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469B1 -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469B1
KR102084469B1 KR1020180076566A KR20180076566A KR102084469B1 KR 102084469 B1 KR102084469 B1 KR 102084469B1 KR 1020180076566 A KR1020180076566 A KR 1020180076566A KR 20180076566 A KR20180076566 A KR 20180076566A KR 102084469 B1 KR102084469 B1 KR 102084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terminal
video call
quality
original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3598A (ko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469B1/ko
Priority to JP2019108788A priority patent/JP7431514B2/ja
Priority to US16/453,200 priority patent/US11343299B2/en
Publication of KR2020000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9Determining service level performance parameters or violations of service level contracts, e.g. violations of agreed response time 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8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 H04L41/509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based on type of value added network service under agreement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media content delivery, e.g. audio, video or 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영상통화 서비스에 따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하는 단계,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해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 지표의 산출을 위해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한 프레임들로서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MEASURING QUALITY OF VIDEO CALL SERVICE}
아래의 설명은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영상통화 중에 송신단말의 카메라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원본영상과 대체하여 전송하고 수신단말에서 수신한 원본영상을 분석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영상통화 품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바일 인터넷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고속/대용량 모바일 서비스가 보편화 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음성 위주의 통화에서 영상을 이용한 통화로의 변화가 매우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영상통화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기준 및 평가 방법을 마련한 필요성이 당연하게 제기되고 있다. 서비스 품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신속한 원인을 파악과 대처가 필요하고 최종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품질이 정해진 수준을 만족하는지에 대한 평가 및 모니터링 또한 필요하다.
반면, 실제 사용자가 체감하는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 측정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종래의 연구나 표준은 IPTV나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와 같이 단방향 서비스에 적합하고 영상 통화와 같은 실시간 양방향 서비스에 직접 적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5726호는 고성능의 계측기를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부호화된 대용량 비디오 컨텐츠의 손실을 프레임에 포함된 단위구조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품질 측정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객관 평가 방법은 접근 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품질을 평가하기 때문에 영상 통화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을 나타내기에 부족한 면이 있다.
영상통화 중에 송신단말의 카메라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원본영상과 대체하여 전송하고 수신단말에서 수신한 원본영상을 분석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영상통화 품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수신되는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들과 원본 프레임마다의 인덱스 및 타임스탬프에 기반하여 FR(Full-Reference) 방식 및 NR(No-Reference) 방식 모두에 대해 품질 지표를 생성할 수 있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영상통화 품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치에 기반하여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을 원본영상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영상통화 중인 단말들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송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 서비스에 따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하는 단계;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해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 지표의 산출을 위해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한 프레임들로서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각각을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계된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 지표를 산출하도록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계된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제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원본 프레임들을 위한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상기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FR 방식으로 상기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및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과 연관된 타임스탬프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NR 방식으로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타임스탬프는 대응하는 원본 프레임이 상기 송신단말에서 전송된 시각 및 상기 대응하는 원본 프레임이 상기 수신단말에 수신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수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말로부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해 상기 송신단말의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송신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됨 -; 및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1 단말과 제2 단말간의 영상통화 중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치별 원본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영상통화를 진행 중인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원본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검출된 원본영상의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하여 표시 또는 전송하도록 상기 검출된 원본영상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송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영상통화 서비스에 따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하고,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해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로 대체하고,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 지표의 산출을 위해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한 프레임들로서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단말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수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말로부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해 상기 송신단말의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송신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됨 -,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을 제공한다.
