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410B1 -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 Google Patents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410B1
KR102081410B1 KR1020170145186A KR20170145186A KR102081410B1 KR 102081410 B1 KR102081410 B1 KR 102081410B1 KR 1020170145186 A KR1020170145186 A KR 1020170145186A KR 20170145186 A KR20170145186 A KR 20170145186A KR 102081410 B1 KR102081410 B1 KR 10208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stirrer
magnet
container
ferromagne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062A (ko
Inventor
나상하
Original Assignee
나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하 filed Critical 나상하
Priority to KR1020170145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4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01F33/453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using supported or suspended stirring elements
    • B01F13/0827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4Mixing biocidal, pesticidal or herbicidal ingredients used in agriculture or horticulture, e.g. for spraying
    • B01F2215/000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와, 상기 농약교반기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와, 상기 농약교반기 및 농약을 수용하는 농약통과, 상기 농약통에 장착되며 상기 농약통에 농약교반기가 수용되면 농약교반기의 강자성체를 끌어당겨 달라붙게하여 농약통에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Agitator removable agricultural chemical stirrer}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작물에 대한 농약 살포 작업 전에는 상당량의 물이 채워진 농약통에 필요한 분말이나 과립 또는 액상의 농약을 투입한 다음 이들을 교반시켜서, 균일한 농도의 살포액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농약은 그 특성이 물보다 비중이 큰 관계로, 살포액에 희석된 농약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약통의 밑바닥에 가라앉는 침전현상이 발생되므로, 결과적으로 균일한 농도의 살포액을 농작물에 지속적으로 살포하기 어렵다.
이에, 농가에서는 살포액을 살포하는 과정에서 살포액이 균일한 농도를 유지하도록 주기적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살포액을 교반하여 함침된 농약의 희석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는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노동력을 요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농약 살포장치에 필수로 갖춰진 펌핑장치를 이용해 인력에 의한 노동력 없이 자동으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자동 교반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농약 자동 교반기는, 동력 분무기에서 고압 토출되는 살포액을 분사노즐을 통해 농약통 내에 고압 토출시켜, 고압 토출되는 살포액에 의해 살포액의 교반 및 희석이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농약 자동 교반기의 보급으로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던 살포액의 교반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살포액의 교반에 따른 편리성이 확보되었다.
한편, 농약 자동 교반기는 대형 농약통 내의 살포액을 교반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농약 자동 교반기로 "액체 기체 동시 분사형 농약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농약 교반 흡입 동시 구동형 어셈블리(등록번호 제10-1557631호, 이하, 종래기술1)"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의해 공고된 바 있으나, 종래기술1은 농약 교반시 액체와 기체를 동시에 이용하고 있어 압력이 상당하여, 교반기의 들뜸 현상이 발생한다. 또는 여타 이유로도 교반기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교반시 교반기의 자세가 불안정하고, 이로 인해 교반 효율 저하가 발생된다. 분사 압력이 크면 교반 효율이 향상되야 하는데 오히려 높은 분사 압력으로 인해 교반 효율이 저하됨에 따라 이에 대한 해결 수단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의 농약 자동 교반기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농약 자동 교반기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분리하는 것이 불편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7631호(공고일자 2015.10.06.)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0876호(공개일자 2017.09.05.)
본 발명은 유체의 분사 압력으로 농약을 교반할 때 교반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약교반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약교반기를 탈부착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교반시에는 농약교반기를 농약통에 고정되게 하고, 세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농약통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농약교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상기 농약교반기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 상기 농약교반기 및 농약을 수용하는 농약통; 상기 농약통에 장착되며, 상기 농약통에 농약교반기가 수용되면 농약교반기의 강자성체를 끌어당겨 달라붙게하여 농약통에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는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상기 농약교반기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 상기 농약교반기 및 농약을 수용하는 농약통; 상기 농약통에 농약교반기가 수용될 때 농약통의 하단에서 농약교반기의 강자성체를 끌어당겨 농약통에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는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상기 농약교반기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 상기 농약교반기 및 농약을 수용하며, 하부에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의 유출입로가 형성된 농약통; 상기 농약통에 농약교반기가 수용될 때 유출입로를 통해 농약통의 하부에 위치되어 농약교반기의 강자성체를 농약통에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자석과; 상기 자석의 외주면과 동일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농약통의 농약 교반시는 고정되게 하여 교반기의 자세를 안정화하고, 교반이 완료된 경우에는 교반기가 농약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여 교반기 작동시에는 교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교반기 정지시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여과망, 노즐 등을 세척하는 것에 의해 재이용시 교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반기가 농약통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어 최적의 와류 현상을 발휘하도록 교반기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1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3실시예의 주요부의 저면도 및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2,3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인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의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는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10)와, 상기 농약교반기(10)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20)와, 상기 농약교반기(10) 및 농약을 수용하는 농약통(40)과, 상기 농약통(40)에 장착되며 상기 농약통(40)에 농약교반기(10)가 수용되면 강자성체(20)를 끌어당겨 달라붙게하여 농약교반기(10)를 농약통(40)에 고정시키는 자석(30)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10)와, 상기 농약교반기(10)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20)와, 상기 농약교반기(10) 및 농약을 수용하는 농약통(40)과, 상기 농약통(40)에 농약교반기(10)가 수용될 때 농약통(40)의 하단에서 강자성체(20)를 끌어당겨 농약교반기(10)를 농약통(40)에 고정시키는 자석(30)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는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10)와, 상기 농약교반기(10)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20)와, 상기 농약교반기(10) 및 농약을 수용하며 하부에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유출입로(41)가 형성된 농약통(40)과, 상기 농약통(40)에 농약교반기(10)가 수용되면 유출입로(41)를 통해 농약통(4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강자성체(20)를 끌어당겨 농약교반기(10)를 농약통(40)에 고정시키는 자석(30)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30a)가 형성된 자석(30)과, 상기 자석(30)의 외주면과 동일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장착되는 손잡이(3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농약교반기(10)는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등록특허공보 제10-1557631호(공고일자 2015.10.06.)(이하, 제1 타입의 농약교반기)에 개시된 농약교반기일 수 있다.
