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628B1 -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628B1
KR102078628B1 KR1020150081550A KR20150081550A KR102078628B1 KR 102078628 B1 KR102078628 B1 KR 102078628B1 KR 1020150081550 A KR1020150081550 A KR 1020150081550A KR 20150081550 A KR20150081550 A KR 20150081550A KR 102078628 B1 KR102078628 B1 KR 10207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arrier
contacts
receptacle connector
contact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854A (ko
Inventor
최정훈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6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제 1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미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 제 2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 1 인슐레이터와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 제 2 인슐레이터에 RFI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 및 RFI 패드가 결합된 제 2 인슐레이터를 쉘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BRICATING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로운 USB 규격인 C 타입(type-c) USB 커넥터의 세부 정보가 IDF(Intel Developer Forum)에서 공개되었다. C 타입 USB 커넥터는 USB 2.0 Micro-B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방향에 구애받지 않아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C 타입 USB 커넥터는 기존 USB 3.0보다 2배 빠른 10Gbps에 이르는 전송속도를 가지며, 100W까지 전력 공급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예상된다.
C 타입 USB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컨택트 어레이, 제 2 컨택트 어레이, 미드 플레이트 등 많은 수의 구성 부품을 포함하는데, 이들 구성 부품들을 이용하여 C 타입 USB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하는 효과적인 공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C 타입 USB 리셉터클 커넥터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조 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하는 중에 불량으로 판정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제 1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미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 제 2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RFI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RFI 패드가 결합된 제 2 인슐레이터를 쉘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제 1 캐리어에 부착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제 2 캐리어에 부착된 상기 미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는,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어레이와의 접점을 제공하는 접점부와, PCB에 실장되는 실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실장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는,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와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의 실장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와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는 타이(tie)를 통해 서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컷팅 홈을 통해,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타이를 컷팅(cutt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컷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 각각의 사이의 영역들에서 상기 타이를 복수 회에 걸쳐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택트들 각각의 사이의 영역들 중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타이와, 상기 제 1 영역과 인접한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타이는 동일 회차의 컷팅 공정에서 함께 컷팅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보호단자, 및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최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보호단자로 구성된 컨택트 보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상기 미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사출 성형기 내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에 부착된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중 제 1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캐리어에 부착된 제 1 인슐레이터와, 제 3 캐리어에 부착된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상기 제 2 사출 성형기 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가 상기 제 2 사출 성형기 내에 위치될 때, 상기 제 2 캐리어와 상기 제 3 캐리어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사출된 제 2 인슐레이터에 부착된 제 2 캐리어와 제 3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의 불량 검사를 하여, 불량으로 확인된 제 1 인슐레이터에 부착된 제 2 캐리어에 불량 표시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와, 제 3 캐리어에 부착된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FI 패드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캐리어에 불량 표시가 되지 않은 제 2 인슐레이터에 대해서만 상기 RFI 패드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는,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와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의 실장부 각각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출 성형기의 몰딩 재료가 상기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의 실장부에는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가 쉘의 내부로 삽입됨을써, 제조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불량 검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불량 검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감합부 검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컨택트의 수직 평탄도 검사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컨택트의 수평 평탄도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출 성형기의 몰딩 재료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텅(tongue) 부 중 정면부에는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사출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사출시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는, 상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상기 쉘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 홈에 체결되면서 상기 쉘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RFI 패드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텅 부의 일 면에 제 1 서브 RFI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텅 부의 타 면에 제 2 서브 RFI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RFI 패드 및 상기 제 2 서브 RFI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외부로 돌출된 미드 플레이트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결합 홈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 홈의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 홈은 웰딩(welding)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적어도 일부의 피치(pitc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적어도 일부의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시, 각 구성 부품들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하는 중에 불량으로 판정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부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제 1 캐리어에 부착된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제 2 캐리어에 부착된 미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제 1 캐리어에 부착된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제 1 캐리어에 부착된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타이의 컷팅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인슐레이터의 제 2 캐리어에 불량 표시를 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제 