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348B1 -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348B1
KR102078348B1 KR1020180081217A KR20180081217A KR102078348B1 KR 102078348 B1 KR102078348 B1 KR 102078348B1 KR 1020180081217 A KR1020180081217 A KR 1020180081217A KR 20180081217 A KR20180081217 A KR 20180081217A KR 102078348 B1 KR102078348 B1 KR 10207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user
unit
snoring
stat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290A (ko
Inventor
김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포생활건강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포생활건강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포생활건강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8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3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2Detecting sleep stages or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골이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은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코골이 소리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수면상태감지부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사용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팽창부가 형성되어 있는 매트유닛과, 상기 수면상태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매트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SYSTEM FOR SENS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SLEEP APNEA}
본 발명은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코골이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면 무호흡(Sleep Apnea)이란 수면 중에 호흡의 정지가 일어나는 증상으로, 수면 중 10초 이상의 무호흡 상태가 시간당 5번 이상 발현되거나, 7시간 기준으로 30번 이상 발현되는 수면 장애 증상을 의미하며, 코골이 환자들에게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현대인의 질병이다.
이러한 수면 무호흡은 집중력 저하, 동맥혈 내 산소포화도 감소로 인한 고혈압, 부정맥, 뇌졸중, 심근경색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수면 중 심장마비, 돌연사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수면 무호흡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그에 대한 치료방식을 마련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기존의 수면 무호흡 감지방식은 수면 다원 감지방식, CCD 카메라를 이용한 감지방식, 외복 형태의 수면 무호흡 감지방식, 호흡에 의한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방식, ECG 전극을 이용한 흉강 임피던스 감지방식이 존재하며, 그 중에서 외복 형태의 수면 무호흡 감지방식과 호흡에 의한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외복 형태의 수면 무호흡 감지방식은 환자들의 신체에 외복 형태의 센서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장시간 감지하는 방식인바, 환자들이 답답함과 불편함으로 인해 정상적인 수면상태에 이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호흡에 의한 온도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방식은 환자의 코와 입을 통한 날숨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호흡에 의한 주변의 온도 변화를 온도 센서를 이용해 감지하고, 이를 통해 수면 무호흡 상태를 감지하는 방식이며, 온도 센서가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므로 감지에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수면 무호흡의 치료방식은 크게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 양압 공급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 구강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 등이 제안되어 왔으며, 그 중에 착용이 용이하고 부작용 및 후유증이 적은 구강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방식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구강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는 구체적으로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확보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을 방지하는 장치와, 연구개 및 목젖을 상측으로 압박하여 기도를 확보해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을 방지하는 장치로 분류된다 그러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는 장치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수면중에 계속 착용해야 하는바, 환자가 불편함과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며, 연구개 및 목젖을 상측으로 압박하는 장치는 착용감이 매우 떨어져 환자에 따라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장치 모두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거나 호전되는 경우 그에 맞는 새로운 장치를 제작해야 하는바, 시간 및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까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4279호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140426호 : 수면코골이감지 및 무호흡방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코골이 소리를 통해 수면상태를 감지하고, 숙면을 유도하면서 수면무호흡 상태가 지속되지 않도록 하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은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코골이 소리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수면상태감지부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사용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팽창부가 형성되어 있는 매트유닛과, 상기 수면상태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매트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면상태감지부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과 안면 전체 또는 안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안대본체와, 상기 안대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안대본체 중 사용자의 코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상기 마이크와, 상기 안대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신호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방식의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면상태감지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베개본체와, 상기 베개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베개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신호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방식의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개본체는 사용자의 뒷머리가 인입되어 사용자의 안면이 하늘방향을 향하게 사용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에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머리진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머리진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면상태감지부는 상기 안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는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신호의 입력정보를 개별적으로 저장 및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신호의 크기를 비교해 사용자의 사용자세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유닛은 숙면유도를 위해 사용자의 하지를 마사지하기 위한 마사지롤러 또는 사용자의 하지를 골반을 중심으로 좌우로 소정거리 움직이도록 하는 스트레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은 코골이 신호를 통해 수면상태를 감지하고, 감지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사용자세를 변화시키도록 유도하거나, 신체에 자극을 가하여 코골이를 멈추고 숙면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의 구성을 표시한 블럭도,