또는 농약 교반 기능과 양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0876호(공개일자 2017.09.05.)(이하, 제2 타입의 농약교반기2)에 개시된 양수장치일 수 있다.
제1 타입의 농약교반기인 경우 분사노즐(11,12)은 흡입망에 내장된 상태에서 분사부분이 흡입망의 외측으로 노출된 형태일 수 있다.
강자성체(20)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 플라스틱(21)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강자성체(20)는 농약교반기(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1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는 농약교반기(10)와, 강자성체(20)와, 자석(30)과, 농약통(40)을 포함한다.
농약교반기(10)는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제1 타입의 농약교반기이고, 강자성체(20)는 플라스틱 사출 공정을 통해 강자성체(20)가 플라스틱(21)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써, 농약교반기(10)의 하부측과 억지끼움되게 상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 부분에 농약교반기(10)의 하부를 억지끼움하여 강자성체(20)와 농약교반기(10)가 결합된다.
강자성체는 농약교반기(10)의 하중을 증가시켜 농약교반기(10)를 농약통(40)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거나, 농약교반기(10)가 구동될 때 농약교반기(1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자 상당한 중량을 갖게한 것이다. 그런데, 농약교반기(10) 구동시의 분사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조금씩 유동되는 현상으로 보여왔다. 또한 농약과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가 쉽게 구부러지는 재질이 아닌 견고한 재질이고, 무게가 상당한 경우에는 농약교반기(10)가 기울어진 상태로 농약통(40)에 안착되는 현상을 보여왔다.
이에 실시예1에서는 농약교반기(10)에 강자성체(20)를 장착하고, 자성으로 강자성체(20)를 고정시키는 자석(30)을 농약통(40)의 하부에 고정형으로 장착하였다. 이때 자석(30)은 농약교반기(10)가 구동될 때 와류현상이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농약통(40)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30)을 농약통(40)의 하부 중앙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실리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는 교반이 필요한 경우 농약교반기(10)를 농약통(40)에 넣으면, 자석(30)에 의해 농약교반기(10)가 농약통(40)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어 안정적인 자세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농약교반기(10)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2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는 농약교반기(10)와, 강자성체(20)와, 농약통(40)과,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포함한다.
실시예2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는 실시예1 대비 농약통(40)에 자석(30)이 고정된 형태로 구성된 것이 아닌, 별도의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구비하여 구성된 점이 상이하다.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30a)가 형성된 자석(30)과, 상기 자석(30)의 외주면과 동일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장착되는 손잡이(32)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부(30a)는 자석(30)과 강자성체(20)가 자성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32)를 통해 자석(30)을 회전시킬 때 케이스(31)의 내주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를 실시예2와 같이 구성함으로 인해 농약통(40) 마다 자석(30)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자석(30)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농약통(40)을 소지해야하는 농가의 경우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가 사용자의 어깨에 매는 형태로 구성된 경우이면 농약통(40)의 바닥이 노출되기 때문에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사용하기에 아무런 제약이 없으나, 농약통(40)의 용량이 커서 바닥에 놓아야 하는 경우이면, 벽돌과 같은 받침대로 농약통(40)의 하부를 받친 상태에서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자석(30)과 강자성체(2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손잡이(32)를 잡고 회전시키면 강자성체(20)가 연동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결국 손잡이(32)를 이용하여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회전시키면 농약교반기(10)의 분사노즐(11,12)의 분사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농약통(40)의 형상(사각형, 원형 등)에 따라 원활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분사노즐(11,12)을 최적의 분사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11,12)을 최적의 분사방향으로 변경시킬 때 분사노즐(11,12)이 회전상태 및 농약통(40)의 와류 발생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농약통(40)의 측면을 투명하게 설계할 수도 있다.
