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176B1 -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2176B1 KR102082176B1 KR1020190083317A KR20190083317A KR102082176B1 KR 102082176 B1 KR102082176 B1 KR 102082176B1 KR 1020190083317 A KR1020190083317 A KR 1020190083317A KR 20190083317 A KR20190083317 A KR 20190083317A KR 102082176 B1 KR102082176 B1 KR 102082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member
- sensing module
- soil sample
- case
- sample coll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2—Arrangements or devices for indicating incorrect storage or trans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4—Sampling of soi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시료의 검사를 위한 채취관을 보관하는 케이스 구조물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양 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케이스 구조물의 내부에 완충부재를 충진하여 채취관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시료의 교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시료관의 측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분리 결합구조의 케이스를 구현하여 보다 안정적인 보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양 시료의 검사를 위한 채취관을 보관하는 케이스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기초공, 철도 및 도로 등의 노상, 노반과 포장공, 절취, 성토 및 옹벽 등의 토목공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대상지반의 지층분포와 토질, 암석 및 암반 등 지반의 공학적 성질을 명확히 파악하여 구조물의 계획,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반 지반정보를 제공하거나 건설 재료원의 적합성 및 매장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반조사 및 실내시험을 실시한다.
이중 흙의 공학적 성질과 그 분포를 조사 및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와 같은 층위와 부피를 가지는 시료를 채취해서 시험을 해야만 한다.
이러한 토양의 시험을 위한 시료는 채취관 내에 수용되는 시료가 진동이나 외부 환경에 의해 섞이는 현상(교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료 상태(이하, '불교란 시료'라 한다.)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불교란 시료를 확보하고 이동, 및 보관을 위해 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필수적이다.
종래에 이와 같은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시험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원통형 시료채취관(10)의 내부에 해당하는 토양의 시료를 채취하고, 복수개의 구획판(22)에 의해서 구획된 보관칸을 갖는 보관상자(20)에 시료채 취관(10)을 개별적으로 삽입하여 임시 보관한 다음, 시료채취관(10)이 보관된 보관상자(20)를 실험실로 운반하여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목재로 이루어진 보관상자(20)를 별도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없이 실험실로 운반하거나 시료채취관(10)을 개별적으로 들고서 직접 운반하는 경우, 운반하는 과정에서 전달되는 외력 및 충격에 의해 시료채취관(10)의 내부에 채취된 자연상태의 시료가 교란되어 혼합되면서 신뢰성 있는 토양시험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보관상자를 차량에 탑재하여 실험실로 장거리 운반하는 경우 차량을 이용한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잦은 충격과 흔들림 등에 대하여 쉽게 노출이 됨으로써 자연 상태의 시료가 시료채취관 내부에서 심각하게 교란되어 실험실에서 신뢰성 있는 토양 성분 시험을 수행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244705호에서는 보관상자(20)를 차량으로 이송하기 위한 충격완화장치를 구현하여 이송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충격완화장치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고가의 소요비용이 필요하게 되며, 운반 이후, 실험실 내에서 보관하거나 이동하는 과정의 교란발생상황에 대해서는 보증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 1에서의 시료채취관(10)의 길이는 통상 80cm~100cm 내외의 길이를 가지게 되며, 보관상자(20)의 길이도 이에 준하는 길이를 가지게 되며, 실험실에서 시료채취관(10)을 보관상자(20)에서 빼는 경우에 상부로 시료채취관(10)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과정에서 약 2m 가 넘는 상부 실험실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에 곤란함을 초래하고 있다. 일부 실험실에서는 보관상자(20)을 눕히거나 기울여서 시료채취관(10)을 빼는 과정을 거치기도 하나, 이는 토양의 교란상태를 유발하게 되어 운반과정에서의 고비용 장비의 도입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토양 시료채취관의 경우, 실험실에서 상당한 시일의 보관과정을 거치게 되는 상황이 많은데, 실험실 내의 온도나 습도 등의 외부 환경의 영향은 주간이나 야간, 계절에 따라 시료 자체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변화의 영향 자체를 실험실 차원에서는 사전에 모니터링할 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토양 시료채취관의 보관과 이동, 실험실 내에서의 이동과 보관, 탈착 상황에서 불교란 상태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토양 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케이스 구조물의 내부에 완충부재를 충진하여 채취관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시료의 교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시료관의 측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분리 결합구조의 케이스를 구현하여 보다 안정적인 보관 이동이 가능하도록 보간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구조물의 완충부재의 내측에 시료관의 내부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모듈을 구비하고, 분리형 케이스의 결합과 채취관의 수용에 따라 센싱모듈이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시료관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응되는 높이와 폭을 구비하며, 내측에 토양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상기 제2케이스부재(120) 내측에 충진 되는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 및
상기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며, 토양시료 채취관의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는 상기 경계면(A)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되는,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을 제공하여, 토양 시료채취관의 측면 실장과 측면 분리를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 자체로서 완충력을 확보하여 불교란 시료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토양 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케이스 구조물의 내부에 완충부재를 충진하여 채취관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시료의 교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시료관의 측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분리 결합구조의 케이스를 구현하여 보다 안정적인 보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스 구조물의 완충부재의 내측에 시료관의 내부 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모듈을 구비하고, 분리형 케이스의 결합과 채취관의 수용에 따라 센싱모듈이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시료관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단위 케이스의 구조물의 외측에 연결부 구조를 구현하여 블록형 결합에 의해 다수의 케이스가 결합한 모듈 구조로 구현하여 이동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 장점도 구현된다.