영상통화 중에 송신단말의 카메라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원본영상과 대체하여 전송하고 수신단말에서 수신한 원본영상을 분석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수신되는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들과 원본 프레임마다의 인덱스 및 타임스탬프에 기반하여 FR(Full-Reference) 방식 및 NR(No-Reference) 방식 모두에 대해 품질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에 기반하여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을 원본영상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영상통화 중인 단말들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통화 품질 측정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단말 관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단말 관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FR 방식의 품질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NR 방식의 품질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이후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후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영상통화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검색 서비스, 메일 서비스,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카메라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영상통화 품질 측정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단말(310)과 제2 단말(320)이 영상통화를 진행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제1 단말(310)과 제2 단말(320) 각각은 영상통화를 위한 미디어(영상, 오디오 등)의 송신단말이자 동시에 수신단말일 수 있으나,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송신단말로서의 제1 단말(310)이 수신단말로서의 제2 단말(320)에게 미디어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일반적인 영상통화의 과정에서 제1 단말(310)은 카메라(311)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인 입력 신호(312)를 인코더 및 패킷타이저(313)를 통해 인코딩 및 패킷타이징하여 미디어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미디어 스트림을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2 단말(320)로 전달할 수 있다. 영상통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미디어 스트림은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를 통해 제1 단말(310)에서 제2 단말(3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단말(320)은 제1 단말(310)로부터 수신되는 미디어 스트림을 디코더 및 디패킷타이저(321)를 통해 디코딩 및 디패킷타이징하여 출력 신호(322)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영상통화의 과정이라면 제2 단말(320)은 출력 신호(322)를 출력부(323)를 통해 출력하여 영상통화를 위한 영상과 오디오 등이 제2 단말(3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제2 단말(320) 역시 유사한 방법으로 제1 단말(310)로 영상통화를 위한 영상과 오디오 등을 전달하여 제1 단말(310)이 영상과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제1 단말(310)과 제2 단말(320)간의 영상통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제1 단말(310)은 입력 신호(312) 대신 제1 저장소(314)에 저장되어 있던 원본영상을 제2 단말(320)로 전송할 수 있다. 우선, 제1 단말(310)은 원본영상을 원본영상 가공부(315)를 통해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생성된 원본영상과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 및/또는 해상도 등이 서로 맞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제1 단말(310)은 원본영상 가공부(315)를 통해 원본영상의 프레임률과 해상도가 품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 및 해상도에 대응되도록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률이 15 fps(frame per second)이고 원본영상의 프레임률이 30 fps인 경우 원본영상을 한 프레임씩 건너뛰면서 대체할 수 있다.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의 인덱스가 '1, 2, 3, 4, 5, 6, 7, ?'과 같이 부여된 경우, '1, 3, 5, 7, ?'의 원본 프레임들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들과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310)은 입력 신호(312)로서 포함된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312)가 인코딩 및 패킷타이징되어 제2 단말(320)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단말(320)은 미디어 스트림의 형태로 전송되는 입력 신호를 디코딩 및 디패킷타이징하여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출력 신호(322)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반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이 분석 모듈(33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분석 모듈(330)은 제2 단말(320)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2 단말(320)과 연계된 별도의 분석단말(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분석 모듈(330)이 제2 단말(320)에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분석 모듈(330)이 FR(Full-Reference) 모델(331), RR(Reduced-Reference) 모델(332) 및 NR(No-Reference) 모델(333) 및 제2 저장소(33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에 따라 RR(Reduced-Reference) 모델(332)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제2 저장소(334)가 분석 모듈(330)이 아닌 제2 단말(320)이나 앞서 설명한 별도의 분석단말에 포함될 수도 있다.
