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21B1 -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021B1
KR102079021B1 KR1020190074737A KR20190074737A KR102079021B1 KR 102079021 B1 KR102079021 B1 KR 102079021B1 KR 1020190074737 A KR1020190074737 A KR 1020190074737A KR 20190074737 A KR20190074737 A KR 20190074737A KR 102079021 B1 KR102079021 B1 KR 10207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reagent
sample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주) 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앤비 filed Critical (주) 비앤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에 포함된 2개 이상의 방사성 핵종을 분리할 수 있고, 시료에 정량의 시약을 공급하며, 분리 시간을 직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분리되어 추출되는 정제시료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축차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은 제1 분리부, 제2 분리부,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핵종 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사성핵종 분리방법으로서, 상기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1 분리부 및 제2 분리부에 시약 및 시료를 충전하고, 충전된 시약 및 시료에 대한 명칭 및 충전용량을 입력하여 설정하며, 상기 제1 분리부 및 제2 분리부에 충전된 시약 및 시료의 펌핑량을 보정하는 세팅단계; 상기 에이전트의 수행에 의해 단일분리모드, 축차분리모드 및 매뉴얼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선택된 모드가 단일분리모드 또는 축차분리모드인경우, 선택된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세팅단계에 따라 충전된 시료에서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분리조건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팅단계에서 상기 에이전트는 충전된 각각의 시약(Reagent)에 대한 명칭을 입력하는 시약입력란; 충전용량을 입력하는 충전용량입력란 및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용량입력란의 입력 용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증감아이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세팅단계의 보정은 3개의 모터 회전수(RPM)에 대해 용출되는 유량을 정량한 후, 설치된 전체의 펌프가 동일한 유량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교정하는 3점 보정으로 펌프모듈에 대한 펌핑량이 보정되고,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는 설정입력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수행되되,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을 평형화시키는 컨디셔닝단계; 시료저장모듈의 시료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료를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는 로딩단계;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 외의 간섭물질을 제거하는 린싱단계 및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을 추출하는 일루션단계 중에서 일부가 생략되거나 중복 또는 교차되게 선택되며, 상기 매뉴얼모드는 분리시간과 펌프 유량만 설정된 상태에서 시약, 펌프 및 시료수집 위치가 직접 선택되어 분리과정 또는 세척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AUTOMATED RADIONUCLIDE CHEMICAL SEPARATION METHOD FOR CHARACTERIZATION OF RADIOACTIVE MATERIAL}
본 발명은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에 포함된 2개 이상의 방사성 핵종을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고, 시료에 정량의 시약을 공급하며, 총 분리 시간을 직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시료로부터 최종 분리되어 추출되는 정제시료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로부터 누출되는 방사성유출물에 대한 탐지 및 방사성특성 평가기술은 원전시설 운영 중 발생되는 작업종사자의 보호와 외부누출 사고시 오염지역과 오염물질의 차단을 통한 국민의 내·외부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필연적 기술이다.
원전운영 중 배출되는 원전폐기물(종사자의 피복, 장갑, 마스크 등)과 원전 해체 시 발생되는 해체폐기물(시설물, 토양, 콘크리트, 금속, 설비자재 등)은 반드시 방사성특성평가를 통해 해체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상기 폐기물들은 원자력발전소를 구성하는 계통과 건물의 구성물을 샘플링한 후 깊이별, 위치별 방사성 특성평가를 실시하여 극 저준위방사성폐기물과 자체처분폐기물로 구분한다.
방사성폐기물(잡고체, 토양, 물 등)이나 해체폐기물(콘크리트, 금속 등)의 방사성 특성평가는 방사성폐기물 처분 산업이나 원자력발전소 해체 산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방사성 농도에 따라 처분 방식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처분 방식에 따른 비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원전 해체 산업에서도, 해체폐기물의 방사성특성에 따라 해체 비용이 매우 상승할 수 있으며, 방사성폐기물, 해체폐기물의 방사성 특성평가는 감마 핵종 분석과 알파/베타 핵종 분석 결과에 바탕을 둔다. 그 중 알파/베타 핵종은 화학 분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화학분리 과정에는 숙련된 분석자가 필요하고, 또한 복잡한 절차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분석자의 숙련도에 따라 일관된 분리 효율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원자력폐기물뿐만 아니라 환경시료(물, 농축산물, 수산물 등) 등에 대한 방사성특성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시료에 대한 전 처리 기술이 필요하고, 해당 시료에 혼합되어 있는 방사성핵종들을 분리·정제하여야 한다.