도 1은 종래의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 케이스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구조물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의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구조물의 적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호 대응되는 높이와 폭을 구비하며, 내측에 토양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와,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상기 제2케이스부재(120) 내측에 충진되는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 및 상기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며, 토양시료 채취관의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는 상기 경계면(A)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케이스부재가 상호 결합하게 되어 중심부에 원통형 수용부를 구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완충부재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가 상호 대응되는 높이와 폭을 가진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중심부 측에 상호 결합 시 토양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는 상기 경계면(A)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측면에는 상호 결합되는 경계면 부위에 힌지부(130)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반대쪽 부분이 열리거나 닫히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130)가 마련되는 반대편 측면에는 고정홈(140)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50)가 마련되어, 도 1에서 상술한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반대쪽 부분측면에서 진입하여 수용부에 장착한 후,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반대쪽 부분을 닫고, 상기 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어 케이스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다양한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고정홈(140) 부위에 마그네틱을 부착하여 고정 및 탈착을 구현하는 방식이나, 도 3에서 제시하는 홈에 고리결합을 구현하는 방식이나, 도 5에서 측면부를 결합하는 결합방식 등 다양한 결합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1의 종래 구조의 케이스가 케이스의 상부에서 원통구조물인 채취관을 케이스의 상부까지 들어올려서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를 열고 토양시료 채취관을 수용부에 안착하는 측면실장구조를 구현하여 토양 시료 채취관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여, 실험실 등에서의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측면 실장구조를 통해 토양 시료 채취관을 기울일 필요가 없어 토양시료의 교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내부에는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가 충진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즉,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며, 토양시료 채취관의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여 완충부재의 내표면과 토양시료 채취관의 외표면이 밀착하여 안정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토양시료 채취관의 이동이나 보관을 위한 움직임에도 내부 교란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는 경우, 종래의 고가의 이송시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운송 경비를 파격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완충부재의 경우, 스티로폼이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를 적용하게 되는 경우, 자체적으로 내충격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항온, 항습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바, 실험실 보관 시 급격한 온도상승이나 습도 변화 등의 상황을 어느 정도 완충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힌지 결합을 통해 결합을 구현하는 실시예와는 달리,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를 완전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는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되게 되므로, 다수의 개수로 제작을 하게 되더라도 결합되는 개체를 구분할 필요 없이 바로 한 쌍의 결합으로 구현되게 되어 활용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구조에서, 완전부리형으로 제작되는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경우, 케이스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홈(140)을 마련하고, 대향하는 다른 케이스부재 부분에는 고정부재(150)를 고리모양으로 구현하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의 구조는 도시된 구조에서는, “ㄱ” 자형의 고리구조를 구현하고, 고정홈의 구조를 “T”자로 구현함으로써, 결합과 분리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것은 바람직한 일예이며, 다른 실시예로 자성체의 접합구조를 적용하거나, 밸크로 부재를 적용하여 결합하는 방식, 테두리에 가이드 홈과 가이드 돌기를 구현하여 슬라이딩 결합하는 방식 등의 공지의 결합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구조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완전 분리형 구조로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를 마련한 것을 기본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에서 힌지 결합구조의 케이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 내부에 마련되는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 각각이 구현하는 상기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탄성돌출부(160)를 다수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탄성돌출부(160)은 반구형 형상의 패턴구조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 구조물은 원통형 토양 시료 채취관의 외표면과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의 내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일정한 완충력과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돌출부(160)는,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구조의 케이스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원통형 관을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삽입작업이 어려워져 종래의 구조에서는 도입하기 어려운 구조물이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측면 실장형 방식의 케이스 구조에서는 원통형 관을 측면에서 수용부에 진입 안착하게 되므로, 적용이 가능하게 되며, 미세한 원통형 표면의 직경과 수용부의 직경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탄성돌출부(160)를 통해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미세한 