FR 모델(331)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이 포함하는 인덱스를 통해 제2 저장소(334)에 저장된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에서 동일한 인덱스의 원본 프레임들을 찾아 서로 비교하는 FR 방식으로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제1 품질 지표들을 산출할 수 있다. FR 방식은 원본영상과 처리영상을 모두 알 수 있는 경우에 이들을 직접 비교하여 수신된 처리영상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일례로, PSNR(Peak Signal-to-Noise Ratio)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FR 방식은 원본영상(일례로, 제2 저장소(334)에 저장된 원본영상)과 처리영상(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하게 사람이 인식하는 화질의 측정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실제 응용에 있어서는 원본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용범위가 제한 된다. FR 방식은 단순히 픽셀(pixel)별 왜곡(노이즈) 정도를 측정하는 PSNR(Peak Signal-to-Noise Ratio)에서부터 인간의 시각 시스템(Human Visual System, HVS)을 고려하는 방식, 머신 러닝을 통해 평가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일실시예로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에서 표준 진행 중인 'Video Codec Testing and Quality Measurement(draft-ietf-netvc-testing-01)'에서 채택한 방법이 FR 방식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표준은 2016년 2월에 시작되었고 사용된 FR 방식은 현재까지 개발된 방식 중에서 학술적으로나 실제 사용에 있어 그 성능이 증명되었다. FR 방식은 프레임내에서(intra-frame) 영상의 왜곡정도를 잘 평가 할 수 있지만 프레임들의 사이(inter-frame)의 왜곡 즉, 화면 스킵(skip), 화면 멈춤(freezing), 저키니스 등의 왜곡은 평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인터넷 상황이 심하게 변하는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여 FR 방식뿐만 아니라 NR 방식을 하이브리드하게 조합하여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NR 모델(333)은 FR 방식으로 측정 하기 어려운 화면 스킵(skip), 화면 멈춤(freezing), 블록니스(blackness) 정도 등에 대한 평가를 위해 NR 방식으로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제2 품질 지표들을 산출할 수 있다. NR 방식은 원본영상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이용하지 않고 처리영상만을 이용하여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원본영상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적용범위는 매우 다양하지만 처리영상만 가지고 화질을 측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와 같은 블록기반의 부호화 방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저주파 영역의 블록화 현상이나 고주파 영역의 물결형 잡음 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NR 방식은 영상에 잡음이 항상 존재한다는 가정을 전제한다. 이러한 가정은 화질 측정 오류가 발생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데, 영상 내에 체스판이 존재하는 경우 전혀 왜곡 되지 않았더라도 블록형 잡음으로 인식되는 현상이 그 한 예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측정영상 및/또는 원본영상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오류를 없앨 수 있다. 이러한 NR 방식의 품질 평가는 수신된 영상과 영상안의 인덱스(일례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frame rate), 해상도, 실제 전송된 프레임들간의 간격, 영상 스킵, 영상 멈춤, 블록니스, 저키니스(jerkiness) 등 일반적인 NR 방식에서 측정되는 메트릭(metric) 중의 하나를 측정하고 평가한다. 측정 메트릭 중에 지연(delay) 측정 방식은 정확한 단방향 딜레이를 위해 송신단말 및 수신단말간에 시간 동기화를 하는 방식과 수신단말에서 재생될 영상 신호를 카메라에 다시 삽입하여 송신단말로 되돌려 보내는 루프백(loopback) 방식이 있다. 동기화 방식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위성이 수신되지 않는 실내에서 측정할 경우 NTP(Network Time protocol)를 사용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동기화된 송신단말에서 보내는 타임 스탬프 N 값이 수신된 단말의 타임 스탬프 M 값에서 탐지되었다면 지연은 M-N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복수 번의 지연 측정을 진행하고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루프백 방식의 경우 회로 스위치(circuit switch) 방식의 통화에서 주로 사용되고 네트워크 특성이 변화하는 패킷 스위치(packet switch) 방식에서는 약간의 지터(jitter)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을 통한 영상통화 서비스는 대부분 400~700ms 정도의 지연을 가지므로 루프백 방식의 부정확성은 대략 10% 정도가 된다. 지연의 값은 대략의 추세를 보는 정도이므로 이 정도의 부정확성은 허용될 수 있다.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송신단말에서 보내는 타임 스탬프 N 값이 수신된 단말에서 루프백되고 다시 송신단말의 타임스탬프 L 값에서 탐지되었다면 지연은 (L-N)/2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에도 복수 번의 지연 측정을 진행하고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지연의 값을 절대 평가수단이 아니라 상대 평가 수단, 가령 표준편차, 피크/평균 비율(peak/mean ratio) 등 서비스 안정성의 평가 수단으로 사용한다면 루프백 방식도 의미 있는 메트릭을 제공할 수 있다. H.26X, MPEG 등의 블록-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영상 부호화의 경우, 대부분 8x8 또는 4x4로 고정된 블록으로 변환 부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블록형 잡음도 이 구조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 성질을 이용하여 블록형 잡음을 위주로 영상에 포함된 잡음 수준을 추정하는 방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소벨(Sobel) 연산을 통해 영상에 존재하는 에지를 추출하고 에지와 에지 내부의 에너지 비율을 수직 및 수평축에 대해 계산하여 왜곡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블록의 편평도(flatness), 인간의 시각 시스템 특성에 기반한 텍스처 마스킹(texture masking) 효과, 휘도 적응(luminance adaption)을 고려하여 평가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수신영상의 프레임 카운트(frame count) 정보의 규칙성을 통해서 영상 스킵(skip)과 프레임률을 판별할 수 있다. 가령 프레임 카운트가 '1, 3, 5, 7..' 과 같이 2씩 증가하는 경우, 원본 영상의 프레임률인 30 fps(frame per second)의 1/2 인 것을 알 수 있다. 만일 프레임 카운트가 규칙적으로 증가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환경의 불안정으로 인한 패킷 에러(packet error)가 발생하여 영상이 스킵된 것을 알 수 있다. 단위 시간당 스킵된 프레임의 비율을 계산하면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스킵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스킵이 발생하면 타임 스탬프(time stamp) 정보와 비례하여 프레임 카운트가 증가하지 않고 계단식으로 증가하여 영상 멈춤(freezing)이 발생한다. 일정 시간 동안의 각각의 멈춤 비율과 전체 멈춤의 합의 비율에 적당한 가중합(weight sum)을 취하면 멈춤 정도를 측정 할 수 있다.
