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890B1 -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890B1
KR102083890B1 KR1020190087779A KR20190087779A KR102083890B1 KR 102083890 B1 KR102083890 B1 KR 102083890B1 KR 1020190087779 A KR1020190087779 A KR 1020190087779A KR 20190087779 A KR20190087779 A KR 20190087779A KR 102083890 B1 KR102083890 B1 KR 10208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parts
body par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19008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은,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장착되는 복수의 부속 부품을 생산하는 가공 장비,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차체 부품을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하여 상기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차체 부품 검사 장비, 상기 가공 장비 및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에 포함된 복수의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가공 장비 및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가공 장비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장착될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의 설계 정보 를 생성하는 설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부속 부품 중 제1부속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소재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는 소재 정보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AUTOMOBILE PARTS INSPECTION SYSTEM}
본원은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자동화에서 시작된다.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서 스마트팩토리로 진화하는 것이 기반이다. 스마트팩토리는 물품의 주문에서 발주, 생산까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솔루션을 통해 무인으로 운용되는 것이다. 스마트팩토리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기계설비 이외에 선행적으로 인공지능 솔루션, 인식 및 감지를 위한 센서 기술, 완제품의 검수를 위한 검사장비 등 수많은 기기 및 장치들이 필요하다. 검사장비는 완성품을 검수하는 단계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기계장치들을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된다.
자동차는 각 부위별로 부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생산되는데, 각 부품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 그 부품들이 정확한 치수와 형상으로 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검사는 단위 부품에 대해서만 행해지는 것은 아니며, 몇 개의 부품이 결합된 어셈블리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즉, 자동차는 20,000 가지 이상의 부품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단위 부품 또는 단위 어셈블리들의 형상과 치수가 허용 오차를 약간만 벗어나더라도, 모든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엄청나게 큰 오차를 발생시켜 불량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여 자동차를 제대로 완성할 수 없게 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60039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완성 차체가 생산되기 이전에 복수의 차체 부품 각각을 검사할 수 있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를 생산하고, 불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자동차 부품을 결합하기 이전에 복수의 자동차 부품 각각을 정밀하게 검사하여, 모든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오차율을 줄일 수 있는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으로 차체 부품과 차체 검사 지그와의 시뮬레이션 및 실제로 수행되는 차체 부품과 차체 검사 지그와의 매칭을 통해 보다 더 정확한 차체 부품을 검사할 수 있는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은,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장착되는 복수의 부속 부품을 생산하는 가공 장비,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차체 부품을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하여 상기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차체 부품 검사 장비, 상기 가공 장비 및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에 포함된 복수의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가공 장비 및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가공 장비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장착될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의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설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부속 부품 중 제1부속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소재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는 소재 정보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공 장비는, 제1원소재의 제 1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원소재의 제1측면과 접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 정보 수집부는 접착된 상기 제1원소재 및 상기 제2원소재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재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상기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 장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차체 부품과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간의 결합을 감지하는 결합 정보를 수집하는 결합 정보 수집부, 상기 결합 정보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에 인력을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닿는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면 상기 자기력 발생부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가 ON 상태일 때,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과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결합을 위한 조작레버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하고, 피검사 차체 부품의 검사 이후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과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조작레버의 동작을 OFF로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의 일 영역에 피검사 차체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에어 흡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닿는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에어 흡착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 부품과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와 관련된 매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조사 유닛을 더 포함하되, 매칭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기준 매칭 이미지 정보와 획득된 상기 매칭 이미지 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하고, 유사도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체 부품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 고정 개수 및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공 장비는, 차체 부품 중 상측 사출품 및 차체 부품 중 하측 사출품을 용착하기 