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367B1 -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367B1
KR102079367B1 KR1020130037096A KR20130037096A KR102079367B1 KR 102079367 B1 KR102079367 B1 KR 102079367B1 KR 1020130037096 A KR1020130037096 A KR 1020130037096A KR 20130037096 A KR20130037096 A KR 20130037096A KR 102079367 B1 KR102079367 B1 KR 10207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ocking
rotation
holder
hol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80A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3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압력센서에서 튜브(50)를 튜브연결부(31)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튜브홀더(10)를 사용한다. 상기 튜브연결부(31)의 유동로(32)를 상기 튜브(50)에 삽입한 상태에서 홀더몸체(11)를 회전시키면 상기 홀더몸체(11)의 조임나사부(16)와 상기 튜브연결부(31)의 결합나사부(37)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홀더몸체(11)의 내면에 형성된 밀착돌기(16)와 상기 유동로(32)의 중단에 형성된 압착돌기(34)의 사이에 상기 튜브(50)의 일부가 위치하여 압착된다. 상기 홀더몸체(11)를 회전시킬수록 결합상태는 견고해지고 상기 튜브홀더(10)의 회전잠금부(20)를 상기 튜브연결부(31)의 잠금걸림부(40)에 삽입하여 걸면 상기 홀더몸체(11)의 회전도 차단되어 결합상태가 잠기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튜브(50)와 튜브연결부(31)가 연결되어 이루는 유로는 밀폐되고, 상기 튜브(50)와 튜브연결부(31)의 연결된 상태가 견고해진다.

Description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Tube holder and tube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의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튜브홀더를 사용하여 튜브를 압력센서에 연결하는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센서에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유체를 압력센서의 내부로 전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압력센서의 튜브연결부에 유체를 전달하는 튜브를 연결하게 된다. 튜브홀더는 튜브연결부에 튜브를 밀착시켜 튜브연결부와 튜브 사이에 유체가 누설되지 않게 한다.
그러나 튜브홀더에 의한 튜브와 튜브연결부의 밀착도에 따라 유체의 누설 여부가 달라지고 누설이 되면 이에 따라 압력센서에서 압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이 지속되면 튜브홀더가 외부의 요인 등에 의해 헐거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튜브와 튜브연결부의 연결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5-005365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를 튜브연결부에 밀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 튜브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홀더로 튜브가 튜브연결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의 외력에 의해 튜브가 튜브연결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튜브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튜브가 하우징의 일측에 돌출된 튜브연결부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를 고정하는 튜브홀더에 있어서,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를 상기 튜브연결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나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고정부에 있는 잠금걸림부에 결합되어 홀더몸체의 회전을 차단하는 회전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홀더몸체에 연결되도록 연결팔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잠금부는 측면에 회전방지벽을 가지고, 결합홈이 형성된 내부공간이 있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반대쪽에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의 삽입공간 내면을 둘러 돌출되어 상기 튜브연결부에 끼워진 튜브의 외면을 눌러주는 밀착돌기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회전잠금부에는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돕도록 상기 결합홈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된다.
삭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에는 유동로를 가지고 일측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튜브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나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고정부에 위치하는 잠금걸림부와, 상기 잠금걸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회전잠금부가 있는 튜브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홀더의 외관과 골격을 홀더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홀더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의 삽입공간 내면을 둘러 돌출되어 상기 튜브연결부에 끼워진 튜브의 외면을 눌러주는 밀착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잠금부의 내부공간에 상기 잠금걸림부의 일부가 걸리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잠금부는 측면에 회전방지벽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반대쪽에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잠금부에는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돕도록 상기 결합홈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홀더몸체에 연결되도록 연결팔이 형성된다.
상기 튜브연결부에 상기 기저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압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잠금부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잠금걸림부의 돌출턱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잠금부의 일측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잠금걸림부의 일부에 형성된 돌기걸림홀에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된다.