한편, RR 방식은 원본영상과 처리영상이 모두 존재하지는 않으나 각각의 영상에서 추출한 특징들(features)을 사용하여 처리영상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RR 방식의 사용을 위해 제1 단말(310)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에서 특징들을 추출하여 제2 단말(3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RR(Reduced-Reference) 모델(332)은 제2 단말(320)이 수신한 특징들을 이용하여 처리영상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하여 두 가지 형태의 응용을 생각할 수 있다. 일실시예는 수신측에서의 품질평가이다. 단방향 통신망의 경우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원본영상의 특징들을 전송하면, 수신측에서는 압축된 동영상을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동영상에서 처리영상의 특징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영상의 특징들과 원본영상의 특징들을 서로 비교하여 처리영상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송신측에서의 품질 평가이다. 양방향 통신망의 경우에 수신측에서 복호화된 동영상의 특징들을 추출한 뒤 리턴채널을 통해 추출된 특징들을 송신측에 전송하고 송신측에서 원본영상의 특징들과 리턴된 처리영상의 특징들을 비교하여 처리영상의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단말 관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일례로, 앞서 설명한 송신단말로서의 제1 단말(31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4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3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된 제1 단말(310)이 도 4의 방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계(410)에서 제1 단말(310)은 영상통화 서비스에 따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원본영상에 대한 가공은 대체되는 원본영상을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제2 단말(320)로 전송하기 위해,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 및/또는 해상도 등에 알맞도록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단계(420)에서 제1 단말(310)은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해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 fps의 원본영상을 15 fps의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원본영상의 두 개의 원본 프레임들마다 하나의 원본 프레임들이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 각각에 대응하여 대체될 수 있다. 수신단말은 앞서 설명한 제2 단말(320)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제1 단말(310)은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 지표의 산출을 위해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한 프레임들로서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10)은 단계(430)에서 수신단말 또는 수신단말과 연계된 분석단말에서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 지표를 산출하도록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대체된 원본 프레임의 전송은 수신단말인 제2 단말(320)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FR 방식, RR 방식 및/또는 NR 방식을 통해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수신단말 또는 분석단말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고,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며, 제1 품질 지표 및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은 원본 프레임들을 위한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덱스는 원본 프레임들의 재생과 연관된 시간 정보 및/또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단말 또는 분석단말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을 서로 비교하여 FR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신단말 또는 분석단말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및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과 연관된 타임스탬프에 적어도 기초하여 NR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타임스탬프는 대응하는 원본 프레임이 송신단말인 제1 단말(310)에서 전송된 시각 및 대응하는 원본 프레임이 수신단말에 수신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단말 관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은 일례로, 앞서 설명한 수신단말로서의 제2 단말(32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5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510 및 52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된 제2 단말(320)이 도 5의 방법을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계(510)에서 제2 단말(320)은 송신단말로부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단말은 앞서 설명한 제1 단말(31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은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해 송신단말의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송신단말에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함으로써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제2 단말(320)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품질의 측정이 제2 단말(320)과는 별도의 분석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단말(320)은 단계(520)에서 