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69B1 -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 Google Patents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69B1
KR102078669B1 KR1020190112517A KR20190112517A KR102078669B1 KR 102078669 B1 KR102078669 B1 KR 102078669B1 KR 1020190112517 A KR1020190112517 A KR 1020190112517A KR 20190112517 A KR20190112517 A KR 20190112517A KR 102078669 B1 KR102078669 B1 KR 10207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nformation
concentratio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부화
이우철
Original Assignee
이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철 filed Critical 이우철
Priority to KR102019011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xic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fine 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from a server; a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on the fine 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unit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fine 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fine dust or ultra fine du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in a number of classes.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from the server,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for a region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located. The control unit receives, from the server,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about an institution on which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abou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n a surrounding area is checked in real time and furthermore, visually che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thereby intuitively check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escription

미세먼지 알림 장치{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및 실외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ndoor and outdoor air.

최근 대기의 오염 및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호흡기 질환은 대기 중의 독성을 지닌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이 미세한 먼지와 결합하여 호흡기를 통해 체내에 침투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을 통해 직접 배출되기도 하지만, 대기 중으로 배출된 가스 상태의 오염물질로부터 만들어지기도 한다.Recently, patients who complain of respiratory diseases due to air pollution and fine dust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Respiratory diseases can occur when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that are toxic in the air, combine with fine dust and penetrate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Fine dust is emitted directly through automobile emissions, but also from pollutants in gaseous emissions to the atmosphere.

일반적인 미세먼지는 입자의 지름이 10㎛(PM10)이하의 먼지이지만, 초미세먼지는 입자의 지름이 2.5㎛(PM2.5) 이하의 먼지이다. 이러한 초미세먼지는 중금속이나 발암물질도 다량 포함돼 있어 일반 미세먼지보다 독성이 강하며, 혈관에 침투해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General fine dust is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0 μm (PM10) or less, but ultrafine dust is dus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μm (PM2.5) or less. These ultrafine dusts contain heavy metals or carcinogens, which are more toxic than ordinary fine dusts. They also penetrate blood vessels and cause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stroke.

특히, 초미세먼지의 경우, 대기 중의 농도에 따라 호흡기 질환 및 관련 질병의 발생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호흡기질환을 포함한 각종 질병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초미세먼지를 포함한 미세먼지의 농도 및 대기오염 상태를 지속적이고 실시간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ltrafine dust,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diseases and related diseases increases with th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various diseases including respiratory diseas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nd in real time to check the concentration and fine air pollution of the fine dust including ultra-fine dust.

이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07544호(2002.01.29)는 대기오염의 상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오염물질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기오염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이 개시된다.To this e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07544 (2002.01.29) discloses a real-time monitoring method of air pollution designed to grasp a situation of air pollution and to estimate changes in pollutants over time.

하지만, 종래기술은 오염물질의 측정치 및 예측치를 단순히 알려주기만 할 뿐, 실내외 간의 차이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간의 차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실내 및 실외 활동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merely informs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pollutants, and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or the difference between fine and ultrafine dust, which is helpful for indoor and outdoor activities of users.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effective.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7544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07544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0745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074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에게 실내외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행동 요령을 하나의 통합된 정보로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기관에 대한 일정이나 특정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ffectively present the behavioral tips according to indoor and outdoor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as a single integrated information, and also provides a schedule or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nstitution It is to provide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는,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 측정부, 저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정보를 다수의 등급으로 나누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실외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등급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지침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for the area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located from the server;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 the room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he measurement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o display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lurality of grade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 grade for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concentration is calculated by using the measured outdoor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indoor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ccordingly, the user's activity instructio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HPG)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The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grade (HPG)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HPG = (MAX(IPG2.5, IPG10) × 10) + MAX(OPG2.5, OPG10)HPG = (MAX (IPG2.5, IPG10) × 10) + MAX (OPG2.5, OPG10)

여기서, IPG2.5 및 IPG10은 각각 실내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농도 등급이고, OPG2.5 및 OPG10은 각각 실외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농도 등급이다.Here, IPG2.5 and IPG10 are indoor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concentration grades, respectively, and OPG2.5 and OPG10 are outdoor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concentration grades, respectively.

