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773B1 -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773B1
KR102077773B1 KR1020190136639A KR20190136639A KR102077773B1 KR 102077773 B1 KR102077773 B1 KR 102077773B1 KR 1020190136639 A KR1020190136639 A KR 1020190136639A KR 20190136639 A KR20190136639 A KR 20190136639A KR 102077773 B1 KR102077773 B1 KR 10207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rotating body
reinforcing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진
노충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36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는, 연결라인의 연결부위가 꼬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된 회전연결장치로서,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체의 일단 또는 양단에 회전체가 구비되는 스위블; 및 상기 연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샤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한쪽이 상기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상기 스위블의 일영역에 결합되되,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구성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자유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자유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태로 걸림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블, 샤클, 및 체인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라인의 연결부위를 보강부재로 감쌈으로써 연결부위가 이중으로 보강되어 조류에 의한 꼬임 등에 의해 어느 한 부위에 힘이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REINFORCED STRUCTURAL ROTARY CONNECTOR}
본 발명은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라인 중에서 회전이 가능한 이종 이상으로 된 부품의 연결부위를 이중으로 보강하여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 또는 연결부위 풀림에 의한 연결상태 해지 발생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에서 무어링 시스템(Mooring System) 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부품 중, 샤클(Shackle, 30), 체인(Chain, 20', 22"), 스위블(Swivel, 40) 등은 한 번 고정을 시키게 되면 최소 6개월 이상 한 지역에서 해양플랜트나 부이 등의 구조물을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의 높은 파도, 바람, 조류 등으로 인해 구조물을 연결하는 장치는 마찰력으로 휘어져 절단되거나 잠금볼트 너트 풀림이 발생하여 무어링 된 장치들을 분실하거나 훼손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대양에서 측정 및 시료 재취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들은 고가의 장비들이 많아 장기간 무어링 시 안정적인 고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5-0002188호(공개일: 2015.06.09)에는, 터렛 무어링 시스템 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극지 운항 시추선의 터렛 무어링 시스템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극지 운항 시추선의 터렛 무어링 시스템에 구비되는 무어링 체인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무어링 체인에 발생하는 반복적인 빙편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무어링 체인의 피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결합력을 갖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체인보다는, 스위블과 샤클의 연결부위, 혹은 샤클과 체인의 연결부위가 크기가 다른 결합력에 의해 어느 한쪽에 응력집중, 즉, 결합력이 약한 부분의 응력이 국부적으로 크게 되어 연결부위가 파손되기 쉽다.
다시 설명하면, 연결부위에서 매우 강한 응력집중 현상이 발생하는데, 조류에 의해 줄이 꼬이거나 하는 등의 반복피로가 발생하면 기존의 결합력보다 작은 힘으로도 연결부위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샤클핀이 풀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37197호(공개일: 1999.02.09)에는, 댐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중량물을 계류할 때 작용하는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고 특히 선박 등의 계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2 샤클을 연결하는 중심선과 직각 방향으로 근접 이동하는 링크부에 의해 링크 구조를 형성하고 이 링크 구조를 상기 설치부를 남겨두어 탄성재로 구성되는 복체에 매설하여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고무 탄성재로 단지 체인을 감싼다는 점에서 체인의 움직임을 한정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5-0002188호(공개일: 2015.06.09)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37197호(공개일: 1999.02.09)
본 발명의 목적은, 샤클, 체인, 및 스위블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라인의 연결부위를 보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라인의 연결부위가 꼬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된 회전연결장치로서,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체의 일단 또는 양단에 회전체가 구비되는 스위블; 및 상기 연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샤클을 포함하고, 한쪽이 상기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상기 스위블의 일영역에 결합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결라인에 연결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 2 부재가 서로 맞닿은 결합단 중, 제1 부재의 단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제2 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홈과 상기 돌기를 제1 고정핀으로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결라인에 연결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제1, 2 부재가 서로 맞닿은 결합단을 제2 고정핀으로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구성되고, 