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217B1 -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217B1
KR102083217B1 KR1020190149271A KR20190149271A KR102083217B1 KR 102083217 B1 KR102083217 B1 KR 102083217B1 KR 1020190149271 A KR1020190149271 A KR 1020190149271A KR 20190149271 A KR20190149271 A KR 20190149271A KR 102083217 B1 KR102083217 B1 KR 10208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foot
net
line
fish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이경훈
편용범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승열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G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MAKING KNOTTED CARPETS OR TAPESTRIES; KNOT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G1/00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 D04G1/02Making nets by knotting of filamentary material in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그물코가 형성된 그물망을 이송하는 그물망 공급수단; 뜸이 장착된 뜸줄 공급수단; 발돌이 장착된 발줄 공급수단; 그물망 가장자리에 뜸줄과 발줄을 고정하기 위한 결착수단; 및 뜸줄과 발줄이 고정된 자망어구를 이송하는 자망어구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ill Net}
본 발명은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상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면서 대량 생산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고기는 어망(漁網)과 낚시를 이용하여 어획하며, 어망은 자망, 통발, 저인망, 안강망, 선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어망은 줄, 침자, 부자 등과 결합하여 물고기를 잡는 어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어구들 중에서 자망어구(Gill Net)는 단사(Mono Filament) 또는 복합사(Multi Filament)를 연사(Twisting)한 형태로 이중 매듭의 형태로 편망이 이루어지며, 편망의 형태는 물고기 무리가 지나다니는 길목에 어획대상에 따른 적정 크기로서 사각형 또는 다이아몬드형을 이루도록 펼쳐져 물고기를 포획할 수 있는 그물구조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자망어구는 그물을 짜는 편망과정 이후에 뜸과 발돌을 고정시키는 조립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즉, 주요 조립공정은 성형률을 고려하여 일정한 그물코 간격마다 뜸과 발돌을 바늘로 꿰어 달아 제작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망(110) 가장자리 일측에는 뜸(121)이 고정되어 있는 뜸줄(120), 타측에는 발돌(131)이 고정되어 있는 발줄(130)이 체결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자망어구 제조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다. 특히 최근에는 인구 감소로 인해 인력 수급이 어렵고 이는 자망어구의 제조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생산능률과 제품품질에 큰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261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자망어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항상 일정한 고품질의 자망어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는, 다수의 그물코(111)가 형성된 그물망(110)을 이송하는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121)이 장착된 뜸줄 공급수단(300); 발돌(131)이 장착된 발줄 공급수단(400);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기 위한 결착수단(600); 및 뜸줄(120)과 발줄(130)이 고정된 자망어구(100)를 이송하는 자망어구 이송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는 그물망(110)에 고정되는 (120)과 발줄(130)의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검출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에서, 검출수단(500)은 그물코(111)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수단(500)은 컨트롤러와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에서, 상기 결착수단(600)은 미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에서, 상기 자망어구(100)는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은, 다수의 그물코(111)가 형성된 그물망(110)을 공급하는 단계; 뜸(121)이 장착된 뜸줄(120)과, 발돌(131)이 장착된 발줄(130)을 공급하는 단계; 및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은, 그물망(110)에 고정되는 뜸줄(120)과 발줄(130)의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검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검출단계는 그물코(111)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검출단계는 그물코(111)의 개수를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단계; 및 그물코(111)의 개수를 측정하여 입력된 그물코의 개수만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측정은 소정 영역의 파장 조사와 반사, 및 센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파장은 660nm의 적색 파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에서,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는 단계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자망어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광학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그물코의 개수를 