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791B1 -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 Google Patents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791B1
KR102077791B1 KR1020170072605A KR20170072605A KR102077791B1 KR 102077791 B1 KR102077791 B1 KR 102077791B1 KR 1020170072605 A KR1020170072605 A KR 1020170072605A KR 20170072605 A KR20170072605 A KR 20170072605A KR 102077791 B1 KR102077791 B1 KR 102077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wearer
wavelength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624A (ko
Inventor
김일수
김나연
Original Assignee
(주)셀리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리턴 filed Critical (주)셀리턴
Priority to KR102017007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7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안면으로 광을 조사하되, 복수개의 파장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1광원과,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2광원과,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3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부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경우 착용자의 피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마련되는 내피부와, 타측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홈이 구비된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의 중단이 관통하는 제 2홈을 구비하며 상기 광원부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외피부에 설치되며 착용자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광원부를 작동시키는 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착용자의 이마와 광대와 미간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피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착용자가 상기 외피부에 접촉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플레이트와, 상기 외피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도포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자파 흡수층과,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타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영역대의 파장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에 의해 피부가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고, 피부 트러블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FACE MASK HAVING MULTI - WAVELENGTH LIGHT PART}
본 발명은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영역대의 파장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를 이용하여 피부를 효과적으로 재생시키고,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은 파장이 길기 때문에 미립자에 의한 산란 효과가 작아, 인체에 침투효과가 높고, 표피층과 내부층을 동시에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의료적 치료에 많이 이용된다.
근래에 적외선이 피부 재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를 이용한 여러 장치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3169호는 미용 마스크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3169호의 경우, 마스크 형태로 마련되므로, 안면에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3169호의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내부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의 파장이 600nm 및 800nm 영역으로 고정되어 있어, 피부 재생, 피부 미용 효과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다양한 영역대의 파장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를 이용하여 피부를 효과적으로 재생시키고, 피부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안면으로 광을 조사하되, 복수개의 파장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1광원과,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2광원과,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3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부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경우 착용자의 피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마련되는 내피부와, 타측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홈이 구비된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의 중단이 관통하는 제 2홈을 구비하며 상기 광원부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외피부에 설치되며 착용자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광원부를 작동시키는 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착용자의 이마와 광대와 미간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피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착용자가 상기 외피부에 접촉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플레이트와, 상기 외피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도포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자파 흡수층과,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타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마스크부가 착용자의 안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착용자의 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영역대의 파장을 발생시키는 광원부에 의해 피부가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고, 피부 트러블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피부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부에 따라, 장치를 매우 쉽게 작동, 정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배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광원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구성간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배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광원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의 구성간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120)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는 마스크부(110)와 광원부(120)와 제어부(130)와 가압부(140)와 배터리부(150)를 포함한다.
마스크부(110)는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써, 외피부(111)와, 기판부(112)와, 내피부(113)와, 터치부(114)를 포함한다.
외피부(111)는 안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전면에는 터치부(114)가 설치되며, 타면에 후술하는 기판부(112)가 설치된다. 한편, 외피부(111)의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한쌍의 가압부(140)가 각각 설치된다.
