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620B1 -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620B1
KR102084620B1 KR1020180060898A KR20180060898A KR102084620B1 KR 102084620 B1 KR102084620 B1 KR 102084620B1 KR 1020180060898 A KR1020180060898 A KR 1020180060898A KR 20180060898 A KR20180060898 A KR 20180060898A KR 102084620 B1 KR102084620 B1 KR 102084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s
intensities
rotor
permanent magnet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643A (ko
Inventor
허진
이동호
정채림
이승태
임준혁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은, (a) 각 자석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각 자석의 회전자 내의 초기 위치를 임의로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자석들의 세기의 편차가 서로 상쇄될 때까지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는 단계; 및 (d) 최종 선정된 위치로 상기 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각 영구자석들의 편차를 서로 상쇄할 수 있는 배치 조건을 적용하여 영구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함으로써 회전자에 조립되는 영구자석들의 세기의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을 저감하여 토크리플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PERMANENT MAGNET ASSEMBLY METHOD IN ROTOR FOR REDUCING SLOT HARMONIC COMPONENTS OF COGGING TORQUE IN PERMANENT MAGNET TYPE MOTORS}
본 발명은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제작과정에서, 기 착자된(Pre-magnetized) 자석들을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이 저감되도록 회전자에 조립하는,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산업분야에서 영구자석형 전동기를 채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영구자석형 전동기가 높은 출력밀도와 효율 등급을 가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구자석형 전동기는 구조적으로 높은 토크리플을 가진다. 토크리플은 소음과 진동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에 민감한 공조기나 정밀 가공장비에서는 치명적인 단점이 된다. 따라서 해당 산업분야들에 영구자석형 전동기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토크리플의 최소화가 필수이다.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토크리플의 원인은 구조적인 이유로 발생하는 성분과 입력 전원의 고조파 성분에 의한 것,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이 중 전동기의 설계과정에서 가장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이 구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코깅토크이다. 코깅토크는 평균 토크에는 기여하지 않고 오로지 토크의 리플 성분만이 된다. 이 때문에 이를 저감하기 위한 연구가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방법들은 전동기가 형상적으로 그리고 자기적으로 이상적이라는 가정하에 도출하였기 때문에 실제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 공차와 오차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여러 제조 공차와 오차로 인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검토된 코깅토크와 달리 항상 예측하지 못한 코깅토크 성분들이 추가로 발생한다. 따라서 코깅토크에 민감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전동기를 제작할 때 발생하는 오차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한편, 영구자석형 전동기를 대량 양산이 아닌 맞춤형 소량 생산을 할 경우, 흔히 영구자석과 회전자의 조립 공정 순서는 ‘조립 후 착자’가 아닌 ‘착자 후 조립’의 순서로 진행한다. 이때 상용 자석들을 사용하는데, 이 자석들은 제조 및 착자 공정의 오차에 따라 그 세기의 편차가 존재한다. 종래에는 각 자석들의 세기의 편차를 크게 고려하지 않고 조립하기 때문에 자석의 불균일성에 의한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이 발생하고, 이는 전동기의 리플과 소음 및 진동 특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KR 10-2017-0044934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영구자석들의 편차를 서로 상쇄할 수 있는 배치 조건을 적용하여 영구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함으로써 전동기에서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의 발생을 저감하여 토크 리플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은,
(a) 각 자석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각 자석의 회전자 내의 초기 위치를 임의로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자석들의 세기의 편차가 서로 상쇄될 때까지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는 단계; 및
(d) 최종 선정된 위치로 상기 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c-2)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을 각각 계산하는 단계;
(c-3)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c-4)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고 상기 단계 (c-2)로 진행하는 단계;
(c-5)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을 계산하는 단계;