제1 부재의 자유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제2 부재의 자유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태로 걸림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은 상기 회전체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제1 결합볼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체결부와 상기 회전체를 관통하는 제2 결합볼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체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홈; 및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반원통형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에 대응하도록 각 내주연을 따라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보강부재도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블, 샤클, 및 체인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라인의 연결부위를 보강부재로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위가 이중으로 보강되어 조류에 의한 꼬임 등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보강부재가 이를 대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재의 양단을 스위블의 회전체에 용접함으로써 접합강도를 높이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 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재를 제1 부재 및 제2 부재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연결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 부재의 양단이 스위블의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체가 회전할 때 보강부재도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연결라인의 꼬임을 방지하면서도 보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무어링 시스템 연결라인의 일반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에 이종으로 된 부품들의 연결부위 파손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분할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분할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분할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무어링 시스템 연결라인의 일반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스위블, 샤클 등 번호는 도 1과 같이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연결라인(20)의 연결부위가 꼬임에 의해 파손되거나 연결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지지체(41)를 기준으로 일단 또는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42)가 구비되는 스위블(40), 회전체(42)에 결합되는 샤클(30), 샤클(30)에 결합되는 연결라인(20), 및 한쪽이 연결라인(20)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스위블(40)의 회전체(42)에 결합되는 보강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연결라인(20)은, 쇠로 만든 고리를 여러 개 이어서 만든 줄인 체인(Chain)일 수도 있고, 와이어(Wire)일 수도 있고, 로드(Rode)일 수도 있다. 다만, 첨부된 도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체인의 순서를 구분하기 위해 샤클(30)에 연결되는 순서대로, 제1 체인고리(21), 제2 체인고리(22), 제3 체인고리(23), 제4 체인고리(24)…… 라고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결부위는, 체인과 샤클(30) 간의 연결, 샤클(30)과 스위블(40) 간의 연결, 및 체인과 스위블(40) 간의 연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00)는,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된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연결부위를 수용하는 수용부(S1)를 형성하도록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은, 스위블(40)의 회전체(4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는 접합강도를 높이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도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보강부재(100)의 재질은, 샤클(30), 스위블(4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어느 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바닷물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또는 그러한 재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일반적으로, 샤클(30), 체인, 및 스위블(40)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라인(20)의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된 것으로, 특히, 한 예로서, 무어링 시스템 용으로 작용되는 과정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어링 시스템의 일반적인 연결라인(20) 구성을 살펴보면, 부이(10) - 스위블(40) - 샤클(30) - 라이트 체인(20') - 샤클(30) - 스위블(40) - 샤클(30) - 헤비 체인(20") - 샤클(30) - 스위블(40) - 샤클(30) - 구조물(X)로 이루어진다. 이중에서 체인을 스위블(40)에 연결하기 위해 중간에 샤클(30)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보강해보기로 한다.
먼저, 스위블(40)에 샤클(30)이 샤클핀(31)에 의해 연결된다. 샤클핀(31)은 볼트/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볼트/너트 및 코터(Cotter)로 이루어질 수 있고, 라운드핀이나 스크류핀으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이 샤클(30)에 제1 체인고리(21)가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의(100)의 일단(B', 도 3 참조)을 체인의 제2 체인고리(22)로 통과시킨다. 이 과정으로 보강부재(100)의 체인에 연결되는 영역(A)이 제2 체인고리(22)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스위블(40)에 연결되는 샤클(30)의 결합 방향이 '━' 형태로 이루어지고, 샤클(30)에 연결되는 제1 체인고리(21)의 결합 방향이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 체인고리(22)의 결합 방향이 다시 '━' 형태로 이루어져, ' ━ ┃ ━ ┃ ━ ┃…' 형태의 결합 방향이 교대로 이루어질 때, 샤클(30)과 반대되는 결합방향을 갖는 보강부재(100)를 설치하기 위함이다.
