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262B1 - 다슬기용 사육 수조 - Google Patents

다슬기용 사육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262B1
KR102081262B1 KR1020190076058A KR20190076058A KR102081262B1 KR 102081262 B1 KR102081262 B1 KR 102081262B1 KR 1020190076058 A KR1020190076058 A KR 1020190076058A KR 20190076058 A KR20190076058 A KR 20190076058A KR 102081262 B1 KR102081262 B1 KR 102081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tank
water
partitio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건
김두철
남효상
김경수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filed Critical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Priority to KR102019007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다슬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면서 경제적인 다슬기용 사육 수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여과부, 사육부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사육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칸막이; 상기 본체 내측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육부 및 상기 배수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제2 칸막이; 상기 사육부 내측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 칸막이; 및 상기 배수부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포함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슬기용 사육 수조{Aquaculture tank for marsh snail}
본 발명은 사육 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에 관한 것이다.
다슬기는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다슬기과(Pleuroceridae)에 속하며, 자웅이체이고, 난생 또는 난태생을 한다.
다슬기는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속 9종이 전국에 걸쳐 강, 호수, 관개수로, 새천 등 수류가 빠르고 수심이 얕은 계류에서 서식하며, 다슬기는 식용으로 기호도가 높고 유용 수산자원으로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종이다. 이에 다슬기를 많은 곳에서 다슬기를 사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슬기를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하여 다슬기 사육 수조 내에 가라앉은 다슬기의 배설물이나 먹이 찌꺼기 등을 청소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 시 다슬기를 외부로 옮긴 후 청소를 하거나, 다슬기가 없는 부분만을 청소하게 되어 다슬기에 상처가 나거나 청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66178호는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다슬기 및 어류 사육 수조를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설치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슬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면서 경제적인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여과부, 사육부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사육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칸막이; 상기 본체 내측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육부 및 상기 배수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제2 칸막이; 상기 사육부 내측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 칸막이; 및 상기 배수부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를 포함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간 칸막이 및 제2 칸막이는 망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칸막이는 중심부에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육부 하면은 상기 양측벽에 형성된 돌출부 하면에서 상기 사육부 하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는 V자 형상이고, 상기 사육부 하면은 여과부 방향의 일단이 배수부 방향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높이 차이는 1~50cm이고, 상기 일단부터 타단까지 하방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사육부는 여과 시스템으로부터 여과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여과 시스템은 상부가 개방되어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수조바닥 일측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여과수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여과수조 하부에 위치한 제2 여과수조; 및 상기 제1 여과수조 및 상기 제2 여과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3 칸막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여과부, 사육부 및 배수부로 구획하여 사육부의 상부에서 다슬기를 사육하고 사육부의 하부는 특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육부 상부에서 사육되는 다슬기의 배설물 등이 사육부 하부로 낙하되면 특정 여과시스템을 거친 사육수를 통해 배설물 등을 제거함으로써 다슬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며 경제적인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육부의 하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에 여과재가 내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과 폭기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부구성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슬기용 사육 수조에 있어서, 종래의 사육 수조는 청소 시 다슬기를 외부로 이동시킨 후 청소를 수행하거나, 다슬기가 없는 부분만을 청소할 수 있어서 다슬기에게 스트레스를 주거나 청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사실에 직시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여과부, 사육부 및 배수부로 구획하여 사육부의 상부에서 다슬기를 사육하고 사육부의 하부는 특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육부 상부에서 사육되는 다슬기의 배설물 등이 사육부 하부로 낙하되면 특정 여과시스템을 거친 사육수를 통해 배설물 등을 제거함으로써 다슬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며 경제적인 다슬기용 사육 수조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는 