1 인슐레이터의 저면도이고, 도 8(b)는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제 1 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 1 인슐레이터가 사출될 때의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과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컨택트들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9(b)는 제 1 인슐레이터가 사출될 때의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과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컨택트들을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인슐레이터가 사출될 때의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과 제 1 컨택트 어레이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들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제 3 캐리어에 부착된 제 2 컨택트 어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캐리어와 제 3 캐리어에 부착된 제 2 인슐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3(a)는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제 2 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제 2 인슐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인슐레이터에 RFI 패드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제 2 인슐레이터가 쉘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연결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부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부품들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부품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부품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구성 부품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 제 1 컨택트 어레이(130), 미드 플레이트(150),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10), 제 2 컨택트 어레이(230), 쉘(300) 및 RFI 패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 및 미드 플레이트(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제 1 인슐레이터(100)(도 5 참조)를 구성한다. 제 1 인슐레이터(100)는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의 내부에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를 제 1 사출 성형기(미도시)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뒤,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 내부로 몰딩 재료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는 제 1 사출 성형기 내로 주입된 몰딩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의 재질은 예를 들어, 도전성의 금속일 수 있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일부의 컨택트(131)들은 표면 실장 구조를 가지고, 다른 일부의 컨택트(131)들은 딥 솔더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10)는 제 1 인슐레이터(100) 및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내부에 포함하여 제 2 인슐레이터(200)(도 12 참조)를 구성한다. 제 2 인슐레이터(200)는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10)의 내부에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와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와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제 2 사출 성형기(미도시)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뒤, 제 2 사출 성형기의 금형 내부로 몰딩 재료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10)는 제 2 사출 성형기 내로 주입된 몰딩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재질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일 수 있다.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모든 컨택트(231)들은 표면 실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는 다수개의 컨택트(131, 23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열 방향으로 배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될 플러그 커넥터에게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PCB에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저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후방 영역은 PCB에 실장되는 실장부(130a, 230a)이며,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전방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 어레이와의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점부(130b, 230b)이다.
미드 플레이트(15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 사이에 위치된다. 미드 플레이트(15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를 통해 흐르는 신호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통해 흐르는 신호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미드 플레이트(15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를 통해 흐르는 신호가 발산될 때, 해당 신호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가 아닌 접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드 플레이트(150)는 결합 돌기(152)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돌기(152)와 도 1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대응 돌기(12)는 서로 맞물리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10)를 서로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152)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거나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플러그 커넥터(10)의 대응 돌기(12)와 맞물리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일정 정도 방해하는 걸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정확하게 분리되었는지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드 플레이트(15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200) 중 제 1 컨택트 어레이(130) 및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접점부(130b, 230b)가 배치되는 영역(텅(tongue) 영역)에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130), 제 2 컨택트 어레이(230) 및 미드 플레이트(150)의 체결 또는 조립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쉘(3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방에서 제 2 인슐레이터(200)를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쉘(300)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00)를 내부에 수용함과 동시에 솔더부(310)를 통해 PCB에 실장될 수 있다.
RFI 패드(40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도중에 컨택트 어레이(130, 230)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통해 고속의 신호가 흐르면, 어느 하나의 컨택트를 통해 흐르는 신호가 다른 컨택트에 흐르는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접지와 연결되는 RFI 패드(400)는 어느 하나의 컨택트를 통해 흐르는 신호가 발산될 때, 발산되는 신호를 다른 컨택트가 아닌 RFI 패드(400)로 흐르게 함으로써, 컨택트 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S210 단계에서, 제 1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를 포함하는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사출한다. 제 1 사출 성형기는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을 포함하며, 금형 내에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금형 내로 몰딩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한 후,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사출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140) 및 제 2 캐리어(160)를 이용하여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를 제 1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220 단계에서, 제 2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 1 인슐레이터(10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포함하는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사출한다. 제 2 사출 성형기는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을 포함하며, 금형 내에 제 1 인슐레이터(10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금형 내로 몰딩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한 후,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사출할 수 있다.
