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337B1 - 슬라이딩 행거도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행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337B1
KR102080337B1 KR1020190092804A KR20190092804A KR102080337B1 KR 102080337 B1 KR102080337 B1 KR 102080337B1 KR 1020190092804 A KR1020190092804 A KR 1020190092804A KR 20190092804 A KR20190092804 A KR 20190092804A KR 102080337 B1 KR102080337 B1 KR 10208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hanger
glass panel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귀환
Original Assignee
(주)씨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넷 filed Critical (주)씨넷
Priority to KR102019009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상태 그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일과 롤러 등의 슬라이드유닛을 감싸고 있어 통상 접근이 제한된 포켓형 어퍼(upper)커버는 장착상태 그대로 두고 롤러와 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된 행거부 아래에 언더(under)커버에 의하여 둘러싸인 높이조절부를 구성하여 문짝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이나, 내외측부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를 통하여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로 쉽게 조작하여 높낮이 조절이나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 설치 및 유지보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문짝에 유리 패널을 도입하는 경우 실리콘 코킹이나 알루미늄 유리고정 테두리(glazing bead)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패널의 재단 및 틀부재의 직장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파일 구조를 도입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 슬라이딩 행거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행거도어는 통상의 슬라이딩 행거도어에 있어서, 슬라이딩 변위하는 행거도어의 문짝은 상하좌우 사각형 틀부재 및 이 틀부재 내에 결합된 유리패널을 포함하고, 상하좌우 사각형 틀부재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유리패널을 둘러싸는 탄성 가스켓을 압지하는 이빨형 가압돌기를 갖는 압지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행거도어{SLIDING HANGER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행거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상태 그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일과 롤러 등의 슬라이드유닛을 감싸고 있어 통상 접근이 제한된 포켓형 어퍼(upper)커버는 장착상태 그대로 두고 롤러와 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된 행거부 아래에 언더(under)커버에 의하여 둘러싸인 높이조절부를 구성하여 문짝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이나, 내외측부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를 통하여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로 쉽게 조작하여 높낮이 조절이나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 설치 및 유지보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문짝에 유리 패널을 도입하는 경우 실리콘 코킹이나 알루미늄 유리고정 테두리(glazing bead)를 사용하지 않고 유리패널의 재단 및 틀부재의 직장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파일 구조를 도입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 슬라이딩 행거도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슬라이딩 도어로는 특허공개 제10-2013-0114503호(공개일자 2013년10월17일)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도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는 형식의 각종 수납장을 비롯한 가구 등의 슬라이드 도어를 레일을 따라 밀착시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착장치를 제공하며, 슬라이드 도어를 구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에 장착하는 롤러를 레일을 따라 자유롭게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롤러의 이탈을 비교적 간결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슬라이드 도어를 수납장 본체에 장착하는데 있어서 롤러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하여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시공 전후 등 롤러의 위치 조정이 필요할 경우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최적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 공개특허에서는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유닛이 롤러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데, 높이조절나사를 돌려 조절하는 구조이나, 이미 설치 완료된 이 수평배열 높이조절나사의 헤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천정에 인접한 협소한 공간에서 공구로 헤드를 돌려야 하므로 조절 편의성이 많이 낮은 기술에 해당한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20-0485706호(등록일자 2018년02월05일)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프레임]이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 속도 조절을 위해,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와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슬라이딩 도어용 가이드 프레임에 의하면, 걸림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걸림부재와 록킹부재의 설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양단에 구비되는 탄성 재질의 스토퍼로 인해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 등록고안에서는 포켓형 프로파일로 구성됨 몸체 내에 배열된 높이조절부재를 돌려 조절하는 방식이어서 역시 접근성 및 조작성이 낮다.