상기 서버는 운영 서버이며, 상기 운영 서버는, 다수의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공데이터 서버로부터 각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is an operation server, the operation server, the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for each region from a public data server that manages real-time data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for a plurality of areas The reception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for the area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by us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통계자료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통계자료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에서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소정 기간 동안의 통계자료를 서로 비교하여 순위를 설정하고, 순위에 따른 소정의 포인트를 해당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statistical data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 the room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tatistical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operation The server may set the ranking by comparing the statistical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and provide a predetermined point according to the ranking to the corresponding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기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receive one 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ngine on which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from the server.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쉽고 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included in the indoor air as well as the outdoo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a single screen.

또한,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그에 따른 주의사항 및 적절한 행동지침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indoor and outdoor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 on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the precautions and appropriate action instructions accordingly.

또한, 특정 기준에 의해 다수의 미세먼지 농도 단계를 설정하고 해당 단계를 수치만 아니라 색상, 캐릭터 표정 등의 이용한 이미지, 음성으로 동시에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일반인과 더불어 장애인, 어린이, 노인 등의 취약 계층도 직관적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levels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and to inform the user at the same time not only numerical values but also images and voices using colors, character expressions, and the like. The layer also has the effect of intuitively check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더욱이, 사용자가 속한 기관의 일정 및 주요 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일정이나 주요 사항을 사용자에 의해 즉각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chedule and the main matters of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 user belongs, and also has the effect of modifying the schedule or the main matters by the user immedi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활동 지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 상태가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일정이 표시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식단에 대한 내역이 표시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ystem including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ctivity guide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ate of fine dust indoors and outdoors is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schedule is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details of a diet are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ed on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ystem including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포함된 시스템은,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 운영 서버(200), 공공데이터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including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n operation server 200, a public data server 300, and a user terminal. 400.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는, 공공데이터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본 실시예에서, 운영 서버(200)를 통해 공공데이터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provided by the public data server 300 on the screen. In this embodiment,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public server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200.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ata server 300 may be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그리고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에 포함된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50 included i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measured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는, 장치(100)를 사용하는 기관의 주요 일정이나 식단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에 표시되는 일정이나 식단 등에 대한 정보는 운영 서버(200)로부터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00)와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직접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일정이나 식단 등의 정보가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로 수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a main schedule or a diet of an institution using the device 100. In this case, information on a schedule or a diet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and display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direct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a schedule or a diet from the user terminal 400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s necessary. Can be displayed.

본 실시예에서, 운영 서버(200)는, 여러 장소에 위치한 다수의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를 통합 관리하며, 이를 위해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운영 서버(20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정보들을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예를 들어 일정이나 식단 등의 정보들을 식별자 정보 별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운영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해당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들인 일정이나 식단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operation server 200 integrates and manages a plurality of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s 100 located at various places, and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fine dust notifications us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The device 100 can be managed individually. That is,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classify and sto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For example,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such as a schedule or a diet for each identifier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a schedule or a di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from the user terminal 400.

또한, 운영 서버(200)는 공공데이터 서버(300)로부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공공데이터 서버(300)에서 수신되는 정보는 지역에 따른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운영 서버(200)는 공공데이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다수의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 각각이 위치한 지역에 따라 해당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영 서버(200)에는 다수의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from the public data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ublic data server 300 may be information abou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according to the region. Therefore, the operation server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transmitted from the public data server 300 according to the region w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s 100 is located,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for the region. Information about dust can be transmitted. To this end,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where a plurality of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s 100 are installed.

그리고 운영 서버(20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수신된 정보들을 공공데이터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measured by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public data server 300.

공공데이터 서버(300)는, 지역별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지역에 따른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운영 서버(200)는 지역에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데이터 서버(300)는 소정의 지역에 배치된 운영 서버(200)에 해당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public data server 300 manages information on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for each region. And 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according to the region to the operation server 200. In this case, a plurality of operation servers 200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regions. Therefore, the public data server 3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for the region to the operation server 200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region.

