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077B1 -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077B1
KR102082077B1 KR1020190081238A KR20190081238A KR102082077B1 KR 102082077 B1 KR102082077 B1 KR 102082077B1 KR 1020190081238 A KR1020190081238 A KR 1020190081238A KR 20190081238 A KR20190081238 A KR 20190081238A KR 102082077 B1 KR102082077 B1 KR 10208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elastic body
enclosure
switchboar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선
Original Assignee
정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선 filed Critical 정민선
Priority to KR102019008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며 상단은 볼록하게 볼록형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그 외측은 수직 방향으로 직선부가 형성되도록 성형된 탄성체, 상기 함체의 바닥에 볼트 결합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함체의 하중을 상기 탄성체가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홀더, 상기 홀더의 공간 내면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상단에 형성된 볼록형 라운드부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오목형 라운드부, 상기 홀더의 하단 외곽면을 따라 수직으로 일체 연장 형성되며 함체의 흔들림에 따른 상기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의 외측 직선부에 걸려지며 상기 홀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테, 상기 탄성체의 직선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홈과, 상기 걸림테의 하단 내측 방향으로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의 공간이 가진 폭 이상으로 상기 함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제어하는 걸림턱으로 구성하여 지진에 의한 배전반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전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Switchboard releas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지진파의 진동으로 인해 배전반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하여 전복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빌딩, 아파트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수요처에서는 각각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6600V 이상 22900V급 특고압을 수전하여 380V 또는 220V의 저전압의 상용전압으로 변전하는 수변전설비를 갖추게 되며, 중전기나 스위치장치 및 기타 안전장치 등의 전기설비가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배전반을 구축하게 되는데, 주로 중량감을 갖는 중전기기들이 많이 배치된다.
특히, 특고압을 변성하기 위한 중전기나 주선로와 예비선로의 자동부하전환에 사용되는 자동부하절체개폐기(ALTS), 고전압/대전류를 저전압/소전류로 변성시키는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진공차단기(VCB) 등은 대표적인 중전기기들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배전반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지진 발생 시 지진파의 진동에 의하여 배전반에 구비된 함체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기기기가 파손될 수 있고, 심할 경우 배전반이 넘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전력이 필요한 곳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없게 되고, 누전 등으로 인해 감전사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810334 호 및 등록번호 제 10-1749152 호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의 면진장치에는 통상적으로 방진고무패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면진장치는 지진파 발생시 상기 방진고무패드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에만 의존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임에 따라 고무라는 재질이 가지는 한계가 있어 방진고무패드의 허용 강도 이상의 지진파가 발생하면 면진 기능을 상실하여 배전반이 전복 되는 등의 안전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면진장치는 지진파로 인해 배전반에 흔들림이 발생할 때, 배전반이 바닥의 베이스프레임에서 쉽게 이탈하여 전복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데, 선행기술의 고무패드와 같은 면진장치로는 배전반이 베이스프레임에서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잡아줄 수 있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469164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발생시 지진파의 진동으로 인해 배전반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하여 전복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체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지진 발생시 진동에 의해 함체가 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며 상단은 볼록하게 볼록형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그 외측은 수직 방향으로 직선부가 형성되도록 성형된 탄성체, 상기 함체의 바닥에 볼트 결합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함체의 하중을 상기 탄성체가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홀더, 상기 홀더의 공간 내면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의 상단에 형성된 볼록형 라운드부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오목형 라운드부 및 상기 홀더의 하단 외곽면을 따라 수직으로 일체 연장 형성되며 함체의 흔들림에 따른 상기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의 외측 직선부에 걸려지며 상기 홀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함체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홀더 및 탄성체로 구성한 이탈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지진 발생시 함체가 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지진파의 진동으로 인해 배전반이 베이스프레임에서 이탈하여 전복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입체도.
도 4는 도 2에서 베이스프레임 및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입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베이스프레임 및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전반은 각종 구성품들을 수용하며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 함체(10)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함체(10)의 바닥 외곽 모서리면에는 상기 함체(10)를 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탱하는 베이스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형상의 찬넬 구조로 성형되어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2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은 함체(10)의 바닥면 아래에 본 발명의 이탈 방지장치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함체(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이탈 방지장치(100)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함체(10)와 베이스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며 지진 발생시 함체(10)가 베이스프레임(20)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이탈 방지장치(100)는 크게 탄성체(30) 및 홀더(40)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탄성체(30)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볼트(32)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볼트(3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내부 공간(22)을 통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 올려져 있는 탄성체(3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30)의 상면은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의 볼록형 라운드부(34)를 형성하고 그 측면은 수직으로 직선부(36)가 형성되도록 성형한다.
상기 탄성체(30)는 홀더(40)의 공간(44)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함체(10)의 무게를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상기 홀더(40)는 원판 형태로 상기 함체(10)의 바닥 외면 모서리에 각각 볼트(42)로 체결 고정되는 부재이다.