방사성핵종들을 분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574901호에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 분리방법 및 분리기의 제어기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시약을 저장하는 제1시약부, 시약에 의해 분석되는 시료를 저장하는 제1분석시료부, 시약과 시료를 이송하는 제1펌프부, 제1펌프부에서 이송되는 시약과 시료가 유입되는 제1칼럼부 및 제1칼럼부를 통과한 시약과 시료가 유입되는 제1분리부를 구비하는 제1분리모듈; 시약을 저장하는 제2시약부, 시약을 이송하는 제2펌프부, 제1분리부에서 유출되는 시약 및 시료와 제2펌프부에서 이송되는 시약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전환부 및 전환부를 통과한 시약과 시료가 유입되는 제2칼럼부를 구비하는 제2분리모듈; 및 제1분리부 및 전환부를 통과하는 시약 또는 시료의 유로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900804호에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시약을 저장하는 시약탱크로 구성된 시약부, 시약에 의해 분석되는 시료를 저장하는 분석시료탱크로 구성된 분석시료부, 시약과 시료를 이송하는 펌프로 구성된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서 이송된 시약과 시료가 유입되는 칼럼으로 구성된 칼럼부, 상기 칼럼부를 통과한 정제시료를 저장하는 정제시료탱크로 구성된 분리부를 구비하는 분리모듈; 상기 펌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분석시료탱크에 저장된 분석시료와, 상기 분석시료탱크에 저장된 분석시료 이외의 추가 분석시료를 이송하기 위한 샘플로딩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칼럼과 상기 펌프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펌프는 개별적으로 상기 칼럼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기 위해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복잡함에 따라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분리 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이 표시되지 않아, 분리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자동축차 분리장치의 시료 및 시약에 대한 공급상태를 지속 관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74901 B1 (2015. 11. 30.) KR 10-1900804 B1 (2018. 09. 14.)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사성핵종 분리장치의 제어가 용이함과 동시에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제시료를 추출할 수 있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방사성핵종 자동분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시료에 정량의 시약을 공급하고, 시약의 잔여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최종 분리 시간을 직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하며, 분리되어 추출되는 정제시료의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방사성핵종 자동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조건에 따라 추출 과정을 중복 또는 교차되게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방사성핵종 자동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은 제1 분리부, 제2 분리부,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설치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핵종 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사성핵종 분리방법으로서, 상기 에이전트를 통해 상기 제1 분리부 및 제2 분리부에 시약 및 시료를 충전하고, 충전된 시약 및 시료에 대한 명칭 및 충전용량을 입력하여 설정하며, 상기 제1 분리부 및 제2 분리부에 충전된 시약 및 시료의 펌핑량을 보정하는 세팅단계; 상기 에이전트의 수행에 의해 단일분리모드, 축차분리모드 및 매뉴얼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선택된 모드가 단일분리모드 또는 축차분리모드인경우, 선택된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세팅단계에 따라 충전된 시료에서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분리조건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팅단계에서 상기 에이전트는 충전된 각각의 시약(Reagent)에 대한 명칭을 입력하는 시약입력란; 충전용량을 입력하는 충전용량입력란 및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용량입력란의 입력 용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증감아이콘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세팅단계의 보정은 3개의 모터 회전수(RPM)에 대해 용출되는 유량을 정량한 후, 설치된 전체의 펌프가 동일한 유량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교정하는 3점 보정으로 펌프모듈에 대한 펌핑량이 보정되고,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는 설정입력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수행되되,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을 평형화시키는 컨디셔닝단계; 시료저장모듈의 시료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료를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는 로딩단계;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 외의 간섭물질을 제거하는 린싱단계 및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을 추출하는 일루션단계 중에서 일부가 생략되거나 중복 또는 교차되게 선택되며, 상기 매뉴얼모드는 분리시간과 펌프 유량만 설정된 상태에서 시약, 펌프 및 시료수집 위치가 직접 선택되어 분리과정 또는 세척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디셔닝단계, 로딩단계, 린싱단계 및 일루션단계는 분당 유량, 총 배출 용량 및 수집용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는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선택된 모드가 단일분리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분리부 또는 상기 제2 분리부가 선택적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분리부와 