(c-6)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c-7)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다시 선정하고, 상기 단계 (c-2)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d)는,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고,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최종 선정된 위치로 상기 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1)에서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위치는,
Figure 112018052473992-pat00001
에 의해 계산되고,
N은 기준 극으로부터 같은 토크위상을 갖는 극의 위치를 순서로써 나타낸 값을 의미하고, P는 극수이며, S는 슬롯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에 의하면, 각 영구자석들의 편차를 서로 상쇄할 수 있는 배치 조건을 적용하여 영구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함으로써 회전자에 조립되는 영구자석들의 세기의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을 저감하여 토크리플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8극 12슬롯, 도 1b는 10극 12슬롯, 도 1c는 14극 12슬롯을 가진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자석의 불균일성에 따른 코깅토크 변화를 예시한 도면으로, 도 2a는 8극 12슬롯, 도 2b는 10극 12슬롯, 도 2c는 14극 12슬롯을 가진 전동기에서의 코깅토크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1개의 극과 12개의 슬롯을 가진 전동기의 코깅토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1극 전동기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1극 전동기의 코깅토크 및 코깅토크의 고조파 성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모든 공산품의 품질은 편차를 갖는다. 각 자석제조사의 제품은 모두 잔류자속밀도(Br)가 특정 범위 내에서 편차를 가지고 있다. 현실적으로 이 불균일한 자화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석들의 불균일성은 어느 전동기에나 존재한다. 이 불균일한 세기의 자석들이 회전자에 존재하게 되면 코깅토크의 슬롯 고조파 성분이 발생하는데, 이는 전동기의 설계 단계에서 예측하기 힘든 코깅토크의 변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여러 제작 오차 중에서 회전자에 삽입되는 자석들이 서로 불균일한 자화 상태를 가짐으로써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코깅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석의 불균일한 자화란, 각 자석들의 착자율이 서로 달라서 그 세기가 서로 다른 경우를 의미한다. 불균일한 착자의 원인은 착자 요크의 가공오차와 슬롯 내 착자 권선 위치의 불균일함, 착자 요크 내 자석의 위치 오차 등에서 비롯된다.
본 발명은 영구자석 전동기의 회전자 제작 방법 중 ‘맞춤형 소량 생산’에 적합한 ‘착자 후 조립’공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자석들의 회전자 내 배치 조건’을 제시한다. 자석의 세기는 잔류자속밀도(Br)로 판단하는데 상용 자석들의 경우 잔류자속밀도(Br)의 편차가 최대 5.8%까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불균일한 자석 세기가 코깅토크에 미치는 영향을 보이기 위한 예시 모델이다. 회전자 내 각 자석들의 편차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도 2와 같이 슬롯고조파 성분(Tslot)에 의해서 코깅토크(Tcog Uneven)가 이상적인 상태의 코깅토크(Tcog Ideal) 대비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전동기의 토크리플 특성에 민감한 장치의 경우, 작지 않은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의 편차를 반드시 고려하여 전동기를 제작해야 한다.
자석들이 가지는 세기의 편차에 따른 슬롯 고조파 코깅토크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면 그 영향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정 조건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코깅토크란, 계자(영구자석) 자속이 상대적으로 릴럭턴스가 작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따른 토크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자석이 철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하는 것과 같은 힘이다.
도 3a와 같이 12개의 슬롯을 가진 전동기의 회전자 내에 단 하나의 극(자석)만을 가정한다면 전동기의 회전에 따라 코깅토크는 도 3b와 같이 발생한다. 도 3b는 1개의 자석에 의한 코깅토크와 그 고조파특성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여러 고조파 성분 중 가장 두드러지게 큰 성분이 바로 1차 고조파 토크이다. 1차 고조파의 주기는 슬롯 피치각과 같다. 즉, 회전자가 360°의 회전을 이룰 때 1차 고조파 성분은 슬롯 개수만큼의 주기를 가지므로 이 성분을 ‘슬롯고조파 코깅토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실제 전동기를 설계할 때에는, 앞선 가정처럼 1개의 극만으로는 정상적인 회전력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최소 2개 이상의 극을 사용한다. 이때 슬롯의 개수가 극수의 정수배가 되는 조합이 아니라면 각 극에서 발생하는 '슬롯고조파 코깅토크 성분’은 서로 상쇄되어 사라진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각 극이 가지는 위상에 주목해야 한다. 여러 개의 극과 위상을 고려하여 슬롯고조파 코깅토크(Tslot)를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8052473992-pat00002
여기서, R은 공극의 중간 지점까지의 반지름, Lstk는 적층길이, Ftxy는 x번째 극에 의해 발생하는 y차 고조파 항의 자기력, θ는 회전각도, nP는 극의 순서, P는 극수, S는 슬롯 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1의 값이 '0'이 되는 경우에는 Tslot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a의 예시 모델의 극, 슬롯 수(8극 12슬롯)를 수학식 1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8052473992-pat00003
수학식 2에 따르면, 8극 12슬롯의 경우에는 각 극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의 위상이 두 가지이다.