아울러 특허등록 제10-1919092호(등록일자 2018년11월09일)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바닥레일을 생략한 상태에서도 천정레일에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행거장치를 통해 천정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를 제공하며, 행거장치의 왕복 이동을 통해 행거장치로부터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을 행거장치와 레일연동유닛으로 분산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천정레일을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 등록특허에서는 포켓형 레일프레임 내에 위치한 수평조절부를 조작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이어서 이 또한 접근성과 조작성이 취약하다.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953225호(등록일자 2019년02월22일)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롤러장치]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이탈 방지부재가 직선 이동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도어를 열고 닫을 때의 충격에 의해 이탈 방지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상부 롤러장치를 제공하고, 롤러유닛의 후방으로 레버가 설치되어 레버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탈 방지부재가 직선 이동되므로 이탈 방지부재의 전진 및 후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이 쉽고 편리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 등록특허는 상부 프레임에 의하여 밀폐 보호된 내부에 롤러 브라켓에 설치된 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수직 배열된 높이조절 볼트의 헤드를 돌려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이어서 접근과 조작이 어렵다.
한편, 이들 종래기술들을 비롯한 종래 도어의 문짝에 유리패널을 고정하는 방식은 긴 양생시간을 필요로 하는 실리콘 코킹이나 일일이 재단을 하고 장착과정을 거쳐야 하는 알루미늄 유리고정 테두리(glazing bead)(속칭 '시보리')를 활용하는 것이어서, 작업성이 떨어지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장착상태 그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일과 롤러 등의 슬라이드유닛을 감싸고 있어 통상 접근이 제한된 포켓형 어퍼(upper)커버는 장착상태 그대로 두고 롤러와 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된 행거부 아래에 언더(under)커버에 의하여 둘러싸인 높이조절부를 구성하여 문짝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이나, 내외측부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를 통하여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로 쉽게 조작하여 높낮이 조절이나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 설치 및 유지보수 편리성을 극대화한 슬라이딩 행거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긴 양생시간을 필요로 하는 실리콘 코킹이나 일일이 재단을 하고 장착과정을 거쳐야 하는 알루미늄 유리고정 테두리(glazing bead)(속칭 '시보리')를 활용하는 기존 유리패널 장착방법이 갖는 낮은 생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리패널의 재단 및 틀부재의 직장착을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파일 구조를 도입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 슬라이딩 행거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행거도어는
통상의 슬라이딩 행거도어에 있어서,
슬라이딩 변위하는 행거도어의 문짝은 상하좌우 사각형 틀부재 및 이 틀부재 내에 결합된 유리패널을 포함하고,
상하좌우 사각형 틀부재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유리패널을 둘러싸는 탄성 가스켓을 압지하는 이빨형 가압돌기를 갖는 압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행거도어는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슬라이드유닛은 문틀에 고정되고 레일을 가리는 포켓형 어퍼커버와, 이 어퍼커버 영역 내에 위치한 브라켓 상부에 연결되고 레일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하부에 연결된 행거부와, 이 행거부와 연결되고 어퍼커버 영역 외부에 있는 노출형 조절부를 갖는 상하변위부와, 이 상하변위부를 감싸고 하부에 문짝이 연결된 언더커버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행거도어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노출형 조절부는 언더커버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에 배열되고,
상기 상하변위부는 상기 노출형 조절부와 연결되어 언더커버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조절볼트와, 이 조절볼트에 결합되는 너트가 하단에 형성된 제1링크쌍과, 제1링크 각 상단과 스윙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행거부와 연결된 제2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노출형 조절부는 언더커버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내외측 모두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상하변위부는 상기 노출형 조절부와 연결되고, 언더커버에 배열되며, 상기 행거부와 연결된 웜기어 또는 암수나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행거도어는 장착상태 그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일과 롤러 등의 슬라이드유닛을 감싸고 있어 통상 접근이 제한된 포켓형 어퍼(upper)커버는 장착상태 그대로 두고 롤러와 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된 행거부 아래에 언더(under)커버에 의하여 둘러싸인 높이조절부를 구성하여 문짝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이나, 내외측부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를 통하여 드라이버나 렌치 등의 공구로 쉽게 조작하여 높낮이 조절이나 수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 설치 및 유지보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 긴 양생시간을 필요로 하는 실리콘 코킹이나 일일이 재단을 하고 장착과정을 거쳐야 하는 알루미늄 유리고정 테두리(glazing bead)(속칭 '시보리')를 활용하는 기존 유리패널 장착방법이 갖는 낮은 생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리패널의 재단 및 틀부재의 직장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행거도어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에서 포켓형 어퍼커버 영역 외부에 있는 노출형 조절부를 갖는 상하변위부를 구비한 높이조절부 중 행거도어(특히 언더커버)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에 노출형 조절부가 배열된 형태에 대한 부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노출형 조절부를 갖는 상하변위부를 구비한 높이조절부 중 언더커버의 내외측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 형태에 대한 부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언더커버의 내외측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 형태 중 언더커버의 일측을 개방하는 보조커버를 갖는 형태의 높이조절부에 대한 부분 측면도.