상기 홀더(40)의 하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는 전술한 탄성체(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44)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40)의 하단에 형성된 공간(44)의 내면은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의 오목형 라운드부(46)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40)의 하단 외곽면에는 걸림테(48)가 하향으로 수직으로 일체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홀더(40)의 공간(44)에 수용된 탄성체(30)는 상기 홀더(40)의 공간(44)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함체(10)의 무게를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지진이 발생하여 함체(10)로 진동이 전해져 상기 함체의 바닥에 볼트 결합되어 있는 홀더(40)가 흔들리게 되면 상기 탄성체(30)는 상기 홀더(40)의 공간(44)에 수용되어 고정상태에 있고, 홀더(40)는 흔들림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홀더(40)의 하단 외곽면에 하향으로 수직 형성되어 있는 걸림테(48)가 탄성체(30)의 외측 직선부(36)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지진으로 인해 함체(10)가 홀더(40)의 공간(44)이 가진 폭 이상으로 흔들리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이탈 방지장치(100)는 지진이나 기타 외부의 힘이 함체(10)에 작용할 때, 상기 함체(10)의 초기 흔들림에 따른 홀더(40)의 이동을 유도하여 함체(10)로 전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여기에 상기 홀더(40)의 공간(44)이 가진 폭 이상으로 함체(10)가 흔들릴때에는 비로서 탄성체(30)의 외측 직선부(36)에 홀더(40)의 걸림테(48)가 걸려지도록 하여 함체(10)를 탄성체(30)에 걸림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함체(10)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한 함체(10)의 전복 등의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이탈 방지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 탄성체(30)를 볼트(32) 결합하고, 홀더(40)는 함체(10)의 바닥에 볼트(42)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40)의 공간(44)에 탄성체(30)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로 함체(10)를 베이스프레임(20)에 올려 설치토록 한다. 상기 공간(44)에 수용된 탄성체(30)는 홀더(40)의 공간(44) 내면에 접촉되며 함체(10)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한편, 지진 등이 발생하여 함체(10)로 진동이 전해지면 도 6에서와 같이 함체(10)는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홀더(40)는 함체(10)와 함께 흔들리게 되고, 이 과정에서 홀더(10)는 탄성체(30)를 중심으로 이동이 시작된다. 이때 홀더(40)의 공간(44) 내면에 형성된 오목형 라운드부 및 탄성체의 볼록형 라운드부는 곡선 형태로 서로 면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는 데, 이러한 굴곡형 접촉 상태는 지진으로 홀더가 유동할 때, 홀더가 저항하지 않고 탄성체의 상면을 타고 쉽게 넘어가며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홀더의 신속한 이동은 지진에 따른 함체로 전해진 충격을 상쇄시키는 효과로 작용한다.
다음, 도 6에서와 같이 홀더(40)의 하단 외곽면에 하향으로 수직 형성되어 있는 걸림테(48)가 탄성체(30)의 외측 직선부(36)에 걸려지게 되면 홀더(40)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탄성체(30)에 걸려진 상태로 함체(10)의 흔들림을 지탱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함체(10)는 홀더(40)의 공간(44)이 가진 폭 이상으로는 흔들리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지진으로 인한 함체의 이탈 및 이로 인한 전복 등의 사고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이탈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이탈 방지장치는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 볼트(32) 결합되는 탄성체(30), 함체(10)의 바닥에 볼트(42) 결합되며 하단에는 탄성체(30)를 수용하는 공간(44)을 가지는 홀더(40), 상기 홀더(40)의 하단 외곽면을 따라 일체 형성되며 지진 발생으로 인한 홀더(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30)의 외측 직선부(36)에 걸려지는 걸림테(48)로 구성하되, 상기 탄성체(30)의 직선부(36) 둘레면을 따라 홈(38)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테(48)의 하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턱(50)을 더 절곡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걸림테(48)의 걸림턱(50)은 홀더(40)의 이동으로 홀더(40)의 걸림테(46)가 탄성체(30)의 외측 직선부(36)에 걸려지면 상기 걸림테(48)의 걸림턱(50)은 탄성체(30)의 홈(38)에 삽입되는 구조가 되어, 결과적으로 홀더(40)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함체(10)에 진동이 전해지더라도 홀더(40)의 공간(44)이 가진 폭 이상으로는 함체(1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지진으로 인한 함체의 이탈 및 이로 인한 전복 등의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함체 20: 베이스프레임
30: 탄성체 34: 볼록형 라운드부
36: 직선부 40: 홀더
44: 공간 46: 오목형 라운드부
48: 걸림테

Claims (1)

  1. 함체(10)와 베이스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며 지진 발생시 진동에 의해 함체(10)가 베이스프레임(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 볼트(32) 결합되며 상단은 볼록하게 볼록형 라운드부(34)를 형성하고 그 외측은 수직 방향으로 직선부(36)가 형성되도록 성형된 탄성체(30);
    상기 함체(10)의 바닥에 볼트(42) 결합되며 하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탄성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44)을 형성하여 상기 함체(10)의 하중을 상기 탄성체(30)가 탄력 지지하도록 하는 홀더(40);
    상기 홀더(40)의 공간(44) 내면에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30)의 상단에 형성된 볼록형 라운드부(34)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오목형 라운드부(46);
