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67B1 -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67B1
KR102084367B1 KR1020190110471A KR20190110471A KR102084367B1 KR 102084367 B1 KR102084367 B1 KR 102084367B1 KR 1020190110471 A KR1020190110471 A KR 1020190110471A KR 20190110471 A KR20190110471 A KR 20190110471A KR 102084367 B1 KR102084367 B1 KR 10208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concrete structure
floodgate
driven
wir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근한
Original Assignee
동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근한 filed Critical 동근한
Priority to KR102019011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단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는 관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로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권양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관통로를 개폐하는 인양수문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로의 후면에는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수문이 설치되어 있는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수벽이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면에는 배수로를 차단하는 보조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구조물에는 후방의 관통로에 연통되는 연통로를 설치되되, 상기 연통로의 전면은 보조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드럼의 구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는 기존의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를 헐지 않고 와이어드럼식 수문을 추가로 설치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적게 들며,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기존의 지수벽에 설치된 수문으로 인한 수밀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자동수문으로 인한 역류방지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Floodgate squipment in one body cut off wall with wire drum type floodgate driven by wire drum and automatic floodgate driven by hydraulic cylinder}
본 발명은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수벽 일체형 수문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736023호에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상부에 구성된 권양장치(4)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3)이 형성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의 전면부에는 구조물(1)을 보호하기 위해 배수높이의 1.3배가 되게 설치되며 인양수문(3)이 설치되는 기둥의 전·후측 상면을 정방형의 철강재질의 플레이트(6a)와 상기 플레이트(6a)의 뒤틀림방지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플레이트(6a)보다는 약간의 두께를 가진 가로와 세로로 엮인 보강재(6b)로 구성되고 후면부는 지수력을 높임과 동시에 역류하여 구조물(1)에 부딪히는 물의 높은 수압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구성된 지수벽(6)으로 감싸고, 상기 지수벽(6)의 전면부 하부측에는 정방형의 형태로서 강철재질의 전면부와 밀폐력과 수압에 대한 완충작용의 효과를 위한 고무재질의 후면부로 구성된 자동수문이 물의 흐름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열리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부가 후방측으로 3∼5°정도 기울여져 전면부의 상부측은 지수벽(6)과 힌지부(8)에 의해 결합되어 전방측으로만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9795호에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에 출구가 있고 상부에 구성된 권양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인양수문이 형성된 수문장치에 있어서, 구조물(1, 100)을 보호하기 위해 배수높이의 1.3배가 되게 설치되며, 인양수문(3, 700)이 설치되는 기둥의 전·후방측으로 정방형의 철강재질의 플레이트(6a)와 상기 플레이트(6a)의 뒤틀림방지 및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플레이트(6a)보다는 약간의 두께를 가진 가로와 세로로 엮인 보강재(6a)로 구성된 전면부와, 지수력을 높임과 동시에 역류하여 구조물(1, 100)에 부딪히는 물의 수압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후면부로 구성된 지수벽(6)과; 상기 지수벽(6)의 전면부 하부측에는 정방형의 형태로서 강철재질의 전면부와, 밀폐력과 수압에 의한 완충작용의 효과를 위한 고무재질의 후면부로 구성되되, 물의 흐름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열리도록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부가 후방측으로 3∼5°정도 기울여져 전면부의 상부측은 힌지부(8, 401)에 힌지결합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자동수문(7, 400)과; 상기 자동수문(7, 400)을 인양시키는 인양수단(20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인양수단(2000)은 구조물(100)의 상부면에 설치된 권양기(200)에 의해 권양 되는 와이어(300)를 상부로 권양함에 자동수문(400)과 결합 된 사각 테두리형태의 프레임(600)이 구조물(100)의 출구(900)측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인(500)을 따라 수직으로 인양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문(400)은 상기 프레임(600)의 전면부에서 힌지부(40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힌지부(40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사각 테두리형태의 프레임(600)은 양 측벽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600)이 상기 가이드레인(500) 내에서 원활히 상하인양 및 전후이동 되도록 하는 베어링(601)과, 상기 프레임(600)이 상기 가이드레인(500) 내로 삽입되는 측의 전후면 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패킹부재(602)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가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수밀능력이 떨어지기에 별도의 보수 또는 교체를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래된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에 와이어드럼식 수문을 추가로 설치하여 더 안정적인 수밀을 요할 수 있는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는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단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는 관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로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권양기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관통로를 개폐하는 인양수문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로의 후면에는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수문이 설치되어 있는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 전면에는 지수벽을 설치하되,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단 전면에는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후방의 유로에 연통되는 연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연통로의 전면은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드럼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는 기존의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를 헐지 않고 와이어드럼식 수문을 추가로 설치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적게 들며,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기존의 지수벽에 설치된 수문으로 인한 수밀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자동수문으로 인한 역류방지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의 정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인양수문 및 유압식 자동수문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유압식 자동수문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정면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평면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측면 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풋브레이크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핸드브레이크 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 클러치구조를 나타낸 개요도.