제 3 캐리어(240)를 이용하여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제 2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230 단계에서, 사출된 제 2 인슐레이터(200)에 RFI 패드(400)를 결합한다. RFI 패드(40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접점부(130b, 230b)의 후방 영역, 예를 들어,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텅 부(도 14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RFI 패드(400)가 결합된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쉘(300)의 내부로 삽입시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프레스(press) 성형기에 의해 형성된 구성 5종 (제 1 컨택트 어레이(130), 제 2 컨택트 어레이(230), 미드 플레이트(150), RFI 패드(400) 및 쉘(300))과 사출 성형기에 의해 형성된 구성 2종 (제 1 인슐레이터(100) 및 제 2 인슐레이터(200))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사출 과정 및 제 1 인슐레이터(100)의 형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제 1 캐리어(140)에 부착된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제 2 캐리어(160)에 부착된 미드 플레이트(150)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제 1 캐리어(140)에 부착된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제 1 캐리어(140)에 부착된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측면도이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를 제 1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킬 때,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에 부착된 제 1 캐리어(140)와, 미드 플레이트(150)에 부착된 제 2 캐리어(160)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140)와 제 2 캐리어(16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를 제 1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킬 때, 제 1 사출 성형기 내에서의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 각각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3(a)를 참조하여, 제 1 캐리어(140)에 대해 살펴보면, 제 1 캐리어(14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실장부(130a)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컨택트 어레이(130)는 복수의 컨택트(131)들로 구성되되, 복수의 컨택트(131)들 중 일부의 컨택트(131)들은 표면 실장용(surface mounting) 컨택트(133)들이고, 나머지 컨택트(131)들은 딥 솔더링(dip soldering)용 컨택트(132)들일 수 있다. 이 때, 제 1 캐리어(140)는 표면 실장용 컨택트(133)들의 실장부(130a)에 부착될 수 있다.
딥 솔더링은 컨택트가 PCB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행해지며, 표면 실장은 컨택트의 표면과 PCB의 표면이 용접되는 방식이므로,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들의 단부는 PCB를 향하는 방향, 즉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표면 실장용 컨택트(133)들의 단부는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 1 캐리어(140)를 표면 실장용 컨택트(133)들의 실장부(130a)의 단부에 부착시킴으로써, 제 1 캐리어(140)의 형상이 단순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1 캐리어(140) 중 컨택트들과 연결되는 부위(142)(도 4(a) 참조)의 단부면과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들의 단부면을 서로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캐리어(140)의 연결 부위(142)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벤딩(bending)시켜야 하지만, 제 1 캐리어(140)를 표면 실장용 컨택트(133)들의 실장부(130a)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 부위(142)를 벤딩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제 1 캐리어(140)가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131)들 중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를 제외한 표면 실장용 컨택트(133)에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컨택트(131)들 사이의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각 컨택트(131)들은 타이(tie)(13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2 캐리어(160)는 미드 플레이트(150)에 부착되는데, 제 1 캐리어(140)가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후방에 위치되는데 반해, 제 2 캐리어(160)는 미드 플레이트(15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와 미드 플레이트(150)가 제 1 인슐레이터를 형성하도록 제 1 사출 성형기에 위치되었을 때, 제 1 캐리어(140)와 제 2 캐리어(160)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캐리어(14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보호를 위한 컨택트 보호 단자(145)를 포함한다. 컨택트 보호 단자(145)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가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에서 다른 물체와 충돌함으로써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보호 단자(145)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를 구성하는 컨택트(131)들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보호 단자(146), 및 제 1 컨택트 어레이(130)를 구성하는 컨택트(131)들의 최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보호 단자(147)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타이(134)의 컷팅 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제 2 캐리어(160)에 불량 표시를 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캐리어(140)가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에 부착되고, 제 2 캐리어(160)가 미드 플레이트(15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사출이 이루어진다.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사출되면, 제 1 캐리어(140)와 제 2 캐리어(160) 중 제 1 캐리어(140)가 제거된다. 제 1 캐리어(140)만이 제거되는 이유는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사출을 위해, 제 1 캐리어(140)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된 제 3 캐리어(240)(도 12 참조)에 부착된 제 2 컨택트 어레이(230)가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상부에 놓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인슐레이터(100)에는 타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컷팅 홈(101)이 생성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사출되면,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컷팅 홈(101)을 통해 타이(134)가 컷팅된다. 제 1 인슐레이터(100)를 구성하는 각 컨택트(131)들 각각은 서로 독립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들 컨택트(131)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131)들을 보호하기 위해, 컷팅 공정은 복수 회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타이(134)는 컨택트(131)들 각각의 사이의 영역(135)들에서 컨택트(131)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데, 제 1 영역(135a)에 위치하는 타이(134)와, 제 1 영역(135a)에 인접한 제 2 영역(135b)에 위치하는 타이(134)는 동일 회차의 컷팅 공정에서 함께 컷팅되지 않는다. 