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949B1 -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949B1
KR101282949B1 KR1020060077698A KR20060077698A KR101282949B1 KR 101282949 B1 KR101282949 B1 KR 101282949B1 KR 1020060077698 A KR1020060077698 A KR 1020060077698A KR 20060077698 A KR20060077698 A KR 20060077698A KR 101282949 B1 KR101282949 B1 KR 101282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p
hook
filter cap
laundr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079A (ko
Inventor
이봉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94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는 필터와 필터 캡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필터 캡이 소정각도 미만으로 회전되어 인출될 경우 상기 필터와 필터 캡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필터의 인출이 방지되기 고온의 세탁수 유출에 따라 발생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배수, 필터, 캡, 탄성, 스프링, 화상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Filter unit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와 필터 캡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와 필터 캡이 이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필터 캡이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도 3의 B방향에서 본 필터 캡이 도시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캐비닛 52: 캐비닛 커버
60: 필터 케이스 60a: 필터 인출홀
61: 필터 커버 70: 필터
71: 필터 후크 72: 유격방지리브
73: 씰 80: 필터 캡
81: 수나사산 82: 손잡이부
83: 필터캡 후크 84: 스프링 가이드
85: 스프링 끼움홈부 90: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와 필터 캡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필터 캡이 소정각도 미만으로 회전되어 인출될 경우 상기 필터의 인출이 방지되어 고온의 세탁수 유출에 따라 발생되는 화상 등이 방지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는 세탁기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열풍과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젖은 포를 건조하는 건조기와,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스프링과 댐퍼에 의해 완충가능토록 설치되어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미도시)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개의 수공이 형성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4)과, 상기 드럼(4)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는 상기 드럼세탁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커 버(6)가 장착되는 바, 상기 캐비닛 커버(6)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되도록 세탁물 출입구(8)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세탁물 출입구(8)를 개폐시키는 도어(1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터브(미도시)의 하부에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장치(미도시)에는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캐비닛 커버(6)의 하측 내부에 설치되고 필터 인출홀(20a)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20)와, 상기 필터 케이스(20)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22)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전면에는 필터 커버(24)가 착탈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필터(22)에는 상기 필터 인출홀(20a)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부(22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장치는 상기 필터(22)에 이물질이 과도하게 걸리면, 상기 손잡이부(22a)를 잡고 상기 필터 인출홀(20a)을 통해 상기 필터(22)를 꺼내어 걸림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필터장치는 상기 손잡이부(22a)를 조작하여 상기 필터(22)를 쉽게 탈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온 세탁시 어린이의 장난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필터(22)가 탈거되면 상기 필터 케이스(20) 내의 고온의 세탁수 등에 의해 화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린이의 장난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필터가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온의 세탁수로 인한 화상 등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형성된 필터 인출홀에 삽입된 필터와, 상기 필터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인출홀을 차폐시키는 필터 캡과, 상기 필터와 필터 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 캡의 인출시 상기 필터와 필터 캡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필터 캡을 향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와 필터 캡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탄성부재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와 필터 캡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필터와 필터 캡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와 필터 캡은 후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에는 상기 필터 캡을 향해 돌출된 필터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캡에는 상기 필터 후크에 걸림되도록 돌출된 필터캡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와 반경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와의 사이에 탄성부재 끼움홈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에는 상기 원통부가 신축가능하도록 신축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캡은 상기 필터 케이스에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캡의 외둘레면과 상기 필터 인출홀의 내둘레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와 필터 캡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와 필터 캡이 이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필터 캡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방향에서 본 필터 캡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을 이용하여 포의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물 또는 세제가 담겨지는 터브(미도시)가 내장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미도시)와, 상기 터브로부터 사용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장치(미도시)와, 상기 배수장치를 통과하는 세탁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상기 배수장치에 장착된 필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0)는 전면과 상,하면이 개구된 캐비닛(51)과, 상기 캐비닛(51)의 전면에 장착되고 중앙에 세탁물 출입홀(52a)이 형성된 캐비닛 커버(52)와, 상기 캐비닛(51)의 상측에 배치되어 세탁기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53)와, 상기 캐비닛(51)의 하측에 배치되어 세탁기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54)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 커버(52)의 상측에는 세제와 물을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55)와, 세탁기의 운전조작을 위한 컨트롤 패널(56)이 장착되고, 전면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52a)을 개폐시키는 도어(57)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터브(미도시)의 내측에는 세탁물이 수용되고 둘레면에 복수개의 수공이 형성된 드럼(58)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배면에는 상기 드럼(58)을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배수장치(미도시)는 상기 터브에 저수된 세탁수를 펌핑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캐비닛 커버(52)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배수펌프(미도시)와 연통되게 설치된 필터 케이스(60)와, 상기 필터 케이스(60)에 형성된 필터 인출홀(60a)에 삽입된 필터(70)와, 상기 필터(70)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인출홀(60a)을 차폐시키는 필터 캡(80)과, 상기 필터(70)와 필터 캡(80)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60)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60)의 전면을 가리도록 필터 커버(61)가 착탈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필터 캡(80)은 상기 필터 인출홀(60a)에 나사결합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캡(80)의 외둘레면에는 수나사산(81)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 인출홀(60a)의 내둘레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캡(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82)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70)는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면과 배면이 개구되고, 측면과 하면이 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70)와 필터 캡(80)은 후크 결합된다.