사용자 단말기(40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 또는 운영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 또는 운영 서버(200)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노트북, PC,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40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 또는 운영 서버(200)와 통신하여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 또는 운영 서버(200)에 사용자가 속한 기관의 주요 일정이나 식단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400 may communicate with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or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or the operation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a laptop, a PC, a smart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and the user may input necessary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400 communicates with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or the operation server 200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a main schedule or a diet of an institution to which the user belongs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or the operation server 200. Can be trans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활동 지침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activity guide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전원부(140), 측정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2,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 measurement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통신부(110)는, 운영 서버(200)와 통신을 하고, 운영 서버(200)로부터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운영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정보 또는 초미세먼지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운영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속한 기관의 주요 일정이나 식단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server 200 and receives information on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be fine dust information or ultrafine dust information on the region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locat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a main schedule or a diet of an institution to which the user belongs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또한, 경우에 따라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운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50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200.

저장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수신된 기관의 주요 일정이나 식단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20 stores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also stores information such as the main schedule or the diet of the received institution. And it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50.

표시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아, 저장부(120)에 저장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며, 또한, 주요 일정이나 식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는 수치와 함께 특정 기준에 의해 설정된 다수의 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색상이나 캐릭터의 표정이 표시되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액정디스플레이, LED 전광판, 특정 색상을 가진 램프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표시부(130)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는 스피커 장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and also displays information on major schedules and diets.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in which a color or a facial expression of a character is displayed to indicate a plurality of stages set by a specific criterion together with a numerical value. .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n LED display, a lamp having a specific color. In some cases, the display unit 130 may include a speaker device for outputting voice. 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device.

전원부(14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이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배터리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4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driv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be a battery.

측정부(15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50)는, 필요에 따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의 유해 요소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정부(150)는, 미세먼지 농도, 초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unit 150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nd may measure concentrations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cluded in surrounding air. 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150 may measure one or more of harmful elements such as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s necessary. To this end, the measurement unit 15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전원부(140) 및 측정부(15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운영 서버(200)에서 전송된 정보들을 저장부(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저장부(120)에 저장된 정보들을 표시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측정부(150)를 제어하여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storage unit 120, the display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40, and the measurement unit 150. That is,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torage unit 120 to stor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also display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You can control it to display. In addition, the measurement unit 150 may be controlled in real time to store the information about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50 in the storage unit 120 and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제어부(160)는 운영 서버(200)에서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는 농도에 따라 다수의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및 매우나쁨과 같은 등급을 나눌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when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for the region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located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It stores i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30.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played in a plurality of color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hat is, as shown in Table 1,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an be divided into grades such as good, normal, bad and very bad.

그리고 이렇게 네 개의 등급으로 나눈 상태에서, 좋음 등급(G1)은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보통 등급(G2)은 녹색으로 표시하며, 나쁨 등급(G3)은 노란색으로 표시하고, 매우나쁨 등급(G4)은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And in this division into four grades, the good grade (G1) is shown in blue, the normal grade (G2) is shown in green, the bad grade (G3) is shown in yellow, and the very poor grade (G4) It can be displayed in red.

등급ranking 초미세먼지 농도(μg/m3)Ultrafine dust concentration (μg / m 3 ) 미세먼지 농도(μg/m3)Fine dust concentration (μg / m 3 ) 좋음(G1)Good (G1) 0~150-15 0~300-30 보통(G2)Medium (G2) 16~3516-35 31~8031-80 나쁨(G3)Bad (G3) 36~7536-75 81~15081-150 매우나쁨(G4)Very bad (G4) 76~76 ~ 151~151 ~

이때,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대한 농도에 대한 정보는, 운영 서버(200)로부터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로 전송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즉,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정보가 구분되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운영 서버(200)로부터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로 전송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설치된 기관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정보이므로 실외 공기에 대한 정보이고,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에 포함된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위치한 실내의 공기에 대한 정보이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as well as the information on the area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the 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50 and It also includes information on ultrafine dust concentrations. That is, indoor and outdoor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formation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together.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so that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outdoor air. The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50 included i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information on the air in the room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located.