대신에, 제 1 영역(135a)에 위치하는 타이(134)와 제 3 영역(135c)에 위치하는 타이(134)가 동일 회차의 컷팅 공정에서 함께 컷팅될 수 있다. 만약, 제 1 영역(135a)에 위치하는 타이(134)와 제 2 영역(135b)에 위치하는 타이(134)가 함께 컷팅될 때, 제 1 영역(135a)과 제 2 영역(135b) 사이에 위치하는 컨택트(131a)에게 압력이 가해지므로, 타이(134)에 의해 전혀 지지되지 않는 컨택트(131a)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캐리어(140)와 타이(134)가 제 1 인슐레이터(100)로부터 제거되면, 제 1 인슐레이터(100)의 불량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로 제 1 인슐레이터(100)를 검사하여,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위치,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들의 피치, 미드 플레이트(150)의 위치, 타이(134)의 제거 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00)가 불량이라고 판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100)에 부착된 제 2 캐리어(160)에 불량 표시(162)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캐리어(140)와 제 2 캐리어(160) 각각은 복수 개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연속적으로 사출되고, 연속적으로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100)로부터 제 1 캐리어(140)가 제거된다. 연속적으로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100) 중 불량으로 판정된 제 1 인슐레이터(100)를 바로 취출하기 어렵기 때문에(제 1 인슐레이터(100)의 취출을 위해서는 서로 연결된 제 2 캐리어(160)들을 분리해야 한다), 차후의 취출을 위하여 불량으로 판정된 제 1 인슐레이터(100)에 부착된 제 2 캐리어(160)에 불량 표시(162)를 하는 것이다.
도 8(a)는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저면도이고, 도 8(b)는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a)는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사출될 때의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과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들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9(b)는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사출될 때의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과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들을 도시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사출될 때의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과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들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100)에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들 각각의 피치(pitc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103)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사출될 때, 제 1 사출 성형기에는 가이드 홈(103)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출부(910)를 포함하는 금형(900)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돌출부(910)는 몰딩 재료가 경화될 때, 제 1 컨택트 어레이(130)의 컨택트(131)들이 좌우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가장자리에 위치한 컨택트(131)의 근처에만 가이드 홈(103)이 위치하는 경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900)에는 가이드 홈(103)에 대응하는 돌출부(910)가 위치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910)가 컨택트(131)들 사이사이 마다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a)와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100)에는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의 실장부(130a) 각각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105) 각각은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의 단부 각각이 하부 방향을 정확하게 향하도록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를 고정 지지한다. 제 1 사출 성형기는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홈(1010)이 마련된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금형(1000)과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들 사이의 영역(1030)으로 몰딩 재료가 주입되고, 경화된 몰딩 재료는 고정부(105)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사출 과정 및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형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제 3 캐리어(240)에 부착된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제 2 캐리어(160)와 제 3 캐리어(240)에 부착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3(a)는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는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233)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는 제 3 캐리어(24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캐리어(240)는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실장부(230a)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 3 캐리어(240)에는 제 1 캐리어(140)와 같이, 컨택트 보호 단자(245)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와 제 1 인슐레이터(100)가 제 2 사출 성형기에 위치될 때, 제 2 캐리어(160)와 제 3 캐리어(240)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도 12를 보면, 제 2 캐리어(160)와 제 3 캐리어(24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사출시 제 1 인슐레이터(100)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지지 홈(2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사출 성형기의 금형은 제 1 지지 홈(203)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사출시, 제 1 지지 홈(203)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제 1 인슐레이터(100)를 고정 지지하여, 몰딩 재료가 경화되는 동안, 제 1 인슐레이터(10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사출시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지지 홈(20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사출 성형기의 금형은 제 2 지지 홈(204)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사출시, 제 2 지지 홈(204)의 형상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제 2 컨택트 어레이(230)를 고정 지지하여, 몰딩 재료가 경화되는 동안,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상면에는 결합 돌기(206)가 마련되며, 결합 돌기(206)는 후술할 쉘(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 홈과 체결될 수 있다.