상기 잠금걸림부의 일측에 상기 돌출턱을 향하여 상기 회전잠금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튜브홀더에는 회전잠금부가 있어 튜브홀더가 임의의 외력에 의해 튜브연결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튜브홀더는 내면에 밀착돌기를 가져 튜브가 튜브연결부에 밀착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를 장착하기 전 튜브연결부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의 잠그기 전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의 잠겨진 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의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튜브홀더(10)에 의해 튜브(50)가 압력센서의 튜브연결부(31)에 장착되는 것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하지만, 튜브(50)를 압력센서의 튜브연결부(31) 외에 다양한 튜브연결부에 연결하는데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튜브홀더(10)의 골격을 원통형의 홀더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홀더몸체(11)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11')의 내경은 상기 튜브(50)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밀착돌기(16)의 부분에서 상기 삽입공간(11')의 내경이 가장 작다.
상기 튜브홀더(10)의 외면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파여 회전보조돌기(1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보조돌기(12)는 손으로 힘을 주어 조작할 때, 마찰이 상대적으로 커져 힘 전달이 잘되도록 하여 상기 홀더몸체(11)를 회전시키는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보조돌기(12)는 상기 홀더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다수개가 상기 홀더몸체(11)의 외면을 둘러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11)의 타측 내면에는 아래에 설명될 튜브연결부(31)의 결합나사부(37)와 결합되는 조임나사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나사부(14)로 인해 상기 튜브홀더(10)는 상기 튜브(50)의 단부가 튜브연결부(31)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하여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 홀더몸체(11)의 내면에는 밀착돌기(16)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기(16)는 상기 홀더몸체(11)의 길이방향 일부에 내면 전체를 둘러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밀착돌기(16)는 표면이 둥글게 돌출되어 아래에 설명될 튜브(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홀더몸체(11)의 일측에는 회전잠금부(20)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회전잠금부(20)에는 상기 홀더몸체(11)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아래에서 설명될 튜브연결부(31)의 일측에 돌출된 잠금걸림부(40)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잠금부(20)는 아래에 설명될 잠금걸림부(4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내부공간(21)을 가진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공간(21)은 아래에 설명될 잠금걸림부(40)가 진입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20)의 양측에는 회전방지벽(2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방지벽(22)은 아래에 설명될 잠금걸림부(40)의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잠금부(20)가 상기 홀더몸체(11)의 회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잠금부(20)의 내부공간(21)에는 상기 홀더몸체(11)로부터 먼 쪽으로 결합홈(2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4)은 아래에 설명될 잠금걸림부(40)의 돌출턱(4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잠금부(20)가 잠금되는 것을 돕는다.
상기 결합홈(24)은 상기 내부공간(21)의 일부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합홈(24)을 향하여 일정한 경사면(25)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5)은 아래에 설명될 잠금걸림부(4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해준다.
상기 회전잠금부(20)의 내부공간(21)에서 상기 결합홈(24)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이탈방지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6)는 아래에 설명될 잠금걸림부(40)의 돌기걸림홀(44)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돌기걸림홀(4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돌기걸림홀(44)의 일측 내면에 걸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돌기(26)의 단부 모서리에 모따기가 되어 아래에 설명될 돌기걸림홀(44)에 삽입될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6)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20)는 연결팔(27)에 의해 상기 홀더몸체(11)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팔(27)은 상기 회전잠금부(20)가 아래에 설명될 잠금걸림부(4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는 두께 및 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팔(27)의 횡단면이 사각형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단, 상기 연결팔(27)이 임의의 외력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두께와 폭을 가져야 한다. 상기 회전잠금부(20)와 연결팔(27)은 상기 홀더몸체(11)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가장 좋다.
압력센서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30)이 형성하고, 튜브연결부(31)는 상기 하우징(3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튜브연결부(31)의 내부에는 유동로(32)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연결부(31)는 관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튜브연결부(31)의 자유단부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33)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튜브연결부(31)는 아래에 설명될 튜브(50)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튜브(50)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유동로(32)는 상기 튜브연결부(31)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0)의 내부로 연통된다.