상면이 개방되고, 여과부(120), 사육부(130) 및 배수부(140)를 포함하는 본체(110); 상기 여과부(120) 및 상기 사육부(130) 사이에 형성된 제1 칸막이(111); 상기 본체(110) 내측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육부(130) 및 상기 배수부(14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3); 상기 가이드레일(113)에 결합되는 제2 칸막이(112); 상기 사육부(130) 내측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1); 상기 돌출부(131)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 칸막이(132); 및 상기 배수부(140)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14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10)의 형상은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10)는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13)은 상기 본체(110) 내측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육부(130) 및 상기 배수부(14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칸막이(112)는 상기 가이드레일(113)에 슬라이딩 되어 결합함으로써 상기 본체(110)를 상기 사육부(130) 및 상기 배수부(140)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사육부(130)는 다슬기가 사육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사육부(130) 내측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1)는 내측 방향으로 3~15cm 돌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5~10cm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31)의 상면에 다수의 중간 칸막이(132)가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육부(130)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중간 칸막이(132) 상면에서 다슬기가 사육되고, 상기 다슬기에서 배출된 배설물 등은 상기 중간 칸막이(132)를 통과하여 상기 사육부 하면(133)으로 낙하되어 다슬기는 청결한 상태에서 사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간 칸막이(132), 제2 칸막이(112)는 망체로 형성되어 물, 배설물 등이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칸막이(132)는 망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사육부(130)에서 사육되는 다슬기의 배설물 등이 용이하게 상기 사육부 하면(133)으로 통과되어 낙하될 수 있고, 상기 망체의 공극은 상기 다슬기의 크기보다 작아 다슬기가 망체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칸막이(111)의 중심부에는 유입구(111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여과부(12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사육부(130)로 배출되어 상기 사육부 하면(133)에 모아진 배설물 등을 씻어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육부의 하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사육부 하면(133)은 상기 양측벽에 형성된 돌출부(131) 하면에서 상기 사육부 하면(133)의 중심부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는 V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사육부 하면(133)은 상기 여과부(120) 방향의 일단이 상기 배수부(140) 방향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높이 차이가 1~50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25cm일 수 있어, 상기 일단부터 타단까지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육부 하면(133)의 일단과 타단의 높이 차이가 1cm 미만이면 일단에서 타단으로 흐르는 물의 유속이 낮아 배설물 등이 씻겨나가지 않을 수 있고, 높이 차이가 50cm를 초과하면 상기 본체(110)의 높이가 높아져 공간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육부 하면(133)의 중심부의 내부 각도(a)는 90~17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250°일 수 있다. 상기 내부 각도(a)가 90°미만이면, 상기 본체(110)의 높이가 높아져 공간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내부 각도(a)가 170°를 초과하면 상기 사육부 하면(133)의 중심부로 배설물 등이 모이지 않아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육부 하면(133)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사육부(130)에서 사육되고 있는 다슬기의 배설물 등이 낙하 시 상기 사육부 하면(133)의 중심으로 용이하게 모아질 수 있으며, 상기 사육부 하면(133) 일단이 타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여과부(120)에서 상기 사육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사육부 하면(133) 일단부터 타단까지 흐름으로써 상기 사육부 하면(133)의 배설물 등을 청소하게 되고, 상기 배설물 등이 포함된 물은 상기 배수부(140)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141)를 통해 배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흐르는 물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사람이 청소하거나, 모터 등의 사용이 없어 경제적이며 다슬기를 이동시키지 않아 상품성이 우수한 다슬기를 사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중간 칸막이(132) 및 제2 칸막이(112)가 망체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사육부(130)에서 사육되는 다슬기에게 직접 물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본체(110) 상면을 통해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에서 상기 사육부(130)에서 사육되는 다슬기에게 직접 물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사육부(130)에 위치한 상기 중간 칸막이(132)의 망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상기 사육부 하부(133)로 함께 씻어낼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칸막이(112)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함께 씻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체를 통과한 물은 상기 사육부 하면(133)에 존재하는 상기 다슬기의 배설물 등을 청소하고, 상기 배수구(141)로 배수됨으로써 사람이 직접 배설물 등을 직접 청소하지 않아 청소가 매우 용이하고,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물이 고이지 않아 오염되지 않은 물을 다슬기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다슬기를 이동시키지 않아 상품성이 우수한 다슬기를 사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파이프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구(141)를 통해 배수된 물은 순환 여과방식으로 순환하여 후술하는 여과시스템(200)을 통해 여과되어 상기 여과부(120)로 재공급되어 상기 사육부 하면(133)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청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110) 상면을 통해 상기 사육부(130)에서 사육되는 다슬기에게 공급되어 상기 사육부 하면(133)으로 흘러내려가 상기 중간 칸막이(132) 및 상기 사육부 하면(133)을 청소할 수 있고, 배수된 물을 재사용하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의 다슬기 사육 및 청소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사육부(130)의 중간 칸막이(132) 상면에 다슬기를 올려놓고 다슬기에게 먹이와 함께 물을 공급한다. 