도 5는 문짝은 상하좌우 사각형 틀부재에 유리패널을 조립하는 경우 직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빨형 가압돌기를 갖는 압지홈을 구비한 행거도어에 대한 요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도어의 문틀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탈착수단의 결합 및 분리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행거도어는 문짝(10), 지지프레임(20), 개폐수단으로서 슬라이드유닛(30)과 스윙유닛(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짝(10)은 평판 구조의 패널, 특히 유리패널(11)과, 상기 유리패널(11)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틀부재(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1)은 일반적으로 사각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유리 이외에 금속패널이나 목재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틀부재(T)는 상기 유리패널(11)의 가장자리(테두리)에 결합되어서 패널(11)을 보호한다. 상기 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는 수직프레임(12)과,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수평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양측으로 배치되는 두 수직프레임(12)은 연결바(14)를 통해 연결되어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연결바(14)는 상기 수평프레임(13)을 관통하고, 양단이 각각 수직프레임(12)에 너트로 체결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3)에는 관통되는 상기 연결바(14)의 외면을 감싸 잡는 결합편(15)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15)은 단면이 개구부를 갖는 원형모양으로 이루어져서, 삽입 관통된 연결바(14)를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잡아준다.
상기 수평프레임(13)과 수직프레임(12)의 내면측에는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압지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압지홈(16)에 삽입된 패널(11)이 흔들림 없이 수평프레임(13)이 수직프레임(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틈새를 통해 물기나 먼지 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패널(11)의 가장자리에는 'ㄷ'자 모양의 가스켓(60)이 씌어지고, 상기 패널(11)이 결합된 상기 가스켓(60)이 상기 압지홈(16)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60)의 내부 모퉁이에는 상기 패널(11)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61)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수용홈(6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가스켓(6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홈(63)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압지홈(16)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돌기(65)가 형성된다. 상기 압지홈(16)의 벽면에는 상기 가스켓(6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문짝(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문짝(10)은 일측에는 슬라이딩 도어(미닫이문)가 스윙도어(여닫이문) 형태로도 개폐되도록 공지의 스윙유닛(40)을 도입할 수 있다.
문짝(10)의 슬라이드 개폐시에는 상기 탈착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문짝(10)을 결합시켜서 문짝(10)과 지지프레임(20)이 함께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고, 문짝(10)의 스윙 개폐시에는 상기 탈착수단이 상기 문짝(10)을 지지프레임(20)에서 해제시켜서 문짝(10)이 스윙축(41)을 축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의 슬라이딩 행거도어는 자동으로 문짝이 개폐되도록 슬라이드유닛(30)이 상기 문짝(10)을 움직이며, 이 슬라이드유닛(30)은 브라켓(31), 이동수단, 전자정부재(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1)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31)에는 단속막대(32), 롤러(33), 체결블럭(34) 등이 구비된다.