제2 분리부가 함께 구동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드선택단계에서 선택된 모드가 축차분리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분리부에서 1차 분리된 제1 정제시료는 제1-3 밸브모듈에 의해 제2 분리부의 제2-4 밸브모듈로 공급되고, 제2 분리부로 공급된 제1 정제시료는 상기 제2 분리부의 제2 컬럼모듈에 의해 2차 분리되어 제2 수집모듈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 내 존재하는 방사성핵종 물질을 정제 및 추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분리과정이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도록 하여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료의 공급, 분리 시간, 정제시료의 양을 쉽게 제어할 수 있어, 높은 기술 숙련도 없이도 방사성핵종의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이 적용되는 방사성핵종 자동축차 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 적용된 방사성핵종 자동축차 분리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충전된 시약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세팅하는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충전된 시약에 대한 잔량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매뉴얼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중 단일분리모드에서 충전된 시약에 대한 분리조건설정단계의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의 분리조건설정단계에 따라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일 실시 예의 목록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의 인터페이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단일분리모드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시약 및 시료의 주입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축차분리모드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시약 및 시료의 주입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료에 포함된 2개 이상의 방사성 핵종을 분리할 수 있고, 시료에 정량의 시약을 공급하며, 분리 시간을 직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분리되어 추출되는 정제시료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축차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이 적용되는 방사성핵종 자동축차 분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 적용된 방사성핵종 자동축차 분리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사성핵종 분리장치는 제1 분리부(100), 제2 분리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된 도 2의 제1 분리부(100)는 채취된 시료가 저장되는 복수 개의 시료저장용기(111)로 이루어진 제1 시료저장모듈(110), 시약을 보관하는 복수 개의 시약저장용기(121)로 이루어진 제1 시약저장모듈(120), 상기 제1 시약저장모듈(120)의 시약저장용기(121)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시약을 공급하는 제1-1 밸브모듈(130), 상기 제1-1 밸브모듈(130)에서 공급되는 시약과 상기 시료저장용기(111)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시료를 혼합하여 제1 시료를 공급하는 제1-2 밸브모듈(140), 상기 제1-2 밸브모듈(140)과 연계하여 상기 제1 시료를 펌핑하는 제1 펌프모듈(150), 상기 제1 펌프모듈(150)에서 펌핑되는 제1 시료에 포함된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제1 컬럼모듈(160), 상기 제1 컬럼모듈(160)에서 배출되는 제1 정제시료를 제2 분리부(200)의 제2-3 밸브(290)로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제1-3 밸브모듈(170) 및 제1-3 밸브모듈(170)에서 배출되는 제1 정제시료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1 수집모듈(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분리부(200)는 채취된 시료가 저장되는 복수 개의 시료저장용기(211)로 이루어진 제2 시료저장모듈(210), 시약을 보관하는 복수 개의 시약저장용기(221)로 이루어진 제2 시약저장모듈(220), 상기 제2 시약저장모듈(220)의 시약저장용기(221)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시약을 공급하는 제2-1 밸브모듈(230), 상기 제2-1 밸브모듈(230)에서 공급되는 시약과 상기 시료저장용기(211)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시료를 혼합하여 제2 시료를 공급하는 제2-2 밸브모듈(240), 상기 제2-2 밸브모듈(240)과 연계하여 시약이 혼합된 제2 시료를 펌핑하는 제2 펌프모듈(250), 상기 제2 펌프모듈(250)에서 공급되는 제2 시료 또는 상기 제1 분리부(100)에서 공급되는 제1 정제시료에 포함된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제2 컬럼모듈(260), 상기 제2 컬럼모듈(260)에서 배출되는 제2 정제시료를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제2-3 밸브모듈(270) 및 제2-3 밸브모듈(270)에서 배출되는 제2 정제시료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제2 수집모듈(2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제1 수집모듈(180) 및 제2 수집모듈(280)에 수집된 각각의 정제시료는 검출대상의 관심핵종으로서, 별도의 방사성물질 계측장비에 의해 방사성동위원소 핵종을 분석하게 된다.
상기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는 동일하게 구성되나, 상기 제2 분리부(200)에는 상기 제2 펌프모듈(250)에서 펌핑되는 제2 시료저장모듈에 저장된 시료 또는 제1 분리부(100)에서 공급되는 제1 정제시료 중에서 하나의 시료를 선택하여 상기 제2 컬럼모듈(260)로 공급하는 제2-4 밸브모듈(290)이 더 포함된다.
이에, 상기 제1 분리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제1 분리부(100)와 중복되는 제2 분리부(2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시료저장모듈(110)에 구비된 각각의 시료저장용기(111)에는 분석대상의 시료(sample)가 저장된다.
상기 제1 시약저장모듈(120)과 제2 시약저장모듈(220)에 구비된 복수 개 시약저장용기(121) 각각에는 여러 종류의 용출용액(reagent)과 세척용액이 충전된다.