도 3은 수면상태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도 4는 수면상태감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블럭도,
도 5는 매트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매트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10)은 수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면상태감지부(100)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매트유닛(200)과, 매트유닛(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면상태감지부(100)는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를 통해서 코골이 상태와 수면무호흡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안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수면상태감지부(100)는 안면에 착용하는 안대본체(110)와, 안대본체(110)에 형성된 마이크(120)와, 코골이 소리를 통해 수면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130)와, 판별신호를 제어부(300)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안대본체(110)는 사용자의 눈과 안면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안대본체(110)는 중앙 하부가 사용자의 코를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코를 덮는 안대본체(110)의 중앙 하부측에 상기 마이크(120)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된 코골이 신호 정보는 판별부(130)로 전송되며, 판별부(130)에서는 입력되는 코골이 신호를 통해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코골이 신호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의 간격, 크기 등에 대해서 정보를 취득하며,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코골이 신호를 분리하여 외부 소음에 의한 판단 오류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코골이 신호 입력의 시간간격을 토대로 수면무호흡 상태 여부를 판별하며, 판별 정보는 송신부(140)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상기 송신부(140)는 무선통신방식으로 판별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는데, 블루투스나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지그비, 와이파이 등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면상태감지부(100)가 안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코골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20)가 사용자의 코와 인접한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코골이 소리가 일정한 거리에서 입력된다.
마이크(120)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코와 마이크(12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며, 이러한 거리차에 의해 코골이 신호의 정량적 크기 변화가 발생하여 판별부(130)에서 정확한 상태 분석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떠한 수면자세에서도 코와 마이크(12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안대형태로 수면상태감시부를 형성함으로써 수면상태 판별을 위한 코골이 소리의 취득 정보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취득하여 수면상태 판별의 정확성을 높인다.
제어부(300)는 수신부(310)를 통해서 송신부(14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부(310)를 통해 전달된 판별정보를 통해 제어부(300)에서는 매트유닛(200)을 구동한다.
상기 매트유닛(200)은 쿠션과 공기팽창부(220)가 내장되어 있는 매트본체(210)와, 상기 공기
즉, 판별부(130)의 판별정보에서 코골이 소리의 크기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수면무호흡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펌프(230)를 가동하여, 공기팽창부(220)에 공기를 주입한다. 공기팽창부(220)는 주입된 공기에 의해 부풀어오르게 되며, 사용자는 공기팽창부(220)에 의해 신체의 일부가 들리면서 자세를 바꾸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팽창부(220)는 매트본체(210)에 여러 지점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기팽창부(220)마다 별도의 제어밸브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300)는 밸브가동부를 통해 제어밸브들의 개폐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공기팽창부(220) 중 선택된 공기팽창부(220)에만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구동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수면상태감지부(100)가 안대본체(110)에 장착되는 자이로센서(15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자이로센서(150)는 안대본체(110)의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안대본체(110)를 착용하고 누워있는 상태에서 하늘을 바라보고 초기값 설정을 하면, 자이로센서(15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에서 펌프(230)를 가동하는 시점에서 고개가 돌아간 상태, 즉, 오른쪽으로 돌아가 있는지, 또는 왼쪽으로 돌아가 있는지. 혹은 고개만 돌려진 상태인지, 아니면 몸 전체가 어느 한쪽으로 돌아가 옆으로 누운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에서는 자이로센서(150)의 감지정보를 통해 몸은 바로 누운 상태에서 고개만 오른쪽으로 돌아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복수의 공기팽창부(220)들 중 매트본체(210)의 왼편 바닥에 설치된 공기팽창부(220)들에 공기를 주입하여 몸 전체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매트본체(210)의 오른편 바닥에 설치된 공기팽창부(220)들에 공기를 주입하여 몸을 왼편으로 돌리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10)은 고골이 소리의 감지를 통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에 대한 수면상태를 감지하고, 감지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자세가 달라지도록 유도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을 경감시켜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도 4에는 수면상태감지부(1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수면상태감지부(100)는 베개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베개본체(160)와, 상기 베개본체(16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마이크(171, 172)와, 제1, 제2 마이크(171, 172)의 입력신호를 통해서 수면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130)와, 판별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140)를 포함한다.