단순히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분석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 단말(320)이 직접 품질의 측정을 처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단계(520)가 단계들(521 내지 523)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만약, 별도의 분석단말이 활용되는 경우에는 단계들(521 내지 523)은 단계(520)과 분리되어 분석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521)에서 제2 단말(320)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은 원본 프레임들을 위한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생성할 수 있으며, 이때 인덱스는 원본 프레임들의 재생과 연관된 시간 정보 및/또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20)은 단계(521)에서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을 서로 비교하여 FR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522)에서 제2 단말(320)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320)은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및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과 연관된 타임스탬프에 적어도 기초하여 NR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523)에서 제2 단말(320)은 제1 품질 지표 및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FR 방식으로 산출된 제1 품질 지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들의 사이(inter-frame)의 왜곡 즉, 화면 스킵(skip), 화면 멈춤(freezing), 저키니스 등의 왜곡을 평가하기 어려운 반면, NR 방식으로 산출된 제1 품질 지표는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frame rate), 해상도, 실제 전송된 프레임들간의 간격, 영상 스킵, 영상 멈춤, 블록니스, 저키니스(jerkiness) 등의 다양한 지표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2 품질 지표들이 조합된 최종 품질 지표는 인터넷 상황이 심하게 변하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보다 정확한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FR 방식의 품질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단말(610)과 수신단말(620)간의 영상통화가 연결되면, 일정한 안정화 시간(time stable)을 가진 후 송신단말(610)은 영상을 수신단말(620)로 전송한다. 이때, 송신단말(610)은 원본영상(630)을 영상통화 서비스에 알맞게 가공하여 원본영상(630)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단말(6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30 fps의 원본영상(630)을 15 fps의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두 개의 원본 프레임마다 하나의 원본 프레임을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 '1, 2, 3, 4, 5, 6, 7, ?'의 인덱스로 원본영상(630)의 원본 프레임들을 식별할 때, '1, 3, 5, 7, ...'의 원본 프레임들이 송신단말(610)에서 수신단말(62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수신단말(620)은 수신된 원본 프레임들(640), 그리고 수신단말(610)이 획득한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들 중 수신된 원본 프레임들(640)과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원본 프레임들(650)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FR 방식 평가(660)를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NR 방식의 품질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와 유사하게 송신단말(610)이 원본영상(630)을 영상통화 서비스에 알맞게 가공하여 원본영상(630)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단말(620)로 전송함에 따라 수신단말(620)이 원본 프레임들(640)을 수신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원본 프레임들(640)과 원본 프레임들(640) 각각이 수신한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스탬프들(710)을 이용하여, NR 방식 평가(720)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수신단말(620)이 수신된 원본영상(630)의 원본 프레임들을 "1, 3, 5, 7, ..."의 인덱스로 식별할 때, 인덱스 변화의 통계적 특성, 가령 화면이 멈춰진 간격, 횟수 등의 비율을 선형 혹은 비선형으로 조합하여 화면 스킵(skip), 화면 멈춤(freezing)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단말(620)이 수신된 원본영상(630)의 원본 프레임들을 "0, 67, 133, 200, ..."의 타임스탬프로 식별할 때, 타임스탬프의 간격, 수신된 원본 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도를 이용하여 저키니스(jerkiness)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영상통화 중의 영상의 대체는 영상통화 중인 사용자들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간의 영상통화 중에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제어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가 도 8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810 내지 840)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위치별 원본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원본영상은 컨텐츠 제공 서버가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별 원본영상은 해당 위치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와 관련된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영상통화를 진행 중인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는 기본적으로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GPS 좌표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으나,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실내 위치 등을 파악하기 위한 와이파이 신호 강도나 비콘 정보 등을 활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단계(83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획득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원본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를 통해 식별되는 장소 A와 연관하여 등록된 원본영상 B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될 수 있다.