상기 단속막대(32)는 공지의 전자정부재(110)의 래치에 접촉되어서 문짝(10)의 슬라이드 이동을 단속(즉, 이동의 허용 또는 제한)한다.
상기 롤러(33)는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배열된 레일(35)에 올려 져서 문짝(10)의 하중을 지탱하고, 문짝(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체결블럭(34)은 상기 이동수단에 체결되어서 문짝(10)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모터(121)와, 상기 모터(12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문짝(1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타이밍벨트 등의 중계부재(123)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높이조절부(A)를 살펴본다.
이 높이조절부(A)는 장착상태 그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일과 롤러 등의 슬라이드유닛을 감싸고 있어 통상 접근이 제한된 포켓형 어퍼(upper)커버는 장착상태 그대로 두고 롤러와 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된 행거부 아래에 언더(under)커버에 의하여 둘러싸인 높이조절부인 것을 핵심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부(A)는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슬라이드유닛(30)(모터구동형 외에 수동 슬라이드유닛을 포함한다)은 문틀에 고정되고 레일(35)을 가리는 포켓형 어퍼커버(UC)와, 이 어퍼커버 영역 내에 위치한 브라켓(31) 상부에 연결되고 레일(35)에 장착된 롤러(33)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31) 하부에 연결된 행거부(H)와, 이 행거부(H)와 연결되고 어퍼커버(UC) 영역 외부에 있는 노출형 조절부(A2)를 갖는 상하변위부(A1)와, 이 상하변위부를 감싸고 하부에 문짝(10)이 연결된 언더커버(u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노출형 조절부(A2)는 언더커버(uc)의 개방단(문짝이 개방되었을 때 노출되는 측면) 또는 폐쇄단(문짝이 폐쇄되었을 때 노출되는 측면), 또는 이 둘 모두에 배열될 수 있고(도 2의 형태)
언더커버(uc)의 정면, 즉 내측 또는 외측, 또는 내외측 모두에 배열될 수 있다(도 3 및 도 4의 형태)
먼저,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조절부(A)의 노출형 조절부(A2A)(A2)는 언더커버(uc)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에 배열되어 있다.
이 상하변위부(A1A)(A1)는 상기 노출형 조절부(A2A)와 연결되어 언더커버(uc)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조절볼트(aB)와, 이 조절볼트에 결합되는 너트(aN)가 하단에 형성된 제1링크쌍(aL)(aLa,aLb)과, 제1링크(aLa,aLb) 각 상단과 스윙핀(ap)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행거부(H)와 연결된 제2링크(aℓ)로 구성된다.
도 2 [B]와 같이, 조절볼트(aB)는 언더커버(uc) 내에 장착된 장착편(aM)에 양단이 고정되어 제자리 회전이 되는 구성이며,
노출형 조절부(A2A)를 공구(드라이버나 렌치)로 돌리면 조절볼트(aB)의 회전에 따라
조절볼트의 중앙을 중심으로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이 왼나사, 오른나사에 각각 결합된 제1링크(aLa,aLb) 각각의 너트(aN)가 중앙으로 모이거나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고
이에 따라 제1링크(aLa,aLb)의 상단은 제2링크(aℓ)의 스윙핀(ap)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제1링크의 하단 역시 중앙으로 모여 문짝을 하부로 처지게 하거나,
제1링크(aLa,aLb)의 하단이 상호 멀어져 문짝을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진다.
도 2 [A]에서는 도 5와는 다른 형태의 유리패널 압지홈(16m)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조절부(A)의 노출형 조절부(A2B)(A2)는 언더커버(uc)의 정면이나 배면, 즉 내측 또는 외측, 또는 내외측 모두에 배열되어 있다.