즉, 이와 같은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샤클(30)에 집중되는 하중이 보강부재로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이 연결되는 영역(A)에 가까운 길이(L1)보다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에 가까운 길이(L2)가 짧게 형성될 수도 있고,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보강부재(100)의 양단(B, B') 어디에 결합되는지, 연결부위의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보강부재(100)의 수용부(S1)는 제1 체인고리(21)를 수용하고 제2 체인고리(22)가 샤클(30)을 중심으로 그려지는 원호보다 같거나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인의 움직임에서 체인에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보강부재(100)를 제2 체인고리(22)에 끼운 후에,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을 회전체(42)의 일영역에 용접한다. 용접은 이음 효율을 향상시키고 접합강도를 높이며, 물속에서도 보수가 용이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어링 시스템 연결라인(20) 중에서 샤클(30) 및 체인으로 이루어진 연결라인(20)의 연결부위를 보강부재(100)로 구비함으로써 연결부위가 이중으로 보강되어 조류에 의한 꼬임 등에 의해 어느 한 부위에 힘이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강한 조류에 의해서 샤클(30)과 제1 체인고리(21)의 연결부위가 최대치의 마찰력 2F을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 보강부재(100)의 설치에 의해 연결부위의 마찰력 2F를 보강부재(100)와 연결부위가 나눠갖게 되면서 파손이 생기는 임계 힘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반복되는 진동에 의해 샤클핀(31)이 풀리게 되어 샤클(30)과 체인의 연결부위가 풀리게 되어도 보강부재(100)가 이를 대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어링 시스템 연결라인(20)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는 보강부재(100)가 분할 구성되는 것에 대한 것이고, 제5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는 보강부재(100)의 양단이 스위블(40)의 일영역에 결합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분할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보강부재(100)는, 연결라인(20)에 연결되는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되고, 제1, 2 부재(110, 120)가 서로 맞닿은 결합단(115, 125) 중, 제1 부재(110)의 결합단(115)에는 홈(101)이 형성되고, 제2 부재(120)의 결합단(125)에는 제1 부재(110)의 홈(101)과 대응되는 돌기(102)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부재(110)의 홈(101)에 제2 부재(120)의 돌기(102)가 삽입되었을 때, 즉, 제1, 2 부재(110, 1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고정핀(P1)으로 홈(101)과 돌기(102)를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고정핀(P1)은, 보강부재(10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됨으로써, 보강부재(100)의 연결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이 제2 체인고리(22) 공간을 통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지만,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됨으로써, 제2 체인고리(22)에도 용이한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분할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보강부재(100)는, 연결라인(20)에 연결되는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되고, 제1, 2 부재(110, 120)가 서로 맞닿은 결합단(115, 125)을 제2 고정핀(P2)으로 관통하여 고정한다.
여기에서 제2 고정핀(P2)은, 보강부재(100)의 표면 외에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의 간섭됨이 없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고정핀(P2)이 관통될 때, 제2 고정핀(P2)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단(115)을 관통하는 구멍 내측에도 제2 고정핀(P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잦은 진동에도 단단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됨으로써, 보강부재(100)의 연결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재(100)의 일단(B 또는 B')을 제2 체인고리(22)에 끼운 후,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을 회전체(42)에 맞춘 후 결합하지 않아도 되고, 이렇게 됨으로써 소형뿐만 아니라 대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도 용이한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됨으로써, 연결 조립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재(100)가 회전체(42)에 고정되지 않고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의 분할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구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보강부재(100)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되되, 제1 부재(110)의 자유단에는 결합공(103)이 형성되고, 제2 부재(120)의 자유단에는 결합공(103)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태로 걸림고정되는 걸림부(104)가 형성된다. (도 3의 부호 'C'' 참조)