위한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를 결정하는 용착 장비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착 장비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 부품과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와 관련된 매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조사 유닛을 더 포함하되, 매칭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기준 매칭 이미지 정보와 획득된 상기 매칭 이미지 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하고, 유사도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사 유닛은, 조립된 차체 부품간의 틈새 간격을 확인하기 위한 제2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사 유닛은 조립된 제1차체 부품과 제2차체 부품이 결합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차체 부품과 상기 제2차체 부품간의 틈새 간격을 센싱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조사 유닛으로부터 측정된 틈새 간격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차체 부품 검사 지그 및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을 생성하는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는,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상 차체 부품 검사 지그 및 상기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을 매칭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가상 차체 부품 검사 지그 및 상기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과 실제로 생성된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안착되는 상기 차체 부품과의 유사도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결합되도록 조작 레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동차의 완성 차체가 생산되기 이전에 복수의 차체 부품 각각을 검사할 수 있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를 생산하고, 불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자동차 부품을 결합하기 이전에 복수의 자동차 부품 각각을 정밀하게 검사하여, 모든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 오차율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상으로 차체 부품과 차체 검사 지그와의 시뮬레이션 및 실제로 수행되는 차체 부품과 차체 검사 지그와의 매칭을 통해 보다 더 정확한 차체 부품을 검사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가공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차체 부품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가상 모델링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차체 부품 검사 지그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체는 기계 부품과 승객, 화물을 수용하고 보호하도록 설계된 자동차 구조물인 차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릴(grille), 후드(hood), 워셔노즐(washer nozzle), 카울(cowl), 바깥 거울(outside mirror), 와이퍼(windshiel wiper), 앞유리(windshield), 선루프(sliding sunroof), 중앙 지주(center post), 안테나(antenna), 루프(roof), 드립 몰딩(drip molding), 쿼터 윈도우(quarter window), 트렁크(trunk), 연료 주입구 덮개(fuel door), 흙받이(mud flap), 휠 커버(wheel cover), 타이어(tire), 창(window), 도어로크(door lock), 문 손잡이(door handle), 문(door), 차체 사이드 몰딩(body side molding), 펜더(fender), 앞 범퍼(front fascia), 전조등(headlight) 및 범퍼(bumper mold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설계 정보는 사용자가 제조하고자 하는 차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차체 설계 정보는 제조하고자 하는 차체가 활용될 차종, 차종에 따라 차체에 사용될 복수의 부품(전술한 그릴, 후드, 워셔노즐, 카울, 바깥거울, 와이퍼 등을 포함하여 차체를 구현할 때 필요한 구성 요소) 차체의 무게 및 차체와 조립될 부품(프레임, 엔진, 변속기, 클러치, 핸들, 차축, 차바퀴 등)의 종류 및 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체의 무게란, 차체의 경량화를 고려함에 따라 산출된 제조하고자 하는 차체의 이상적인 무게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차체 부품 검사 지그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은 가공 장비(10),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은 외부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서버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장비(10)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장착되는 복수의 부속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부속 부품은 지그에 포함되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일 수 있다. 복수의 돌기 고정부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되는 차체 부품을 맞물림 동작, 흡착, 결합 등으로 차체 부품을 검사하기 위한 부품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차체 부품 검사 지그(Jig)란 가공물을 고정, 지지하는 기구로서 차체 부품 검사 지그는 차량 부품을 조립, 용접해 완성차의 차체 골격을 완성하는 설비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 및 조작 레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는 측정 윤곽면이 3차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측정프레임과, 측정프레임의 외측에 조작 레버가 설치되고, 측정프레임의 내측에 한 쌍의 물림편이 형성되고, 조작 레버(미도시)와 한 쌍의 물림편중의 가동 물림편 사이에는 해제위치까지 가요성이 있는가는 철사가 새끼형상으로 꼬인 와이어 작동선이 연장된 가동 돌기 고정부가 포함되어, 돌기 고정부의 위치의 설정이 자유롭게 되어 최적의 위치에 돌기 고정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조립 모듈상에 최적의 위치에 조립 돌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돌기 고정부의 작동이 조작 레버(미도시)에 의하여 고정 및 해제의 작동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한 번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의 돌기 고정부를 작동하게 되어 피검사 차체 부품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설치 및 분리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는 조작 레버(미도시)가 열린 상태인 위치에서 조작 레버(미도시)를 잡아당기게 되면, 조작 레버(미도시)에 연결된 와이어 작동선이 일단부에 고정된 가동봉이 고정관을 따라 차체 부품 검사 지그의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와이어 작동선의 타단부가 고정된 가동 물림편이 잠기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두 개의 물림편이 맞닿게 되면서 돌기 고정부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잠긴 상태에서 조작 레버(미도시)를 열리는 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가동봉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와이어 작동선의 타단부가 고정된 가동 물림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개방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 고정부의 조작 레버(미도시)에는 복수의 와이어 작동선이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각 와이어 작동선의 타단부는 한 쌍의 물림편중의 가동 물림편 상에 각기 연결되어 있어, 조작 레버(미도시)를 작동시키면 동시에 가동 물림편이 작동되어 더욱 편리하게 복수개의 돌기 고정부의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피검사 차체 부품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고정 및 분리가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는 자동차 내장재 및 차체 PANEL의 검사를 위한 도구로서 용도에 따라 수지, 알루미늄 등 여러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품(자동차)의 정확한 검사를 위하여 설계, 가공 등의 단계에서 정밀하고 치밀한 계획과 가공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차체 