도 3의 상하변위부(a1B)(A1B)(A1)는 노출형 조절부(a2B)(A2B)(A2)와 연결되고, 언더커버(uc)에 배열되며, 상기 행거부(H)와 연결된 웜기어(aw)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변위부(a1B)(A1B)는 언더커버(uc)의 내외측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a2B)(A2B)를 갖는 윔(aw2)과, 이 웜의 회전에 따라 선회하는 윔휠(aw1)과, 이 웜휠의 회전에 따라 행거부(H) 상단에 위치하고 롤러(33)를 구비한 브라켓(31)에 장착된 너트(wn)에 나사결합된 볼트(wb)로 구성되며,
이 노출형 조절부(a2B), 웜, 웜휠, 볼트가 순차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볼트(wb) 및 이 볼트와 연결된 행거부(H) 및 문짝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볼트(wb)는 언더커버(uc)에 내장된 장착편(wm)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을 하며, 웜휠(aw1) 이 볼트의 하단(즉, 볼트가 기능하는 행거부(H)의 하단)에 배열되어 있고(장착편(wm) 내에 배열), 웜(aw2)은 이 장착편의 설치부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언더커버의 하단에는 역시 압지홈(16m)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상하변위부(a1b)(A1B)(A1)는 노출형 조절부(a2b)(A2B)(A2)와 연결되고, 언더커버(ucm)에 배열되며, 상기 행거부(H)와 연결된 암수나사(av,aV)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변위부(a1b)(A1B)는 언더커버(uc) 내외측에 배열된 노출형 조절부(a2b)(A2B)를 갖는 수직볼트(aV)와, 이 수직볼트가 결합되고 롤러(33)를 구비한 브라켓(31)에 장착된 너트(av)로 구성되며,
수직볼트(aV)의 헤드에 해당하는 노출형 조절부(a2b)의 회전에 따라 수직볼트가 회전하고, 이 수직볼트에 연결된 행거부(H) 및 문짝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도 4에서 수직볼트(aV)는 언더커버(ucm)에 내장된 장착편(am)에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을 하며, 수직볼트(aV)의 헤드에 해당하는 노출형 조절부(a2b)가 장착편의 하부(즉, 수직볼트가 기능하는 행거부(H)의 하단)에 배열되어 있다.
이 언더커버의 하단에도 압지홈(16m)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높이조절부(A)는 도 3과 달리 노출형 조절부(a2b)(A2B)인 수직볼트(aV)의 헤드가 상시 노출형이 아니라 언더커버(ucm)의 일측(내측 또는 외측, 또는 이 둘 모두)에 결합된 보조커버(ac)를 열어야 노출된다는 점이다.
이 언더커버(ucm)는 상부 후크(ucH)와 하부 걸림턱(ucS) 사이에 개구부를 갖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접근 가능한 노출형 조절부(a2b)는 보조커버(ac)의 탈착에 따라 개폐되며,
이 보조커버(ac)는 언더커버(ucm)의 상부 후크(ucH)에 결합되는 대응 후크(acH)와 하부 걸림턱(ucS)에 엇물려 결합되는 대응 걸림턱(acS)을 갖고, 또 대응 걸림턱 하부에는 마감부(acf)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 폐쇄시에는 대응 후크(acH)를 먼저 상부 후크(ucH)에 결합한 상태에서 마감부(acf)를 아래로 누르면 대응 걸림턱(acS)이 하부 걸림턱(ucS)에 결합된다.
개구부 개방시에는 일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지렛대로 활용하여 마감부(acf)의 단턱부를 먼저 들어 올려 대응 후크(acH)와 상부 후크(ucH)를 분리하여 개방한다.
도 5의 수평프레임(13)과 같이 도 4의 수평프레임(13m)에는 관통되는 연결바의 외면을 감싸 잡는 결합편이 구비되어 있고, 언더커버(uc)는 좌측에 결합후크(uch)를 가져 수평프레임(13m)의 대응 후크(ach)가 엇물려 결합되어 결합력 강화에 일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문짝(10)의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을 원터치식으로 결합시키고 분리시키는 탈착수단을 살펴본다.