도 11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체결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밴드 측면 개요도.
도 12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체결부재와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밴드의 평면 개요도.
도 13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체결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의 권양기에서 체결부재로 인한 보강플레이트와 밴드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밴드의 정면 개요도.
도 16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클러치구조에서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밴드의 평면 개요도.
본 발명은 유압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식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는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하단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관통하는 유로(110)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110)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된 권양기(200)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유로(110)를 개폐하는 인양수문(300)이 설치되고, 상기 유로(110)의 후면에는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수문(700)이 설치되어 있는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단 전면에는 지수벽(120)을 설치하되,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하단 전면에는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는 후방의 유로(110)에 연통되는 연통로(410)를 형성하되, 상기 연통로(410)의 전면은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드럼(5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600)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전면에는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보호하는 지수벽(420)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자동수문(700)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후단 측 유로(110)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단이 유로(110)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힌지결합되어 하단이 후방으로만 회동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후방으로부터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되, 상기 자동수문(700)은 튜브와 튜브의 내외부를 직선왕복운동하는 로드로 이루어진 유압실린더(720)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튜브의 일단이 자동수문(700)이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고정된 브래킷에 힌지결합시키고, 로드의 끝단부를 자동수문(700)의 전면에 고정된 브래킷에 힌지결합시켜 로드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인해 자동수문(700)을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의 정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인양수문 및 유압식 자동수문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일부분 확대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는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하단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관통하는 유로(110)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110)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된 권양기(200)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유로(110)를 개폐하는 인양수문(300)이 설치되고, 상기 유로(110)의 후면에는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수문(700)이 설치되어 있는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지수벽(120)이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전면에는 배수로를 차단하는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는 후방의 유로(110)에 연통되는 연통로(4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로(410)의 전면은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드럼(5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600)이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자동수문의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자동수문(700)은 상단이 유로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힌지결합되어 하단이 후방으로만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물이 흐를 때에는 자동수문(700)이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하고, 반대로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후방으로부터 물이 전방으로 흐를 때에는 자동수문(700)이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후방으로부터는 물이 역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자동수문(700)을 별도의 유압실린더(720)에 의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압력에 의해 자동수문(700)을 개방되지 않을 때, 유압실린더(720)의 구동에 의해 자동수문(700)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유압실린더(720)는 튜브와 튜브의 내외부를 직선왕복운동하는 로드로 이루어진 관용의 장치로서 튜브의 일단이 자동수문이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브래킷에 힌지결합시키고, 로드의 끝단부를 자동수문(700)의 전면에 고정된 브래킷에 힌지결합시켜 로드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인해 지동수문을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접촉되는 자동수문(70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패킹부재(710)를 장착하여 수밀이 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인양수문(300)은 일반적으로 매우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제작되기에 인양수문(300)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권양기(200)에 의해 인양수문(300)을 권양할 때, 인양수문(300)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동장치는 필수적이다.