부품을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하여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일예로,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끼리의 검사를 통해 지그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 및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상면에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차체 부품을 안착시킨 후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간의 결합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 및 외곽 틀, 하측부 등 다양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는, 레이저 센서, 카메라 센서, 압력 센서, 위치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복수의 센서에서 감지하여 생성된 결합 정보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어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차체 부품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와의 매칭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피검사 차체 부품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 돌기뿐만 아니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외곽틀과, 피검사 차체 부품의 외곽 틀과의 매칭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하나의 자동차가 형성되기 전 복수의 차체 부품들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와의 정확한 매칭을 판단하여, 복수의 차체 부품들을 모두 결합하여 조립된 자동차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불량 여부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미도시)가 결합되도록 조작 레버(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피검사 차체 부품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 돌기뿐만 아니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외곽틀과, 피검사 차체 부품의 외곽 틀과의 정확한 매칭으로 판단되는 경우,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결합되도록 조작 레버(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단일의 차체 부품만을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개의 부품이 결합된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제1 차체 부품과 제2차체 부품이 결합된 제3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는 각각의 차체 부품에 해당하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일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서로 상이한 부품과의 결합(조립)된 차체 부품인 경우, 조립된 영역(구간)의 용접 또는 결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는 가공 장비(10) 및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에 포함된 복수의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30)는 가공 장비(10) 및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에 포함된 복수의 유닛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은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은 가공 장비 및 차체 부품 검사 장비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하나의 완성된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한 설계 정보를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는, 프레임의 소재, 규격, 위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은 가공 장비 및 차체 부품 검사 장비의 구동, 가공 장비 및 차체 부품 검사 장비의 생산 부품 등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에서 생성되는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은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선택, 제어 항목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 제어 항목들에 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40)로 차체 부품 설계 정보 선택 메뉴, 모니터링 메뉴, 불량 확인 메뉴, 구동 제어 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40)이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체 부품 설계 정보 선택 메뉴, 모니터링 메뉴, 불량 확인 메뉴, 구동 제어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40)과 데이터, 콘텐츠, 각종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기능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서버, 단말,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네트워크를 통해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과 연동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1) 및 사용자 단말(40)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의 일 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가공 장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공 장비(10)는 설계 정보 생성부(11), 소재 정보 수집부(12), 접착부(13) 및 용착 장비 결정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설계 정보 생성부(11)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장착될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설계 정보 생성부(11)는 수집된 상기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의 설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는, 프레임의 소재, 규격, 위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설계 정보는, 부속 검사 부품의 위치, 높이, 모양(형상),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설계 정보 생성부(11)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서 'ㄴ'형상의 차체 부품이 설계되어야 하는 경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의 설계 정보를 'ㄱ'형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설계 정보 생성부(11)는 'ㄴ'형상과 맞물려 차체 부품을 검사할 수 있도록,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의 설계 정보를 'ㄱ'형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계 정보 생성부(11)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에 포함될 부속 부품의 소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 정보 생성부(11)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 중 제1 부속 부품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생성되되, 상측에 고무와 결합되어야 하는 경우,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부속 부품의 소재 정보, 상측에 결합될 고무의 소재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 정보 수집부(12)는 복수의 부속 부품 중 제1부속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소재의 크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재 정보 수집부(12)는 제1 가공 장치에 구비된 원소재의 크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원소재의 크기 정보는, 가로, 길이, 폭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일예로, 제1 가공 장치는, 와이어컷 가공 장비 일수 있다. 일례로, 제1부속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소재는 제1원소재 및 제1원소재가 접착된 제3원소재일 수 있다.
와이어컷 가공 (-加工,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은 와이어와 가공물 사이에 방전(放電)을 일으켜 방전 스파크를 톱날처럼 사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법이다. 또한, 와이어컷 가공은, 주행하는 와이어 전극과 공작물 사이에서 방전을 일으켜 발생하는 스파크를 톱날처럼 이용하여 가공물을 잘라내는 가공 방법이다. 와이어컷 방전가공 또는 와이어 방전가공이라고도 한다.