*이와 같이,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됨으로써, 제1 부재(110)를 먼저 회전체(42)와 제2 체인고리(22)에 결합시킨 후, 제2 부재(120)의 걸림부(104)를 결합공(103)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보강부재(100)의 용이한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제2 부재(120)가 걸림부(104)를 중심으로 유동가능 하므로 회전체(42)에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이 복수개의 제1 결합볼트(B1)로 회전체(42)에 결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에는 각각 체결부(130)가 형성된다. 이 체결부(130)는 스위블(40)의 회전체(42)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회전체(42)와 닿는 부분은 회전체(42)의 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체결부(130)는, 제1 결합볼트(B1)가 관통하여 회전체(42)에 형성된 볼트공(43)에 체결되기 위한 것이기도 함으로, 제1 결합볼트(B1)의 외부표면에 대응되고, 제1 결합볼트(B1)가 볼트공(43)에 체결되었을 때, 제1 결합볼트(B1)의 머리부분이 돌출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이 복수개의 제1 결합볼트(B1)로 회전체(42)에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체(42)에 볼트공(43)을 마련해야하는 추가공정이 필요하지만,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용접의 경우 하나 하나 작업을 해야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규격화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이 제2 결합볼트(B2)로 회전체(42)에 결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에는 각각 체결부(130)가 형성된다. 이 체결부(130)는 스위블(40)의 회전체(42)를 잘 감싸기 위한 것으로 직육면체로 이루어지고, 회전체(42)와 닿는 부분은 회전체(42)의 곡률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체결부(130)는, 제2 결합볼트(B2)가 회전체(42)와 함께 관통되기 위한 것이기도 함으로, 제2 결합볼트(B2)의 외부표면에 대응되고, 제2 결합볼트(B2)가 체결부(130) 및 회전체(42)를 관통하여 체결되었을 때, 제2 결합볼트(B2)의 머리부분이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제2 결합볼트(B2)가 체결부(130) 및 회전체(42)를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샤클(30)과 체인이 상하로 움직인다면, 보강부재(100)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 더 유동성을 갖은 보강부재(100)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되고,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이 지지체(41)에 결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보강부재(100)가 분할되는 방법으로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의 방법 중 어느 방법으로든 가능하다.
지지체(41)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홈(44)이 형성되고, 보강부재(100)의 양단(B, B')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반원통형의 회전결합부(140)가 각각 형성된다. 이 회전결합부(140)의 내주연에는 회전홈(44)과 대응되는 회전돌기(144)가 형성되어 지지체(41)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회전결합부(14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홈(44)이 형성되고, 지지체(41)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돌기(14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회전체(42)가 회전할 때, 보강부재(100)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체(42)와 지지체(41)의 연결부위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라인(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지지체(41)로 분산됨으로써 파손이 생기는 임계 힘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보강부재(100)가 구비되어 연결부위를 이중으로 보강하는 제1 실시예를 기본으로 하고, 보강부재(100)가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되는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스위블(40)의 일영역에 결합되는 수단의 제5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를 교차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실시예의 제1, 2 부재(110, 120) 분할 방법과 제5 실시예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또는, 제3 실시예의 제1, 2 부재(110, 120) 분할 방법과 제7 실시예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블(40), 샤클(30), 및 체인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라인(20)의 연결부위를 보강부재(100)로 보강함으로써 연결부위가 이중으로 보강되어 조류에 의한 꼬임 등에 의해 어느 한 부위에 힘이 집중되는 현상을 억제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반복되는 진동에 의해서 샤클핀(31)이 풀리게 돼도 보강부재(100)가 연결부위의 결합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보강부재(100)를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소형뿐만 아니라 대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1)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10 : 부이 20 : 체인
21 : 제1 체인고리 22 : 제2 체인고리
23 : 제3 체인고리 24 : 제4 체인고리
30 : 샤클 31 : 샤클핀
40 : 스위블 41 : 지지체
42 : 회전체 43 : 볼트공
44 : 회전홈
100 : 보강부재 101 : 홈
102 : 돌기 103 : 결합공
104 : 걸림부 110 : 제1 부재
115, 125 : 결합단 120 : 제2 부재
130 : 회전결합부 140 : 회전결합부
144 : 회전돌기
B1 : 제1 결합볼트 B2 : 제2 결합볼트
P1 : 제1 고정핀 P2 : 제2 고정핀
S1 : 수용부

Claims (5)

  1. 연결라인의 연결부위가 꼬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된 회전연결장치로서,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체의 일단 또는 양단에 회전체가 구비되는 스위블; 및