내부 진동에 대응하는 2차 완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돌출부(160)의 높이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센싱모듈(170, 270)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모듈(170, 270)은 상기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고 내삽되는 구조로 안착할 수 있으며, 탄성돌출부(16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추후 토양시료 채취관의 가압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최소한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센싱모듈에는 패드부(175, 275)를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싱모듈의 경우, 상기 제1수용부(125)의 내측면에 실장 배치되는 제1센싱모듈(R1)과, 상기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실장되어 배치되는 제2센싱모듈(R2)로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드부(175, 275)는 제1센싱모듈(R1)에 구비되는 제1 패드부(175)와, 제2센싱모듈(R2)에 구비되는 제2 패드부(275)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부(175, 275)는 열전도성 또는 도전성 탄성고무 등을 적용하여, 금속재질의 토양 시료 채취관을 통해 내부의 토양시료의 온도 상태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센싱모듈의 경우, 상기 제1수용부(125)의 내측면에 실장 배치되는 제1센싱모듈(R1)과, 상기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실장되어 배치되는 제2센싱모듈(R2)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한 쌍의 센싱모듈 중 어느 하나, 이를테면 상기 제1센싱모듈(R1)은, 수용되는 상기 토양시료관과 인접하는 제1 패드부(175), 제1 패드부(175) 및 수용부 내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171),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 내부의 토양시료와 외부 환경에 따른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부(172), 제1 패드부(175)와 접촉하는 토양시료 채취관에 인가되는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진동센서부(173),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 내부의 가스변화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부(176), 다수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77) 및 상기 제1센싱모듈(R1)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1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토양시료의 경우, 채취된 이후, 실험실이나 보관실에서 다소 장기간의 보관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송 이후의 토양 시료는 외부 온도나 습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초기 보관상태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상기 센싱모듈에서는 온도, 습도, 가스, 진동여부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무선통신부(177)를 통해 외부의 모니터링 단말(PC, 스마트폰 앱)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시료 환경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토양 시료의 실험 시, 결과값에 대한 이상 오류정보나 오차 정보를 해석할 때 적용하여 실험 결과에 대한 부정확성을 최소화하거나 오류에 대한 근거자료로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센싱모듈의 경우, 한 쌍의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에 각각 실장되어, 사용 시 수동으로 스위칭 되도록 하여 2개의 센싱모듈에서 입력되는 값의 평균치를 확보하여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는, 제1센싱모듈(R1)을 제1케이스부재(110)에 장착하고, 제2센싱모듈(R2)는 제2케이스부재(120)에 장착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제1센싱모듈(R1)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온도센서, 습도센서, 진동센서, 가스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하며, 제2센싱모듈(R2)은 제1센싱모듈(R1)을 제1케이스부재(110)가 상호 결합하는 경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제1센싱모듈(R1)과 제2센싱모듈(R2)이 접근하게 되면 모듈의 스위칭 동작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제2센싱모듈(R2)에서는 무선제어부를 두어, 스위칭 신호를 발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센싱모듈(R2)는, 상기 제1센싱모듈과 연동하여 설정된 결합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1센싱모듈을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무선제어부와 제2패드부(27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동작은, 제1센싱모듈(R2)과 제2센싱모듈(R2)이 일정한 거리 이내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 또는 금속 원통형 토양 시료채취관의 내삽에 따른 미세 전류를 제1센싱모듈(R2)과 제2센싱모듈(R2) 공유하게 되는 경우를 신호로 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스위칭 동작 자체를 제1센싱모듈(R2)과 제2센싱모듈(R2)에 무선통신부나 무선제어부에 모니터링 단말에서 스위칭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토양 채취관 내의 토양 시료의 상태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술한 것과 같이 토양 시료의 결과값에 대한 이상 오류정보나 오차 정보를 해석할 때 적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조에서,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가 구현하는 상기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는, 상기 제1수용부(125)의 깊이(R1+R2)가 상기 제2수용부(225)이 깊이(R3) 보다 크게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에서 케이스 내에 수용부에 토양 시료 채취관(원통형 구조물)을 측면 실장하는 경우, 제1케이스부재(110)에 마련된 제1수용부(125)의 노출되는 폭을 좁게 하여, 채취관을 입구에 대응한 후, 가압을 통해 밀어 넣게 되면, 1차적으로 안정적으로 제1완충부재(120) 내부에 채취관이 실장 및 가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후, 제2케이스부재(210)은 덮개 기능을 하는 구조로 장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 상호간의 결합은 도 5에 도시된 구조처럼 결합홈(112)과 돌기(212)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2 내지 도 4에서 적용한 결합방식 모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인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의 단위 구조물을 복수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m1, m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m1, m2)는 자성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단위 케이스의 구조물의 외측에 연결부 구조를 구현하여 블록형 결합에 의해 다수의 케이스 모듈로 구현하여 이동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될 수 있다.