이하, 본 발명 유압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식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2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정면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평면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측면 개요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양기(200)는 제방에서 수문을 승·하강키는 장치로서, 전원공급에 의해 가동되는 주동력원인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230)과, 상기 주축(230)의 회전에 의해 인양수문(300)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2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권양기(200)에는 작업자의 안전과 수문을 제동되지 않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축(230)의 회전구동의 제동에 관여하는 제동장치부(250)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동장치부(250는 이중제동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 제동장치부(250)는 핸들(251-1)을 돌려 주축(230)을 제동하는 핸드 브레이크(251)와, 사용자가 발로서 페달(252-1)을 밟아 주축(230)을 제동하는 풋 브레이크(252)가 동시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발로서 페달(1252-1)을 밟아 주축(230)을 1차 제동한 후, 핸들(251-1)을 돌려 2차 제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풋브레이크 개요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 브레이크(252)는 이등분된 밴드(252-2)가 상하로 대칭되어 주축(230)의 둘레를 감싸고 있되, 밴드(252-2)의 후면측 끝단부는 서로 힌지결합되며, 전면측 끝단부는 각각 플랜지(252-3)가 하우징(270)의 전방 수직면에 형성된 전면홀(271)을 통해 외부로 연장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측 플랜지(252-3)는 전면홀(271)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플랜지(252-3) 사이에는 스프링(252-6)이 한 쌍의 플랜지(252-3)에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252-9)에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부로부터 체결핀(252-4)이 한 쌍의 플랜지(252-3)에 형성된 관통공(252-9)과 스프링(252-6)의 중심을 모두 관통하여 끝단부가 체결너트(252-5)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되, 상기 하부측 플랜지(252-3)와 체결너트(252-5) 사이에는 페달(252-1)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페달(252-1)을 밟게 되면 상부측 플랜지(252-3)가 스프링(252-6)를 압착하면서 하부측 플랜지(252-3)에 가까워지게 되고, 밴드(1252-2)의 내면은 주축(230)을 접촉하면서 감싸게 됨으로써 주축(230)이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풋브레이크(252)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 제동장치부(250) 중 사용자가 발로서 페달(252-1)을 밟아 주축(230)을 제동하는 풋 브레이크(252)는 주축(230)의 둘레를 감싸는 밴드(252-2)가 이등분되어 한 쌍을 이루어 상하로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등분된 밴드(252-2)의 후방에 위치한 끝단부에는 각각 제2회동핀(252-8)이 체결되고, 상기 제2회동핀(252-8)은 각각 제2회동핀힌지(252-7)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의 단부는 각각 플랜지(25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플랜지(252-3)는 하우징(270)의 전면에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면홀(271)을 관통하여 연장돌출되어 있되, 연장돌출된 플랜지(252-3) 중 하부측 하부측 플랜지(252-3)는 하우징(270)의 전면에 내외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전면홀(271)에 고정되어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플랜지(252-3)에는 수직선상을 관통하는 관통공(252-9)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52-9)을 관통하는 체결핀(252-4)과 체결너트(252-5)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플랜지(252-3) 간에는 스프링(252-6)이 체결핀(252-4)에 의해 중심이 관통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체결핀(252-4)은 몸체와 관통공(252-9)보다 직경이 큰 헤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끝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너트(252-5)와 체결핀(252-4)의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페달(252-1)을 밟게 되면 밴드(252-2)의 내면은 주축(230)을 접촉하여 감쌈으로써 주축(230)을 압박하게 되어 제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밴드(252-2)는 주축(230)에 접촉되는 합성고무재질의 1차 밴드(252-21)와, 상기 1차 밴드(252-21)의 외측면에 금속재질의 2차 밴드(252-22)가 적층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금속재질의 2차 밴드(252-22)와 플랜지(252-3)는 용접으로 결합되되, 2차 밴드(252-22)와 플랜지(252-3)는 보강플레이트(252-10)에 의해 더욱더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252-10)는 금속재질로서 2차 밴드(252-22)의 외측면과 플랜지(252-3) 사이에 덧대어져 용접으로 서로 체결됨으로써 플랜지(252-3)와 2차 밴드(252-22)가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핸드브레이크 개요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브레이크(251)는 이등분된 밴드(251-8)가 상하로 대칭되어 주축(230)의 둘레를 감싸고 있되, 밴드(251-8)의 하부측 끝단부는 서로 힌지결합되며, 상부측에 위치한 외측단부는 각각 핸들(251-1)의 회전에 의해 외주연이 나사산으로 형성된 축볼트(251-2) 상을 전·후진 하는 중공축(251-3) 및 상기 축볼트(251-2)의 외측면에 각각 체결된 