또한, 그 두 가지 위상의 차이가 'π(180°)'이므로, 서로 반전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 Tslot이 '0'이 될 조건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52473992-pat00004
수학식 3의 조건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맥스웰 스트레스 텐서(Maxwell Stress Tensor) 이론에 따라 각 자석의 세기(BrP)에 대하여 아래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Figure 112018052473992-pat00005
이와 더불어 N극으로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으로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 역시 같아야 전체 극의 불균형을 상쇄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 수학식 5의 조건 역시 만족시켜야 한다.
Figure 112018052473992-pat00006
각 자석들의 세기(Br)가 모두 같다면 위의 조건들은 모두 성립되고 슬롯고조파가 상쇄되어 사라진다. 하지만, 일반 상용자석과 같이 세기의 편차가 존재한다면 위에 제시한 성질을 이용하여 자석의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자석의 위치를 선정하는 일련의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은, 각 자석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S400), 상기 각 자석의 회전자 내의 초기 위치를 임의로 선정하는 단계(단계 S402), 상기 자석들의 세기의 편차가 서로 상쇄될 때까지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는 단계(단계 S404 내지 단계 S414), 및 최종 선정된 위치로 상기 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하는 단계(단계 S416)를 포함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 S400에서, 회전자에 조립할 각 자석의 세기를 측정한다.
단계 S402에서, 상기 각 자석의 회전자 내의 초기 위치를 임의로 선정한다.
단계 S404에서,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 단계에서는, 다수의 극(자석) 중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극들(자석들)을 도출한다.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극들(자석들)의 위치는 수학식 6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8052473992-pat00007
여기서 N은 기준 극으로부터 같은 토크위상을 갖는 극의 위치를 순서로써 나타낸 값을 의미하고, P는 극수이며, S는 슬롯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8극 12슬롯을 갖는 전동기의 경우, 'N=2'이고, 10극 12슬롯을 갖는 전동기의 경우 'N=5'이며, 14극 12슬롯을 갖는 전동기의 경우 'N=7'이다. 따라서, 8극 12슬롯을 갖는 전동기의 경우 N=2이고, 이 경우, 회전자에서 홀수번째 위치한 자석들은 동일한 토크위상을 갖고, 짝수번째 위치한 자석들은 동일한 토크위상을 갖게 된다.
단계 S406에서,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을 각각 계산한다.
단계 S408에서,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Br)의 제곱의 합들(Z1 내지 Zn)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8극 12슬롯을 갖는 전동기의 경우, 홀수번째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과 짝수번째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Br)의 제곱의 합들(Z1 내지 Zn)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410에서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고 상기 단계 S406으로 진행한다.
즉, 단계 S406, S408 및 S410은,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 모두에 대해 세기(Br)의 제곱의 합들(Z1 내지 Zn)이 최대한 같아질 때까지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자석들의 세기(Br)의 제곱의 합들(Z1 내지 Zn)이 서로 완벽하게 일치하기는 어려우므로, 약간의 오차를 두어 허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단계 S412에서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BN)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BS)을 계산한다.