상기 용출용액은 검출할 관심핵종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용출용액이 충전되는 데, 용출용액 또는 세척용액 중 제1-1 밸브모듈(130)과 제2-1 밸브모듈(230)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용액이 개별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1-2 밸브모듈(140)은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1 밸브모듈(130)로부터 공급되는 시약과 상기 시료저장용기(111)에 저장된 시료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료저장용기(111)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료저장용기(111)가 4개 구비된 경우, 상기 제1-2 밸브모듈(140)에는 상기 제1-1 밸브모듈(130)로부터 공급되는 시약과 4개의 상기 시료저장용기(111)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시료를 혼합하여 공급하기 위한 4개의 2방향 밸브(1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펌프모듈(150)에는 상기 2방향 밸브(141)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펌프(151)가 구성되고, 각각의 펌프(151)는 상기 2방향 밸브(141)로부터 공급되는 시약과 시료가 혼합된 제1 시료를 설정된 양으로 펌핑한다.
이때, 상기 제1 펌프모듈(150)을 구성하는 각각의 펌프(151)의 구동은 설정된 정량을 펌핑하기 위해 회전수 제어방식이 이용된다.
상기 회전수 제어방식은 회전수 제어를 위해 펌프의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가 구성되며, 상기 인버터의 구동은 주파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배출량이 증가되면 토출압력이 감소하게 되는데, 펌프에서 토출되는 토출설정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인버터의 구동을 통해 펌프의 모터 회전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배출량이 감소되면 토출압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펌프에서 토출되는 토출설정압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인버터의 구동을 통해 펌프의 모터 회전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 펌프모듈(150)을 통해 설정된 정량의 제1 시료가 펌핑되고, 밸브 개도율에 따라 펌핑에 따른 양정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컬럼모듈(160)은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컬럼 내부에는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기 위한 레진(resin)이 충전되는 데, 상기 제1 펌프모듈(150)에서 펌핑되는 시약과 시료가 순서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방사성핵종을 용리시키는 시약이 충전된 레진을 통과하며 분리 배출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시료에 Pb, Po 및 Ra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Sr Spec이 충전된 컬럼을 통과하게 되면, Pb와 Po는 Sr Resin 컬럼에서 분리되고, Ra는 컬럼을 통과하게 되어, Ra가 포함된 정제시료가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럼모듈(160)의 컬럼에 충전되는 레진은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적용되는 데, Sr-89/90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진으로서 Sr Resin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Eichrom사(社)에서 Sr-Spec이란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또한, Pu 동위원소 선택적 분리를 위해 TEVA Resin이 사용되고 있으며, Tetravalent actinides와 technetium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제1-3 밸브모듈(170)은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컬럼모듈(160)에서 배출되는 제1 정제시료를 제2 분리부(200)로 공급하거나 또는 제1 수집모듈(180)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컬럼모듈(160)에 구비된 컬럼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제1 수집모듈(180)은 상기 제1-3 밸브모듈(170)에서 배출되는 제1 정제시료 또는 폐액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수집용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는 개별적으로 작동되어 독립적인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서로 연계하여 축차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축차 분리는 2개의 컬럼을 연속적으로 통과하여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제1 분리부(100)에서 분리된 제1 정제시료를 제2 분리부(200)의 제2 컬럼모듈(260)로 공급하여 2차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제2 분리부(200)의 제2 펌프모듈(250)과 제2 컬럼모듈(260) 사이에는 제1 분리부(100)의 제1-3 밸브모듈(170)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제2-4 밸브모듈(290)이 구성된다.
따라서, 축차 분리의 경우, 제1 분리부(100)에서 1차 분리된 제1 정제시료는 제1-3 밸브모듈(170)에 의해 제2 분리부(200)의 제2-4 밸브모듈(290)로 공급되고, 제2 분리부(200)로 공급된 제1 정제시료는 제2 분리부(200)의 제2 컬럼모듈(260)에 의해 2차 분리되어 제2 수집모듈(280)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제1 분리부(100) 및 제2 분리부(200)에 구성되는 밸브 및 펌프는 방사성핵종의 분리공정에 근거하여 제어되게 된다.
제어부(300)는 상기 제1 분리부(100) 및 제2 분리부(200)에 적절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300)에는 방사성핵종 분리에 따른 로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에이전트(4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입력모듈, 연산모듈, 출력모듈 및 디스플레이모듈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라면 어느 종류이든 충분하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400)는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부(300)에 설치되어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를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은 세팅단계(S100), 모드선택단계(S200) 및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은 제어부(300)에 설치되는 에이전트(400)의 실행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에이전트(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입력장치, 출력장치, 연산장치 및 저장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에 따라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제어한다.
