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708B1 -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708B1
KR102078708B1 KR1020130059437A KR20130059437A KR102078708B1 KR 102078708 B1 KR102078708 B1 KR 102078708B1 KR 1020130059437 A KR1020130059437 A KR 1020130059437A KR 20130059437 A KR20130059437 A KR 20130059437A KR 102078708 B1 KR102078708 B1 KR 102078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voltage
signal
kickback compensation
kick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175A (ko
Inventor
황준호
곽영선
편기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708B1/ko
Priority to US14/061,663 priority patent/US9564096B2/en
Publication of KR2014013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19Reducing feedthrough effects in active matrix panels, i.e. voltage changes on the scan electrode influencing the pixel voltage due to capaci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패널 구동 장치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클럭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시키고,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오프 전압 및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킥백 보상 전압으로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하강시킨다. 데이터 구동부는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충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수평 구간 동안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는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천이되고, 상기 게이트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는 턴온되며,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상기 화소 전극에 충전된다.
상기 수평 구간 이후 상기 게이트 신호는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천이되고, 상기 게이트 신호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는 턴오프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화소 전극에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충전되지 않는다.
상기 게이트 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 스위칭 소자의 기생 용량으로 인해 킥백(kickback) 전압이 발생하고, 상기 킥백 전압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상기 킥백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하강하는 구간 동안에,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높은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하는 킥백 보상 구간을 삽입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상기 킥백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킥백 보상 전압을 감소시키고 상기 킥백 보상 구간을 증가시키면 상기 화소 전극에 상기 데이터 신호가 충전되는 데이터 충전율이 감소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패널 구동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 방법에서, 게이트 클럭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가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된다.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킥백 보상 전압으로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하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되고,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 사이의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됨으로써 상기 게이트 신호가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와 다른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가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가 비활성화되자마자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 장치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클럭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킥백 보상 전압으로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하강시킨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1 킥백 전압 보상부,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 사이의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2 킥백 전압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는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는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와 다른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가 비활성화되자마자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 장치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 장치는 게이트 클럭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킥백 보상 전압으로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하강시키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1 킥백 전압 보상부,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 사이의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2 킥백 전압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는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는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에 후속하는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게이트 신호가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하고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하므로, 상기 게이트 신호는 킥백 보상 구간에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두 단계들을 통해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충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게이트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의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포함된 제1 킥백 전압 보상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2의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포함된 제2 킥백 전압 보상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데이터 신호, 게이트 시작 신호, 게이트 클럭 신호, 제1 킥백 보상 신호, 제2 킥백 보상 신호 및 게이트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패널 구동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및 표시 패널 구동 장치(101)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영상 데이터(DATA)를 기초로 하는 데이터 신호(DS)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DATA)는 2차원 평면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영상 데이터(DATA)는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안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10)은 게이트 라인(GL)들, 데이터 라인(DL)들 및 복수의 화소(P)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1 방향(D1)은 상기 표시 패널(110)의 장변과 평행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표시 패널(110)의 단변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화소(P)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GL) 및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111),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1)에 연결된 액정 캐패시터(113)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115)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 장치(101)는 게이트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및 타이밍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시작 신호(STV) 및 게이트 클럭 신호(CPV1)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GS)를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 및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은 약 -7.5 V 내지 약 -6.5 V일 수 있고,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은 약 28 V 내지 약 31 V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킥백 보상 신호(KB)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큰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상기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두 단계들을 통해 상기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로 제공되는 상기 킥백 보상 신호(KB)는 제1 킥백 보상 신호(KB1) 및 제2 킥백 보상 신호(K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 사이의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은 약 17 V일 수 있고,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은 약 12 V 내지 약 15 V일 수 있다.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13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시작 신호(STH) 및 데이터 클럭 신호(CPV2)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DATA)를 기초로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DS)를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 출력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는 외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DATA) 및 제어 신호(CON)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 신호(CON)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클럭 신호(CL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Hsync)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시작 신호(STH)를 생성한 후 상기 데이터 시작 신호(STH)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를 생성한 후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는 상기 클럭 신호(CLK)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 및 상기 데이터 클럭 신호(CPV2)를 생성한 후,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로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클럭 신호(CPV2)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상기 표시 패널(110)로 광(L)을 제공하는 광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부(150)를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 및 2의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에 포함된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며, 도 4는 도 1 및 2의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에 포함된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을 출력한다.