계수하고 이에 기초하여 뜸과 발줄을 그물망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한층 정교한 자망어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자망어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에 뜸줄과 발줄을 결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망어구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코 개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에 뜸줄과 발줄을 결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뜸줄(120)과 발줄(130)에 뜸(121)과 발돌(131)을 사전에 각각 고정시켜두고, 이러한 뜸줄(120)과 발줄(130)을 그물망(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결착시킴으로써 자망어구(100)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망어구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장치는,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줄 공급수단(300), 발줄 공급수단(400), 검출수단(500), 결착수단(600) 및 자망어구 이송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물망 공급수단(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류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그물코(111)가 형성되어 있는 그물망(110)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그물망(110)이 감겨 있는 보빈(210)과 그물망(110)을 소정 속도로 공급하는 회전 로울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회전 로울러(220) 외측 표면에서는 그물코(111)가 걸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어 그물망(110)을 후방으로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그물망(110)은 환경친화적인 생분해성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뜸줄 공급수단(300)은 뜸(121)이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어 있는 긴 로프 형상의 뜸줄(120)을 그물망(110)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일예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뜸줄(120)이 감겨 있으며 뜸줄(120)의 이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물망(110)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뜸줄(120)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발줄 공급수단(400)은 발돌(131)이 일정 간격으로 체결되어 있는 긴 로프 형상의 발줄(130)을 그물망(110)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일예로 회전하는 샤프트에 발줄(130)이 감겨 있으며 발줄(130)의 이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물망(110)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발줄(130)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검출수단(500)은 공급되는 그물망(110)의 그물코(111) 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물코 개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인 도 4를 참조하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검출수단(500)은 센싱부와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싱부는 광학 송신부와 광학 수신부를 포함하며, 이들 광학 송신부와 광학 수신부 사이에서 이동하는 그물코의 반사강도 크기로부터 그물코의 개수(그물코 1개의 길이, L)를 판단하며, 이와 같은 광학 송수신 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광학 수신부에서 수신한 값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광학 송신부에서는 660nm 적색 파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는 센싱부를 제어하는 한편 설정한 개수만큼 그물코가 이동하는 경우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줄 공급수단(300), 발줄 공급수단(400) 및/또는 결착수단(600)에 신호를 전송하여 이들의 작동여부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그물코(111)의 크기를 고려하여 뜸줄(120)과 발줄(130)을 어느 정도 간격으로 그물망(110)에 고정시킬 것인지 결정하여 그물코(111)의 개수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 이동한 그물코(111)의 개수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한 그물코(111)의 개수만큼 그물망(110)이 이동하면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줄 공급수단(300) 및 발줄 공급수단(400)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중지시킨 후 결착수단(600)을 가동하여 그물망(110) 양측 가장 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시키고, 이후 다시 그물망(110), 뜸줄(120) 및 발줄(130)을 이동시키면서 그물코(111)의 개수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입력한 그물코(111)의 개수만큼 그물망(110)이 이동하더라도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줄 공급수단(300) 및 발줄 공급수단(400)을 중지시키지 않고 결착수단(600)을 가동하여 그물망(110), 뜸줄(120) 및 발줄(130)의 공급과 결착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줄 공급수단(300), 발줄 공급수단(400) 및/또는 결착수단(600)의 작동여부를 컨트롤러(520)에서 수행하지 않고,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컨트롤러(520)는 그물코(111)의 개수 입력과 이동한 그물코(111)의 개수만을 표시하고, 이들 결과값은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며, 제어부(미도시)에서 전술한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줄 공급수단(300) 및 발줄 공급수단(400)의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컨트롤러에 