1. 세팅단계(S100)
세팅단계(S100)는 제1 분리부(100) 및 제2 분리부(200)에 시약 및 시료를 충전하고, 충전된 시약 및 시료에 대한 명칭 및 충전용량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충전된 시약을 세팅하는 일 실시 예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충전된 시약을 세팅하는 인터페이스에는 충전된 각각의 시약(Reagent)에 대한 명칭을 입력하는 시약입력란(411) 및 충전용량을 입력하는 충전용량입력란(4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충전용량입력란(412)에 입력된 용량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뿐만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입력된 용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증감아이콘(413)을 통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충전 시약의 명칭이 변경가능하고,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시약에 대해 육안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약이 잘못 교체 투입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400)는 충전용량입력란(412)에 입력된 충전용량과 방사성핵종 분리에 따른 주입량(배출량)을 비교하여, 방사성핵종 분리에 따른 주입량(배출량)이 충전용량입력란(412)에 입력된 충전용량에 대해 설정 용량값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주의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하여, 방사성핵종 분리 과정에서 시약 소진에 의한 미분리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충전된 시약에 대한 잔량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펌프모듈의 구동에 따라 충전용량에 대한 잔량이 표시되고, 충전용량이 설정용량값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주의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시약과 시료에 대한 명칭 및 충전용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방사성핵종에 대한 분리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약 또는 시료의 선택이 쉽고, 주입량에 근거하여 충전용량에 대한 잔량을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약 또는 시료의 미공급에 의한 방사성핵종 분리과정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세팅단계(S100)에는 제1 펌프모듈(150) 및 제2 펌프모듈(250)에 대한 펌핑량을 보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펌프모듈(150) 및 제2 펌프모듈(250)에 구비된 각 펌프의 펌핑양은 퍼픔에 포함된 로터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보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에 대한 펌핑량을 보정하는 과정은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과정시 매번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펌프모듈(150) 및 제2 펌프모듈(250)에 대한 펌핑양에 대한 보정방식으로는 3점 보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3점 보정방식은 각기 다른 3개의 모터 회전수(RPM)에 대해 용출되는 유량을 정량한 후, 설치된 전체의 펌프가 동일한 유량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교정하는 방식이다.
즉, 펌프를 선택하고, 선택된 펌프에 대한 동작시간 및 모터 회전수를 입력한 후 각각의 펌프를 구동시키며, 각각의 펌프 구동에 따른 펌핑양(송출량)을 검출하여 펌프의 송출량을 보정하는 방식이다.
2. 모드선택단계(S200)
모드선택단계(S200)는 단일분리모드, 축차분리모드 또는 매뉴얼모드 중 선택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단일분리모드에서는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방사성핵종에 대한 분리과정을 수행하고, 축차분리모드에서는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연계하여 방사성핵종에 대한 분리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분리부(100), 상기 제2 분리부(200) 또는 상기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된다.
상기 모드선택단계(S300)에서 선택된 모드가 축차분리모드인 경우, 제1 분리부(100)에서 1차 분리된 제1 정제시료는 제1 수집모듈(180)에 수집되고 분리되지 않은 시료는 제1-3 밸브모듈(170)에 의해 제2 분리부(200)의 제2-4 밸브모듈(290)로 공급되고, 제2 분리부(200)로 공급된 제1 정제시료는 제2 분리부(200)의 제2 컬럼모듈(260)에 의해 2차 분리되어 제2 수집모듈(280)에 수용된다.
매뉴얼모드에서는 분리시간과 펌프 유량만 설정된 상태에서 시약, 펌프 및 시료수집 위치가 직접 선택되어 간단히 분리과정을 수행하거나 세척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모드로서, 시료에 포함된 방사성핵종을 간단하게 분리하거나 즉시 분리 또는 세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매뉴얼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매뉴얼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분리동작을 수행하는 시간과 분당 공급 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유량 설정부(411), 시약 또는 시료를 선택하기 위한 시약시료 선택부(412), 구동되는 펌프를 선택하기 위한 펌프선택부(413) 및 분리된 정제시료가 수집되는 용기를 선택하기 위한 수집용기 선택부(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분리부와 제2 분리부를 분리하여, 선택된 하나의 분리부만 동작되도록 하거나, 2개의 분리부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뉴얼모드를 통해 간단한 분리공정 또는 세척 등을 수행할 수 있고, 각 구성의 정상동작의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분리조건설정단계(S300)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는 상기 모드선택단계(S200)에서 선택된 단일분리모드 또는 축차분리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세팅단계(S100)에 충전된 시료에서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는 사용자의 설정입력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수행된다.
