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940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940B1
KR102081940B1 KR1020180023991A KR20180023991A KR102081940B1 KR 102081940 B1 KR102081940 B1 KR 102081940B1 KR 1020180023991 A KR1020180023991 A KR 1020180023991A KR 20180023991 A KR20180023991 A KR 20180023991A KR 102081940 B1 KR102081940 B1 KR 10208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housing
washing
pulsator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883A (ko
Inventor
이정환
김온
손내리
엄예지
전호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9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에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상측 외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캐비닛의 내측 커버는 상기 터브의 상측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탁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장치의 하부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을 세탁할 때에 세탁대상물을 구분해서 여러 차례 세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흰색을 띄는 세탁대상물은 흰색을 띄지 않는 세탁대상물에서 혹시나 배출될 수 있는 색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분해서 별도로 세탁을 한다. 또한 걸레와 같이 오염도가 큰 세탁대상물과 어린이 또는 아기가 입는 의류와 같은 오염도가 적은 세탁대상물은 서로 구분해서 별도로 세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하나의 세탁장치를 가지고, 두 번의 세탁을 하게 되면 세탁시간이 두 배로 소요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
한편 전체적으로 규격화된 세탁기는 세탁기의 터브 크기를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터브의 크기가 커질수록 내부에 수용되는 드럼의 크기가 커져야 하고,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사용되는 전류크기나 다양한 설계 변경에 따른 제약조건이 따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세탁장치 내에서 드럼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분해서 세탁을 해야하는 세탁물을 동시에 세탁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꺼번에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물의 양이 증가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에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드로워;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상측 외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캐비닛의 내측 커버는 상기 터브의 상측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터브의 상측 외주면의 높이는 상기 드로워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낮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터브의 상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2캐비닛의 내측 커버에 접촉되어, 상기 터브를 밀폐하는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스켓은 만곡형성된 굴곡편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브에는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로 함몰된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리세스부는 환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세스부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세스부의 하단에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배수공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를 상기 제2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 벨로우즈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드로워는 그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의 내측에는 상기 레일에 수용되어, 상기 드로워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는 복수 개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는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2캐비닛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구분해서 세탁해야 하는 의류를 동시에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서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세탁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두 가지의 세탁물을 분리해서 한꺼번에 세탁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물의 전체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드로워를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제2캐비닛의 측단면도.
도 4는 수집부와 배수관의 개략도.
도 5는 제2캐비닛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세탁장치(10)는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제1캐비닛(1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캐비닛(100)에 인접하여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제2캐비닛(20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캐비닛(100) 및/또는 상기 제2캐비닛(200) 내부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여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refreshe)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리프레쉬라 함은 세탁대상물을 향해 공기, 열풍, 스팀, 미스트(mist) 또는 수분 등을 제공하여 세탁대상물의 구김 등을 제거하거나, 탈취(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방지 또는 세탁대상물을 따스하게 데우는(warming)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 세탁대상물에는 옷,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대상물을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대상물을 세탁, 즉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 하기 위하여 내부에 터브(미도시) 및/또는 드럼(110)을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캐비닛(200)도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200)은 상기 제1캐비닛(10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캐비닛(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캐비닛(200)은 상기 제1캐비닛(100)의 상부,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상기 제1캐비닛(100)과 함께 상기 제2캐비닛(200)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캐비닛(100)과 상기 제2캐비닛(200)은 서로 동일한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세탁장치의 설치공간 등의 제약, 세탁장치의 가격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캐비닛(100) 및 상기 제2캐비닛(200) 중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하여 더 작은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캐비닛(200)이 상기 제1캐비닛(100)에 비하여 세탁용량, 체적, 높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작도록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제1캐비닛(100) 및 상기 제2캐비닛(200)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세탁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캐비닛(100)과 상기 제2캐비닛(200)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세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기 옷, 속옷 등과 같이 따로 구분하여 세탁할 필요가 있는 대상물들은 상기 제2캐비닛(200)에서 세탁하고, 그 이외의 세탁대상물을 상기 제1캐비닛(100)에서 세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캐비닛(200)이 상기 제1캐비닛(100)에 비하여 더 작은 세탁용량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2캐비닛(200)은 상기 제1캐비닛(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캐비닛(200)이 상기 제1캐비닛(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100)의 높이를 높여서 사용자가 상기 제1캐비닛(100)으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또는 상기 제1캐비닛(100)에서 세탁대상물을 제거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장치(10)가 상기 제1캐비닛(100) 및 상기 제2캐비닛(200)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캐비닛(100)과 상기 제2캐비닛(200)은 별개로 각각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지만, 제작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캐비닛(100) 및 상기 제2캐비닛(200)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하우징을 공유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1캐비닛(100) 및 상기 제2캐비닛(2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캐비닛(100)과 상기 제2캐비닛(200)을 구분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격벽(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상기 제1캐비닛(100) 및 상기 제2캐비닛(2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캐비닛(100)과 상기 제2캐비닛(200)이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캐비닛(100)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도어(120)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120)를 개방하여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캐비닛(2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을 위한 각종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편의성, 추후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200)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드로워(240)를 구비할 수 있다. 드로워(24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는 드로워(240)를 잡아당겨 용이하게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접근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드로워(240)를 구비하게 되며, 나아가 상기 제2캐비닛(200)의 세탁용량이 상기 제1캐비닛(100)에 비하여 작은 경우에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세탁장치는 상부에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는 일명 탑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터브(230)는 상기 드로워(240)의 상측에 노출된 개구를 형성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2터브(210)의 상측으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드로워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드로워(240)는 그 내측에 세탁수와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210)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회전시키는 펄세이터(220)가 설치된다.