단계 S414에서,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410에서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다시 선정하고, 상기 단계 S406으로 진행하여, 단계 S406 내지 단계 S414의 과정을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고, 상기 N극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단계 S416에서 최종 선정된 위치로 상기 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할 때까지 그리고 N극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할 때까지 영구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고, 영구자석들을 최종 선정된 위치로 회전자에 조립함으로써, 영구자석들의 세기의 편차가 존재하더라도, 각 자석의 세기의 편차가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의 발생을 저감하여 전동기의 토크리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S400 : 자석 세기 측정 단계
S402 : 자석 위치 선정 단계
S404 : 동일 토크위상의 자석 위치 계산 단계
S406 : 동일 토크위상의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 계산 단계
S408 : 제곱의 합 비교 단계
S410 : 자석의 위치 재선정 단계
S412 : N극 자석들 세기의 총합과 S극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 계산 단계
S414 : N극 자석들 세기의 총합과 S극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 비교 단계
S416 : 선정된 위치로 자석 조립 단계

Claims (3)

  1. (a) 각 자석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각 자석의 회전자 내의 초기 위치를 임의로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자석들의 세기의 편차가 서로 상쇄될 때까지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는 단계; 및
    (d) 최종 선정된 위치로 상기 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c)는,
    (c-1)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c-2)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을 각각 계산하는 단계;
    (c-3)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c-4)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재선정하고 상기 단계 (c-2)로 진행하는 단계;
    (c-5)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을 계산하는 단계;
    (c-6)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c-7)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석들의 위치를 다시 선정하고, 상기 단계 (c-2)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는,
    상기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세기의 제곱의 합들이 서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고, 상기 N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과 S극에 위치한 자석들의 세기의 총합이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최종 선정된 위치로 상기 자석들을 회전자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1)에서 동일한 토크 위상을 갖는 자석들의 위치는,
    Figure 112019110244602-pat00008
    에 의해 계산되고,
    N은 기준 극으로부터 같은 토크위상을 갖는 극의 위치를 순서로써 나타낸 값을 의미하고, P는 극수이며, S는 슬롯 수를 나타내는,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KR1020180060898A 2018-05-29 2018-05-29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KR10208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98A KR102084620B1 (ko) 2018-05-29 2018-05-29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98A KR102084620B1 (ko) 2018-05-29 2018-05-29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43A KR20190135643A (ko) 2019-12-09
KR102084620B1 true KR102084620B1 (ko) 2020-03-05

Family

ID=6883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98A KR102084620B1 (ko) 2018-05-29 2018-05-29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6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622A (ja) 2010-09-24 2012-04-05 Siemens Ag 磁石配置を決定する方法
JP2017070100A (ja) * 2015-09-30 2017-04-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ータにおける磁石の配置位置を学習する機械学習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該機械学習装置を備えたロータ設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6685B2 (ja) * 1997-01-21 2005-06-08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永久磁石形回転機における界磁磁極の構成方法
KR20170044934A (ko) 2015-10-16 2017-04-26 현대위아 주식회사 W 타입 영구자석 배치를 갖는 회전자 및 모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622A (ja) 2010-09-24 2012-04-05 Siemens Ag 磁石配置を決定する方法
JP2017070100A (ja) * 2015-09-30 2017-04-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ータにおける磁石の配置位置を学習する機械学習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該機械学習装置を備えたロータ設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43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992B1 (ko) 전동기
AU2005325361B2 (en) Armature, motor,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m
CN101283499A (zh) 旋转电机
Ho et al. An optimal design method for the minimization of cogging torques of a permanent magnet motor using FEM and genetic algorithm
Ma et al. Mitigation of unbalanced magnetic force in a PM machine with asymmetric winding by inserting auxiliary slots
CN113054768A (zh) 电动机的机架结构以及电动机的机架和电枢的制造方法
KR20150109820A (ko) Bldc 모터
KR102084620B1 (ko)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코깅토크 슬롯고조파 성분 저감을 위한 회전자 내 영구자석 조립 방법
Eklund et al. Air gap magnetic flux density variations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in a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
Gulec et al. Influence of magnet grouping in reduction of cogging torque for a slotted double-rotor axial-flux PM motor
Qi et al. Analytical analysis of cogging torque in permanent magnet machines with unequal north and south pol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onsequent pole machines
JP5183608B2 (ja) 同期電動機の回転子
Gašparin et al. Cogging torque sensitivity to permanent magnet tolerance combinations
Behbahanifard et al. Cogging torque reduction in line start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CN103973010A (zh) 转子以及电动机
US784757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evaluate permanent magnet motors
CN1065685C (zh) 部件之间可以相互运动的电动机
KR20160053560A (ko) 회전 전기기기의 회전자
CN111384801B (zh) 旋转电机的转子
US11031849B2 (en) Linear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un et al. Sensitivity comparison of open-circuit airgap flux between surface-mounted permanent magnet and spoke-type permanent magnet machines considering manufacturing tolerances
Jing et al. Exact analytical method for magnetic field computation in the concentric magnetic gear with Halbach permanent-magnet arrays
JP5699948B2 (ja) 保磁力分布磁石の保磁力特定方法
Lee et al. Optimal design of the magnetizing fixture using Taguchi robust design in the ring-type PMSM
JP2010081754A (ja) 永久磁石式回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