 상기 제3부분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소변백 제거 시 상기 제2부분은 길이가 감소하여 상기 제3부분을 상기 제1부분에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소변백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소변백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고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납기구(10)는 수납본체(11)와 고정부재(12a 내지 12d)를 포함한다.
수납본체(11)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열려져 있는 제1단부와 닫혀져 있는 제2단부를 포함한다. 제1단부와 제2단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1실시예에서 수납본체(11)는 사각형 형상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달형, 원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단부는 항시 열려져 있는 형태가 아닌 지퍼나 단추 등을 이용하여 열림/닫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납본체(1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종이, 비닐 또는 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납본체(11)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고정부재(12a 내지 12d)는 수납본체(11)의 네 모서리에 연결되어 있으며, 끈 형상을 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고정부재(12a 내지 12d)의 각 단부는 갈고리 벨크로(121) 및 걸림고리 벨크로(12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12a 내지 12d)의 벨크로(121, 122)를 이용해 도 3과 같이 각 고정부재(12a 내지 12d)는 휠체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수납기구(10)는 휠체어에 착탈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2a 내지 12d)의 개수 및 수납본체(11)와의 부착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각 고정부재(12a 내지 12d)의 길이 및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수납기구(10)를 휠체어의 시트 하부에 고정한다. 이 때 제1단부가 휠체어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제2단부를 휠체어의 후방을 향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부재(12a 내지 12d)의 고정위치를 조절하여 제1단부보다 제2단부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1단부는 시트의 전방 말단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소변백을 이용하는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소변백을 수납기구(10)의 수납공간에 넣고 시트에 착석하거나, 시트에 착석 후 소변백을 수납기구(10)의 수납공간에 넣게 된다. 수납기구(10)가 시트의 바로 아래에 있기 때문에 환자 혼자서도 소변백을 수납기구(10)에 손쉽게 넣을 수 있다.
착석 상태에서 수납기구(10)에 수용된 소변백은 자연스럽게 환자의 허리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소변백은 비스듬하게 즉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휠체어 사용을 마치면 고정부재(12a 내지 12d)를 휠체어에서 분리하여 수납기구(10)를 별도 장소에 보관한다. 수납기구(10)는 휠체어 등받이에 있는 수납공간에 수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따라 수납기구(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수납기구(10)를 휠체어에 부착시켜 놓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시도로, 하나의 고정부재(12a)만 나타내었다. 각 고정부재(12a 내지 12d)의 단부에는 고리(123)가 연결되어 있으며, 고리(123)를 이용하여 휠체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 제2단부에 연결된 고정부재(12c 및 12d)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7a와 같이 수납기구(10)는 전체가 시트에 밀착되도록 휠체어에 장착된다. 소변백 수납 시에는 도 7b와 같이 제2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가진 고정부재(12c 및 12d)가 연장된다. 이에 의해 제2단부가 시트에서 멀어지도록 하부로 이동하며, 소변백은 경사지게 수납된다. 소변백을 제거하면 고정부재(12c 및 12d)가 다시 수축하여 수납기구(10)는 전체가 시트에 밀착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10)를 사용하면 수납기구(10)가 휠체어에 장착되어 있어도 휠체어를 접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납기구를 설명한다.
도 8a와 같이 수납기구(10)의 제2단부는 서로 평행한 제1부분 및 제3부분을 포함하며, 제2부분은 제1부분과 제3부분을 연결하고 있다. 제1부분은 시트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제2부분은 탄력이 있는 주름 형식으로 되어 신축 가능하다. 수납기구(10)는 전체가 시트에 밀착되도록 휠체어에 장착된다.
도 8b와 같이 소변백 수납 시 제2부분은 주름이 펴지면서 신장되어 제3부분을 하부방향으로, 즉 제1부분과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소변백은 경사지게 수납된다. 소변백을 제거하면 제2부분은 주름 형식으로 수축되어 수납기구(10) 전체를 시트 하부에 밀착시킨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소변백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소변백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휠체어(1)는 휠체어 본체(20)와 수납부(10, 수납장치)를 포함하며, 휠체어 본체(20)는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시트(21)를 포함한다. 수납부(10)는 시트(21)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수납부(10)는 수납본체(11)와 신축부재(13)를 포함한다.
수납본체(11)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열려져 있는 제1단부와 닫혀져 있는 제2단부를 포함한다. 제1단부와 제2단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제1실시예에서 수납본체(11)는 사각형 형상이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달형, 원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단부는 항시 열려져 있는 형태가 아닌 지퍼나 단추 등을 이용하여 열림/닫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납본체(1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종이, 비닐 또는 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납본체(11)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수납본체(11)의 제1단부는 시트(21)의 전방, 즉 휠체어(1)의 앞쪽에 위치하며, 접착, 재봉 등의 방법으로 휠체어 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제2단부는 휠체어 본체(2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신축부재(13)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일단부는 제2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시트(21)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일단부 및 타단부의 고정은 접착 또는 별도의 고정도구 사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와 같이 소변백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축부재(13)의 신축성에 의해 제2단부 및 신축부재(13)는 시트(21)의 하부에 밀착되어 있다.
도 12a와 도 12b와 같이 소변백을 수납하면 소변백의 무게에 의해 신축부재(13)가 연장되어 제2단부를 시트(21)에서 멀어지게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소변백은 경사지게 수용된다. 소변백을 제거하면 다시 제2단부는 시트(21)의 하부에 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납부(10)는 제3실시예의 수납장치와 유사하게 제2단부가 주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때 제1부분은 시트(21)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1: 휠체어
10: 수납기구(수납부)
11: 수납본체
12a 내지 12d: 고정부재
121: 갈고리 벨크로
122: 걸림고리 벨크로
123: 고리
13: 신축부재
20: 휠체어 본체
21: 시트