상술한 외피부(111)의 타면에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며, 기판부(112)에도 이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외피부(111)의 홈에는 후술하는 내피부(113)에 형성된 돌출부(113a)가 삽입, 설치되는데, 이러한 홈부와 돌출부(113a)의 결합에 따르면, 기판부(112) 및 내피부(113)가 외피부(111)에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피부(111)의 가장자리에는 제어부(130) 및 광원부(12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부(130) 및 광원부(120)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전원의 커넥터가 삽입되는 충전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구(111a)는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에 사용되는 5핀 단자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부(112)는 후술하는 제어부(130)가 설치되며, 후술하는 광원부(120)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외피부(111)의 곡면을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기판부(112)는 후술하는 제어부(13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광원부(120)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어부(130)는 기판부(112)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부(112) 자체에 내장(On Chip)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부(112)는 PCB(Printed Ciruit Board) 보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원부(120)가 설치되고, 제어부(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내피부(113)는 기판부(112)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어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내피부(113)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엘라스토머란, 상온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물질로, 피부에 접촉시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가 내피부(113)로써 사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안면에 내피부(113)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내피부(113)에는 돌출부(11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13a)는 상술한 외피부(111)에 형성된 홈에 삽입, 설치된다. 상술한 돌출부(113a)와 홈의 결합에 따라서, 기판부(112) 및 내피부(113)가 외피부(111)에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터치부(114)는 상술한 외피부(111)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터치플레이트(114a)와 터치센서(114b)를 포함한다.
터치플레이트(114a)는 착용자가 접촉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후술하는 터치센서(114b)로 전달하는 것으로써, 외피부(111)의 전면에 설치된다.
터치센서(114b)는 외피부(111)에 설치되어 착용자가 상술한 터치플레이트(114a)에 접촉하는 경우, 터치플레이트(114a)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착용자가 터치플레이트(114a)에 접촉하게 되면, 터치플레이트(114a)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는 터치센서(114b)로 전달되며, 이후, 터치센서(114b)가 이를 인지하여,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후술하는 광원부(12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이러한 터치플레이트(114a)와 터치센서(114b)를 포함하는 터치부(114)에 따르면, 마스크부(110)의 전면을 단순히 터치하는 것만으로 착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를 작동,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플레이트(114a)의 외면에는 전자파 흡수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파 흡수층은 후술하는 배터리부(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자파 흡수층은 터치플레이트(114a)의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배터리부(150)에 전원을 충전시킨다. 이러한 전자파 흡수층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를 유선 전원의 충전 없이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플레이트(114a)의 내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착용자의 눈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외피부(111) 및 내피부(113)의 구멍에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후술하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제어부(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광고, 영화, 드라마 등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130)에 의해 광원부(120)가 동작됨과 동시에 함께 작동될 수 있고, 이와는 별개로 작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에 의하면, 착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를 사용하면서, 각종 영상을 용이하게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원부(120)는 상술한 마스크부(110)의 기판부(112)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안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써, 복수개의 파장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한다.
하나의 광원부(120)는 3개의 광원, 즉, 3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광원은 서로 다른 파장영역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1광원(121)은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될 수 있고, 제2광원(122)은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될 수 있고, 제3광원(123)은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될 수 있다.
460nm 내지 470nm의 적외선 파장의 경우, 표피세포를 활성화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켜 피부 조직을 활성화함으로써 피부 재생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620nm 내지 680nm의 적외선 파장의 경우, 표피세포의 청결을 유지하여 여드름, 모낭염 등의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760nm 내지 900nm 파장의 적외선의 경우, 상기 2개의 파장 영역대를 가지는 광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제1광원(121)과 제2광원(122)과 제3광원(123)을 포함하는 광원부(120)에 따르면, 피부 재생을 촉진 시키고, 피부 트러블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광원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기판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터치센서(114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센서(114b)의 신호에 따라 광원부(12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데, 상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착용자가 터치플레이트(114a)에 접촉하게 되면, 터치플레이트(114a)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터치센서(114b)로 전달된다. 이후, 터치센서(114b)가 이를 인지하여, 제어부(130)로 신호를 전달한다.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30)는 후술하는 광원부(12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킨다.
한편, 제어부(130)는 후술하는 배터리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거나, 상술한 충전구(111a)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가압부(140)는 마스크부(110)가 착용자의 안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착용자의 머리를 가압하는 것으로써, 한쌍으로 마련되어 마스크부(110)의 외피부(111)의 가장자리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가압부(140)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엘라스토머란, 상온에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물질로, 피부에 접촉시 피부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가 가압부(140)로써 사용되는 경우, 착용자의 착용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머리에 가압부(14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가압부(140)는 착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도록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마면될 수 있다. 즉, 한쌍의 가압부(140) 중 어느 하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의 가압부(140)에는 관통홀에 대응되는 돌기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부(150)는 상술한 충전구(111a)로 입력되는 외부전원을 충전하는 것으로써, 충전된 전원을 제어부(130)와 광원부(120)로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부(150)는 외피부(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스크부(110)와 광원부(120)와 제어부(130)와 가압부(140)와 배터리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에 따르면, 다양한 영역대의 파장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20)에 의해 피부가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고, 피부 트러블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100)에 따르면, 외피부(111)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부(114)에 따라, 장치를 매우 쉽게 작동, 정지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110 : 마스크부
111: 외피부
111a : 충전구
112 : 기판부
113 : 내피부
113a : 돌출부
114 : 터치부
114a : 터치플레이트
114b : 터치센서
120 : 광원부
121 : 제1광원
122 : 제2광원
123 : 제3광원
130 : 제어부
140 : 가압부
150 : 배터리부