상기 문짝(10)에서 도 1과 관련하여 언급한 스윙유닛(40)의 스윙축(41)에 반대쪽에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2)의 상부 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겹쳐서, 문짝(10)이 지지프레임(20)의 앞쪽에서 스윙되고 뒤쪽으로는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이 겹치는 부위는 상기 탈착수단을 통해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탈착수단은 암놈체결부재(130)와 수놈체결부재(140)로 구성되고, 수놈체결부재(140)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만으로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2)과 지지프레임(20)에는 각각 체결공(12h, 20h)이 형성되고, 상기 암놈체결부재(130)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체결공(12h, 20h)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와 상기 체결공(12h, 20h)의 내부에 걸려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암놈체결부재(130)는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2)의 체결공(12h, 20h)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탄성편(132)과, 상기 탄성편(132)들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외면에 지지되는 지지날개(13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편(132)들은 원형으로 배열되어 내부에 중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132)들의 상부 내측에는 수용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32)들의 하부는 내측으로 기울어져서 직경이 줄어드는 구조의 고정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32)들의 내면에는 제1안내판(136)과 제2안내판(13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판(136)은 상기 탄성편(132)의 내면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판(137)은 하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판(136)은 상기 탄성편(132)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양쪽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결되는 모양으로 각각 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가이드돌기(146)가 제1안내판(136)을 타고 내려오면서 탄성편(132)의 중앙측으로 이동을 하도록 하고, 또한 수놈체결부재(140)의 걸림돌기(145)도 이에 맞춰 고정부(135)의 중앙측으로 이동 배치되도록 하여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고정부(135) 단부가 상기 걸림돌기(145)에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안내판(137)은 상기 제1안내판(136)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경사진 구조를 가져서 제2안내판(137)을 타고 이동하는 가이드돌기(146)가 두 탄성편(132) 사이의 이격공간(132h)으로 이송배치되도록 하고, 이에 맞춰 상기 걸림돌기(145)도 두 탄성편(132)의 하부에 구비된 두 고정부(135) 사이의 이격공간(135h)으로 이송배치되어서 걸림돌기(145)와 상기 고정부(135) 단부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삽입되는 삽입핀(141)과, 상기 삽입핀(141)의 하부에 형성되고 직경이 확장된 광폭부(142)와, 상기 삽입핀(1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수용부(134)에 수용되는 헤드(14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핀(141)의 외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4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광폭부(142)의 외면에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4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헤드(143)에는 스프링(149)의 상부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끼움단턱(144)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암놈체결부재(130)와 수놈체결부재(140)로 구성되는 탈착수단을 이용해 지지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2)을 체결시키는 과정과 해체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지프레임(20)에 수직프레임(12)이 겹치도록 하여 지지프레임(20)의 체결공(20h)과 수직프레임(12)의 체결공(12h)을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탄성편(132)들을 상기 지지프레임(20) 및 수직프레임(12)의 체결공(12h, 20h)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지지날개(133)가 수직프레임(12)의 외면에 지지되어 걸린다.
다음으로,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광폭부(142) 및 삽입핀(141)을 상기 암놈체결부재(130)의 중공(131)으로 밀어 넣는다.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149)이 암놈체결부재(130)의 수용부(134)에서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탄성지지하여 헤드(143)가 수직프레임 위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다음으로, 손가락으로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눌러준다.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핀(141)의 상부에 연결된 헤드(143)는 암놈체결부재(130)의 수용부(134)에 수용되고, 삽입핀(141)이 탄성편(132)들의 중공(131)을 통과하여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돌기(146)가 제1안내판(136)에 접촉되어 제1안내판(136)을 따라 하부로 그리고 탄성편(132)의 중앙으로 이동을 한다.