가공물을 와이어컷 가공기의 X-Y 테이블 위로 이동시키면서 가공하는데, 와이어는 Ф0.05~0.3㎜의 황동, 동, 텅스텐 등의 도선이 사용된다. NC 제어에 의하여 복잡한 윤곽 형성이 자동적으로 도려 낼 수가 있으므로 프레스 형 등의 금형, 방열기 등의 미세 틈새의 핀 가공 등에 사용된다. 컴퓨터 수치제어(CNC)가 필수적이며 가공 정밀도는 최대 0.1(=1/1000㎜)이다. 와이어컷 가공은 ①일반 공작기계로는 가공을 할 수 없는 미세가공이나 복잡한 형상의 가공을 할 때 ②열처리가 되어 있거나 일반절삭가공이 어려운 초경도 재료를 가공할 때 ③높은 정밀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는 금형을 가공할 때 등에 응용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부(13)는 제1원소재의 제1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원소재의 제1측면과 접착할 수 있다. 일예로, 접착제는 공업용 본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원소재 및 제2원소재의 소재는 알루미늄 소재일 수 있다. 접착부(13)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생산되는 부속 부품을 단 한번의 구동만으로 생산하기 위해, 제1원소재 및 제 2 원소재를 접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의 생산에서는, 제1원소재를 제 1가공 장치에 구비하고, 절단하여 제 1부속 부품의 제1부분 생산하고, 제2원소재를 제 1가공 장치에 구비하여, 제1부속 부품의 제2부분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제1가공 장치의 한 번의 구동만으로도 제1부속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복수개의 원 소재를 접착하여 하나의 원 소재를 생성하고, 접착하여 생성된 원 소재를 제1 가공 장치에 구비하여 제1 부속 부품의 복수의 부분을 생성하고, 최종적인 제1부속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13)에서 제1 원소재 및 제 2 원소재를 접착하여 제3원소재를 생성하여 제1 부속 부품을 생산함으로써,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착 장비 결정부(14)는 차체 부품 중 상측 사출품 및 차체 부품 중 하측 사출품을 용착하기 위한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용착 장비는, 초음파 용착기, 레이저 용착 장비, 진동 용착기, 컴프레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착 장비 결정부(14)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용착 장비 결정부(14)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 중 재질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용착 장비 결정부(14)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착 장비 결정부(14)에서 초음파 용착기를 이용하여 차체 부품 중 상측 사출품 및 차체 부품 중 하측 사출품을 용착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초음파 용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초음파 용착기는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차체 부품 중 상측 사출품 및 차체 부품 중 하측 사출품을 용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초음파 용착기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Generator), 전기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진동자(Converter), 진동자에서 발생한 진동을 증폭하는 메인혼(Booster), 직접 플라스틱에 닿아 진동을 전달하는 공구혼(Tool Horn), 용착물을 고정하는 부분인 지그(Jig)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용착(Ultrasonic welder)은 초음파의 진동이 처음 가해지면 용착면의 용착산이 미세한 표면 돌기(asperity)가 매우 빠르게 발열하게 된다. 이 표면 돌기부분이 다른 곳보다 응력이 집중되어 큰 변형률과 진동에너지의 대부분을 소모하게 되어 용착 부위의 돌기부분이 용융되고 그 주변부로 열이 전이된다. 이 순간 용착면 전체에 용융층이 얇게 형성되고 초음파의 계속적인 진동으로 짧은 시간에 확산이 이루어져 용착이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용착은 접착제를 사용하던 방법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의 짧은 시간에 용착이 이루어지며 부착력이 강하고 용착 부위가 깨끗하므로 원가 절감은 물론 생산성 및 품질 향상에 기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는 10kHz 이상의 진동수를 가진 음파이다. 또한, 초음파 용착은, 접착제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작업환경이 깨끗해서 능률적이고, 순간적인 접착 시간으로 품질과 생산성에 효과적이다. 또한, 강력한 접착으로 수밀성, 기밀성이 좋으며, 전처리 및 후처리가 필요 없어 생산 능률이 배가되고, 제품의 어려운 금형 구조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모가 적고 기계수명이 반 영구적으로서 유지비가 적게 들며, 사용이 간편하고 제품이 균일하여 품질과 생산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초음파 용착은, 자동 및 반자동으로도 공정의 일괄작업이 가능하다. 초음파 용착은 비결정성수지(AMORPHOUS) 및 결정성수지(CRYSTALLIN)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THERMO PLASTICS)를 용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용착기(Vibration Welder)는 특히 자동차 산업의 엔진 부품, Air 시스템, 냉각 및 히터 시스템, 변속 장치, 구조 파트에 적용될 수 있다. 진동 용착은 용착될 두가지 제품을 정해진 주파수(180~240HZ)와 진폭 (0.5~2mm)에 의해 좌우 진동마찰을 주어 가압하면서 플라스틱을 용융 확산시키며 용착시키는 기술로 내압 및 고강도를 요하는 플라스틱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진동 용착은, 초음파 용착의 단점인 형상, 재질, 크기 등의 제한을 받지않으며 PP/PA/POM/PPS 수지와 같은 결정성 수지의 용착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주로 사용하는 자동차, 가전 부품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용착(Laser welder)은 각기 다른 투과성과 흡수성을 가진 플라스틱 제품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흡수층에서 분자들을 활성화 시켜 그 운동 에너지에 의해서 발생한 열이 간적적으로 투과층 제질을 용융시켜 두 모재를 접합시키는 것이다. 레이저 용착은 정교한 부품 및 기능성 부품, 3D 부품에 유리하며 자동차, 의료, 전기전자부품 및 반도체 산업 등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착시 문제점으로 리크 발생, 오염 가능성, 민감한 제품의 손상, 일관된 용착 과정, 작은 부품 용착의 어려움, 버(Burr) 발생, 서로 다른 재료의 용착의 어려움, 복잡한 모양의 제품 용착 어려움, 용착의 강도 등이 있는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이 레이저 용착법이다. 또한, 레이저 용착은, 레이저 빔을 투과재에 조사하고, 레이저 빔이 투과재를 통과하여 흡수재에 조사되어 흡수 발열하고, 흡수재의 용융열이 투과재의 표면을 가열 용융하여, 투과재와 흡수재의 소재가 서로 용융되면서 양재료가 융합된다. 레이저 용착은 자동차 액체 저장 탱크 등을 생산할 때 적용되는 용착 방법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프레셔는, 피스톤 운동을 통하여 기체를 압축하여 압축된 기체를 방출하거나 그 힘을 이용하여 기계를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차체 부품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체 부품 검사 장치(20)는 결합 정보 수집부(21), 판단부(22), 자기력 발생부(23), 조사 유닛(24) 및 위치 결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정부 수집부(21)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간의 결합을 감지하는 결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결합 정보 수집부(21)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간의 결합을 감지하는 결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각각의 상측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하측면, 외곽 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센서(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형성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정상 안착되었는지에 관한 결합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 중 제 1 센서는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1센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차체 부품이 놓인 경우, 변화하는 무게를 감지하여 결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 중 제2 센서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2센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기 고정부에 차체 부품의 일부가 결합된 경우, 변화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결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 중 제 3 센서는 레이저 센서 일 수 있다. 