도 13(a)를 보면, 제 2 인슐레이터(200)는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텅 부(201)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사출할 때, 몰딩 재료가 텅 부(201)의 정면부(202)에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텅 부(201)의 정면부(202)는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와 자주 충돌하는 부위(리셉터클 커넥터의 텅 부(201)의 정면부(202)와 어떠한 충돌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하는 것은 쉽지 않다)이다. 만약,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위한 몰딩 재료가 텅 부(201)의 정면부(202)에 부착되면, 텅 부(201)의 정면부(202)는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위한 몰딩 재료층과,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위한 몰딩 재료층, 즉 2개 층으로 형성되므로, 플러그 커넥터와의 충돌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위한 몰딩 재료층이 벗겨질 수 있다. 따라서, 텅 부(201)의 정면부(202)를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위한 몰딩 재료만으로 형성하여, 텅 부(201)의 정면부(202)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인슐레이터(100)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상면에도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컨택트들의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205)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사출 성형기는 가이드 홈(205)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금형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돌출부는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위한 몰딩 재료가 경화되는 동안, 제 2 컨택트 어레이(230)의 컨택트들이 좌우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또한, 도 13(b)를 보면,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사출 공정에서 생성된 복수의 고정부(105)에는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위한 몰딩 재료가 부착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 2 사출 성형기의 금형의 형상을 단순화 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1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의 실장부(130a)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정부(105)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사출 성형기의 금형에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132)에 대응하는 홈(1010)이 마련되어야 하나, 제 2 사출 성형기에는 그러한 홈이 마련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사출이 완료되면, 제 2 인슐레이터(200)에 부착된 제 2 캐리어(160)와 제 3 캐리어(240)가 제거된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량으로 판정된 제 1 인슐레이터(100)의 제 2 캐리어(160)에는 불량 표시(162)가 되어 있으므로, 불량 표시(162)가 된 제 2 캐리어(160)에 부착된 제 2 인슐레이터(200)는 취출되어 폐기될 수 있다.
취출되어 폐기되지 않은 제 2 인슐레이터(200)에는 RFI 패드(400)가 결합된다. 도 14는 제 2 인슐레이터(200)에 RFI 패드(40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 패드(400)는 제 1 서브 RFI 패드(410)와 제 2 서브 RFI 패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RFI 패드(410)와 제 2 서브 RFI 패드(430) 각각에는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텅 부로 돌출되는 미드 플레이트(150)의 결합 돌기(154)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412, 432)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 1 서브 RFI 패드(410)의 제 1 결합 홈(412)이 결합 돌기(154)를 수용하면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일면, 예를 들어, 상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 홈(412)은 결합 돌기(154)와 대향하는 내측으로는 오목하고,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표면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 1 결합 홈(412)은 관통공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 1 결합 홈(412)이 관통공인 경우, 결합 돌기(154)는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것이다.
제 1 서브 RFI 패드(410)가 제 2 인슐레이터(200)에 장착된 후, 제 2 서브 RFI 패드(430)의 제 2 결합 홈(432)이 결합 돌기(154) 또는 외측으로 볼록한 제 1 결합 홈(412)을 수용하면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타면, 예를 들어,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 홈(432)은 관통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 2 결합 홈(432)은 내측으로 오목하고,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표면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결합 돌기(154)는 제 1 결합 홈(412) 또는 제 2 결합 홈(432)과 웰딩(welding)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a)는 제 2 인슐레이터(200)가 쉘(3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 2 인슐레이터(200)에 RFI 패드(400)가 결합되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200)가 후방에서 쉘(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도 15(b)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제조가 완성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206)(도 13(a) 참조)는 쉘(300)의 내측면과 끼워맞춤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00)가 쉘(30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500)가 제조되면, 제조된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불량 검사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500)에 대한 불량 검사는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전방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감합부 검사,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측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컨택트의 수직 평탄도 검사 및 리셉터클 커넥터(500)의 후방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컨택트의 수평 평탄도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합부 검사는 리셉터클 커넥터(5000를 이루는 각 구성들이 서로 간에 잘 조립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검사이며, 수직 평탄도 검사는 컨택트들(131, 231) 중 상하 방향으로 휜 컨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검사이고, 수평 평탄도 검사는 컨택트들(131, 231) 중 좌우 방향으로 휜 컨택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하는 검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시, 각 구성 부품들의 위치가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조하는 중에 불량으로 판정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 1 인슐레이터 110: 제 1 인슐레이터 몸체
130: 제 1 컨택트 어레이 130a: 실장부
130b: 접점부 131: 컨택트
132: 딥 솔더링용 컨택트 133: 표면 실장용 컨택트
134: 타이 140: 제 1 캐리어
145: 컨택트 보호 단자 150: 미드 플레이트
160: 제 2 캐리어 200: 제 2 인슐레이터
210: 제 2 인슐레이터 몸체 230: 제 2 컨택트 어레이
230a: 실장부 230b: 접점부
231: 컨택트 233: 딥 솔더링용 컨택트
240: 제 3 캐리어 245: 컨택트 보호 단자
300: 쉘 400: RFI 패드
500: 리셉터클 커넥터

Claims (16)

  1. 제 1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미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