또한, 제어부(160)는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및 실외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Hybrid Particulate matter Grade, HPG)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2, the control unit 160 combines the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for indoor and outdoor to provide the user with one, the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grade (Hybrid Particulate matter Grade , HPG) can be calculated.

실내
실외
inside
Outdoor
좋음
(G1)
good
(G1)
보통
(G2)
usually
(G2)
나쁨
(G3)
Bad
(G3)
매우나쁨
(G4)
Very bad
(G4)
좋음(G1)Good (G1) HPG11HPG11 HPG21HPG21 HPG31HPG31 HPG41HPG41 보통(G2)Medium (G2) HPG12HPG12 HPG22HPG22 HPG32HPG32 HPG42HPG42 나쁨(G3)Bad (G3) HPG13HPG13 HPG23HPG23 HPG33HPG33 HPG43HPG43 매우나쁨(G4)Very bad (G4) HPG14HPG14 HPG24HPG24 HPG34HPG34 HPG44HPG44

이때,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HPG)은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grade (HPG) may be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HPG = (MAX(IPG2.5, IPG10) × 10) + MAX(OPG2.5, OPG10)HPG = (MAX (IPG2.5, IPG10) × 10) + MAX (OPG2.5, OPG10)

여기서, IPG2.5 및 IPG10은 각각 실내(Indoor)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농도 등급이고, OPG2.5 및 OPG10은 각각 실외(Outdoor)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농도 등급이다. 즉, MAX(IPG2.5, IPG10)는 특정 시점에 실내에서의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먼지 농도 중 높은 값이며, MAX(OPG2.5, OPG10)는 특정 시점에 실외에서의 미세먼지 농도와 초미세먼지 농도 중 높은 값이다.Here, IPG2.5 and IPG10 are indoor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concentration grades, respectively, and OPG2.5 and OPG10 are outdoor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concentration grades, respectively. That is, MAX (IPG2.5, IPG10) is the higher valu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indoors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MAX (OPG2.5, OPG10)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nd second High value among fine dust concentration.

본 실시예에서, 실내외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등급은 각각 4개의 등급(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등급에 따른 등급값(1~4)이 부여된다. 예를 들어, 실내 초미세먼지 농도 등급값이 2(보통), 실내 미세먼지 농도 등급값이 1(좋음)이면 MAX(IPG2.5, IPG10) 값은 2(보통)가 되고, 실외 초미세먼지 농도 등급값이 2(보통), 실외 미세먼지 농도 등급값이 3(나쁨)이면 MAX(OPG2.5, OPG10) 값은 3이 되어,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HPG)의 값은 수학식 1에 의해 2 × 10 + 3 = 23(표 2에서 HPG23에 해당)이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door and outdoor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grades can be divided into four grades (good, normal, bad, very bad), respectively, and the grade values 1 to 4 according to each grade are given. For example, if the indo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rating is 2 (normal) and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rating is 1 (good), the MAX (IPG2.5, IPG10) value is 2 (normal), and the outdoor ultrafine dust rating is 2 If the concentration grade value is 2 (normal) and the outdoor fine dust concentration grade value is 3 (bad), the MAX (OPG2.5, OPG10) value is 3, and the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grade (HPG)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2 × 10 + 3 = 23 (corresponding to HPG23 in Table 2).

그리고, 제어부(160)는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지침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위와 같이 수학식 1을 통해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을 산정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동 지침을 산정된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provide an activity guid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class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calculate the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grade through Equation 1 as above, and display the activity guide as shown in FIG. 3 on the display unit 13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grade. hav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처리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62)는, 측정부(15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장소에 따라 월간 또는 연간 통계자료를 생성하고, 생성된 자료를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62)는 생성된 자료를 표시부(130)에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processor 162. The processor 162 may generate monthly or yearly statistical data according to the measured location using the data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150, and store the generated data in the storage 120. In addition, the processor 162 may visually display the generated data on the display 130 so that a user can check it.