이후 다슬기에게서 배출된 배설물, 먹다 남은 먹이, 먼지 등이 상기 사육부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씻겨나가고, 상기 중간 칸막이(132)를 통과하여 상기 사육부의 하면(133)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후 상기 여과부(120)로 공급된 물이 제1 칸막이(111)에 형성된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사육부(130)로 배출되고, 상기 사육부(130)로 직접 공급된 물과 상기 유입구(111a)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사육부 하면(133)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흐르면서 상기 사육부 하면(133)에 쌓인 상기 다슬기의 배설물 등을 상기 배수부(140)로 이동시키고, 상기 배수부(140)에 형성된 배수구(141)를 통해 배출된다. 이후 배출된 물은 후술하는 여과 시스템(200)을 거쳐 재차 상기 여과부(120) 및 상기 사육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상기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는 상기 여과부(120)에 후술하는 도 4의 여과시스템을 축소하여 상하 순환형 여과시스템을 구현(미도시)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는 각 수조마다 상기 여과부에 후술하는 도 4의 여과시스템을 축소하여 구현하는 것보다 도 4의 여과시스템을 외부에 구축하여 시행할 수 있으며, 외부에 구축하여 시행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여과 효율성이 우수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여과시스템(200)은 상기 다슬기용 전용 수조(100)에서 배출된 물(이하 '유입수'라고 함)을 여과한 후 재차 상기 다슬기용 전용 수조(1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 시스템(200)은 상부가 개방되어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수조바닥 일측에 제1 배출구(211)가 형성된 제1 여과수조(210);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210)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제2 배출구(2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여과수조(210) 하부에 위치한 제2 여과수조(220); 및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3 칸막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제2 여과수조(220)는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여과수조(2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측으로 유입수가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상기 수조바닥 일측에 상기 유입된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출구(2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여과수조(210)의 수조바닥에는 하부에 가라앉은 노폐물 등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벨브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여과수조(2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210)의 제1 배출구(211)에서 배출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상기 유입된 유입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 배출구(2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여과수조(220)의 수조바닥에는 하부에 가라앉은 노폐물 등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벨브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여과수조(220)는 제1 여과수조(210)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여과 수조는 복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 수조는 복층형으로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여과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 수조(220)가 제1 여과수조(210)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 여과수조(210)에서 여과된 상기 유입수가 배출 시 위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통해 여과재(250)를 더욱 빠르게 통과하고 이로부터 여과 시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칸막이(230)는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상기 제3 칸막이(230)는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의 가로 길이(L)에 비례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30~70cm 간격당 1개가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60cm 간격당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칸막이(230)가 30cm 미만의 간격으로 설치되면 상기 제3 칸막이(230)가 여과수조(210, 220) 내부에 밀집되어 여과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70cm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설치되면 상기 유입수의 상하 순환 횟수가 감소하여 여과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3 칸막이(230)의 두께는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의 외벽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얇을 수 있고, 상기 제3 칸막이(230)의 높이는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 내부 높이의 50~90%, 바람직하게는 70~85%일 수 있다.