즉,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는 정해진 로직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설정입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는 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의 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의 각 단계는 방사성핵종에 대한 분리과정 중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일부 단계가 중복 또는 교차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디셔닝단계, 로딩단계, 제1 린싱단계, 제2 린싱단계 및 일루션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하여 린싱단계가 반복 수행되도록 구성하거나, 린싱단계 및 일루션단계가 생략되도록 하되 컨디셔닝단계와 로딩단계가 반복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디셔닝단계(S310)는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을 평형화시키는 단계이다.
로딩단계(S320)는 시료저장모듈의 시료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료를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린싱단계(S330)는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 외의 간섭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일루션단계(S340)는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러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결합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중 단일분리모드에서 충전된 시약에 대한 분리조건설정단계의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분리조건설정단계의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는 제1 분리부(100) 또는 제2 분리부(200)를 선택하기 위한 컬럼선택부(421), 시퀀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시퀀스개수설정부(422), 분리설정에 대한 프로세스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선택부(423), 펌핑되는 시약 또는 시료를 선택하기 위한 시약/시료선택부(424), 펌핑된 시료 또는 시약이 수집되는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집용기선택부(425), 펌핑되는 유량을 설정하는 유량선택부(426), 펌핑되는 총 유량을 선택하는 총유량선택부(427), 작동되는 펌프(151, 251)를 선택하기 위한 펌프선택부(428) 및 설정된 프로세스가 표시되는 프로세스 목록표시부(4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는 1개 또는 복수의 과정(프로세스)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시퀀스개수설정부(422)는 예를 들면, 1 ~ 10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시퀀스개수설정부(422)에 의해 선택된 개수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의 개수가 설정된다.
상기 프로세스선택부(423)에서는 펼침 메뉴를 통해 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과정이 중복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약/시료선택부(424)는 상기 프로세스선택부(423)에서 선택된 과정에 의해 시약 또는 시료 중에서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스선택부(423)에서 선택된 과정이 컨디셔닝단계(S310), 린싱단계(S330) 또는 일루션단계(S340)이면, 상기 시약/시료선택부(424)는 시약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스선택부(423)에서 선택된 과정이 로딩단계(S320)이면, 상기 시약/시료선택부(424)는 시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의 분리조건설정단계에 따라 설정된 프로세스를 나타낸 일 실시 예의 목록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첨부된 도 8에 따른 방사성핵종의 분리과정에서는 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분리대상이 아닌 방사성핵종의 제거를 위해 린싱단계(S330)가 반복 수행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일루션단계(SS340)에서 분리 추출되어야 할 정제시료가 다량 존재하는 경우 등, 각 과정별로 반복 또는 교차 수행 등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과정이 반복 또는 교차 수행되도록 선택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방사성핵종의 분리 공정이 연속 수행되는 과정에서 일부 과정을 생략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는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목적, 정제시료의 추출량 등 상황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 과정이 생략되거나, 중복 또는 교차되는 등의 선택을 통해 분리 과정이 다양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의 인터페이스이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에서 설정된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 과정들 중 진행중인 과정에서 구동되는 구성들은 활성화되어 표시되는 대신, 해당 과정에서 구동지 않는 구성들은 비활성화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디셔닝단계(S310)의 수행에 따라 설정된 시약, 펌프, 컬럼 및 수집용기가 활성화되어 표시되는 대신, 해당 과정에서 구동되지 않는 다른 구성들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시 구동되는 구성들이 활성화되어 표시됨으로써, 방사성핵종 분리과정이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성핵종 분리과정의 오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에서 분리 과정의 진행시간, 분리 과정 전체에 대한 잔여시간 및 전체 분리 과정 진행율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분리시간과 과정 진행사항이 직관적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고, 정제시료의 회수시점이 쉽게 파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단일분리모드와 축차분리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단일분리모드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시약 및 시료의 주입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단일분리모드에서는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즉, 상기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제1 분리부만 구동되거나 제2 분리부만 구동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함께 구동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방사성핵종 분리장치에는 제1 분리부 및 제2 분리부를 합쳐 총 8개의 시료, 8개의 펌프 및 8개의 컬럼이 설치되어, 단일분리모드를 통해 1 ~ 8개의 시료가 동시에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일분리모드에서는 8개의 시료에 대해 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최소 1개에서 최대 8개의 시료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단계(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에서는 서로 다른 시약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에 따르면 분리하고자 하는 방사성 핵종에 따라 각 단계별로 2개 이상의 시약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1 분리부에 6개의 시약과 제2 분리부에 6개의 시약이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총 12개의 시약이 저장 제공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8개의 시료 또는 12개의 시약이 교체되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8개의 시료가 12개의 시약으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방사성핵종을 분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감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에서 축차분리모드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시약 및 시료의 주입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축차분리모드는 1개의 시료에 대해 2개의 컬럼을 이용하여 최대 5가지의 방사성 핵종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제1 분리부(100)에서 2개, 제2 분리부(200)에서 3개의 정제시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축차분리모드에서는 단일분리모드에서와 같이 4단계((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의 과정을 거쳐 분리되고, 제1 분리부(100)에서 사용되는 시약과 제2 분리부(200)에서 사용되는 시약을 달리하여 수행된다.