제 3 센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차체 부품이 안착된 경우,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하측에 구비된 제3센서와 차체가 안착된 거리를 측정하여 결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3센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하측면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과의 거리와 관련된 결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 중 제 4 센서는 면적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제 4 센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안착된 차체 부품의 면적을 감지하여 결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에서 생성되는 결합 정보는 앞서 설명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정보 수집부(21)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구비된 유체 흐름 센서로부터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간의 결합을 감지하는 결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결합 정보 수집부(21)에서 수집한 유체 흐름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 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었을 경우, 유체 흐름 정보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내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 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비정상 안착되었을 경우, 유체 흐름 정보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수 있다.
한편 판단부(22)는 유체 흐름 정보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 및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생산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정보 수집부(21)는 제 1 차체 부품 검사 지그 및 제1 차체 부품과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공기, 가스)를 배출하고, 유체 흐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판단부는, 유체 흐름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압력, 유체의 양)을 판단하고, 피검사 차체 부품 및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판단부(22)는 유체 흐름 정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차체 부품 검사 지그 및 제1 차체 부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결합 정보 수집부(21)에서 수집된 결합 정보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2)는 결합 정보 수집부(21)에서 수집된 결합 정보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정상 안착되어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차체 부품의 무게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된 무게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2)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하측면에 구비된 센서에서 측정된 거리와 관련된 결합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2)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닿는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면,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결합되도록 조작 레버(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 레버(미도시)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조작하는 부품으로서, 조작 레버(미도시)의 구동 동작이 ON으로 변경되는 경우, 각각의 돌기 고정부에 삽입된 피검사 차체 부품과 맞물릴 수 있다. 달리 말해, 돌기 고정부는 한 쌍의 물림편을 포함하고, 조작 레버(미도시)는 한 쌍의 물림편 중앙에 삽입된 피검사 차체 부품을 한 쌍의 물림편이 맞닿아 피검사 차체 부품을 고정하도록 한 쌍의 물림편의 동작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부(미도시)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비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것이므로, 결합 정보에 기반하여 비정상 안착된 영역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피검사 차체 부품과 제1 돌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제2 피검사 차체 부품과 제2돌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제3피검사 차체 부품과 제3돌기 고정부와 결합되어야 하는 경우, 판단부(22)는 각각에 해당하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22)에서 제3피검사 차체 부품과 제3돌기 고정부가 비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분석부(미도시)는 제3피검사 차체 부품의 형상, 제3돌기 고정부의 정상 구동 여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분석부(미도시)는 비정상 안착된 영역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분석부(미도시)에서 분석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비정상 안착된 경우는, 제품의 하자 또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부품의 구동의 문제 등으로 인한 문제점일 수 있다. 분석부(미도시)에서 비정상 안착된 영역(구간)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력 발생부(23)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에 인력을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피검사 자체 부품에 발생할 수 있는 외력으로 인해 소정 각도가 틀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피검사 차체 부품이 소정 각도 틀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를 통해 검사할 수 있는 전기신호를 인가해 수행되는 테스트 또는 LED 등의 광원 테스트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수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자기력 발생부(23)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 테스트 수행 중 각도 틀어짐 없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확히 고정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에 인력을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해, 차체 부품 검사 장비(20)는 단순히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간의 정확한 결합 여부뿐만 아니라, 전기신호를 인가해 수행되는 테스트, 차량용 LED 전조등 테스트 등 자동차에 포함되어 있는 부품들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일예로, 자기력 발생부(13)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면들(즉, 전방향/후방향/좌측방향/우측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기력 발생부(13)는 피검사 차체 부품의 측면부에 대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30)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면 자기력 발생부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기력 발생부(13)는 ON 상태일 때,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해 