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는 트랜지스터들(211~213), 다이오드들(221~226), 저항들(231~252), 캐패시터들(261~163) 및 제어 다이오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211)는 pn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A 전압 단자(A) 및 상기 저항들(231~233, 242)에 연결된 에미터 전극, 상기 저항들(233, 234)에 연결된 베이스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3~247) 및 상기 다이오드(224)에 연결된 컬렉터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A 전압 단자(A)에는 상기 게이트 온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212)는 np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접지 단자, 상기 저항(239) 및 상기 캐패시터(262)에 연결된 에미터 전극, 상기 저항(237)에 연결된 베이스 전극, 및 상기 저항들(235, 236)에 연결된 컬렉터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트랜지스터(213)는 np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상기 저항들(248~250)에 연결된 에미터 전극, 상기 저항들(250, 251) 및 상기 캐패시터(263)에 연결된 베이스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4~247)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트랜지스터(311)에 연결된 컬렉터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221)는 상기 저항들(231, 232)과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다이오드(222) 및 상기 캐패시터(261)와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222)는 상기 다이오드(221) 및 상기 캐패시터(261)와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저항들(234~236)과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223)는 상기 저항들(240, 241)과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다이오드(224)와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224)는 상기 다이오드(223)와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3~247)과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225)는 상기 다이오드(226), 상기 저항(252)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가 인가되는 단자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D 전압 단자(D)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D 전압 단자(D)에는 약 3.3 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226)는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다이오드(225), 상기 저항(252)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가 인가되는 단자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1)은 상기 A 전압 단자(A), 상기 저항들(232, 233, 242) 및 상기 트랜지스터(21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32) 및 상기 다이오드(22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2)은 상기 A 전압 단자(A), 상기 저항들(231, 233, 242) 및 상기 트랜지스터(21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31) 및 상기 다이오드(22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3)은 상기 A 전압 단자(A), 상기 저항들(231, 232, 242) 및 상기 트랜지스터(21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트랜지스터(211) 및 상기 저항(234)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4)은 상기 저항(233) 및 상기 트랜지스터(21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35, 236) 및 상기 다이오드(22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5)은 상기 저항들(234, 236) 및 상기 다이오드(22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36) 및 상기 트랜지스터(21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6)은 상기 저항들(234, 235) 및 상기 다이오드(22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35) 및 상기 트랜지스터(21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7)은 상기 트랜지스터(21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37~239) 및 상기 캐패시터(26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8)은 상기 제너 다이오드(27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37, 239) 및 상기 캐패시터(26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39)은 상기 저항들(237, 238) 및 상기 캐패시터(26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접지 단자 및 상기 캐패시터(26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0)은 상기 저항(241), 상기 C 전압 단자(C)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27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41) 및 상기 다이오드(22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C 전압 단자(C)에는 외부의 전압 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하는 아날로그 전압(AVDD)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저항(241)은 상기 저항(240), 상기 C 전압 단자(C) 및 상기 제너 다이오드(27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40) 및 상기 다이오드(22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2)은 상기 A 전압 단자(A), 상기 저항들(231~233) 및 상기 트랜지스터(21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B 전압 단자(B) 및 상기 저항(24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B 전압 단자(B)에는 상기 게이트 온 전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저항(243)은 상기 저항(242) 및 상기 B 전압 단자(B)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트랜지스터(211), 상기 저항들(244~247) 및 상기 다이오드(224)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4)은 상기 저항들(243, 245~247) 및 상기 다이오드(224)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5~247), 상기 트랜지스터(213)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트랜지스터(31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5)은 상기 저항들(243, 244, 246, 247) 및 상기 다이오드(224)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4, 246, 247), 상기 트랜지스터(213)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트랜지스터(31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6)은 상기 저항들(243, 244, 245, 247) 및 상기 다이오드(224)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4, 245, 247), 상기 트랜지스터(213)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트랜지스터(31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7)은 상기 저항들(243~246) 및 상기 다이오드(224)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4~246), 상기 트랜지스터(213)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트랜지스터(31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8)은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이 출력되는 단자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트랜지스터(213) 및 상기 저항들(249, 250)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49)은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8, 250) 및 상기 트랜지스터(21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50)은 상기 트랜지스터(213), 상기 저항(251) 및 상기 캐패시터(263)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48, 249) 및 상기 트랜지스터(21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51)은 상기 저항(250), 상기 캐패시터(263) 및 상기 트랜지스터(213)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52), 상기 캐패시터들(261, 263),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저항들(334, 335)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캐패시터(36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252)은 상기 저항(251), 상기 캐패시터들(261, 263),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저항들(334, 335)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캐패시터(36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가 인가되는 단자 및 상기 다이오드들(225, 226)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261)는 상기 다이오드(22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51, 252), 상기 캐패시터(263),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저항들(334, 335)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캐패시터(36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262)는 상기 저항들(237~239)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239) 및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263)는 상기 저항들(250, 251) 및 상기 트랜지스터(213)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251, 252), 상기 캐패시터(261),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저항들(334, 335) 및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의 상기 캐패시터(36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너 다이오드(271)는 상기 저항(238)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C 전압 