스윙핀힌지(251-4)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스윙핀(251-5)에 결합하여 있어, 핸들(251-1)을 회전시키면 중공축(251-3)이 축볼트(251-2) 상을 전진하게 되고 밴드(251-8)는 내부에 위치한 주축(230)을 접촉하면서 감싸게 됨으로써 주축(123)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핸들(251-1)을 돌려 주축(230)을 제동하는 핸드 브레이크(251)는 주축(230)의 둘레를 감싸는 밴드(252-2)가 이등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전후방으로 서로 대칭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등분된 밴드(251-8)의 하부측에 위치한 외측 단부는 각각 제1회동핀(251-7)이 체결되고, 상기 제1회동핀(251-7)은 각각 제1회동핀힌지(251-6)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부측에 위치한 외측단부는 각각 핸들(251-1)의 회전에 의해 외주연이 나사산으로 형성된 축볼트(251-2) 상을 전·후진 하는 중공축(251-3) 및 상기 축볼트(251-2)의 외측면에 각각 체결된 스윙핀힌지(251-4)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스윙핀(251-5)에 결합하여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251-1)을 회전시키면 중공축(251-3)이 축볼트(251-2) 상을 전·후진하게 됨으로써 밴드(251-8)가 내부에 위치한 주축(230)을 압박하여 제동을 하거나, 해제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밴드(251-8)는 주축(230)에 접촉되는 합성고무재질의 1차 밴드(251-81)와, 상기 1차 밴드(251-81)의 외측면에 금속재질의 2차 밴드(251-82)가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10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클러치구조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220)가 구동되지 않을 때,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모터(122)의 동력이 주축(2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클러치(21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210)는 모터(220)의 동력이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구동축(2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222)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클러치기어(211)와 상기 제1클러치기어(211)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클러치기어(212)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클러치(210)는 하우징(270)의 상부면에 설치된 커버(213)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모터(220)도 하우징(270)의 상부에 클러치(210)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클러치기어(212)에는 스포로켓(S)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스포로켓(S)은 주축(230)에 장착된 스포로켓(S)과 체인(C)으로 연결되어 있어, 제1클러치기어(211)와 제2클러치기어(212)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모터(222)의 동력이 주축(230)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213)의 상부면에는 관통구(214)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관통구(214)로는 일단이 상기 제2클러치기어(212)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레버(215)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214)의 입구 측은 레버(215)의 몸통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215)를 당기면 제2클러치기어(212)는 제1클러치기어(211)에 결합되어 모터(220)의 동력이 주축(230)에 전달되며, 레버(215)를 밀게 되면 제2클러치기어(212)는 제1클러치기어(211)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모터(222)의 동력이 주축(223)에 전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풋 브레이크(252)에서 밴드(252-2)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제작된 2차 밴드(252-2b)가 보강플레이트(252-10)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기에 합성고무 재질로 제작된 1차 밴드(252-2a)가 주축(230)을 제동하다 보면 닳게 되는데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용접되어 있는 부분을 강제로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도 11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체결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밴드 측면 개요도, 도 12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체결부재와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밴드의 평면 개요도, 도 13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체결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의 권양기에서 체결부재로 인한 보강플레이트와 밴드의 체결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로서 본 발명에서는 풋브레이크(252)에서 밴드(252-2)와 보강플레이트(252-10)와의 체결을 체결부재(280)에 의해 볼트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상기 풋브레이크(252)에서 밴드(252-2)와 보강플레이트(252-10)와의 체결을 체결부재(280)는 소정의 길이를 지니는 판재형상의 몸체(281)와, 상기 몸체(281)의 일단에는 몸체(281)를 관통하는 볼트공(282)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28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는 몸체(28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홀(28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80)의 볼트공(282)과 장홀(283)에 대응하도록 풋 브레이크(252)의 2차 밴드(252-2b)와 보강플레이트(252-10)의 양측면에도 볼트공(도면 미도시)을 형성하도록 한다.