상기 유동로(32)의 자유단부측 외면에는 상기 홀더몸체(11)의 밀착돌기(16)와 대응되는 압착돌기(34)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튜브홀더(10)가 상기 튜브연결부(3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밀착돌기(16)가 상기 유입구(33)의 입구에 상기 압착돌기(34)보다 가깝게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압착돌기(34)를 단면으로 볼 때 상기 압착돌기(34)가 상기 밀착돌기(16)와 마주하는 경사면은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타측 경사면은 급격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압착돌기(34)가 상기 밀착돌기(16)와 대응되고, 아래에 설명될 튜브(50)에 상기 튜브연결부(31)가 삽입될 때는 용이하고 이탈시키는 것은 어렵도록 방향성을 가지고, 튜브(50)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튜브연결부(31)의 기저부에는 상기 튜브홀더(10)의 조임나사부(14)와 결합되는 나사형성부(36)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형성부(36)는 상기 튜브홀더(10)의 홀더몸체(1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나사부(37)는 상기 나사형성부(36)의 외면에 일정 구간을 둘러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나사형성부(36)에서 상기 결합나사부(37)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의 외면에 잠금걸림부(4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잠금걸림부(40)는 상기 회전잠금부(20)와 대응될 수 있다면 상기 나사형성부(36)가 아닌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결팔(27)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계하면 상기 회전잠금부(20)가 연장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상기 잠금걸림부(40)가 튜브연결부(31)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더라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걸림부(40)의 전체적인 골격은 상기 회전잠금부(20)의 내부공간(21)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잠금걸림부(40)의 양측면은 상기 회전잠금부(20)의 회전방지벽(22)의 내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잠금걸림부(40)의 일측에는 돌출턱(42)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걸림부(40)에는 상기 돌출턱(42)을 향하여 경사지게 가이드면(4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43)은 회전잠금부(20)의 경사면(25)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다. 이는 상기 회전잠금부(20)가 상기 잠금걸림부(40)에 결합될 때, 회전잠금부(2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잠금걸림부(40)의 내부에는 돌기걸림홀(44)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걸림홀(44)은 상기 회전잠금부(20)의 이탈방지돌기(26)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돌기걸림홀(44)이 잠금걸림부(40)의 일부를 관통하나, 상기 돌기걸림홀(44)은 상기 이탈방지돌기(26)가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상기 돌기걸림홀(44)에 상기 이탈방지돌기(26)가 삽입되어 걸어지면 상기 회전잠금부(2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튜브(50)는 본 실시 예에서는 유연한 실리콘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튜브(50)가 압력센서용이기 때문인데, 압력센서 외에 유사한 방식으로 튜브(50)가 연결되는 경우 합성수지재질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압력센서의 튜브연결부(31)와 튜브(50)를 연결한다. 상기 튜브연결부(31)가 상기 튜브(50)의 내부로 삽입된다. 삽입되는 정도로는 상기 튜브(50)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연결부(31)에 형성된 나사형성부(36)에 접하는 정도가 가장 좋다.
상기 튜브연결부(31)에 형성된 압착돌기(34)는 상기 튜브(50)가 삽입되는 것은 쉽게 통과하게 해주고,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은 어렵게 한다. 상기 압착돌기(34)가 상기 튜브(50)를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누르게 되어 상기 튜브(50)와 튜브연결부(31)는 압착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연결된 상기 튜브연결부(31)와 튜브(50)의 외면에 튜브홀더(10)를 위치시킨다. 상기 튜브홀더(10)의 홀더몸체(11)를 상기 튜브(50)의 타단부로부터 통과시켜 상기 튜브연결부(31)와 연결된 부분까지 이동하게 할 수도 있고, 상기 유동로(32)가 상기 튜브(50)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튜브(50)의 연결될 단부에 미리 상기 튜브홀더(10)를 위치시켜놓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반드시 상기 튜브홀더(10)가 상기 튜브연결부(31)와 튜브(5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50)가 연장된 방향으로부터 누르며 결합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이는 상기 홀더몸체(11) 내부의 밀착돌기(16)가 상기 압착돌기(34)와 대응되어 패킹이 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홀더몸체(11)의 회전보조돌기(12)를 활용하여 상기 홀더몸체(11)를 회전시킨다. 상기 홀더몸체(11)의 조임나사부(14)와 상기 튜브연결부(31)의 결합나사부(37)가 맞물려 상기 홀더몸체(11)가 상기 튜브연결부(31)에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몸체(11)의 밀착돌기(16)와 상기 튜브연결부(31) 외면의 압착돌기(34)의 사이에 상기 튜브(50)의 일부가 강하게 밀착되면 상기 튜브(50)가 상기 튜브연결부(31)와 연결된 상태가 밀폐되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 홀더몸체(11)는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킬수록 튜브연결부(30)와의 결합도 견고해지고 상기 튜브(50)의 밀착 상태도 견고해진다. 그러나 이때, 상기 튜브홀더(10)의 회전잠금부(20)가 상기 튜브연결부(31)의 잠금걸림부(40)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20)의 내부공간(21)에 상기 잠금걸림부(40)가 마주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회전잠금부(20)를 상기 잠금걸림부(40)를 향해 누르면 상기 회전잠금부(20)의 회전방지벽(22)을 따라 상기 잠금걸림부(40)의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21)으로 진입한다.