상기 제3 칸막이(230)의 높이가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제3 칸막이(230)를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칸막이의 상부 또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3 칸막이(230)의 개방된 공간으로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상기 제2 여과수조(220)로 유입된 유입수가 상하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칸막이(230)의 높이가 제1 여과수조(210) 내부 높이의 50% 미만이면 물의 상하순환이 용이하지 않아 여과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90%를 초과하면 여과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된 유입수가 상하로 순환하며 상기 제3 칸막이(230)를 통과함으로써 순환펌프 등의 사용 없이 자연 순환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순환함으로써 배설물, 철분, 유기물 등의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물질은 상부로 통과하지 못하여 하부로 가라앉아 자연여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여과수조(210) 하부에 상기 제2 여과수조(220)가 위치함으로써 복층으로 상기 여과 시스템(200)을 구성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여과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에 여과재가 내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여과수조(210) 및 제2 여과수조(220)는 내부에 설치된 제3 칸막이(230) 사이에 여과재(250)가 내입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250)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 미생물 등을 흡착할 수 있고, 상기 여과재(250)는 매트형 여과재로서 수직 및 수평으로 상기 제3 칸막이(230) 사이에 적층되어 격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매트형 여과재 사이의 공간에는 알갱이형 여과재가 내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25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펀지, 자갈, 흡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과 폭기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200)은 상기 제2 여과수조(220)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유입되는 폭기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기조(240)는 상기 제2 여과수조(22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한 후 배출배관(245)을 통해 저장된 물을 상기 다슬기용 전용 수조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폭기조(240)는 내부에 주펌프(241) 및 보조펌프(24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펌프(241)는 배출배관(245)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조(240)에 저장된 유입수를 상기 다슬기용 전용 수조(100)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보조펌프(242)는 상기 폭기조(240)의 수위가 내려가 상기 주펌프(241)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배출배관(245)에 연결되어 상기 폭기조(245)에 저장된 유입수를 상기 다슬기용 전용 수조(1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주펌프(241)는 폭기조(240) 바닥에서 10~50cm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30cm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주펌프(241) 설치 시 지지대(243)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243) 위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폭기조(240)에서는 물보다 질량이 무거운 배설물, 철분 등은 폭기조(240)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상기 배설물, 철분 등이 가라앉은 유입수를 상기 주펌프(241)를 이용하여 상기 다슬기용 전용 수조(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일반적인 폭기조에서는 평소에 작동하는 주펌프(241)와 비상 시에 작동하는 보조펌프를 나란히 설치하고 외부에 이를 조절하는 센스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폭기조(240)는 주펌프(241)를 지지대(243) 위에 설치하여 폭기조(240) 바닥에 설치한 보조펌프(242)와 높이 차이를 둠으로써 평상 시에는 주펌프(241)가 작동하다가 주펌프(241)가 작동하는 수위 아래로 물 수위가 떨어지면 자동적으로 보조펌프(242)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센스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주펌프(241)의 설치 위치가 상기 폭기조(240) 바닥에서 10cm 미만의 높이에 설치되면 배설물, 철분 등이 함께 배출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폭기조(240) 바닥에서 50cm를 초과하는 높이에 설치하면 보조펌프(242)의 작동이 잦아 주펌프(241)와 보조펌프(242)를 함께 사용하는 실익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시스템(2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여과 시스템(200)은 상기 다슬기용 사육 수조에서 배출된 물(이하 '유입수'라 함)에 포함된 배설물 등을 처리하여 상기 다슬기용 사육 수조에 재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입수가 상기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가 순차적으로 개방된 제3 칸막이(230)가 설치된 제1 여과수조(210)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3 칸막이(230)를 상하로 통과함으로써 상기 유입수에 포함되어 있는 배설물 등이 하부로 가라앉게 되고, 상기 제3 칸막이(230)를 반복적으로 상하로 순환 통과함으로써 배설물 등이 다량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칸막이(230) 사이에는 여과재(250)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배설물 등이 상기 여과재에 흡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수가 상기 제1 여과수조(210) 타측 바닥에 형성된 제1 배출구(211)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 시 공기와 맞닿은 상기 유입수에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배출된 유입수는 상부가 개방된 제2 여과수조(220)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210)의 내부와 동일하게 제3 칸막이(230) 및 여과재(250)가 설치된 제2 여과수조(220)의 내부를 상하 순환 통과함으로써 미처 여과되지 못한 배설물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이 제거된 유입수는 상기 제2 여과수조(220) 타측 외벽 하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221)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유입수는 유입배관(244)을 통해 폭기조(240)에 유입된다.