체결방법으로는 체결부재(280)의 볼트공(282)을 2차 밴드(252-2b)의 볼트공에 일치시킨 후, 볼트(도면 미도시)를 삽입하여 체결부재(280)가 볼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조여준다.
다음으로 체결부재(280)를 회전시켜 장홀(283)이 보강플레이트(252-10)에 형성된 볼트공에 일치되도록 한 후, 역시 볼트를 삽입하여 이번에는 볼트가 헛돌지 않도록 꽉 조여준다.
끝으로, 체결부재(280)의 볼트공(282)을 통해 2차 밴드(252b)에 삽입된 볼트를 완전히 조여 주면 체결부재(280)로 인해 2차 밴드(252b)와 보강플레이트(252-10)는 견고한 체결관계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280)에 장홀(283)은, 보강플레이트(252-10)의 볼트공을 일치시키는 주요한 형상이 되게 된다.
즉, 2차 밴드(252b)가 평면 상태에서 볼트공이 형성되나 체결시에는 2차 밴드(252b)가 주축(230)을 감싸도록 휘어진 채 체결되기 때문에 2차 밴드(252b)에 형성된 볼트공과 보강플레이트(252-10)에 형성된 볼트공과의 거리차이가 미세하게 발생하는 것에 대한 오차를 없애주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장홀(283)에는 와셔를 사용하여 볼트를 체결하게 되면 더욱 견고한 체결관계를 지닐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부재(280)의 볼트공(282)이 형성된 몸체(281)의 모서리 부분을 원형으로 모따기 작업을 함으로써 체결부재(28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체결함으로 인해 몸체(281)의 모서리 부분이 1차 밴드(282a) 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는, 체결부재(280)의 모서리부분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에, 합성수지로 제작된 1차 밴드(252a)가 닳게 되면 이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으로 인해 2차 밴드(252b)와 플랜지(252-3) 간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진행되는 용접작업은 필수 작업이 아니게 되므로 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 능률도 배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핸드 브레이크(251)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접목시키게 되면 더욱 능률적으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평면형상의 밴드(252-2)가 주축(230)을 감싸기 위해서는 원형으로 말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원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밴드(252-2)가 접촉되는 보강플레이트(252-10)와 제2회동핀(252-8)의 일면은 역시 곡면지게 형성되어야 하기에 작업의 편의상 평면형상의 밴드(252-2)와 보강플레이트(252-10) 및 밴드(252-2)와 제2회동핀(252-8)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밴드(252-2)가 지속적으로 원형상태로 말리어 있어야 하기에 하기와 같이 밴드(252-2)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에서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밴드의 정면 개요도, 도 16은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에 설치된 권양기의 클러치구조에서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밴드의 평면 개요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적으로 보강플레이트(252-10)와 제2회동핀(252-8)에 접촉되는 2차 밴드(252-2b)의 일면에는 2차 밴드(252-2b)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T자형의 돌기(252-2c)를 형성하고, 2차 밴드(252-2b)에 접촉되는 보강플레이트(252-10)와 제2회동핀(252-8)의 일면에도 상기 T자형의 돌기(252-2c)에 대응하는 장홈(도면 미도시)을 형성하여 체결부재(280)의 조립 전에 2차 밴드(252-2b)에 형성된 T자형의 돌기(252-2c)를 보강플레이트(252-10)와 제2회동핀(252-8)에 형성된 장홈에 삽입하여 체결하게 되면 밴드(252-2)와 보강플레이트(252-10) 및 제2회동핀(252-8)은 서로 가접되어 있는 것처럼 고정되기에 체결부재(280)로 인한 볼트결합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더불어 상기 T자형의 돌기(252-2c)는 밴드(252-2)가 좌우로 비틀어져 휘어져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의 역할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는 기존의 지수벽 일체형 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를 헐지 않고 와이어드럼식 수문을 추가로 설치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이 적게 들며,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기존의 지수벽에 설치된 수문으로 인한 수밀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자동수문으로 인한 역류방지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콘크리트 구조물 110. 유로 120. 지수벽
200. 권양기
210. 클러치 211. 제1클러치기어 212. 제2클러치기어