<실시예3>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3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는 농약교반기(10)와, 강자성체(20)와, 유출입로(41)가 형성된 농약통(40)과,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을 포함한다.
실시예3에 따른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는 실시예2 대비 농약통(40)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즉, 농약통(40)은 실시예2의 농약통(40) 대비 하부에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유출입로(41)가 형성된 점이 상이하다. 이와 같이 농약통(40)의 하부에 유출입로(41)가 형성되면 농약통(40)이 바닥에 고정된 상태일 때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출입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실시예2와 차별화된다.
따라서, 도 5(농약통(40) 및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저면도)와 같이 농약통(40)이 바닥에 설치된 경우로 가정하면,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은 유출입로(41)를 통해 농약통(40)의 하부 출입이 자유롭다. 또한 유출입로(41)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자석(30)이 농약통(40)의 하부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출입로(41)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33)의 농약통(40)의 하부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농약교반기
20: 강자성체
30: 자석
33: 농약교반기 고정수단
40: 농약통

Claims (4)

  1. 삭제
  2.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상기 농약교반기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
    상기 농약교반기 및 농약을 수용하는 농약통;
    상기 농약통에 농약교반기가 수용될 때 농약통의 하단에서 강자성체를 끌어당겨 농약교반기를 농약통에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자석과, 상기 자석의 외주면과 동일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3. 농약 교반 기능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상기 농약교반기에 장착되어 하중을 증가시키는 강자성체;
    상기 농약교반기 및 농약을 수용하며, 하부에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의 유출입로가 형성된 농약통;
    상기 농약통에 농약교반기가 수용되면 유출입로를 통해 농약통의 하부에 위치되어 강자성체를 끌어당겨 농약교반기를 농약통에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하는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농약교반기 고정수단은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형성된 자석과, 상기 자석의 외주면과 동일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장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4. 삭제
KR1020170145186A 2017-11-02 2017-11-02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KR10208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86A KR102081410B1 (ko) 2017-11-02 2017-11-02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186A KR102081410B1 (ko) 2017-11-02 2017-11-02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62A KR20190050062A (ko) 2019-05-10
KR102081410B1 true KR102081410B1 (ko) 2020-02-25

Family

ID=6658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186A KR102081410B1 (ko) 2017-11-02 2017-11-02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406B2 (ja) * 1998-02-27 2001-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階層型文章分類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557631B1 (ko) * 2014-12-24 2015-10-06 나상하 액체 기체 동시 분사형 농약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농약 교반 흡입 동시 구동형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406U (ja) * 2012-07-03 2012-09-13 株式会社京光 水中用照明装置
KR101876186B1 (ko) 2016-02-26 2018-07-09 나상하 액체기체 동시분사형 농약교반과 양수 고속공급의 일체형 교반 및 양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406B2 (ja) * 1998-02-27 2001-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階層型文章分類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557631B1 (ko) * 2014-12-24 2015-10-06 나상하 액체 기체 동시 분사형 농약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농약 교반 흡입 동시 구동형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62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4211B2 (ja) 混合及び散布のシステム
KR200488275Y1 (ko) 농약 교반 분무기
KR20160017882A (ko)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분무기
KR101876186B1 (ko) 액체기체 동시분사형 농약교반과 양수 고속공급의 일체형 교반 및 양수장치
KR101557631B1 (ko) 액체 기체 동시 분사형 농약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농약 교반 흡입 동시 구동형 어셈블리
TWI260992B (en) Strainer for liquid tank
CA2949780A1 (en) Washing machine
KR102222690B1 (ko) 농업용 분무기
KR102081410B1 (ko) 교반기 탈부착형 농약교반장치
KR101849854B1 (ko) 농약 정량 공급기
KR101901904B1 (ko) 농약 분무기
KR101483424B1 (ko) 배부형 전동 분무기
KR20110011972A (ko) 방역작업을 위한 석회살포기
KR101982541B1 (ko) 어깨끈 결합이 쉬운 자동분무형 휴대용 농약 분무장치
KR20150052999A (ko) 농약분무시스템용 고효율 농약 교반기
KR102380667B1 (ko) 농약의 교반, 분사 및 양수가 가능한 일체형 장치
CN109012269A (zh) 一种农药混合搅拌装置
KR20110071346A (ko) 농약 살포용 동력분무기
KR101767945B1 (ko) 농약교반기 일체형 농약통
US20120144878A1 (en) Device for dispensing an additive in an appliance
TWI627998B (zh) 溶劑混合器
KR200486300Y1 (ko) 농약류 수동교반구
KR20090001971U (ko) 액상물 탱크용 교반기
KR101696063B1 (ko) 농약 분무용 흡입망 장치
KR102048867B1 (ko) 분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