또한, 축차분리모드에서는 제2 분리부(200)의 시료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총 4개의 시료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제1 분리부 110; 시료저장모듈
120: 제1 시약저장모듈 130: 제1-1 밸브모듈
140: 제1-2 밸브모듈 150: 제1 펌프모듈
160: 제1 컬럼모듈 170: 제1-3 밸브모듈
180: 제1 수집모듈
200: 제2 분리부

Claims (5)

  1. 제1 분리부(100), 제2 분리부(200), 제어부(300) 및 상기 제어부(300)에 설치되는 에이전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사성핵종 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사성핵종 분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400)를 통해 상기 제1 분리부(100) 및 제2 분리부(200)에 시약 및 시료를 충전하고, 충전된 시약 및 시료에 대한 명칭 및 충전용량을 입력하여 설정하며, 상기 제1 분리부(100) 및 제2 분리부(200)에 충전된 시약 및 시료의 펌핑량을 보정하는 세팅단계(S100);
    상기 에이전트(400)의 수행에 의해 단일분리모드, 축차분리모드 및 매뉴얼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단계(S200); 및
    상기 모드선택단계(S200)에서 선택된 모드가 단일분리모드 또는 축차분리모드인경우, 선택된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세팅단계(S100)에 따라 충전된 시료에서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분리조건설정단계(S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세팅단계(S100)에서 상기 에이전트(400)는,
    충전된 각각의 시약(Reagent)에 대한 명칭을 입력하는 시약입력란(411);
    충전용량을 입력하는 충전용량입력란(412); 및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충전용량입력란(412)의 입력 용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증감아이콘(413);
    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세팅단계(S100)의 보정은,
    3개의 모터 회전수(RPM)에 대해 용출되는 유량을 정량한 후, 설치된 전체의 펌프가 동일한 유량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교정하는 3점 보정으로 펌프모듈에 대한 펌핑량이 보정되고,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는,
    설정입력에 의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수행되되,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을 평형화시키는 컨디셔닝단계(S310);
    시료저장모듈의 시료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료를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는 로딩단계(S320);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 외의 간섭물질을 제거하는 린싱단계(S330); 및
    시약저장모듈의 시약저장용기 중에서 선택된 시약을 선택된 컬럼모듈의 컬럼에 공급하고, 공급된 시약에 의해 선택된 컬럼의 레진에 포함된 검출하고자 하는 방사성핵종을 추출하는 일루션단계(S340);
    중에서 일부가 생략되거나 중복 또는 교차되게 선택되며,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에서 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제1 분리부(100) 또는 제2 분리부(200)를 선택하기 위한 컬럼선택부(421);
    1 ~ 10개의 범위내에서 선택된 개수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의 개수가 설정되도록 하여 시퀀스의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시퀀스개수설정부(422);
    분리설정에 대한 프로세스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선택부(423);
    상기 프로세스선택부(423)에서 선택된 과정에 근거하여 펌핑되는 시약 또는 시료를 선택하기 위한 시약/시료선택부(424);
    펌핑된 시료 또는 시약이 수집되는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수집용기선택부(425);
    펌핑되는 유량을 설정하는 유량선택부(426);
    펌핑되는 총 유량을 선택하는 총유량선택부(427);
    작동되는 펌프(151, 251)를 선택하기 위한 펌프선택부(428); 및
    설정된 프로세스가 표시되는 프로세스 목록표시부(429);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에서 설정된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 과정들 중 진행중인 과정에서 구동되는 구성들은 활성화되어 표시되는 대신, 해당 과정에서 구동지 않는 구성들은 비활성화되어 표시되며,
    상기 분리조건설정단계(S300)에서 분리 과정의 진행시간, 분리 과정 전체에 대한 잔여시간 및 전체 분리 과정 진행율이 표시되고,
    상기 매뉴얼모드는,
    분리시간과 펌프 유량만 설정된 상태에서 시약, 펌프 및 시료수집 위치가 직접 선택되어 분리과정 또는 세척과정이 수행되고,
    상기 모드선택단계(S200)에서 선택된 모드가 단일분리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분리부(100) 또는 상기 제2 분리부(20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분리부(100)와 제2 분리부(200)가 함께 구동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모드선택단계(S200)에서 선택된 모드가 축차분리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분리부(100)에서 1차 분리된 제1 정제시료는 제1-3 밸브모듈(170)에 의해 제2 분리부(200)의 제2-4 밸브모듈(290)로 공급되고, 제2 분리부(200)로 공급된 제1 정제시료는 상기 제2 분리부(200)의 제2 컬럼모듈(260)에 의해 2차 분리되어 제2 수집모듈(280)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디셔닝단계(S310), 로딩단계(S320), 린싱단계(S330) 및 일루션단계(S340)는,