110, 210: 제1케이스부재, 제2케이스부재
120, 220: 제1완충부재, 제2완충부재
125, 225: 제1수용부, 제2수용부
130: 힌지부
140: 고정홈
150: 고정부재
160: 탄성돌출부
170: 센싱모듈
120, 220: 제1완충부재, 제2완충부재
125, 225: 제1수용부, 제2수용부
130: 힌지부
140: 고정홈
150: 고정부재
160: 탄성돌출부
170: 센싱모듈
Claims (5)
-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호 대응되는 높이와 폭을 구비하며, 내측에 토양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상기 제2케이스부재(120) 내측에 충진되는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 및 상기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며, 토양시료 채취관의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상기 제2케이스 부재(120) 각각의 내측면 테두리부분이 상호 대응되도록 접촉하여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부분인 경계면(A)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상기 결합부는,
일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를 힌지 구동하게 하는 힌지부(130)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130)가 마련되는 반대편 측면에는 고정홈(140)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50)으로 상호 결합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는, 각각 구현되는 상기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탄성돌출부(160)를 다수 구비하고, 상기 탄성돌출부(160)의 높이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센싱모듈(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제1수용부(125)의 내측면에 실장 배치되는 제1센싱모듈(R1)과, 상기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실장 배치되는 제2센싱모듈(R2)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센싱모듈(R1)은,
수용되는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과 인접하는 제1 패드부(175); 제1 패드부(175) 및 수용부 내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171);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 내부의 토양시료와 외부 환경에 따른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부(172); 상기 제1 패드부(175)와 접촉하는 토양시료 채취관에 인가되는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진동센서부(173);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 내부의 가스변화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부(176); 다수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77); 및 상기 제1센싱모듈(R1)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178);를 포함하며,
상기 제2센싱모듈(R2)는, 상기 제1센싱모듈과 연동하여 설정된 결합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1센싱모듈을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무선제어부와 제2패드부(275)를 구비하는,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 삭제
-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에 있어서,
상호 대응되는 높이와 폭을 구비하며, 내측에 토양시료 채취관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상기 제2케이스부재(120) 내측에 충진되는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 및 상기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며, 토양시료 채취관의 수용부를 구현하는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상기 제2케이스 부재(120) 각각의 내측면 테두리부분이 상호 대응되도록 접촉하여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부분인 경계면(A)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노출되는 상호 대응되는 측면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150)과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ㄱ” 자형의 고리구조가 마련되어 상호 결합하며,
상기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는, 각각 구현되는 상기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탄성돌출부(160)를 다수 구비하고, 상기 탄성돌출부(160)의 높이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센싱모듈(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제1수용부(125)의 내측면에 실장 배치되는 제1센싱모듈(R1)과, 상기 제2수용부(225)의 내측면에 실장 배치되는 제2센싱모듈(R2)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센싱모듈(R1)은,
수용되는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과 인접하는 제1 패드부(175); 상기 제1 패드부(175) 및 수용부 내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171);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 내부의 토양시료와 외부 환경에 따른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부(172); 상기 제1 패드부(175)와 접촉하는 토양시료 채취관에 인가되는 진동 변화를 감지하는 진동센서부(173); 상기 토양시료 채취관 내부의 가스변화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부(176); 다수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77); 및 상기 제1센싱모듈(R1)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부(178);를 포함하며,
상기 제2센싱모듈(R2)는, 상기 제1센싱모듈과 연동하여 설정된 결합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1센싱모듈을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무선제어부와 제2패드부(275)를 구비하는,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 삭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120) 및 제2완충부재(220)가 구현하는 상기 제1수용부(125) 및 제2수용부(225)는,