Claims (8)

  1.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를 포함하는 휠체어 본체; 및
    상기 시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를 통해 소변백을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하는 수납본체 및 상기 제2단부와 상기 휠체어 본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신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전방단부에 인접한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시트와 밀착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의 후방단부와 인접한 상기 제2단부는 상기 시트와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신축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2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신축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수납부에 상기 소변백을 수납하면 상기 한 쌍의 신축부재의 길이가 증가하여 상기 제2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시트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소변백을 비스듬히 수용하고,
    상기 수납부에 상기 소변백을 제거하면 상기 한 쌍의 신축부재의 길이가 감소하여 상기 제2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신축부재가 상기 시트의 하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2단부는,
    상기 시트와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시트와 밀착되어 있는 제1부분;
    상기 제1부분에 접근 및 이격할 수 있는 제3부분; 및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을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소변백 수납 시 상기 제2부분은 길이가 증가하여 상기 제3부분을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소변백 제거 시 상기 제2부분은 길이가 감소하여 상기 제3부분을 상기 제1부분에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는 열려 있거나 열려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단부는 닫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50322A 2019-11-21 2019-11-21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KR10208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22A KR102084897B1 (ko) 2019-11-21 2019-11-21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322A KR102084897B1 (ko) 2019-11-21 2019-11-21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621A Division KR20190048095A (ko) 2017-10-30 2017-10-30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34A KR20190132334A (ko) 2019-11-27
KR102084897B1 true KR102084897B1 (ko) 2020-03-04

Family

ID=6873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322A KR102084897B1 (ko) 2019-11-21 2019-11-21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8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8504A (ja) * 2014-01-07 2015-07-16 学校法人関西医科大学 採尿バッグ収容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19B1 (ko) 2009-12-22 2011-06-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의자용 착탈식 수납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8504A (ja) * 2014-01-07 2015-07-16 学校法人関西医科大学 採尿バッグ収容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334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6722B2 (ja) フレーム部材と取外し可能に取付けられた膜とを備えたタオルマット
US6951368B2 (en) Chair covers
US20110049951A1 (en) Portable chair cover for stackable chairs
US20030177575A1 (en) Infant playyard
KR102084897B1 (ko)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KR200380290Y1 (ko) 분리 가능한 접이식 매트리스
JP6953656B2 (ja) 折りたたみ携帯便座
USD867000S1 (en) Flexible book stool
US5058225A (en) Inflatable mattress, changeable to chair
KR101219152B1 (ko) 의자 겸용 배낭
US20120192355A1 (en) Changing table
KR100872558B1 (ko) 유아침구용 가방
KR20190048095A (ko) 휠체어에 착탈가능한 소변백 수납기구 및 소변백 수납가능한 휠체어
USD478138S1 (en) Exercising stretching and backrest apparatus
JP7005001B2 (ja) ポータブル寝具
KR101247959B1 (ko) 휠체어용 보조기구
JP5270978B2 (ja) 車椅子用クッション部材
JP3225037U (ja) 膝掛け毛布付きクッション
KR102435584B1 (ko) 유아침구 겸용 가방
JP3168533U (ja) 腹筋補助クッション
JP2019213626A (ja) 携帯型ベビーベッド
JP2504071Y2 (ja) 幼児用抱き具
JP2004209207A (ja) 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用枕保持材
JP5527703B1 (ja) 腰部包囲座布団
KR102362299B1 (ko) 좌식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접이식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