213. 커버 214. 관통구 215. 레버
220. 모터 221. 구동축 222. 구동기어
230. 주축
240. 동작부 241. 랙기어 242. 랙케이스
250. 제동장치부 251. 핸드 브레이크 251-1. 핸들
251-2. 축볼트 251-3. 중공축 251-4 스윙핀힌지
251-5. 스윙핀 251-6. 제1회동핀힌지 251-7. 제1회동핀
251-8. 밴드 251-8a. 1차 밴드 251-8b. 2차 밴드
252. 풋 브레이크 252-1. 페달 252-2. 밴드
252-2a. 1차 밴드 252-2b. 2차 밴드 252-2c. T자형의 돌기
252-3. 플랜지 252-4. 체결핀 252-5. 체결너트
252-6. 스프링 252-7. 제2회동핀힌지 252-8. 제2회동핀
252-9. 관통공 252-10. 보강플레이트
260. 제어부 261. 센싱로드 262. 리미트스위치
263. 제어박스
270. 하우징 271. 전면홀
280. 체결부재 281. 몸체 282. 볼트공
283. 장홀
300. 인양수문
400.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 410. 연통로 420. 지수벽
500. 와이어드럼
600. 와이어드럼식 수문
700. 자동수문 710 . 패킹

Claims (3)

  1. 배수로가 형성된 제방에서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하단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을 관통하는 유로(110)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110)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된 권양기(200)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유로(110)를 개폐하는 인양수문(300)이 설치되고, 상기 유로(110)의 후면에는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수문(700)이 설치되어 있는 수문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상단 전면에는 지수벽(120)을 설치하되, 배수로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하단 전면에는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는 후방의 유로(110)에 연통되는 연통로(410)를 형성하되, 상기 연통로(410)의 전면은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드럼(5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600)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전면에는 보조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보호하는 지수벽(420)이 설치되며,
    상기 자동수문(700)은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후단 측 유로(110)를 개폐하기 위하여 상단이 유로(110)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힌지결합되어 하단이 후방으로만 회동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후방으로부터 물이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되, 상기 자동수문(700)은 튜브와 튜브의 내외부를 직선왕복운동하는 로드로 이루어진 유압실린더(720)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튜브의 일단이 자동수문(700)이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100)에 고정된 브래킷에 힌지결합시키고, 로드의 끝단부를 자동수문(700)의 전면에 고정된 브래킷에 힌지결합시켜 로드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인해 자동수문(700)을 개폐하도록 하며,
    상기 권양기(200)는 전원공급에 의해 가동되는 주동력원인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230)과, 상기 주축(230)의 회전에 의해 인양수문(300)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240)와, 주축(230)의 회전구동의 제동에 관여하는 제동장치부(250)가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제동장치부(250)는 핸들(251-1)을 돌려 주축(230)을 제동하는 핸드 브레이크(251)와, 사용자가 발로서 페달(252-1)을 밟아 주축(230)을 제동하는 풋 브레이크(252)가 동시에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발로서 페달(1252-1)을 밟아 주축(230)을 1차 제동한 후, 핸들(251-1)을 돌려 2차 제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풋 브레이크(252)는 이등분된 밴드(252-2)가 상하로 대칭되어 주축(230)의 둘레를 감싸고 있되, 밴드(252-2)의 후면측 끝단부는 서로 힌지결합되고, 전면측 끝단부는 각각 플랜지(252-3)가 하우징(270)의 전방 수직면에 형성된 전면홀(271)을 통해 외부로 연장돌출되어 있으며,
    하부측 플랜지(252-3)는 전면홀(271)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플랜지(252-3) 사이에는 스프링(252-6)이 한 쌍의 플랜지(252-3)에 상하로 형성된 관통공(252-9)에 수직선상에 위치하여 상부로부터 체결핀(252-4)이 한 쌍의 플랜지(252-3)에 형성된 관통공(252-9)과 스프링(252-6)의 중심을 모두 관통하여 끝단부가 체결너트(252-5)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되, 상기 하부측 플랜지(252-3)와 체결너트(252-5) 사이에는 페달(252-1)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페달(252-1)을 밟게 되면 상부측 플랜지(252-3)가 스프링(252-6)를 압착하면서 하부측 플랜지(252-3)에 가까워지게 되고, 밴드(252-2)의 내면은 주축(230)을 접촉하면서 감싸게 됨으로써 주축(230)이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동하게 되며,