인력을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자기력 발생부(13)가 ON 상태일 때,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결합을 위한 조작레버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피검사 차체 부품의 검사 이후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를 분리하기 위해 조작 레버(미도시)의 동작을 OFF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일예로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자기력 발생부(13)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장의 유형에는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 진행 상태에는 예시적으로 제1상태로서, 정상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로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구비된 전기 테스트 유닛이 연결된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하여 테스트 전기신호를 인가해 테스트를 수행하는 상태, 즉,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한 전기 신호 테스트 수행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진행 상태에는 예시적으로 제2상태로서, 테스트가 완료된 피검사 차체 부품을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이동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일예로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 진행 상태가 제1상태일 경우, 자기장의 유형을 제1유형으로 제어하고,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 진행 상태가 제2상태일 경우, 자기장 유형을 제2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기력 발생부(13)는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 진행 상태가 제1상태인경우, 제1유형에 해당하는 자기력(강도가 약한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테스트 전기신호에 기초한 차체 부품 검사의 테스트 수행 중 자기력에 의한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다 정확한 테스트 결과가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흡착부(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일 영역에 피검사 차체 부품을 고정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닿는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면,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판단부(22)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에어 흡착부(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피검사 자체 부품에 발생할 수 있는 외력으로 인해 소정 각도가 틀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피검사 차체 부품이 소정 각도 틀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를 통해 검사할 수 있는 전기신호를 인가해 수행되는 테스트 또는 LED 등의 광원 테스트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수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에어 흡착부(미도시)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 테스트 수행 중 각도 틀어짐 없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확히 고정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에 공기를 흡착(흡입)하여 차체 부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예로, 에어 흡착부(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중공부에 대응하는 면들(즉, 전방향/후방향/좌측방향/우측방향 각각에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 흡착부(미도시)는 피검사 차체 부품의 측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차체 부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어부(30)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면 에어 흡착부(미도시)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에어 흡착부(미도시)는 ON 상태일 때,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해 공기를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에어 흡착부(미도시)가 ON 상태일 때,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결합을 위한 조작레버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피검사 차체 부품의 검사 이후 피검사 차체 부품과 복수의 돌기 고정부를 분리하기 위해 조작 레버(미도시)의 동작을 OFF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일예로 피검사 차체 부품에 대한 테스트 진행 상태에 따라 에어 흡착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흡착(흡입) 정도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흡착(흡입) 정도는 공기 흡착(흡입)의 세기,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사 유닛(14)은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대응하여 차체 부품과 차체 부품 검사 지그와 관련된 매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조사 유닛(14)은 차체 부품 검자 지그(20)로부터 일정 영역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조사 유닛(14)은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조사 유닛(14)은 촬영 유닛 및 레이저 조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유닛은 매칭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 유닛은 수치화된 매칭 데이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 유닛은 피검사 차체 부품을 촬영한 매칭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은 피검사 차체 부품 지그(20)를 촬영한 매칭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은 피검사 차체 부품과 피검사 차체 부품 지그(20)가 결합된 것을 촬영한 매칭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유닛은 피검사 차체 부품과 피검사 차체 부품 지그(20)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황을 촬영한 매칭 이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촬영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매칭 이미지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매칭 이미지 정보와의 비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준 매칭 이미지 정보는 판단부(22)에서 피검사 차체 부품이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해당하는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2)는 획득된 매칭 이미지 정보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기준 매칭 이미지 정보에서 추출된 특징점과 획득된 매칭 이미지 정보에서 추출된 특징점과의 비교를 통해 유사도를 연산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연산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획득된 매칭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피검사 차체 부품이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판단부(22)는 이미지 특징점 추출 유사도 연산을 통해 획득된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특정 지점의 피검사 차체 부품이 비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조사 유닛(24)은 조립된 차체 부품간의 틈새 간격을 확인하기 위해 제2조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조사유닛은 테이퍼게이지, 초음파, 레이저 센서 일 수 있다. 제2조사 유닛은, 조립된 차체 부품간의 틈새 간격을 확인하기 위한 유닛일 수 있다.