베개본체(160)에는 머리진입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머리진입홈(161)의 양측에 제1, 제2 마이크(171, 172)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머리진입홈(161)은 사용자의 뒷머리가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머리진입홈(161)에 뒷머리가 들어가도록 베개본체(160)에 머리를 지지하게 하면, 사용자의 안면이 하늘 방향을 향하도록 유도된다. 이러한 베개본체(160)의 형상에 의해 수면중 사용자의 얼굴위치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베개본체(16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 마이크(171, 172)와 사용자의 코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서 고개를 돌리거나 몸을 옆으로 누이게 되면 양측 제1, 제2 마이크(171, 172) 중 어느 일측으로 입력되는 코골이 소리의 신호가 더 커지게 되므로, 양측으로 입력되는 소리 신호의 크기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위치, 수면자세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수면 중 코골이 소리 신호를 마이크(120)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통해 코골이 상태, 수면무호흡 상태에 대해 판별부(130)에서 판별하며, 판별된 신호를 송신부(140)를 통해 제어부(300)로 전달한 후 제어부(300)에서 공기팽창부(220)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수면자세가 변화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숙면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300)와 매트유닛(200)의 구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매트유닛(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수면 전 사용자의 다리를 마사지하거나, 골반을 중심으로 하지를 좌우로 흔들어 스트레칭을 하도록 함으로써 수면의 질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매트유닛(200)의 하지측에 레일(251)과, 레일(251)을 따라 주행하는 롤러주행체(252)와, 상기 롤러주행체(252)에 설치되는 마사지롤러(253)를 포함하는 종아리마사지부(25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롤러(253)는 롤러주행체(252)에 액추에이터를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롤러주행체(252)는 레일(251)을 따라 전후로 주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마사지롤러(253)를 승강시켜 사용자의 종아리부분을 가압한 상태에서 전후로 진행하여 종아리부분을 마사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사지를 통해 종아리 근육을 이완시키고, 하지의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수면의 질을 높일 수도 있다.
매트유닛(200)에는 사용자의 하지를 좌우로 흔들어 스트레칭하는 스트레칭부(26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스트레칭부(260)는 매트본체(210)의 하부측에 좌우 폭방향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받침부재(2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261)에 사용자의 발목 또는 발 뒤꿈치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받침부재(261)를 매트본체(210)의 폭방향을 따라 진퇴구동한다. 상기 받침부재(261)가 매트본체(21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의 하체가 상방으로 들려있기 때문에 받침부재(261)의 움직임에 의해 사용자의 하체는 골발을 중심으로 좌우로 움직이면서 스트레칭이 이루어지고, 이 역시 하체의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숙면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상태감시 및 숙면유도 시스템(10)의 작동과정을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수면상태에 들어서면 수면상태감지부(100)의 마이크(120)를 통해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한다. 마이크(120)를 통해 입력된 코골이 신호는 판별부(130)로 전달되고, 판별부(130)에서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외부 소음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코골이 소리를 분석하여 수면무호흡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수면무호흡 상태가 아니라면, 별도의 조치없이 종료되지만, 수면무호흡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수면자세를 판단한 뒤, 제어부(300)에서 공기팽창부(220)를 팽창시키기 위해 펌프(230) 및 밸브를 구동한다.