단계(840)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검출된 원본영상의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하여 표시 또는 전송하도록 검출된 원본영상을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전송된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공하고,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대체하여 표시 또는 전송함으로써, 영상통화 중에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에 원본영상에 따른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는 기존 영상통화를 위해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이 아닌 가공된 원본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는 자신이 현재 위치하는 위치나 장소와 관련된 정보 또는 영상통화 상대방이 현재 위치하는 위치나 장소와 관련된 정보를 영상 컨텐츠의 형태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통화 중에 송신단말의 카메라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원본영상과 대체하여 전송하고 수신단말에서 수신한 원본영상을 분석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되는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들과 원본 프레임마다의 인덱스 및 타임스탬프에 기반하여 FR(Full-Reference) 방식 및 NR(No-Reference) 방식 모두에 대해 품질 지표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위치에 기반하여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을 원본영상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영상통화 중인 단말들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송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영상통화 서비스에 따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하는 단계;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해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 지표의 산출을 위해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한 프레임들로서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계된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제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각각을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계된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 지표를 산출하도록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원본 프레임들을 위한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상기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FR 방식으로 상기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및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과 연관된 타임스탬프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NR 방식으로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탬프는 대응하는 원본 프레임이 상기 송신단말에서 전송된 시각 및 상기 대응하는 원본 프레임이 상기 수신단말에 수신된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8. 수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말로부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해 상기 송신단말의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송신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됨 -; 및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원본 프레임들을 위한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인덱스를 갖는 상기 원본영상의 원본 프레임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FR 방식으로 상기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및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 각각과 연관된 타임스탬프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NR 방식으로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12. 수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말로부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해 상기 송신단말의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송신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됨 -; 및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는 분석단말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전송하고,
    상기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제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
  13. 제1 단말과 제2 단말간의 영상통화 중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지리적 위치별 원본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영상통화를 진행 중인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지리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원본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검출된 원본영상의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하여 표시 또는 전송하도록 상기 검출된 원본영상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전송된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영상통화 서비스의 프레임률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상기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대체하여 표시 또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6. 컴퓨터로 구현되는 송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영상통화 서비스에 따라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가공하고,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해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가공된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로 대체하고,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 지표의 산출을 위해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수신단말과의 영상통화를 위한 프레임들로서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계된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며, 상기 제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신단말 또는 상기 수신단말과 연계된 분석단말에서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 지표를 산출하도록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단말.