    상기 연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에 결합되는 샤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위를 보강하도록 한쪽이 상기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상기 스위블의 일영역에 결합되되,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분할 구성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자유단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자유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걸리도록 갈고리 형태로 걸림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은 상기 회전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볼트공에 체결되는 제1 결합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체결부와 상기 회전체를 관통하는 제2 결합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체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홈; 및
    상기 보강부재의 양단에 반원통형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에 대응하도록 각 내주연을 따라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 상기 보강부재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KR1020190136639A 2019-10-30 2019-10-30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KR102077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39A KR102077773B1 (ko) 2019-10-30 2019-10-30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39A KR102077773B1 (ko) 2019-10-30 2019-10-30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486A Division KR102076590B1 (ko) 2018-10-02 2018-10-02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773B1 true KR102077773B1 (ko) 2020-02-14

Family

ID=6951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39A KR102077773B1 (ko) 2019-10-30 2019-10-30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7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197A (ja) 1997-07-16 1999-02-09 Sumitomo Rubber Ind Ltd ダンパー装置
KR200277366Y1 (ko) * 2002-02-28 2002-06-01 김신자 사슬 체인의 연결구조
KR200469589Y1 (ko) * 2011-10-28 2013-10-23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선박 펜더용 체인 연결장치
KR20150002188A (ko)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티엠티에스 유압브레이커용 치즐고정장치
KR101599452B1 (ko) * 2014-02-18 2016-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용 계류 체인의 손상 방지장치
KR101645240B1 (ko) * 2015-12-11 2016-08-03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간접계류식 해양관측용 부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7197A (ja) 1997-07-16 1999-02-09 Sumitomo Rubber Ind Ltd ダンパー装置
KR200277366Y1 (ko) * 2002-02-28 2002-06-01 김신자 사슬 체인의 연결구조
KR200469589Y1 (ko) * 2011-10-28 2013-10-23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선박 펜더용 체인 연결장치
KR20150002188A (ko)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 티엠티에스 유압브레이커용 치즐고정장치
KR101599452B1 (ko) * 2014-02-18 2016-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용 계류 체인의 손상 방지장치
KR101645240B1 (ko) * 2015-12-11 2016-08-03 한국기상산업진흥원 간접계류식 해양관측용 부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259B1 (ko) 앵커 체인
CN107294043A (zh) 一种海上风电用海缆柔性保护装置
CA1311394C (en) Yieldable mooring line for a boat
US4482264A (en) Universal joint for fishing lines
CN113883148A (zh) 用于连接法兰的螺柱系统
US4179878A (en) Improved coupling link
KR102077773B1 (ko)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KR102077779B1 (ko)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KR20160132211A (ko) 조립식 해상구조물
KR102076590B1 (ko) 보강구조를 갖는 회전연결장치
EP1977967B1 (en) Link for joining mooring lines having an eye
US3664122A (en) Chain connecting link
KR20160092573A (ko) 조립식 해상구조물
EP2425152B1 (en) Rope termination
CN206947912U (zh) 一种海上风电用海缆柔性保护装置
CA2083016A1 (en) Marine mooring swivel fitting
CN115149489B (zh) 分布式浮力装置及其安装方法
CN109505924A (zh) 一种耐蚀系泊固定链
CN211183332U (zh) 一种基于j型管喇叭口的海缆保护装置
US10337549B2 (en) Method of assembling a floating structure
CN110601117B (zh) 一种防滑移的防振锤夹线板
EP3625118B1 (en) Buoy comprising light weight armature for weight transfer
AU2020226137B2 (en) Coupling system for use in a tie-in system
CN110789666A (zh) 一种舰船用栏杆索具
CN215596301U (zh) 一种船用万向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100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1748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