공기팽창부(220)의 팽창에 의해 사용자의 자세가 바뀌면 코골이가 감소하고, 호흡이 안정될 수 있으므로, 수면자세의 변화 후 코골이의 재측정과정에서 수면무호흡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판단되면 종료가 되고, 수면무호흡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다시 공기팽창부(220)를 통해 수면자의 수면자세를 바꾸도록 유도하여 수면무호흡이 개선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10)은 상기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판단하고, 심한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인 경우 사용자의 수면자세가 변화되도록 유도하여 코골이와 수면무호흡 상태를 경감함으로써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100: 수면상태감지부
110: 안대본체 111: 걸이부
120: 마이크 130: 판별부
140: 송신부 150: 자이로센서
160: 베개본체 161: 머리진입홈
171: 제1 마이크 172: 제2 마이크
200: 매트유닛
210: 매트본체 220: 공기팽창부
230: 펌프 240: 밸브가동부
250: 종아리마사지부 251: 레일
252: 롤러주행체 253: 마사지롤러
260: 스트레칭부 261: 받침부재
300: 제어부
310: 수신부

Claims (7)

  1.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코골이 소리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수면상태감지부와;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매트본체와, 상기 매트본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사용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의 공기팽창부를 포함하는 매트유닛과;
    상기 수면상태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매트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유닛은 숙면유도를 위해 사용자의 하지를 마사지하기 위한 종아리마사지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종아리마사지부는 상기 매트유닛에서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하는 하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롤러주행체와, 상기 롤러주행체에 설치되는 마사지롤러를 포함하하고,
    상기 마사지롤러는 롤러주행체에 액추에이터를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롤러주행체는 레일을 따라 매트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상기 마사지롤러가 사용자의 종아리 부분을 마사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상태감지부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눈과 안면 전체 또는 안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된 안대본체와,
    상기 안대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안대본체 중 사용자의 코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상기 마이크와,
    상기 안대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신호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방식의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상태감지부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베개본체와,
    상기 베개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마이크와,
    상기 베개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신호를 통해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 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의 판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방식의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본체는 사용자의 뒷머리가 인입되어 사용자의 안면이 하늘방향을 향하게 사용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에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머리진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머리진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상태감지부는 상기 안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신호의 입력정보를 개별적으로 저장 및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신호의 크기를 비교해 사용자의 사용자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7. 삭제
KR1020180081217A 2018-07-12 2018-07-12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KR10207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217A KR102078348B1 (ko) 2018-07-12 2018-07-12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217A KR102078348B1 (ko) 2018-07-12 2018-07-12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90A KR20200007290A (ko) 2020-01-22
KR102078348B1 true KR102078348B1 (ko) 2020-04-07

Family

ID=6936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217A KR102078348B1 (ko) 2018-07-12 2018-07-12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3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610U (ko) * 2010-03-03 2011-09-09 송득영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101140426B1 (ko) 2010-03-31 2012-04-30 김경식 수면코골이감지 및 무호흡방지장치
KR101687321B1 (ko) * 2015-03-05 2016-12-16 주식회사 프라센 수면 유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면 관리 시스템
KR101654279B1 (ko) 2015-06-12 2016-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KR20170085254A (ko) * 2016-01-14 2017-07-24 김선중 스마트 베개
KR20180063577A (ko) * 2016-12-02 2018-06-12 김양수 코골이 및/또는 수면무호흡 방지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90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793B1 (ko)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자세교정을 위한 자동 자세변환 침대 및 그 제어 방법
JP2009525160A (ja) 睡眠呼吸障害及び/又は床ずれを防止できる衣類及びこれを用いた睡眠呼吸障害及び/又は床ずれ防止方法
CA3082372C (en) Nocturia reduction system
CN102743246A (zh) 睡眠窒息充气枕及睡眠窒息调整睡姿组件及方法
EP194672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leeping respiratory obstruction
US202202732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user position using multi-compartment bladders
US20160345893A1 (en) Wearable device and system for stopping airway disorders including such a wearable device
KR20180063577A (ko) 코골이 및/또는 수면무호흡 방지 베개
KR20220153528A (ko) 혈압, 심전도 및 체성분을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KR101121096B1 (ko) 인체정보를 이용한 수면자세 교정 시스템
KR102078348B1 (ko) 수면상태감지 및 숙면유도 시스템
CN109620581A (zh) 一种具有抑制鼾声功能的智能按摩床
US118193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user position using multi-compartment bladders
KR20190066268A (ko) 수면 상태 개선 시스템
US20230320928A1 (en) Chest compression machine systems and methods
JP4134733B2 (ja) エアーマッサージマット
CN110916422B (zh) 一种主动干预引导侧卧的止鼾床垫系统
JP2006136515A (ja)
KR20120064854A (ko) 졸음운전 방지장치
KR102347542B1 (ko)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RU222852U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матрас
KR20220057122A (ko) 혈압 측정이 가능한 다리 마사지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KR20230157566A (ko) 수면 캡슐
KR20230157567A (ko) 수면 캡슐
CN203915194U (zh) 便携式呼吸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