단자(C) 및 저항들(240, 241)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킥백 전압 보상부(300)는 트랜지스터(311), 다이오드들(321, 322), 저항들(331~335) 및 캐패시터(3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311)는 np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상기 저항들(331, 332)에 연결된 에미터 전극, 상기 저항들(333, 334) 및 상기 캐패시터(361)에 연결된 베이스 전극, 및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트랜지스터(213) 및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저항들(244~247)에 연결된 컬렉터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321)는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가 인가되는 단자, 상기 저항(335) 및 상기 다이오드(322)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E 전압 단자(E)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E 전압 단자(E)에는 약 3.3 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322)는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가 인가되는 단자, 상기 저항(335) 및 상기 다이오드(321)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331)은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이 출력되는 단자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트랜지스터(311) 및 상기 저항들(332, 33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332)은 상기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트랜지스터(311) 및 상기 저항들(331, 33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333)은 상기 트랜지스터(311), 상기 저항(334) 및 상기 캐패시터(36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트랜지스터(311) 및 상기 저항들(331, 33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334)은 상기 트랜지스터(311), 상기 저항(333) 및 상기 캐패시터(36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335), 상기 캐패시터(361),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저항들(251, 252) 및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캐패시터들(261, 26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저항(335)은 상기 저항(334), 상기 캐패시터(361),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저항들(251, 252) 및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캐패시터들(261, 263)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가 인가되는 단자 및 상기 다이오드들(321, 32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361)는 상기 트랜지스터(311), 상기 저항들(333, 334)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저항들(334, 335),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저항들(251, 252) 및 상기 제1 킥백 전압 보상부(200)의 상기 캐패시터들(261, 26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A 전압 단자(A), 상기 B 전압 단자(B), 상기 C 전압 단자(C), 상기 D 전압 단자(D) 및 상기 E 전압 단자(E)의 전압들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로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압 발생부(미도시)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은 상기 전압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 및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은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은 저항 분배 방식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상기 데이터 신호(DS),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 및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나타내는 파형도들이다.
도 1, 2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 및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VGOFF)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 상승한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은 약 -7.5 V 내지 약 -6.5 V일 수 있고,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은 약 28 V 내지 약 31 V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가 활성화된다.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킥백 보상 구간(KBP)의 제1 킥백 보상 구간(KBP1) 동안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1)으로 하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은 약 17 V일 수 있다.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에 후속하는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킥백 보상 구간(KBP)의 제2 킥백 보상 구간(KBP2) 동안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1)으로부터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2)으로 하강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은 약 12 V 내지 약 15 V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게이트 신호(GS)는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2)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VGOFF)으로 하강한다.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킥백 보상 구간(KBP)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으로 하강하고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으로부터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으로 하강하므로, 상기 게이트 신호(GS)는 상기 킥백 보상 구간(KBP)에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두 단계들을 통해 상기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한 번에 상기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하는 종래에 비해 데이터 충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충전율의 증가는 도 5의 빗금 영역(CRIA)에 상응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상기 표시 패널 구동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VGOFF)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 상승한다(단계 S110).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게이트 시작 신호(STV) 및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VGOFF)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 상승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은 약 -7.5 V 내지 약 -6.5 V일 수 있고,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은 약 28 V 내지 약 31 V일 수 있다.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으로 하강한다(단계 S120).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킥백 보상 구간(KBP)의 상기 제1 킥백 보상 구간(KBP1) 동안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1)으로 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은 약 17 V일 수 있다.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으로부터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으로 하강한다(단계 S130).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킥백 보상 구간(KBP)의 상기 제2 킥백 보상 구간(KBP2) 동안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1 킥백 보상 전압(VKBC1)으로부터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며,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는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가 비활성화되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VGOFF)으로 하강한다(단계 S14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CPV1)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를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2)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VGOFF)으로 하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가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의 레벨을 제어하는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와 달리, 상기 게이트 구동부(120)로 전압을 공급하는 상기 전압 발생부가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GS)의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상기 킥백 보상 구간(KBP)에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KB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으로 하강하고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KB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VKBC1)으로부터 상기 제2 킥백 보상 전압(VKBC2)으로 하강하므로, 상기 게이트 신호(GS)는 상기 킥백 보상 구간(KBP)에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VGON)으로부터 두 단계들을 통해 상기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한다. 따라서, 데이터 충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게이트 신호가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하고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하므로, 상기 게이트 신호는 킥백 보상 구간에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두 단계들을 통해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한다. 그러므로, 데이터 충전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01: 표시 패널 구동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게이트 구동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타이밍 제어부
150: 광원부 200, 300: 킥백 전압 보상부

Claims (20)

  1. 게이트 클럭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킥백 보상 전압으로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하강시키는 단계는,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와 다른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 사이의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가 비활성화되자마자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방법.