Claims (7)

  1.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안면으로 광을 조사하되, 복수개의 파장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460nm 내지 47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1광원과, 620nm 내지 680nm의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2광원과, 760nm 내지 900nm 파장을 출력하는 LED로 마련되는 제3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부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착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경우 착용자의 피부가 보호될 수 있도록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마련되는 내피부와, 타측에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홈이 구비된 외피부와, 상기 내피부와 상기 외피부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돌출부의 중단이 관통하는 제 2홈을 구비하며 상기 광원부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외피부에 설치되며 착용자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광원부를 작동시키는 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부는,
    착용자의 이마와 광대와 미간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피부의 전면에 설치되며 착용자가 상기 외피부에 접촉되는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플레이트와, 상기 외피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센서와, 상기 터치플레이트에 전체적으로 도포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흡수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충전하는 전자파 흡수층과, 상기 터치플레이트의 타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부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마스크부가 착용자의 안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착용자의 머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72605A 2017-06-09 2017-06-09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10207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605A KR102077791B1 (ko) 2017-06-09 2017-06-09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605A KR102077791B1 (ko) 2017-06-09 2017-06-09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624A KR20180134624A (ko) 2018-12-19
KR102077791B1 true KR102077791B1 (ko) 2020-02-14

Family

ID=6500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605A KR102077791B1 (ko) 2017-06-09 2017-06-09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7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860A (ko) 2020-10-15 2022-04-22 (주) 파오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230015557A (ko) 2021-07-23 2023-01-31 (주) 파오드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273B1 (ko) 2019-02-18 2021-08-25 주식회사 루멘스 피부 미용을 위한 마이크로 엘이디 마스크
KR102293845B1 (ko) * 2019-03-28 2021-08-25 (주) 공감 스마트 피부미용마스크
US11252336B2 (en) 2019-05-31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obtaining skin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647944B2 (en) 2019-05-31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kin-car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03614B1 (ko) * 2020-08-06 2023-02-23 완 진 김 게이밍 손목 벨트
KR20220042012A (ko) 2020-09-25 2022-04-04 이찬봉 눈 마사지 기능을 갖는 다기능 엘이디 마스크
AU2021106215A4 (en) * 2021-07-16 2021-10-28 TWOBESEEN Pty Ltd Photobio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230082714A (ko) 2021-12-01 2023-06-09 (주)코이즈 Led 빛과 미스트 분사식 비접촉 초음파 피부미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26B1 (ko) * 2005-11-21 2007-09-03 김태형 피부 미백 및 치료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492792B1 (ko) * 2013-05-20 2015-02-13 (주)옵티스 광조사 피부관리 장치
KR20150126087A (ko) * 2014-05-01 2015-11-11 (주) 로우티에스 외기 공급형 피부미용 광 마스크 장치
KR20170008901A (ko) * 2015-07-14 2017-01-25 주식회사 디에스피 광대역 전자기파를 포집 및 이용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860A (ko) 2020-10-15 2022-04-22 (주) 파오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KR20230015557A (ko) 2021-07-23 2023-01-31 (주) 파오드 내면마스크를 그래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안면 피부관리용 마스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624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791B1 (ko)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안면 마스크
KR101832909B1 (ko) 다파장 광원부를 구비하는 탈모 치료 헬멧
KR101832903B1 (ko) 이탈이 방지되는 탈모 치료 헬멧
KR102078540B1 (ko) 근적외선 조사 및 약물 분사가 가능한 탈모치료기기
KR101616002B1 (ko) 안면 피부 클리닉 마스크 장치
EP2269692B1 (en) Laser hair-loss treatment device
KR1015503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497620B1 (ko) 광을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KR101660388B1 (ko) Led 패드 및 이 led 패드를 포함하는 개인용 치료기
KR101846795B1 (ko) 광 시술 패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 시술 패치 셋트
KR200497047Y1 (ko) Led 미용 패치
KR20150054434A (ko) Led 패드, led 패드 제조 방법 및 led 패드를 포함하는 개인용 치료기
KR102305199B1 (ko)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KR101581665B1 (ko)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선치료기
KR20210018636A (ko) 피부 치료용 레이저 핸드피스
KR20190011113A (ko) 레이저 조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시술 장치
KR20120063169A (ko) 미용 마스크 장치
US10974061B2 (en) Optical treatment apparatus and fixing tool
KR102375681B1 (ko) 피부관리용 마스크
KR102105146B1 (ko) 피부 미용 시술 장치
KR20190044480A (ko) 광 시술 패치 셋트
KR102092375B1 (ko) 저출력 레이저 조합 미세전류 통증 치료기
KR102103640B1 (ko) Vr 영상을 제공하는 마스크 장치
KR101863194B1 (ko) 적외선 조사 장치
KR20200067126A (ko) 세포재생과 혈류개선의 동시 작용에 의한 만성 관절 통증과 관절염 치료에 효과적인 신체 착용형 다파장 레이저 치료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저 통증 치료 시술 셋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0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06

Effective date: 201906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