상기 회전잠금부(20)를 계속해서 누르면 상기 잠금걸림부(40)에 형성된 돌출턱(42)의 가이드면(43)을 따라 상기 회전잠금부(20)가 이동한다. 상기 돌출턱(42)의 가이드면(43)의 일단부를 상기 회전잠금부(20)가 넘어서면 상기 회전잠금부(20)의 걸림홈(24)에 상기 잠금걸림부(40)의 돌출턱(42)이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11)쪽으로 상기 회전잠금부(20)를 당기면 상기 회전잠금부(20)의 이탈방지돌기(26)가 상기 돌출턱(42)에 형성된 가이드면(43)의 타단부를 넘어 상기 잠금걸림부(40)의 돌기걸림홀(44)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잠금부(20)의 내부공간(21)에는 상기 잠금걸림부(40)가 밀착하여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방지벽(22)의 내면에 상기 잠금걸림부(40)의 양측 외면이 밀착되고, 상기 잠금걸림부(40)의 돌출턱(42)이 상기 걸림홈(24)에 삽입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이탈방지돌기(26)가 상기 돌기걸림홀(44)의 일측 내면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잠금걸림부(40)가 상기 회전잠금부(2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잠금걸림부(40)에 상기 회전잠금부(20)가 결합되면 상기 홀더몸체(11)가 상기 튜브연결부(31)에 대해 외력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홀더몸체(11)의 내면에 밀착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연결부(30)의 외면에 압착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홀더몸체(11)에 형성된 삽입공간(11')의 내경이 일측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하여 상기 홀더몸체(11)가 튜브(50)를 압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잠금부(20)의 경사면(25)과 상기 잠금걸림부(40)의 가이드면(43)이 대응되는 형태만 유지한다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회전잠금부(20)로 상기 잠금걸림부(40)가 삽입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워질 수도 있지만 그만큼 결합이 해제되는 것도 어려워진다.
상기 회전잠금부(20)와 홀더몸체(11)를 연결하는 연결팔(27)도 횡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더몸체(11) 및 회전잠금부(20)와 일체로 사출되지 않고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걸림부(40)의 형성되는 위치가 반드시 상기 튜브연결부(31)일 필요는 없다. 상기 회전잠금부(20)와 대응하여 결합이 되는 위치라면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이나 상기 하우징(30)이 안착되는 곳에 고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걸림부(40)에 형성되는 돌기결합홀(44)도 상기 이탈방지돌기(26)가 상기 홀더몸체(1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잠금부(20)가 움직임을 제한하는 한 반드시 관통할 필요는 없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6)와 대응하는 홈이 파여서 형성될 수도 있다.