의해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줄 공급수단(300) 그리고 발줄 공급수단(400)을 제어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결착수단(600)은 그물망(110) 양측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일예로 미싱기계를 사용하여 박음질로 고정할 수 있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그물망(110) 양측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이 결착되어 완성된 자망어구(100)는 그물망 공급수단(200)의 회전 로울러(220)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 자망어구 이송수단(700)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되며, 필요에 따라 자망어구(100)의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보빈(미도시)에 감아둘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로울러(220)와 마찬가지로 자망어구 이송수단(700) 외표면에 제2 돌기(71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자망어구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의 흐름도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망어구 제조방법은 다수의 그물코(111)가 형성된 그물망(110)을 공급하는 단계, 뜸(121)이 장착된 뜸줄(120)과 발돌(131)이 장착된 발줄(130)을 공급하는 단계, 그물망(110)에 고정되는 뜸줄(120)과 발줄(130)의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검출단계, 그리고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물망(110), 뜸줄(120) 그리고 발줄(130)을 공급하는 단계는, 보빈(210)과 회전 로울러(220)를 회전시켜 그물망(110)을 공급하고, 이와 동시에 뜸줄(120)과 발줄(130)이 각각 감겨 있는 샤프트를 회전시켜 그물망(110) 가장자리로 뜸줄(120)과 발줄(130)을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물론 그물망(11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뜸줄(120)이 고정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발줄(1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뜸줄(120)과 발줄(130)은 그물망(110)의 폭 정도로 이격된 상태로 공급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그물망(110)에 고정되는 뜸줄(120)과 발줄(130)의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검출단계에서는, 전술한 광학 송수신 방법을 통해 이동한 그물코(111)의 개수를 측정한다.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인 도 6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뜸줄(120)과 발줄(130)을 어느 정도 간격으로 그물망(110)에 고정시킬 것인지 그물코(111)의 개수를 컨트롤러(520)에 입력한다. 검출수단에서 계수한 그물코(111)의 개수가 설정한 개수 미만이면 그물망(110), 뜸줄(120) 및 발줄(130)이 계속해서 이동하고, 설정한 개수에 도달하면 결착을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는 단계는, 결착수단(600)이 결착신호를 송신하면 그물망(110) 양측 가장자리에는 뜸줄(120)과 발줄(130)이 각각 고정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그물망(110)의 설정된 위치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일차적으로 고정되면, 다시 그물망(110), 뜸줄(120) 및 발줄(130) 공급, 결착 위치 검출 및 결착의 순으로 반복되어,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뜸줄(120)과 발줄(130)이 그물망(110)에 고정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자망어구
110 : 그물망 111 : 그물코
120 : 뜸줄 121 : 뜸
130 : 발줄 131 : 발돌
200 : 그물망 공급수단
210 : 보빈
220 : 회전 로울러 221 : 제1 돌기
300 : 뜸줄 공급수단
400 : 발줄 공급수단
500 : 검출수단
600 : 결착수단
700 : 자망어구 이송수단
710 : 제2 돌기
L : 그물코 1개의 길이

Claims (13)

  1. 다수의 그물코(111)가 형성된 그물망(110)을 이송하는 그물망 공급수단(200);
    뜸(121)이 장착된 뜸줄 공급수단(300);
    발돌(131)이 장착된 발줄 공급수단(400);
    그물망(110)에 고정되는 (120)과 발줄(130)의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검출수단(500);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기 위한 결착수단(600); 및
    뜸줄(120)과 발줄(130)이 고정된 자망어구(100)를 이송하는 자망어구 이송수단(700)을 포함하되,
    상기 검출수단(500)은 그물코(111)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500)은 센싱부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수단(600)은 미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망어구(100)는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장치.
  7. 다수의 그물코(111)가 형성된 그물망(110)을 공급하는 단계;
    뜸(121)이 장착된 뜸줄(120)과, 발돌(131)이 장착된 발줄(130)을 공급하는 단계;
    그물망(110)에 고정되는 뜸줄(120)과 발줄(130)의 결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검출단계; 및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단계는 그물코(111)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그물코(111)의 개수를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단계; 및
    그물코(111)의 개수를 측정하여 입력된 그물코의 개수만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소정 영역의 파장 조사와 반사, 및 센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은 660nm의 적색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그물망(110) 가장자리에 뜸줄(120)과 발줄(130)을 고정하는 단계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망어구 제조방법.