제2 조사 유닛은 조립된 제1차체 부품과 제2 차체 부품이 결합된 공간에 삽입되어, 제1차체 부품과 제2 차체 부품간의 틈새 간격을 센싱 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제2조사 유닛으로부터 측정된 틈새 간격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범위는 3mm이고, 판단부(22)는 제 2조사 유닛으로부터 측정된 틈새 간격이 3mm라고 매칭 정보를 생성한 경우, 제1차체 부품과 제2 차체 부품이 정상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판단부(22)는 제2조사 유닛으로부터 측정된 틈새 간격이 5mm라고 매칭 정보를 생성한 경우, 제1차체 부품과 제2 차체 부품이 비정상 결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분석부(미 도시)는 판단부(22)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제1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 또는 제2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차체 부품과 제1차체 부품검사 지그와의 정상 결합에 의해 제1차체 부품과 제2차체 부품을 조립하였으나, 비정상 결합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차체 부품 또는 제2차체 부품 중 어느 하나의 불량이 발생한 것이므로, 분석부(미도시)는 제1차체 부품과 제2차체 부품을 분석할 수 있다. 참고로, 제1차체 부품은 제1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결합되어있는 상태이고, 제2차체 부품은 제2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예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25)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체 부품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 고정 개수 및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차체가 범퍼인 경우, 자동차의 종류, 자동차의 생산업체 등에 따라 그 형상이 상이하여, 하나의 차체 부품 검사 지그(20)를 생성하면, 다시 재활용하기 곤란하여 폐기 처분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체 부품 중 하나의 부품(예를 들어, 범퍼)을 검사하기 위해 생성된 차체 부품 검사 지그(20)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위치 및 높이를 변화시켜, 자동차의 종류 및 자동차의 생산업체가 다르다 하더라도 해당 부품을 검사할 수 있다.
일예로, 차체 부품 고정 지그(미도시)는 받침대, 복수의 돌기 고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고정될 수 있는 판일 수 있다. 복수의 돌기 고정부는 차체의 종류에 따라 구비되는 돌기 고정부의 종류, 개수, 위치, 높이 등이 상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결정부(25)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차체 부품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개수 및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부(25)는 차체 부품이 범퍼인 경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범퍼의 설계 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개수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25)는 사각형의 받침대의 X, Y 위치 좌표를 생성하여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각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30)는 생성된 X, Y 위치 좌표에 기반하여 돌기 고정부 각각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부(3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25)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높이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가 구비된 받침대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어부(30)는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부(3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 또는 하로 움직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는 모터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미도시)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 하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미도시)는 제어부(3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모터부(미도시)는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 판단부(22)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까지 기준 정보에 기반하여 정확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환경 수집부(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의 주변 환경의 온도,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외부 환경 수집부(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2)의 주변 환경으로서 일예로 차체 부품 검사 지그(2)의 중공부 내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습도 측정부(미도시)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가 구비된 공간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의 가상 모델링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차체 부품검사 지그(5) 및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6)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 차체 부품 검사 지그(5) 및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6)을 매칭할 수 있다.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가상 차체 부품 검사 지그(5) 및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6)을 3차원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X-Y-Z 축으로 정의되는 3차원 가상공간(이하, 간단히 '공간'이라 함) 상에 구조를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델-요소(Model Element)에는 노드(Node, 또는 점), 엣지(Edge, 또는 변), 다각형(Polygon) 및 다면체(Polyhedron)가 포함된다. 이러한 모델-요소들의 결합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형상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기초로 렌더링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을 컴퓨터 등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노드는 공간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엣지는 다각형을 구성하는 요소로 사용된다. 하나의 다각형은 노드와 엣지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다각형과 다각형이 만날 때는 공유되는 노드와 엣지는 각 다각형에 의해 공유된다. 다면체는 복수 개의 다각형으로 구성한 공간상의 한 덩어리를 나타내며, 다면체에 객체 정보(이름 또는 인덱스)가 설정된다.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가상으로 생성된 가상 차체 부품검사 지그(5) 및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6)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 제공할 수 있다.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4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불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로부터 생성된 가상 차체 부품 검사 지그(5) 및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6)과 실제의 차체 부품 검사 지그(미도시)에 안착되는 차체 부품과의 유사도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유사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가상과 실제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판단부(22)는 유사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이면 가상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는 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22)는 유사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가상으로 생성된 가상 차체 부품 검사 지그(5) 또는 가상 피검사 차체 부품(6) 중 불량이 발생한 영역에 알림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판단부(22)는 실제로 이루어지는 차체 검사 중 차체 부품의 불량이 발생한 영역과 대응하는 가상 차체 부품에 해당하는 위치에 불량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판단부(22)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조작 레버(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판단부(22)의 판단 결과가 유사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인 경우, 제어부(30)는 조작 레버(미도시)의 구동을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판단부(22)의 판단 결과가 유사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하인 경우, 제어부(30)는 조작 레버(미도시)의 구동을 OFF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제품을 개발함에 앞서 미리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모형을 만들어 봄으로써 제품 개발과정에서 오류를 줄이고 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가상 모델링 정보 생성부(미도시)에서 제품 개발 전 즉,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차체 부품을 생산하기 이전,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차체 부품 검사 지그를 생산하기 이전에 시뮬레이션해본 결과와 실제로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차체 부품과 상기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차체 부품 검사 지그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판단부(22)에서 가상과 현실에서의 유사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10: 가공 장비