  18. 삭제
  19. 컴퓨터로 구현되는 수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단말의 영상통화 품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단말로부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은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해 상기 송신단말의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실시간 영상 프레임들을 상기 송신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로 대체함으로써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를 통해 수신됨 -,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품질을 측정하도록 처리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과 상기 원본영상이 포함하는 원본 프레임들을 서로 비교하여 FR(Full-Reference) 방식으로 제1 품질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대체된 적어도 일부의 원본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NR(No-Reference) 방식으로 제2 품질 지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1 품질 지표 및 상기 제2 품질 지표를 조합하여 상기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한 최종 품질 지표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
  20. 삭제
KR1020180076566A 2018-07-02 2018-07-02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84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66A KR102084469B1 (ko) 2018-07-02 2018-07-02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9108788A JP7431514B2 (ja) 2018-07-02 2019-06-11 映像通話サービスの品質をリアルタイムで測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6/453,200 US11343299B2 (en) 2018-07-02 2019-06-26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measuring quality of video call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66A KR102084469B1 (ko) 2018-07-02 2018-07-02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598A KR20200003598A (ko) 2020-01-10
KR102084469B1 true KR102084469B1 (ko) 2020-03-04

Family

ID=6905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66A KR102084469B1 (ko) 2018-07-02 2018-07-02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3299B2 (ko)
JP (1) JP7431514B2 (ko)
KR (1) KR1020844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9800A1 (ja) * 2022-04-26 2023-11-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品質推定装置、映像品質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7561B2 (en) 2006-11-23 2011-06-07 Innowireles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quality of image received via communication network
KR100889873B1 (ko) * 2007-05-11 2009-03-24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영상 통화 호의 통화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09025027A1 (ja) 2007-08-20 2009-02-26 Fujitsu Limited 映像品質監視方法及び配信サーバ及びクライアント
KR100922898B1 (ko) * 2007-12-17 2009-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미디어의 QoE 보장형 영상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US8422795B2 (en) * 2009-02-12 2013-04-1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Quality evaluation of sequences of images
US9037743B2 (en) * 2010-10-28 2015-05-19 Avvasi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esentation quality signal
US20130060908A1 (en) * 2011-09-07 2013-03-07 Wesley W. Whitmyer, Jr. Location-based streaming media channels
US20170237986A1 (en) * 2016-02-11 2017-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enco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KR102548427B1 (ko) 2016-10-26 2023-06-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품질 측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43299B2 (en) 2022-05-24
US20200007605A1 (en) 2020-01-02
KR20200003598A (ko) 2020-01-10
JP7431514B2 (ja) 2024-02-15
JP2020010321A (ja)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358B2 (en) Reference and non-reference video quality evaluation
KR101789086B1 (ko) 다양한 비트레이트에 대한 품질을 갖는 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의 품질 결정에 대한 개념
CN110868600B (zh) 目标跟踪视频推流方法、显示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0609440B1 (en) Timing data anomaly detection and correction
CN104137146A (zh) 用于利用前景对象分割的噪声过滤的视频编码的方法和系统
CN103026719A (zh) 用于在视频比特流和输出视频序列之间的时间同步的方法和装置
CN107404646B (zh) 视频质量评估的方法、装置和头端设备
CN103988500A (zh) 视频质量测量
Chan et al. Temporal quality assessment for mobile videos
US20100053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mage quality of moving pictures
WO20100518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quality value of a video stream
US20210051306A1 (en) Method for Streaming Ultra High Definition Panoramic Videos
Ickin et al. VLQoE: Video QoE instrumentation on the smartphone
KR102084469B1 (ko) 영상통화 서비스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1385576B (zh) 视频编码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3200419B (zh) 一种高速识别视频内容变化程度的方法
CN105959798A (zh) 视频流的帧定位方法、装置和设备
JP4740967B2 (ja) 映像品質推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509109A (zh) 用于估计视频质量评估的运动均匀性的方法及装置
CN115037951B (zh) 直播处理方法及装置
US20240187548A1 (en) Dynamic resolution switching in live streams based on video quality assessment
CN101835059A (zh) 一种无参考的网络电视服务质量评估模型
US20220417467A1 (en) Dynamic resolution switching in live streams based on video quality assessment
JP4823253B2 (ja) ユーザ体感品質測定装置、ユーザ体感品質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Zhou et al. Online Traffic Surveillance: Impact of Wireless Communication on Video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