10 : 튜브홀더 11 : 홀더몸체
11' : 삽입공간 12 : 회전보조돌기
14 : 조임나사부 16 : 밀착돌기
20 : 회전잠금부 21 : 내부공간
22 : 회전방지벽 24 : 결합홈
25 : 경사면 26 : 이탈방지돌기
27 : 연결팔 30 : 하우징
31 : 튜브연결부 32 : 유동로
33 : 유입구 34 : 압착돌기
36 : 나사형성부 37 : 결합나사부
40 : 잠금걸림부 42 : 돌출턱
43 : 가이드면 44 : 돌기걸림홀
50 : 튜브

Claims (15)

  1. 튜브가 하우징의 일측에 돌출된 튜브연결부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를 고정하는 튜브홀더에 있어서,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튜브를 상기 튜브연결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나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고정부에 있는 잠금걸림부에 결합되어 홀더몸체의 회전을 차단하는 회전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홀더몸체에 연결되도록 연결팔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잠금부는 측면에 회전방지벽을 가지고, 결합홈이 형성된 내부공간이 있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반대쪽에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튜브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삽입공간 내면을 둘러 돌출되어 상기 튜브연결부에 끼워진 튜브의 외면을 눌러주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튜브홀더.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잠금부에는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돕도록 상기 결합홈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는 튜브홀더.
  5. 삭제
  6.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에는 유동로를 가지고 일측에는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튜브연결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이나 상기 하우징이 장착되는 고정부에 위치하는 잠금걸림부와,
    상기 잠금걸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회전잠금부가 있는 튜브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홀더의 외관과 골격을 홀더몸체가 형성하고 상기 홀더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홀더몸체에 연결되도록 연결팔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잠금부의 내부공간에 상기 잠금걸림부의 일부가 걸리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잠금부는 측면에 회전방지벽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의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반대쪽에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튜브연결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삽입공간 내면을 둘러 돌출되어 상기 튜브연결부에 끼워진 튜브의 외면을 눌러주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튜브연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잠금부에는 상기 회전잠금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돕도록 상기 결합홈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되는 튜브연결장치.
  12. 삭제
  13. 제 8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연결부에 기저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압착돌기가 형성되는 튜브연결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잠금부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잠금걸림부의 돌출턱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잠금부의 일측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잠금걸림부의 일부에 형성된 돌기걸림홀에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는 튜브연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걸림부의 일측에 상기 돌출턱을 향하여 상기 회전잠금부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튜브연결장치.
KR1020130037096A 2013-04-04 2013-04-04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KR10207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96A KR102079367B1 (ko) 2013-04-04 2013-04-04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096A KR102079367B1 (ko) 2013-04-04 2013-04-04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80A KR20140120780A (ko) 2014-10-14
KR102079367B1 true KR102079367B1 (ko) 2020-02-19

Family

ID=5199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096A KR102079367B1 (ko) 2013-04-04 2013-04-04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3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87U (ko) * 1989-06-09 1991-01-22
JP4589955B2 (ja) * 2007-12-19 2010-1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80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767B2 (en) Fastener for fastening to a stud
KR101620975B1 (ko) 유체 라인용 벽 관통 요소와 벽 관통 구조
US8609990B2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RU2536461C2 (ru) Муфта с активируемым уплотнением
JP5900166B2 (ja) 圧縮機のポート閉塞装置
CN110832241B (zh) 主要作为连接元件的软管端头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KR102079367B1 (ko) 튜브홀더 및 이를 사용한 튜브연결장치
EP2593996B1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 junction boxes
KR101428771B1 (ko) 케이블 그랜드
KR101019501B1 (ko)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JP6995837B2 (ja) 医療器具
JP5137195B2 (ja) 管継手
JP3909484B2 (ja) 合成樹脂製管体の接続装置
KR101857027B1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KR101441548B1 (ko) 유압 호스의 커플링 결합체
EP3677823B1 (en) Tube connection device
KR200479605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2042072B1 (ko) 호스 체결용 니플 구조체
KR20150004585A (ko) 파이프 고정이 용이한 배관 커플러
KR101441508B1 (ko) 패킹 삽입형 소켓관
KR101366197B1 (ko) 관 이탈방지 장치를 구비한 풀림 및 이탈방지형 캡
KR101446425B1 (ko) 파이프 체결구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