    분당 유량, 총 배출 용량 및 수집용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400)는,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4737A 2018-11-29 2019-06-24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KR102079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257 2018-11-29
KR20180150257 2018-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021B1 true KR102079021B1 (ko) 2020-02-19

Family

ID=6966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737A KR102079021B1 (ko) 2018-11-29 2019-06-24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0981A3 (de) * 2021-08-16 2023-04-20 Bluecatbio Gmbh Dispensiervorrichtung, zentrifuge mit einer solchen dispensi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dispensierdüsen
WO2023140562A1 (ko) * 2022-01-18 2023-07-27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해수 중 방사성스트론튬 분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01B1 (ko) 2014-09-26 2015-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 분리방법, 및 분리기의 제어기
KR20170127234A (ko) * 2016-05-11 2017-11-21 한국원자력연구원 대용량 시료의 자동 전처리장치
KR20180089177A (ko) * 2017-01-31 2018-08-08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01B1 (ko) 2014-09-26 2015-12-07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 분리방법, 및 분리기의 제어기
KR20170127234A (ko) * 2016-05-11 2017-11-21 한국원자력연구원 대용량 시료의 자동 전처리장치
KR20180089177A (ko) * 2017-01-31 2018-08-08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
KR101900804B1 (ko) 2017-01-31 2018-09-20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0981A3 (de) * 2021-08-16 2023-04-20 Bluecatbio Gmbh Dispensiervorrichtung, zentrifuge mit einer solchen dispensi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von dispensierdüsen
WO2023140562A1 (ko) * 2022-01-18 2023-07-27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해수 중 방사성스트론튬 분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021B1 (ko) 방사성 특성평가를 위한 자동화된 방사성핵종 화학 분리방법
CN103889533A (zh) 模块化自动化色谱系统
ES2908297T3 (es) Aparato y método de separación multicolumna
KR102013749B1 (ko) 원자력 시설의 해체 설계 방법 및 장치
Cipiti Separations and safeguards performance modeling for advanced reprocessing facility design
Wysocka et al. Determination of ultra-trace level of 232Th in seawater by ICP-SFMS after matrix separation and preconcentration
KR20170127234A (ko) 대용량 시료의 자동 전처리장치
Kim et al. Automated extraction chromatographic radionuclide separation system for analysis of 90Sr in seawater
KR101574901B1 (ko) 자동 축차 방사성핵종 분리기, 분리방법, 및 분리기의 제어기
CN202961965U (zh) 应用于水样中离子分离的固相萃取装置
Widestrand et al. Long Term Sorption Diffusion Experiment (LTDE-SD). Performance of main in situ experiment and results from water phase measurements
CN207163894U (zh) 新型水质检测仪及污水处理设备
KR20050090199A (ko) 방사성핵종 자동분리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플루토늄자동분리방법
CN208366854U (zh) 一种水质毒性检测仪及其管路
Egorov et al. Automated radioanalytical system incorporating microwave-assisted sample preparation, chemical separation, and online radiometric detection for the monitoring of total 99Tc in nuclear waste processing streams
US4446097A (en) Post accident analysis
KR20220019907A (ko) 전자동 온라인 삼중수소 감시방법 및 감시시스템
Antonya et al. Separation of trivalent actinides from high-active waste
CN116594053B (zh) 放射性溶液中超铀α核素、90Sr和137Cs的组分离系统及装置
McCown et al. Development of a scalable process control system for chemical soil washing to remove uranyl oxide
Olga N et al. RoboLab: providing remote access to a physical radiochemistry laboratory for teaching and training
Qiao Rapid and automated determination of plutonium and neptunium in environmental samples
Beck et al. Technology Basis for Savannah River Tank Closure Cesium Removal Project
JP2001141875A (ja) シッピング装置
Kuhn et al.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monitoring to IAEA safegu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