상기 제1수용부(125)의 깊이(R1+R2)가 상기 제2수용부(225)이 깊이(R3) 보다 크게 구현되며,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외측면에 상기 제1케이스 부재(110) 및 제2케이스 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m1, m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m1, m2)는 자성물질을 포함하는,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317A KR102082176B1 (ko) | 2019-07-10 | 2019-07-10 |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317A KR102082176B1 (ko) | 2019-07-10 | 2019-07-10 |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2176B1 true KR102082176B1 (ko) | 2020-02-27 |
Family
ID=6964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3317A KR102082176B1 (ko) | 2019-07-10 | 2019-07-10 |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217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38868A (zh) * | 2020-03-11 | 2020-06-05 | 山东省环科院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取土器 |
CN114212357A (zh) * | 2022-02-21 | 2022-03-22 |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 一种运输水利岩土样品的封存箱 |
CN114924012A (zh) * | 2022-03-07 | 2022-08-19 | 徐州市九州生态园林股份有限公司 | 一种山体生态修复用土壤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7735093A (zh) * | 2023-11-28 | 2024-03-22 | 黄小斌 | 一种体液收集送检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39071A (ja) * | 1996-11-07 | 1998-05-26 | Canon Inc | キャリングケース |
KR101244705B1 (ko) | 2012-08-24 | 2013-03-18 | 지케이엔지니어링(주) | 불교란 시료운반용 충격완화장치 |
JP2014000971A (ja) * | 2012-06-18 | 2014-01-09 | Explore Co Ltd | 自動販売機用緩衝容器 |
-
2019
- 2019-07-10 KR KR1020190083317A patent/KR1020821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39071A (ja) * | 1996-11-07 | 1998-05-26 | Canon Inc | キャリングケース |
JP2014000971A (ja) * | 2012-06-18 | 2014-01-09 | Explore Co Ltd | 自動販売機用緩衝容器 |
KR101244705B1 (ko) | 2012-08-24 | 2013-03-18 | 지케이엔지니어링(주) | 불교란 시료운반용 충격완화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38868A (zh) * | 2020-03-11 | 2020-06-05 | 山东省环科院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取土器 |
CN111238868B (zh) * | 2020-03-11 | 2022-07-01 | 山东省环科院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取土器 |
CN114212357A (zh) * | 2022-02-21 | 2022-03-22 |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八〇一水文地质工程地质大队(山东省地矿工程勘察院) | 一种运输水利岩土样品的封存箱 |
CN114924012A (zh) * | 2022-03-07 | 2022-08-19 | 徐州市九州生态园林股份有限公司 | 一种山体生态修复用土壤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7735093A (zh) * | 2023-11-28 | 2024-03-22 | 黄小斌 | 一种体液收集送检装置 |
CN117735093B (zh) * | 2023-11-28 | 2024-06-07 | 潍坊医学院附属医院 | 一种体液收集送检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2176B1 (ko) | 토양시료 채취관 보관용 케이스 구조물 | |
AU2010201772B2 (en) | Monitoring system for concrete pilings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CN105242316B (zh) | 海底地质调查用现场声波传播速度测定系统 | |
Łukowska et al. | Soil sampling mobile platform for Agriculture 4.0 | |
JP2009186484A (ja) | プロ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 |
AU2004275381A1 (en) | Single station wireless seismic data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 |
WO2007143742A2 (en) | Seismic data acquisition system | |
CA2768769C (en) | Monitoring system for concrete pilings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CN114467041A (zh) | 无线地震采集节点和方法 | |
CN102128766B (zh) | 多孔固体材料物理参数测定仪和方法 | |
KR101465019B1 (ko) |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 |
CN114705538B (zh) | 一种变体积组合式根系土力学测定装置及测定方法 | |
KR102088813B1 (ko) | 무선통신을 이용한 궤도하부 흙구조물 다짐관리용 동평판재하시험 시스템 | |
CN110609132B (zh) | 一种土体物理力学性质沿深度分布规律的测量装置及方法 | |
US20030188590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elf-weight consolidation and other properties of media | |
CN214844611U (zh) | 一种岩土勘察试验样品密度测试装置 | |
CN106524959B (zh) | 一种监测充填柱体稳定性的系统和方法 | |
CN109031460A (zh) | 一种地质勘测装置 | |
AU2012205171A1 (en) | Monitoring system for concrete pilings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KR101171365B1 (ko) | 불교란 시료용 충격완화 운반장치 | |
KR102691404B1 (ko) | 분취한 토양 시료 보관 상자 | |
Furlani | Evaluation of a wireless sensor node for measuring slope inclination in geotechnical applications | |
CN113884421B (zh) | 岩心逸散轻烃观测装置及方法 | |
CN218098633U (zh) | 测试装置 | |
CN114264840A (zh) | 重载铁路道床加速度测试装置及铁路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