또한, 처리부(162)에서 처리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공개 가능한 자료인지 여부를 수신할 수 있고, 공개 가능한 자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처리부(162)에서 생성된 자료는 통신부(110)을 통해 운영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운영 서버(20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자료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소정의 기간 동안의 자료를 서로 비교하여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버(200)는 순위에 따라 소정의 포인트를 해당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된 소정의 포인트는, 해당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미세먼지와 관련된 용품을 구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운영 서버(200)는, 제공하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세먼지 관련 용품을 구입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62 may receive whether or not the data can be published from the user,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data can be published, the data generated by the processing unit 162 is ope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ccordingly,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compare the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and set the ranking by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provide a predetermined point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anking. Here, the provided predetermined point may be used by a user who uses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to purchase an article related to fine dust. That is, the operation server 200 may provide a service for a user to purchase fine dust-related goods by using the points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is show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ample of the figure.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는, 표시부(130)에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운영 서버(200)에서 전송된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해당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가 표시부(13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4 to 7,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scree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on the display unit 130. That is,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30,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to the display unit 130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30 to display the loc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based on the identifier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따라서 운영 서버(200)에서 수신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좋은 경우,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좋음을 표시하고, 파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보통인 경우, 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을 표시하고,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인 경우, 제어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쁨을 표시하고,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나쁨인 경우, 제어부(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나쁨을 표시하고,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ne dust 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is good,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good, and may be displayed in blue. When the fine dust or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is normal,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normal and green. When the fine dust 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is bad,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bad and display yellow. In addition, when the fine dust or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is very bad, as shown in FIG. 7, the controller 160 may display very bad, and may be displayed in r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 상태가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ate of fine dust indoors and outdoors is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가 설치된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측정부(150)에서 측정하여, 실내 및 실외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동시에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사용자가 행동할 수 있는 요령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160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in the room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is installed by the measuring unit 150, and the indoor and outdoor fine dust and the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may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user may be displayed along with tips for acting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fine dust ratin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일정이 표시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 식단에 대한 내역이 표시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schedule is displayed on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details of the diet are displayed.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운영 서버(200)에서 수신된 사용자가 속한 기관의 주요 일정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운영 서버(200)에서 사용자가 속한 기관의 주요 일정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하며, 해당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주요 일정에 대한 정보는 상시적으로 표시부(130)에 표시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앞서 설명한 도 4 내지 도 8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시간에 따라 번갈아가며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display 130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a main schedule of an organization to which a user belongs, received by the operation server 200. That is, the controller 16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main schedule of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 user belongs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120,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30. do.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main schedu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t any ti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time of any one of FIGS. 4 to 8 described above. Can be displayed as it goes.

또한, 경우에 따라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에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 등이 배치될 수 있어, 해당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a button for chang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disposed i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and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changed every time the corresponding button is pressed. Can be.

그리고 제어부(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속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식단이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display 130 to display the diet provided by the institution to which the user belongs.

상기와 같은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주요 일정 및 식단 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영 서버(200)에서 수신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운영 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운영 서버(200)에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접속할 때,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schedule and the die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may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200. To correct this, the user may access the operation server 200 using the user terminal 400 and modify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operation server 200 using the user terminal 400, the user may modif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us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직접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와 통신하여 주요 일정 및 식단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400)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1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user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using the user terminal 400 to modify information on the main schedule and diet.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40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0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0: 미세먼지 알림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표시부
140: 전원부
150: 측정부
160: 제어부
200: 운영 서버
300: 공공데이터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100: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110: communication unit
120: storage unit
130: display unit
140: power supply
150: measuring unit
160: control unit
200: production server
300: public data server
400: user terminal