상기 폭기조(240)에 유입된 유입수는 폭기조(240)에 저장되면서 물보다 비중이 높은 배설물 등이 재차 가라앉고, 상기 폭기조(240) 바닥에서 10~50cm의 높이를 갖는 지지대(243) 위에 설치된 주펌프(241)를 통해 배설물 등이 제거된 상층의 유입수만이 배출배관(245)을 통해 상기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의 여과부(120) 및 사육부(130)로 재차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시스템(200)은 순환펌프 없이도 상기 유입수를 자연 순환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절감효과가 우수하고, 여과 수조를 복층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간활용도 및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폭기조(240)에 주펌프(241) 및 보조펌프(242)를 높이 차를 두어 설치함으로써 센스기구의 설치 없이 자동적으로 펌프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는 상기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를 여과부(120), 사육부(130) 및 배수부(140)로 구획하여 상기 사육부(130)의 상부에서 다슬기를 사육하고 상기 사육부(130)의 하부는 특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육부(130) 상부에서 사육되는 다슬기의 배설물 등이 사육부 하부로 낙하되면 특정 여과시스템(200)을 거친 유입수를 통해 배설물 등을 제거함으로써 다슬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며 경제적인 다슬기용 사육 수조(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여과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유입수를 여과함으로써 공간 활용도 및 여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순환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물의 상하순환을 통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발명의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슬기용 사육 수조 110 : 본체
111 : 제1 칸막이 111a : 유입구
112 : 제2 칸막이 113 : 가이드레일
120 : 여과부 130 : 사육부
131 : 돌출부 132 : 중간 칸막이
133 : 사육부 하면 140 : 배수부
141 : 배수구 a : 사육부 하면의 내측 각도
200 : 여과시스템 210 : 제1 여과수조
211 : 제1 배출구 220 : 제2 여과수조
221 : 제2 배출구 230 : 제3 칸막이
240 : 폭기조 241 : 주펌프
242 : 보조 펌프 243 : 지지대
244 : 유입배관 245 : 배출배관
250 : 여과재 L : 여과수조 길이

Claims (4)

  1. 상면이 개방되고, 여과부, 사육부 및 배수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사육부 사이에 형성된 제1 칸막이;
    상기 본체 내측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육부 및 상기 배수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제2 칸막이;
    상기 사육부 내측 양측벽에 횡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중간 칸막이; 및
    상기 배수부 하면에 형성된 배수구;
    를 포함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로서,
    상기 사육부 하면은 상기 양측벽에 형성된 돌출부 하면에서 상기 사육부 하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하방 경사지는 V자 형상이고, 상기 사육부 하면은 여과부 방향의 일단이 배수부 방향의 타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높이 차이는 1~50cm이고, 상기 일단부터 타단까지 하방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칸막이 및 제2 칸막이는 망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칸막이는 중심부에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 및 상기 사육부는 여과 시스템으로부터 여과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여과 시스템은 상부가 개방되어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수조바닥 일측에 제1 배출구가 형성된 제1 여과수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여과수조에서 여과된 유입수가 일측으로 유입되고, 수조바닥을 둘러싼 외벽과 타측 외벽 하부에 제2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여과수조 하부에 위치한 제2 여과수조; 및
    상기 제1 여과수조 및 상기 제2 여과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3 칸막이;
    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용 사육 수조.
KR1020190076058A 2019-06-26 2019-06-26 다슬기용 사육 수조 KR102081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58A KR102081262B1 (ko) 2019-06-26 2019-06-26 다슬기용 사육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58A KR102081262B1 (ko) 2019-06-26 2019-06-26 다슬기용 사육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262B1 true KR102081262B1 (ko) 2020-05-15

Family

ID=7067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058A KR102081262B1 (ko) 2019-06-26 2019-06-26 다슬기용 사육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51875A (zh) * 2023-12-13 2024-03-26 广东海洋大学 一种东风螺的陆基生态养殖方法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520A (ja) * 1989-09-12 1991-04-24 Yamaha Motor Co Ltd 養殖用水槽
JP2003092949A (ja) * 2001-09-26 2003-04-02 Denshi Bussei Sogo Kenkyusho:Kk ゴカイの養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520A (ja) * 1989-09-12 1991-04-24 Yamaha Motor Co Ltd 養殖用水槽
JP2003092949A (ja) * 2001-09-26 2003-04-02 Denshi Bussei Sogo Kenkyusho:Kk ゴカイの養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51875A (zh) * 2023-12-13 2024-03-26 广东海洋大学 一种东风螺的陆基生态养殖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97B1 (ko) 회류식 사육수조를 포함하는 순환여과식 양어 시설
CN105613389B (zh) 一种对虾养殖系统
CN200976785Y (zh) 自吸排污过滤养殖池
KR102081259B1 (ko) 큰징거미새우 전용 부화 수조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CN209151999U (zh) 具有快速及时排污功能的保持箱底清洁的新型水族箱
KR20070060055A (ko) 가두리 양식장
KR102081262B1 (ko) 다슬기용 사육 수조
CN206570083U (zh) 漂浮式微生物水体净化系统
CN211793840U (zh) 一种牛蛙养殖装置
CN205455358U (zh) 一种对虾养殖系统
CN208402936U (zh) 一种水产养殖虹吸式排污装置
CN217377655U (zh) 高位池养殖尾水处理循环系统
CN115669595A (zh) 东风螺双层循环水养殖装置
CN213074077U (zh) 一种鱼塘过滤系统
WO2021182546A1 (ja) 魚介類の養殖装置及び方法
KR101083075B1 (ko) 자연생태정원용 수질 정화장치
CN204104515U (zh) 池塘网箱清污养殖系统
JP3045661B2 (ja) 飼育濾過装置
CN113354119A (zh) 农村生活污水处理装置
KR102221507B1 (ko) 기포 분리기가 장착된 양어장
CN207235737U (zh) 一种粪污无害化处理的羊圈
CN211910161U (zh) 一种规模式养殖水体自动循环净水系统
CN2882249Y (zh) 水族养殖槽结构
CN211268190U (zh) 污水处理结构及循环水养殖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