    상기 홀더(40)의 하단 외곽면을 따라 수직으로 일체 연장 형성되며 함체(10)의 흔들림에 따른 상기 홀더(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체(30)의 외측 직선부(36)에 걸려지며 상기 홀더(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테(48):
    상기 탄성체(30)의 직선부(36)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홈(38)과, 상기 걸림테(48)의 하단 내측 방향으로는 상기 홈(38)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40)의 공간(44)이 가진 폭 이상으로 상기 함체(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제어하는 걸림턱(5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KR1020190081238A 2019-07-05 2019-07-05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KR102082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38A KR102082077B1 (ko) 2019-07-05 2019-07-05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38A KR102082077B1 (ko) 2019-07-05 2019-07-05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077B1 true KR102082077B1 (ko) 2020-02-26

Family

ID=6963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238A KR102082077B1 (ko) 2019-07-05 2019-07-05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8174A (zh) * 2020-12-31 2021-04-20 国网河南省电力公司平顶山供电公司 一种具有自保护功能的自适应智能电力通道箱
KR102646135B1 (ko) * 2023-09-08 2024-03-11 주식회사 한성테크 모듈식 내진구조의 전기 배전반
KR102646134B1 (ko) * 2023-09-08 2024-03-11 주식회사 한성테크 모듈식 내진구조의 전기 배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64B1 (ko) 2014-08-08 2014-12-05 (주)서전기전 지진 저감용 면진 모듈과 영구자석 도어 잠금장치를 활용한 면진 배전반
KR101714716B1 (ko) * 2016-07-13 2017-03-09 (주) 지엔씨에너지 방진 및 내진 장치가 설치된 전기 판넬
KR101754352B1 (ko) * 2016-11-21 2017-07-07 (주)케이엔 면진 및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757826B1 (ko) * 2017-01-05 2017-07-26 주성수 수배전반의 내진 장치
KR101888094B1 (ko) * 2018-02-09 2018-08-14 손성민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KR101940454B1 (ko) * 2018-07-02 2019-01-18 주식회사 브리텍 지진 격리용 면진받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64B1 (ko) 2014-08-08 2014-12-05 (주)서전기전 지진 저감용 면진 모듈과 영구자석 도어 잠금장치를 활용한 면진 배전반
KR101714716B1 (ko) * 2016-07-13 2017-03-09 (주) 지엔씨에너지 방진 및 내진 장치가 설치된 전기 판넬
KR101754352B1 (ko) * 2016-11-21 2017-07-07 (주)케이엔 면진 및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KR101757826B1 (ko) * 2017-01-05 2017-07-26 주성수 수배전반의 내진 장치
KR101888094B1 (ko) * 2018-02-09 2018-08-14 손성민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KR101940454B1 (ko) * 2018-07-02 2019-01-18 주식회사 브리텍 지진 격리용 면진받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8174A (zh) * 2020-12-31 2021-04-20 国网河南省电力公司平顶山供电公司 一种具有自保护功能的自适应智能电力通道箱
KR102646135B1 (ko) * 2023-09-08 2024-03-11 주식회사 한성테크 모듈식 내진구조의 전기 배전반
KR102646134B1 (ko) * 2023-09-08 2024-03-11 주식회사 한성테크 모듈식 내진구조의 전기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077B1 (ko) 배전반 이탈 방지장치
KR1017419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306935B1 (ko) 고압전선로 작업자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180053826A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975713B1 (ko) 볼 타입 수직 수평 탄성블럭 면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KR101386253B1 (ko) 내진보강장치
KR100966166B1 (ko) 내진 및 방진 장치와, 내진 및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과, 내진 및 방진 장치를 구비한 변압기
KR10196987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전기설비용 케이스
KR20230053684A (ko) 보조 접점을 갖는 고압 직류 릴레이
KR102067239B1 (ko) 내진 구조물
KR102472486B1 (ko) 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153298B1 (ko) 스마트 면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US7028969B2 (en) Seismically restrained vibration isolating mounting device
KR101808692B1 (ko) 면진배전반
KR10177385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73150B1 (ko) 볼 타입 탄성블럭 면진장치를 갖는 수배전반
KR102107234B1 (ko) 수배전반용 방진장치
US3728502A (en) Electric hoist overload protection device
KR101838735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형 내진 수배전반
KR102264956B1 (ko) 배전반
EP2657948A1 (en) Switch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plants
KR101659863B1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525874B1 (ko) 전기적 보호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640862B1 (ko) 옥내외용 기능성 특고전압 수전설비
KR102307213B1 (ko) 진자형 지진 격리장치를 적용한 내진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