상기 필터(70)에는 상기 필터 캡(80)을 향해 돌출된 필터 후크(7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 캡(80)에는 상기 필터 후크(71)에 걸림되도록 돌출된 필터캡 후크(83)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캡 후크(83)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필터(70)를 향해 돌출된 원통부(83a)와, 상기 원통부(83a)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 1후크부(8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83a)에는 상기 원통부(83a)가 신축되어 상기 필터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신축홈부(83c)가 절개 형성된다.
상기 필터 후크(7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필터 캡(80)을 향해 돌출된 호형상의 리브부(71a)와, 상기 리브부(71a)에서 돌출된 제 2후크부(71b)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브부(71a)는 소정간도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후크부(71b)는 상기 복수개의 리브부에(71a)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필터(70)와 필터 캡(80) 사이에 끼움되고, 상기 필터 캡(80)의 인출시 상기 필터(70)와 필터 캡(80)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필터 캡(80)을 향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90)이다.
상기 필터(70)와 필터 캡(8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90)이 끼워지는 스프링 가이드(84)가 돌출 형성되는 바, 여기서는 도 4a,4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캡(80)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프링 가이드(84)는 상기 코일 스프링(9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캡 후크(83)와 반경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가이드(84)와 상기 필터캡 후크(83) 사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90)이 끼워지는 스프링 끼움홈부(85)가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70)에는 상기 스프링 가이드(84)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70)와 필터 캡(8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리브(7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격방지리브(72)는 상기 스프링 가이드(84)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70)의 외둘레면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60)와의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씰(73)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착탈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필터(70)와 상기 필터 캡(80)을 결합시키면, 상기 필터캡 후크(83)와 상기 필터 후크(71)가 후크결합된다.
이후, 상기 필터 캡(80)의 손잡이부(82)를 잡고, 상기 필터 인출홀(60a)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70)를 끼운다.
상기 필터(70)가 상기 필터 인출홀(60a)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필터 캡(80)을 상기 필터 인출홀(60a)에 나사체결시킨다.
즉, 상기 필터 캡(80)의 손잡이부(82)를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필터 캡(80)의 수나사산과 상기 필터 인출홀(60a)의 암나사산이 결합되어, 상기 필터 캡(80)이 상기 필터 케이스(6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필터 캡(80)이 상기 필터 케이스(60)에 체결 고정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90)은 압축되고, 상기 필터캡 후크(83)와 상기 필터 후크(71)사이에는 소정의 간극(t)이 생기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필터 캡(80)의 손잡이부(82)를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미만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필터 캡(80)은 상기 필터 인출홀(60a)로부터 나사결합이 일부 해제된다.