    제 2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와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 RFI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RFI 패드가 결합된 제 2 인슐레이터를 쉘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제 1 캐리어에 부착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와, 제 2 캐리어에 부착된 상기 미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출 성형기로 몰딩 재료를 주입하여,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는,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와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의 실장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와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는 타이(tie)를 통해 서로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컷팅 홈을 통해,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타이를 컷팅(cutt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 각각의 사이의 영역들에서 상기 타이를 복수 회에 걸쳐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택트들 각각의 사이의 영역들 중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타이와, 상기 제 1 영역과 인접한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타이는 동일 회차의 컷팅 공정에서 함께 컷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최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보호단자, 및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최하단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보호단자로 구성된 컨택트 보호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를 서로 대향하여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에 부착된 상기 제 1 캐리어와 상기 제 2 캐리어 중 제 1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캐리어에 부착된 제 1 인슐레이터와, 제 3 캐리어에 부착된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상기 제 2 캐리어와 상기 제 3 캐리어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사출 성형기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사출된 제 2 인슐레이터에 부착된 제 2 캐리어와 제 3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사출된 제 1 인슐레이터의 불량 검사를 하여, 불량으로 확인된 제 1 인슐레이터에 부착된 제 2 캐리어에 불량 표시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는,
    복수의 표면 실장용 컨택트와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로 구성되되,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의 실장부 각각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출 성형기의 몰딩 재료가 상기 복수의 딥 솔더링용 컨택트의 실장부에는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가 쉘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조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불량 검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불량 검사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감합부 검사,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컨택트의 수직 평탄도 검사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수행되는 컨택트의 수평 평탄도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사출 성형기의 몰딩 재료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텅(tongue) 부 중 정면부에는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를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사출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사출시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슐레이터는,
    상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상기 쉘의 내측면과 끼워맞춤되어 상기 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 패드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텅 부의 일 면에 제 1 서브 RFI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텅 부의 타 면에 제 2 서브 RFI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서브 RFI 패드 및 상기 제 2 서브 RFI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외부로 돌출된 미드 플레이트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결합 홈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 홈의 내부로 수용되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결합 홈은 웰딩(welding)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적어도 일부의 피치(pitc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에는,
    상기 제 2 컨택트 어레이를 구성하는 컨택트들의 적어도 일부의 피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50081550A 2015-06-09 2015-06-09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7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50A KR102078628B1 (ko) 2015-06-09 2015-06-09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550A KR102078628B1 (ko) 2015-06-09 2015-06-09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54A KR20160144854A (ko) 2016-12-19
KR102078628B1 true KR102078628B1 (ko) 2020-02-19

Family

ID=5773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550A KR102078628B1 (ko) 2015-06-09 2015-06-09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421B1 (ko) * 2018-02-12 2023-02-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방법
CN108808416B (zh) * 2018-06-14 2023-11-24 东莞市良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USB Type-C连接器及其制作工艺
US20240146006A1 (en) * 2021-03-26 2024-05-02 Ls Mtron Ltd.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71B1 (ko) 2013-05-24 2014-07-0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62B1 (ko) * 2012-12-14 2014-08-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쉘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71B1 (ko) 2013-05-24 2014-07-0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854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544B2 (en) Connector with waterproof structure
US2018021235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outer shell
US6219913B1 (en) Connector producing method and a connector produced by insert molding
TWI569526B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TW201725794A (zh) 電連接器及其製造方法
US10116107B2 (en) Connector production method and connector
TWI754647B (zh) 電連接器
KR10211270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9871318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er between conatct module and outer shell
KR102078628B1 (ko)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방법
CN101158737A (zh) 用于光纤终结的插头-插座连接器设备
CN107293876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17011767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auxiliary contact
US8241069B2 (en) Connector
CN105305133A (zh) 电连接器
CN106207552A (zh) 电连接器
US20210111509A1 (en) Waterproof usb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4577396A (zh) 电连接器组合
CN205070053U (zh) 线缆连接器
US9472891B2 (en) Signal transmission module with reliable sealing structure
CN108270106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19022948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upper ground contact soldered to lower ground contact during a molding operation
CN105449460B (zh) 电连接器及其组装方法
KR101435662B1 (ko) 쉘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플러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107579380B (zh) 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