    상기 풋브레이크(252)에서 밴드(252-2)와 보강플레이트(252-10)와의 체결을 체결부재(280)에 의해 볼트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풋브레이크(252)에서 밴드(252-2)와 보강플레이트(252-10)와의 체결을 체결부재(280)는 소정의 길이를 지니는 판재형상의 몸체(281)와, 상기 몸체(281)의 일단에는 몸체(281)를 관통하는 볼트공(282)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28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곳에는 몸체(28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홀(28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체결부재(280)의 볼트공(282)과 장홀(283)에 대응하도록 풋 브레이크(252)의 2차 밴드(252-2b)와 보강플레이트(252-10)의 양측면에도 볼트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10471A 2019-09-06 2019-09-06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KR10208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71A KR102084367B1 (ko) 2019-09-06 2019-09-06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471A KR102084367B1 (ko) 2019-09-06 2019-09-06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367B1 true KR102084367B1 (ko) 2020-05-26

Family

ID=7091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471A KR102084367B1 (ko) 2019-09-06 2019-09-06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9326U (ko) * 1988-03-24 1989-10-05 이규원 자동수문의 시일패킹
KR20060056465A (ko) * 2004-11-20 2006-05-25 김영진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20090109938A (ko) * 2008-04-17 2009-10-21 동근한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9326U (ko) * 1988-03-24 1989-10-05 이규원 자동수문의 시일패킹
KR20060056465A (ko) * 2004-11-20 2006-05-25 김영진 자동개폐 보조수문을 구비하는 수문
KR20090109938A (ko) * 2008-04-17 2009-10-21 동근한 자동수문을 인양하는 수단을 가지는 지수벽 일체형자동수문이 구성된 수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361B1 (ko) 유압식 수문과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US4890798A (en) Structure crushing equipment
KR102084367B1 (ko)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KR102084368B1 (ko)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유압실린더로 구동되는 이중수밀 구조의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KR102084363B1 (ko) 유압으로 구동되는 유압식 수문과 유압식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KR102084364B1 (ko) 유압으로 구동되는 유압식 수문과 이중수밀 구조의 유압식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KR102084366B1 (ko) 와이어드럼으로 구동되는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이중수밀 구조의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KR102084365B1 (ko) 와이어드럼식 수문과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KR102084362B1 (ko) 유압식 수문과 이중수밀 구조의 자동수문이 구성된 지수벽 일체형 수문장치
CN101555947B (zh) 煤气切断水封装置
KR102075317B1 (ko) 수문보호용 개폐식 스크린이 설치된 수문장치
KR101559085B1 (ko) 트랙 수문
KR101457872B1 (ko) 수문개폐장치
KR100982528B1 (ko) 전도 게이트용 권양장치
KR101695593B1 (ko) 이중제동장치가 구성된 하치식 인양수문용 권양기
KR100596023B1 (ko) 회전식 수문장치
KR101031810B1 (ko) 랙크형 권양기의 구동장치
KR102633341B1 (ko) 트랙터용 굴삭기의 붐 조립체 회전장치
KR200313349Y1 (ko) 수문권양기의 브레이크장치
CN213448354U (zh) 水利工程用自重环保型密封式闸门机构
KR100967638B1 (ko) 수문 권양기 조작장치
KR20100009955A (ko) 양방향 토크 조절에 의한 수문의 과부하 방지장치
CN214168978U (zh) 一种水利排水自动化设备
CN218263766U (zh) 气动伸缩式盾形闸门
JP3008339B2 (ja) 動力フラップゲ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