KR1020190149271A 2019-11-20 2019-11-20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8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71A KR102083217B1 (ko) 2019-11-20 2019-11-20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71A KR102083217B1 (ko) 2019-11-20 2019-11-20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217B1 true KR102083217B1 (ko) 2020-03-02

Family

ID=6980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271A KR102083217B1 (ko) 2019-11-20 2019-11-20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49B1 (ko) * 2023-04-14 2023-08-29 주식회사 한국수산해양공학연구소 자망어구 자동조립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615Y1 (ko) * 2000-10-09 2001-04-02 유호준 그물망이 형성된 과일싸개용 봉지제조기
KR20030026169A (ko) 2001-09-25 2003-03-31 정정호 바다 및 민물용 자망 어구
JP2005113356A (ja) * 2003-10-04 2005-04-28 Tamotsu Maehara 天然高分子系(澱粉樹脂と変性ポリビニールアルコール)、発酵生産系(微生物産性ポリエステル)、化学合成系(脂肪族ポリエステル、ポリ乳酸)の樹脂を用いた糸、網、布ならびにロープ
KR100710699B1 (ko) * 2006-09-23 2007-04-24 진득성 그물망으로 사용되는 그물
KR100789178B1 (ko) * 2007-06-07 2008-01-02 장금자 종패 양식용 그물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로부터제조된 그물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615Y1 (ko) * 2000-10-09 2001-04-02 유호준 그물망이 형성된 과일싸개용 봉지제조기
KR20030026169A (ko) 2001-09-25 2003-03-31 정정호 바다 및 민물용 자망 어구
JP2005113356A (ja) * 2003-10-04 2005-04-28 Tamotsu Maehara 天然高分子系(澱粉樹脂と変性ポリビニールアルコール)、発酵生産系(微生物産性ポリエステル)、化学合成系(脂肪族ポリエステル、ポリ乳酸)の樹脂を用いた糸、網、布ならびにロープ
KR100710699B1 (ko) * 2006-09-23 2007-04-24 진득성 그물망으로 사용되는 그물
KR100789178B1 (ko) * 2007-06-07 2008-01-02 장금자 종패 양식용 그물망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그로부터제조된 그물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49B1 (ko) * 2023-04-14 2023-08-29 주식회사 한국수산해양공학연구소 자망어구 자동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217B1 (ko) 자망어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6882647B (zh) 纺织机的工位的上纱线拾取过程的校准方法
JP2007167065A (ja) フィルタストランド製造機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フィルタストランド製造機
CN104229555A (zh) 纱线卷取机以及纱线卷取方法
DE60320504T2 (de) Fadenverarbeitendes System
EP1176244A2 (en) Continuous measure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tension and/or running of adjacent yarns in knitting machines
KR102083203B1 (ko) 자망어구 자동조립시스템
CN105398880A (zh) 储纱装置以及具备该储纱装置的纱线卷绕装置
CN100460573C (zh) 一种红外光电检测控制缫丝工艺
CN108315870B (zh) 一种织带的制备方法
CN104229560B (zh) 接纱装置、卷绕单元、纤维机械及接纱方法
JP2015217305A (ja) ミシンによる縫製時に上糸と下糸の間の結び目の位置へ影響を与え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20005503A (ja) 海藻養殖網を耳綱へ固着する固着自動化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660082B (zh) Yarn feeding device (1)
US6581257B2 (en) Process for making a warp beam of untwisted fiberglass strands
CN105040268B (zh) 矩形有结网片的无梭编织方法
CA2896001C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il screens
US31624A (en) Tatting-frame
CN102583107B (zh) 制造染色筒子的方法
RU1707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мотки нитеви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подвязки растений
CN104229561B (zh) 接纱装置、卷绕单元、纤维机械及接纱方法
KR20150133983A (ko) 씨줄 로프 제조장치
US2575981A (en) Apparatus for finishing braided threads
CN204356563U (zh) 弹性织带自动定尺超声裁断机
US66405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