상기 펄세이터(22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펄세이터(220)의 하부 측에는 상기 펄세이터(22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펄세이터(22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리세스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230)는 상기 터브(210)의 하면에 상기 펄세이터(2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230)는 상기 펄세이터(2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데, 상기 펄세이터(220)가 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리세스부(230)는 상기 터브(210)의 하면 보다,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상기 터브(210)에 비해 높이가 낮기 때문에, 상기 터브(210)에 세탁수가 소량만 잔존하는 경우에도 세탁수가 상기 리세스부(230)에 포집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230)는 상기 터브(210)의 하면에 단차진 부분이 형성되어 높이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리세스부(230)의 경계와 상기 터브(210)의 하면사이에는 만곡된 곡선으로 이루진 곡면에 의해서 높이 차이가 발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리세스부(230)에는 상기 리세스부(230)에 포집된 세탁수가 상기 리세스부(230)의 아래쪽으로 배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배수공(232)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232)은 상기 리세스부(230)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0)의 상측 외주면에는 가스켓(2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12)은 상기 터브(2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가스켓(212)은 상기 터브(210)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된다.
상기 가스켓(212)은 힘에 의해서 변형이 이루어졌다가,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경우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가스켓(212)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압축력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제2캐비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수집부와 배수관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터브(210)의 상측 외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는 상기 터브(210)의 상측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는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의 상면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드로워(240)가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0)의 상측 외주면과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는 서로 상응하는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드로워(240)가 상기 제2캐비닛(200)에 인입된 후에는 상기 터브(210) 내부 공간에 수용된 세탁대상물 및 세탁수가 상기 터브(210)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터브(210)의 상측 외주면의 높이는 상기 드로워(24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터브(210)의 상측 외주면은 상기 제2캐비닛(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리세스부(230)의 하단에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수용부(236)가 구비된다. 상기 리세스부(230)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232)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공(232)을 통해서 배출되는 세탁수는 상기 수용부(236)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36)에는 상기 배수공(232)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를 상기 제2캐비닛(20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24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244)에는 상기 수용부(236)에 포집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배수 밸브(242)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 밸브(242)가 상기 배수관(244)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관(244)을 통해서 상기 제2캐비닛(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244)은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 벨로우즈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240)가 상기 제2캐비닛(200)으로 인입되면 벨로우즈는 형성된 주름이 서로 접히면서 벨로우즈의 길이가 줄어든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240)가 상기 제2캐비닛(200)으로부터 인출되면 벨로우즈는 형성된 주름이 서로 펴지면서 벨로우즈의 길이가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240)가 상기 제2캐비닛(200)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배수관(244)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40)가 상기 제2캐비닛(200)을 인입된 경우에는 상기 가스켓(212)은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에 접촉되어 상기 터브(210)의 내측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켓(212)은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에 전체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212)은 만곡형성된 굴곡편(214)을 구비한다. 상기 굴곡편(214)은 소정 각도로 접혀져 주름이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굴곡편(214)은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에 압착되는 경우에 변형이 용이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가스켓(212)이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에 접촉될 때에 상기 가스켓(212)이 압착되어 강하게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210)의 내부는 상기 가스켓(212)과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다.