  9. 게이트 클럭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킥백 보상 전압으로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하강시키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1 킥백 전압 보상부;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와 다른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 사이의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2 킥백 전압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가 비활성화되자마자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 및 상기 제2 킥백 보상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는 상기 게이트 클럭 신호가 비활성화되기 전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
  18.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게이트 클럭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으로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부터 게이트 온 전압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사이의 킥백 보상 전압으로 복수의 단계들을 통해 하강시키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제1 킥백 보상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보다 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1 킥백 전압 보상부;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신호와 다른 제2 킥백 보상 신호의 상승 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제1 킥백 보상 전압 사이의 제2 킥백 보상 전압으로 하강시키는 제2 킥백 전압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059437A 2013-05-27 2013-05-27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7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437A KR102078708B1 (ko) 2013-05-27 2013-05-27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4/061,663 US9564096B2 (en) 2013-05-27 2013-10-23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437A KR102078708B1 (ko) 2013-05-27 2013-05-27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175A KR20140139175A (ko) 2014-12-05
KR102078708B1 true KR102078708B1 (ko) 2020-02-20

Family

ID=5193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437A KR102078708B1 (ko) 2013-05-27 2013-05-27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4096B2 (ko)
KR (1) KR102078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866A (ko) * 2015-05-22 2016-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55860A (ko) * 2019-11-07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610A1 (en) * 2010-08-13 2012-02-16 Au Optronics Corp Gate pulse modulating circui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566B1 (ko) * 1997-08-13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646998B1 (ko) * 2004-06-25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TWI253051B (en) * 2004-10-28 2006-04-11 Quanta Display Inc Gate driving method and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14561A (ko) 2005-07-29 2007-02-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194853B1 (ko) * 2005-10-31 2012-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캔 펄스 변조 회로,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8098A (ko) * 2005-12-26 200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킥백 노이즈가 감소된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68096A (ko) * 2005-12-26 200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2763A (ko) * 2006-01-02 2007-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킥백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2232A (ko) * 2006-02-15 200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34542A (ko) 2006-10-17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891331B1 (ko) 2007-03-13 2009-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킥-백 전압 보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19106A (ko) 2007-08-20 2009-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1132051B1 (ko) 2010-03-11 2012-04-0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373729B2 (en) 2010-03-22 2013-02-12 Apple Inc. Kickback compensation techniqu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610A1 (en) * 2010-08-13 2012-02-16 Au Optronics Corp Gate pulse modulating circuit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47258A1 (en) 2014-11-27
KR20140139175A (ko) 2014-12-05
US9564096B2 (en)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505B2 (en) Touch screen panel
KR102247035B1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13810B1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US954803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enhanced display quality at low frequenc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50101504A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49368A (ko) 표시장치
KR10214705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0497328B2 (en)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112741A (ko) 표시 패널, 이의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124096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발광소자 구동장치 및 발광소자 구동방법
KR10195773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78708B1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 표시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92913B1 (ko) 초고화질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279892B1 (ko) 표시 장치
KR20160083565A (ko) 표시장치
KR10190738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23949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8105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타이밍 컨트롤러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US91592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2878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84000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664004B1 (ko) 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 방법
KR20070072763A (ko) 킥백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383449B1 (ko)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 표시 패널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86916B1 (ko) 게이트 펄스 변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