이때, 삽입핀(141)의 하부에 형성된 광폭부(142)는 탄성편(132)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부(135)를 밀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부(135)와 탄성편(132)이 외측으로 벌어져 직경이 확장된다. 직경이 확장된 탄성편(132)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체결공(111) 내면에 걸려 지지프레임(20)을 위로 밀게 된다. 즉, 직경이 확장된 탄성편(132)이 지지프레임(20)과 수직프레임(12)이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지지프레임(20)을 밀게 된다.
상기 광폭부(142)가 하부로 이동하면 광폭부(142)에 형성된 걸림돌기(145)가 상기 고정부(135)의 단부를 지나면서 고정부(135)의 단부가 걸림돌기(145)에 걸림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145)가 제1안내판(136)에 의해 탄성편(132)의 중앙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면서, 상기 걸림돌기(145)도 고정부(135)의 중앙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부(135) 단부에 안전하게 걸림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돌기(146)가 양측의 제1안내판(136)에 막혀 수놈체결부재(140)가 충격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걸림돌기(145)가 고정부(135)의 단부를 이탈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직프레임(2)은 지지프레임(20)을 안정적으로 덮으며 결합된다.
지지프레임(20)에서 수직프레임(12)을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깊게 눌러준다.
도 7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놈체결부재(14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46)는 상기 제2안내판(137)을 타고 이동하며 탄성편(132)의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46)가 탄성편(132)의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그에 맞춰 상기 걸림돌기(145)도 상기 고정부(135)의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고정부(135)를 벗어나게 된다.
고정부(135)를 벗어난 걸림돌기(145)는 두 고정부(135) 사이의 이격공간(135h)으로 이동배치되면서 고정부(135)와 걸림결합이 해제된다.
걸림돌기(145)와 고정부(135)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면, 수놈체결부재(140)의 헤드(143)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49)의 복원력과 직경이 확장되어 광폭부(142)의 외면을 가압하는 고정부(135)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수놈체결부재(140)는 상부로 향하는 힘을 받게 되어서 자동으로 상승하게 되어 도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7의 [A] 상태에서는 암놈체결부재(130)가 지지프레임(20)의 체결공(20h) 내면에 걸리지 않기에 수직프레임(12)을 당기면 지지프레임(20)에서 쉽게 분리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구동 방식, 틀부재 및 유리패널의 구체 소재 및 치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행거도어, 틀부재, 높이조절부 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문짝 11: 패널
12: 수직프레임 13: 수평프레임
14: 연결바 15: 결합편
16: 압지홈 17: 가압돌기
20: 지지프레임 30: 슬라이드유닛
31: 브라켓 33: 롤러
35: 레일 60: 가스켓
UC: 어퍼커버 uc: 언더커버
H: 행거부 A: 높이조절부
A1,A1A,A1B: 상하변위부 A2,A2A,A2B: 노출형 조절부

Claims (4)

  1. 통상의 슬라이딩 행거도어에 있어서,
    슬라이딩 변위하는 행거도어의 문짝은 상하좌우 사각형 틀부재 및 이 틀부재 내에 결합된 유리패널을 포함하고,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슬라이드유닛은 문틀에 고정되고 레일을 가리는 포켓형 어퍼커버와, 이 어퍼커버 영역 내에 위치한 브라켓 상부에 연결되고 레일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하부에 연결된 행거부와, 이 행거부와 연결되고 어퍼커버 영역 외부에 있는 노출형 조절부를 갖는 상하변위부와, 이 상하변위부를 감싸고 하부에 문짝이 연결된 언더커버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노출형 조절부는 언더커버의 개방단 또는 폐쇄단에 배열되고,
    상기 상하변위부는 상기 노출형 조절부와 연결되어 언더커버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조절볼트와, 이 조절볼트에 결합되는 너트가 하단에 형성된 제1링크쌍과, 제1링크 각 상단과 스윙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행거부와 연결된 제2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행거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는 언더커버 내에 장착된 장착편에 양단이 고정되어 제자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행거도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하좌우 사각형 틀부재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유리패널을 둘러싸는 탄성 가스켓을 압지하는 이빨형 가압돌기를 갖는 압지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행거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스켓의 내부 모퉁이에는 유리패널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수용홈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가스켓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배출홈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압지홈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행거도어.