도 5는 제2캐비닛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드로워(240)는 그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250)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250)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제1로드(252) 및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2로드(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252) 및 상기 제2로드(254)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봉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5에는 상기 드로워(240)의 일측면만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드로워(240)의 반대편면에도 상기 레일(25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에는 상기 레일(250)에 수용되어, 상기 드로워(24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롤러(20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202)는 복수 개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240)는 수평방향을 따라 상기 제2캐비닛(200)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도 5에는 두 개의 롤러가 개시되었으나, 편의상 그 이상의 개수의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240)의 슬라이딩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롤러(202)는 회전이 가능해서, 상기 드로워(240)가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1로드(252) 및 상기 제2로드(254)와의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세탁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상기 드로워(240)가 상기 제2캐비닛(200)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상기 제1로드(252)와 상기 제2로드(254)의 사이에 배치된 롤러(202)가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202)가 배치된 수평방향을 따라서 상기 드로워(240)는 수평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244)의 복수 개의 주름은 접혀진 부분이 펴지면서 길이가 길어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터브(210)의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세탁대상물이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240)는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도 상기 제1로드(252)와 상기 제2로드(254)의 사이에 배치된 롤러(202)가 회전되면서, 상기 드로워(240)가 수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244)은 복수 개의 주름이 졉혀지면서, 길이가 짧아지도록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240)의 인입 또는 인출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배수관(244)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210) 내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터브(210) 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급수 밸브와 급수관을 상기 제2캐비닛(200)의 내측 커버(206)에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급수 밸브와 급수관에 관한 구조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를 통해서 채용가능한 정도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터브(210) 내에 세탁대상물과 세탁수가 투입된 후에는, 상기 펄세이터(220)가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22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단속적으로 혼합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과 회전중지를 혼합적으로 적용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세탁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배수 밸브(242)가 개방된다. 상기 배수 밸브(242)에서 상기 배수관(244)의 유로를 개방하면, 세탁수는 상기 배수관(244)을 통해서 상기 제2캐비닛(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터브(210) 내에 세탁수의 양이 줄어든 경우에도 상기 리세스부(230)는 상기 터브(210)의 하면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세탁수는 상기 리세스부(230)로 모인다. 그래서 상기 리세스부(230)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기 수용부(236)를 거치고, 상기 배수관(244)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제1캐비닛 200: 제2캐비닛
210: 터브 212: 가스켓
230: 리세스부 240: 드로워
244: 배수관

Claims (9)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구비되는 리세스부;
    상기 하우징이 바닥면에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구비되어 상기 리세스부가 안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상부면에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높이가 너비보다 더 짧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 상기 리세스부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구동부의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의 내측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 외주면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삭제
  9.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에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고, 너비가 높이보다 길게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되,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을 수용하여 구비되는 리세스부;
    상기 하우징이 바닥면에 상기 펄세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되어 구비되어 상기 리세스부가 안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세탁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도록 상부면에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80023991A 2018-02-27 2018-02-27 세탁장치 KR10208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91A KR102081940B1 (ko) 2018-02-27 2018-02-27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991A KR102081940B1 (ko) 2018-02-27 2018-02-27 세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778A Division KR20130024369A (ko) 2011-08-31 2011-08-31 세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984A Division KR102081654B1 (ko) 2018-12-13 2018-12-13 세탁장치
KR1020200020624A Division KR20200021058A (ko) 2020-02-19 2020-02-19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883A KR20180025883A (ko) 2018-03-09
KR102081940B1 true KR102081940B1 (ko) 2020-04-23

Family

ID=6172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991A KR102081940B1 (ko) 2018-02-27 2018-02-27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0359B2 (en) 2019-12-12 2023-06-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tub with a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781B1 (ko) * 2000-05-19 2003-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교반장치
KR100483067B1 (ko) * 2002-11-25 2005-04-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발포구조
KR101435811B1 (ko) * 2007-11-21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883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62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holding portion and detergent introduction portion
US9506185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6198781B2 (ja) 衣類処理装置
RU26173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20090139276A1 (en) Washing machine
KR102081940B1 (ko) 세탁장치
US3240038A (en) Inflatable washing machine door seal
KR102081654B1 (ko) 세탁장치
KR20130024369A (ko) 세탁장치
CN109338664B (zh) 具有水帘冲洗器的防垢波轮洗衣机
KR20200021058A (ko) 세탁장치
KR101146272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박스
CN111373089B (zh) 家用器具
KR20110121091A (ko) 의류 처리장치
KR101962149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443266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387472B1 (ko) 페데스탈 세탁기
KR101282949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KR10205786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52964A (ko) 페데스탈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0921A (ko) 건조기
KR101265618B1 (ko) 건조기
KR20240058607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707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83114B1 (ko) 의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0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13

Effective date: 201912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