상기 필터 캡(80)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필터 캡(80)은 소정거리만큼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러나, 상기 필터캡 후크(83)와 상기 필터 후크(71)사이에 소정의 간극(t)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 캡(80)이 전방을 향해 소정거리 인출될 지라도 상기 필터캡 후크(83)와 필터 후크(71)는 걸림되지 않으므로 상기 필터 캡(80)과 필터(70)는 소정간극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70)는 상기 필터 캡(80)과 함께 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90)이 탄성 복원되어, 상기 필터 캡(8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므로, 상기 필터(70)와 필터 캡(80) 사이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각도는 사람이 상기 손잡이부(82)를 잡고 한번에 회전시킬 수 있는 한계각도인 180도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어린이 등이 장난으로 상기 손잡이부(82)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부(82)를 잡고 180도 미만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필터(70)가 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간극(t)은 상기 필터 캡(80)을 180도 회전시켰을 경우, 상기 필터 캡(80)이 인출될 수 있는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어린이 등이 장난으로 상기 손잡이부(82)를 회전시킬 경우에는 상기 필터(70)가 인출되지 않으므로 고온의 세탁수 유출이 방지되어, 화상 등의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필터(70)의 청소를 위해 상기 필터(70)를 탈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82)를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필터 캡(80)이 180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캡(80)이 전방을 향해 소정 거리 이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필터캡 후크(83)와 필터 후크(71)가 걸림되어 상기 필터 캡(80)과 함께 상기 필터가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는 필터와 필터 캡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필터 캡이 소정각도 미만으로 회전 되어 인출될 경우 상기 필터와 필터 캡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필터의 인출이 방지되기 고온의 세탁수 유출에 따라 발생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필터 인출홀이 형성된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인출홀에 삽입되는 필터;
    상기 필터와 체결되고 상기 필터 인출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와 나사 결합하는 필터 캡;
    상기 필터 캡 방향으로 상기 필터에 형성된 필터 후크; 및
    상기 필터 캡이 상기 필터 인출홀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 캡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 후크와 서로 후크 걸림 되고, 상기 필터 캡이 상기 필터 인출홀을 차폐하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하면 상기 필터 인출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필터 후크와 후크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필터 방향으로 돌출된 필터 캡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캡 후크가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는,
    상기 필터 캡이 180도 이상 회전될 때 상기 필터 캡이 수평이동하는 거리 보다 길도록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캡의 인출시 상기 필터와 상기 필터 캡이 이격되도록 상기 필터와 상기 필터 캡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상기 필터 캡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탄성부재 가이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필터 캡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필터와 필터 캡사이의 유격을 방지하는 유격방지리브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와 반경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와의 사이에 탄성부재 끼움홈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에는 상기 원통부가 신축가능하도록 신축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후크와 필터 캡 후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캡의 외둘레면과 상기 필터 인출홀의 내둘레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KR1020060077698A 2006-08-17 2006-08-17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KR10128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698A KR101282949B1 (ko) 2006-08-17 2006-08-17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698A KR101282949B1 (ko) 2006-08-17 2006-08-17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079A KR20080016079A (ko) 2008-02-21
KR101282949B1 true KR101282949B1 (ko) 2013-07-05

Family

ID=3938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698A KR101282949B1 (ko) 2006-08-17 2006-08-17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9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13B1 (ko) * 2015-03-31 2016-08-19 계양전기 주식회사 카본브러쉬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3266B (zh) * 2018-03-14 2021-10-2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排水阀以及包含该排水阀的衣物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393A (ja) * 2000-10-24 2002-05-08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2282616A (ja) * 2001-03-27 2002-10-02 Sharp Corp フィル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393A (ja) * 2000-10-24 2002-05-08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JP2002282616A (ja) * 2001-03-27 2002-10-02 Sharp Corp フィルタ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13B1 (ko) * 2015-03-31 2016-08-19 계양전기 주식회사 카본브러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079A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855B2 (en) Front loading laundry machine having bellows
US9951458B2 (en) Washing machine
JP4358858B2 (ja) 洗濯機のセミドライ方法及びそのための通風構造とコントロール装置
TWI633225B (zh) washing machine
KR2016001589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09918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373569B2 (ja) 洗濯物処理機器
KR101282949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필터장치
JP2015008773A (ja) 洗濯乾燥機
JP634933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8153374A (ja) 洗濯機
JP5457969B2 (ja) 衣類乾燥機
KR101290460B1 (ko) 드럼 세탁기
CN111041760B (zh) 一种滚筒洗衣机
JP2009225871A (ja) 洗濯機
JP2015119886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2170691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8130411A (ja) 洗濯機
KR10225485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8117707A (ja) 衣類処理装置
KR20080018451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개스킷
KR101293230B1 (ko) 드럼 세탁기
JP6182514B2 (ja) 洗濯機
KR101832764B1 (ko) 필터커버 걸림장치를 구비한 필터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의류건조기
KR10239992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