11: 설계 정보 생성부 12: 소재 정보 수집부
13: 접착부 14: 용착 장비 결정부
20: 차체 부품 검사 장비
21: 결합 정보 수지부 22: 판단부
23: 자기력 발생부 24: 조사 유닛
25: 위치 결정부
30: 제어부
40: 사용자 단말

Claims (8)

  1.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장착되는 복수의 부속 부품을 생산하는 가공 장비;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생산된 차체 부품을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하여 상기 차체 부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차체 부품 검사 장비;
    상기 가공 장비 및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에 포함된 복수의 유닛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가공 장비 및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가공 장비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장착될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될 복수의 부속 부품의 설계 정보를 생성하는 설계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부속 부품 중 제1부속 부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소재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는 소재 정보 수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구비된 유체 흐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차체 부품과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 간의 결합을 감지하는 결합 정보를 수집하는 결합 정보 수집부; 및
    상기 결합 정보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유체 흐름 센서로부터 수집된 유체 흐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장비는,
    제1원소재의 제 1측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원소재의 제1측면과 접착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 정보 수집부는 접착된 상기 제1원소재 및 상기 제2원소재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재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상기 크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가공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안착된 피검사 차체 부품에 인력을 작용하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닿는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되면 상기 자기력 발생부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하고,
    상기 자기력 발생부가 ON 상태일 때,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과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의 결합을 위한 조작레버의 동작을 ON으로 제어하고,
    피검사 차체 부품의 검사 이후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과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조작레버의 동작을 OFF로 제어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차체 부품 검사 지그의 일 영역에 피검사 차체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에어 흡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판단부는,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에 닿는 면적이 미리 설정된 면적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피검사 차체 부품이 상기 복수의 돌기 고정부에 정상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에어 흡착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차체 부품과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지그와 관련된 매칭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조사 유닛을 더 포함하되,
    매칭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조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기준 매칭 이미지 정보와 획득된 상기 매칭 이미지 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하고, 유사도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품 검사 장비는,
    상기 차체 부품의 설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차체 부품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 고정 개수 및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돌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장비는,
    차체 부품 중 상측 사출품 및 차체 부품 중 하측 사출품을 용착하기 위한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를 결정하는 용착 장비 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착 장비 결정부의 결정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의 용착 장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착 장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KR1020190087779A 2019-07-19 2019-07-19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KR10208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79A KR102083890B1 (ko) 2019-07-19 2019-07-19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79A KR102083890B1 (ko) 2019-07-19 2019-07-19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890B1 true KR102083890B1 (ko) 2020-03-03

Family

ID=6993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79A KR102083890B1 (ko) 2019-07-19 2019-07-19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8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6494A (zh) * 2020-12-22 2021-05-18 莱茵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零件力学性能智能检测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127A (ko) *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범용검사구 제작방법 및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934255B1 (ko) * 2018-11-09 2019-01-02 최원진 테스트 소켓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981485B1 (ko) * 2016-12-13 2019-05-23 금인철 검사 대상물의 품질 상태 검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127A (ko) *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범용검사구 제작방법 및 그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981485B1 (ko) * 2016-12-13 2019-05-23 금인철 검사 대상물의 품질 상태 검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934255B1 (ko) * 2018-11-09 2019-01-02 최원진 테스트 소켓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6494A (zh) * 2020-12-22 2021-05-18 莱茵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零件力学性能智能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36444B (zh) 产品组装装置和用其制造保险杠护板的方法
US9383342B1 (en) Ultrasound inspection system for inspecting a test object with non-planar features
US9212967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industrial processes and system therefrom
KR102083890B1 (ko) 차체 부품 검사 시스템
CN104416926B (zh) 利用特殊设计的机械中间件修补差异焊接的设备和方法
JP6710510B2 (ja) 胴体セクションを形作るためのクレードルシステム
KR20100032033A (ko) 자동차 범퍼 생산장치
CN106392244B (zh) 用于顶部激光钎焊系统的顶部压紧夹具
CN107344278A (zh) 后处理工具
CN103808222B (zh) 一种利用翼子板基准实现的翼子板检测及装配方法
KR101566732B1 (ko) 차량용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의 검사 장치
CN110133115B (zh) 一种针对金属件超声波自动无损探伤的装置
CN104849029A (zh) 一种遮阳板测试系统
KR102044222B1 (ko) 차체 부품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8527216B (zh) 管柱总成装配工装
CN209773728U (zh) 传感器引脚焊接装置
CN208929437U (zh) 一种凸点焊检测装置及系统
CN115655102A (zh) 一种搭载尺寸测量系统的自主机器人及工件测量方法
CN105383572A (zh) 用于制造仪表板支架的方法
US20150336332A1 (en) Method for rounding edges of polymer motor vehicle components
DE102021209203C5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sammenfügen von zwei Fügepartnern
US20170165928A1 (en) Method of repairing damage of aircraft engine components made of weldable thermoplastic materials
CN103722286A (zh) 汽车喇叭支架焊接螺母电极防反装置及检测方法
CA3109682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kissing bonds in bonded joints
CN106584869A (zh) 一种三维树脂实体制造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