KR1020190092804A 2019-07-31 2019-07-31 슬라이딩 행거도어 KR10208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04A KR102080337B1 (ko) 2019-07-31 2019-07-31 슬라이딩 행거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04A KR102080337B1 (ko) 2019-07-31 2019-07-31 슬라이딩 행거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337B1 true KR102080337B1 (ko) 2020-02-21

Family

ID=6967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804A KR102080337B1 (ko) 2019-07-31 2019-07-31 슬라이딩 행거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276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펜타포스 자동문 체결용 볼트어셈블리 및 볼트어셈블리와 결합된 도어상부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272A (ja) * 2000-02-29 2001-09-04 Enomoto Co Ltd 吊車型の引戸
JP2005002715A (ja) * 2003-06-13 2005-01-06 Nakao Seisakusho:Kk 吊り戸の支持装置
JP2006299527A (ja) * 2005-04-15 2006-11-02 Ykk Ap株式会社 ガスケットおよび建具
KR101671893B1 (ko) * 2015-06-02 2016-11-03 안중식 2중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272A (ja) * 2000-02-29 2001-09-04 Enomoto Co Ltd 吊車型の引戸
JP2005002715A (ja) * 2003-06-13 2005-01-06 Nakao Seisakusho:Kk 吊り戸の支持装置
JP2006299527A (ja) * 2005-04-15 2006-11-02 Ykk Ap株式会社 ガスケットおよび建具
KR101671893B1 (ko) * 2015-06-02 2016-11-03 안중식 2중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연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276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펜타포스 자동문 체결용 볼트어셈블리 및 볼트어셈블리와 결합된 도어상부구조물
KR102453864B1 (ko) * 2021-01-08 2022-10-12 주식회사 펜타포스 자동문 체결용 볼트어셈블리 및 볼트어셈블리와 결합된 도어상부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338B1 (ko) 삼중 연동 슬라이딩 도어
KR102080337B1 (ko) 슬라이딩 행거도어
CA1044444A (en) Fixtures for holding the outer frame of a sash window or the like in precasting a concrete panel integral therewith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CA2527163A1 (en) Modular wheel assembly for a carriage in a mobile storage system
CN208777593U (zh) 一种便于拆装的玻璃雨棚
KR101745399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CN211287281U (zh) 一种扇轨合一的侧挂门
KR102075747B1 (ko) 문짝의 기밀성이 향상된 행거도어
KR101745401B1 (ko) 미닫이용 창틀 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폴딩도어
JP3634776B2 (ja) 既設ドア枠利用の簡易改装ドア
CN220225899U (zh) 一种便于安装的吊顶结构
CN217735281U (zh) 一种隐藏式门窗结构
JP2537622Y2 (ja) 網戸の外れ止め装置
CN117052250B (zh) 一种推拉窗的滑轨结构、推拉窗以及推拉窗安装方法
CN220538975U (zh) 一种稳固的楼宇玻璃幕墙连接结构
CN220414594U (zh) 一种室内装饰分隔墙
CN211644259U (zh) 轿顶轮可旋转的直角开门电梯
KR102076080B1 (ko) 슬라이딩 개폐가 안정적인 행거도어
CN220790957U (zh) 一种铝合金门窗的滑动导向支撑机构
CN215632491U (zh) 一种新型平移悬推窗
CN217872440U (zh) 一种新型铝合金门窗边框连接结构
CN212176998U (zh) 一种防变形卷帘门导轨
CN219795081U (zh) 一种高强铝合金平开门
CN102733518A (zh) 一种单元幕墙上横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