Claims (5)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 측정부, 저장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정보를 다수의 등급으로 나누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실외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HPG)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실내외 통합 미세먼지 등급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지침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
[수학식 1]
HPG = (MAX(IPG2.5, IPG10) × 10) + MAX(OPG2.5, OPG10)
여기서, IPG2.5 및 IPG10은 각각 실내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농도 등급이고, OPG2.5 및 OPG10은 각각 실외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 농도 등급이다.
In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for the area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located from the server;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 the room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information on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he measurement unit, the storage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o display the fine dust and ultra fine dus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lurality of grades.
The control unit, using indoor and outdoor fine dust concentration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he indoor a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d in the measurement unit by the following formula 1 indoor and indoor integrated fine dust grade (HPG ),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user's activity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door and outdoor integrated dust level.
[Equation 1]
HPG = (MAX (IPG2.5, IPG10) × 10) + MAX (OPG2.5, OPG10)
Here, IPG2.5 and IPG10 are indoor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concentration grades, respectively, and OPG2.5 and OPG10 are outdoor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concentration grades, respectivel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운영 서버이며,
상기 운영 서버는, 다수의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공데이터 서버로부터 각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대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is a production server,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for each region from a public data server that manages real-time data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for a plurality of regions,
The operation server, the fine dust,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information for the area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us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Dust notification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실내의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통계자료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통계자료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에서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따라 소정 기간 동안의 통계자료를 서로 비교하여 순위를 설정하고, 순위에 따른 소정의 포인트를 해당 미세먼지 알림 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statistical data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in the room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and by transmitting the generated statistical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omparing the statistical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operation server to set the ranking, and to provide a predetermined point according to the ranking to th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 알림 장치가 설치된 기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receive at least one information about the engine is installed fine dust notification device from the server.
KR1020190112517A 2019-09-11 2019-09-11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KR102078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517A KR102078669B1 (en) 2019-09-11 2019-09-11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517A KR102078669B1 (en) 2019-09-11 2019-09-11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669B1 true KR102078669B1 (en) 2020-02-18

Family

ID=6963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517A KR102078669B1 (en) 2019-09-11 2019-09-11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6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91B1 (en) * 2020-08-11 2021-09-03 이노디지털(주) air-quality measurement device of digital clock-integrated type for presenting indoor-to-outdoor air-quality comparative analysis by use of open data ser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44A (en) 2000-07-15 2002-01-29 송미영 Method for monitoring air pollution at real time
KR20160020745A (en) 2014-08-14 2016-02-24 영진기술 주식회사 Ultrafine particle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ystem
KR20180040873A (en) * 2016-10-13 2018-04-23 우연정 Fine Dus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097911A (en) * 2018-02-13 2019-08-2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Air cleanliness sharing service system and mobile device displaying air cleanlin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44A (en) 2000-07-15 2002-01-29 송미영 Method for monitoring air pollution at real time
KR20160020745A (en) 2014-08-14 2016-02-24 영진기술 주식회사 Ultrafine particle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system
KR20180040873A (en) * 2016-10-13 2018-04-23 우연정 Fine Dus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097911A (en) * 2018-02-13 2019-08-21 (주)포인트엔지니어링 Air cleanliness sharing service system and mobile device displaying air cleanlin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91B1 (en) * 2020-08-11 2021-09-03 이노디지털(주) air-quality measurement device of digital clock-integrated type for presenting indoor-to-outdoor air-quality comparative analysis by use of open data ser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163B2 (en) Environm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969131B2 (en) Sensor with halo light system
JP6941619B2 (en) Intelligent safety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fo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100449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co-location
CN109310524A (en) Hearing protector with the position for actively avoiding sound danger and sound monitoring sensor
CN1595371B (en) Notification light, location and rule for computer system
US11277893B2 (en) Thermostat with area light system and occupancy sensor
US9621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uraging inappropriate use of a mobile device
KR102078669B1 (en) Fine particle informating device
KR100800023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resources for calamity confrontation
CN108366230A (en) Civil air defense constructions and installations monitoring system and visualization interconnection platform
CN106846216A (en) Hall management system integration method
Kymäläinen et al. Evaluating a future remote control environment with an experience-driven science fiction prototype
JP2021141589A (en) Wearable terminal, system, and display method
US2014009540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afety information
KR102007643B1 (en) Alarm device
CN112634099A (en) Practic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big data and readable storage medium
TW201322027A (en) Multi-layer building chart monitoring system
US20150356475A1 (en) Feedback mechanisms for insurance workflow optimization
KR101234176B1 (en) Illumination management device
JP2018081697A (en) System and wearable terminal
WO20221765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4117000A1 (en)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equipment control method
WO2022181152A1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environment control method
Asker Standards related to the design of VDT workstations and their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