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483B1 -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 Google Patents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483B1
KR102077483B1 KR1020190061092A KR20190061092A KR102077483B1 KR 102077483 B1 KR102077483 B1 KR 102077483B1 KR 1020190061092 A KR1020190061092 A KR 1020190061092A KR 20190061092 A KR20190061092 A KR 20190061092A KR 102077483 B1 KR102077483 B1 KR 10207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fixing part
detachable module
sound outpu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수
Original Assignee
박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수 filed Critical 박태수
Priority to KR102019006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483B1/ko
Priority to EP19214060.6A priority patent/EP374275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483B1/ko
Priority to PCT/KR2020/006737 priority patent/WO20202421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6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고정부를 제 1 면에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의 일 단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의 일 영역과 타 단이 결합하는 결합부; 안경의 템플(temple)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도록 트여지고 상기 결합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 1 고정부와 맞물리는 제 2 고정부를 구비함 -;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 2 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맞물림을 유지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탈부착 모듈.

Description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DETACHABLE MODULE FOR GLASSES}
본 개시는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음향 기기와 관련된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음향 기기의 출력 방식은 대부분 공기 전도 방식을 통한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기 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의 경우 귀를 막고 사용해야함으로써, 주변의 소리가 차단되어 안전 사고의 문제가 꾸준히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선진국에서는 귀를 막고 사용하는 공기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을 착용하고 도로상에서 음악 등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법률적으로 규제하기도 한다.
따라서, 주변의 소음을 충분히 들으면서 동시에 음향 기기를 통한 소리 또한 수신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러한 음향 출력 장치의 대표적인 예시로 골전도 헤드폰 또는 골전도 이어폰이 존재한다.
골전도 헤드폰은 사람의 귓바퀴 부근과 밀접하게 착용되어 뼈와 피부의 진동을 통해 내이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특성으로 인해 외이와 중이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 즉 청각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강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골전도 헤드폰은 공기 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에 비해 수요가 부족하여 아직은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골전도 헤드폰은 귓바퀴 부근과 밀접하게 착용되어야 함에 따라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에게는 크나큰 불편함을 초래할 수가 있다. 그리고, 우리 나라는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비율이 50%를 초과하고 있어 골전도 헤드폰의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안경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일본 공개 특허 1998-030937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탈부착 모듈은, 제 1 고정부를 제 1 면에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와 일 단이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의 일 영역과 타 단이 결합하는 결합부; 안경의 템플(temple)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도록 트여지고 상기 결합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 1 고정부와 맞물리는 제 2 고정부를 구비함 -;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 2 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맞물림을 유지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개구부가 존재하는 제 1 내면에 상기 제 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제 1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제 2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부의 형상은, 상기 제 1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치형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제 1 내면에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ㄱ자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안경에 부착된 경우, 상기 안경이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상기 제 2 면에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맞물림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아치(arch)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세로 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단면적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개구부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음향 출력부의 위치가 이동 가능한 탈부착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듈이 안경에 부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다른 음향 출력부, 결합부 및 슬라이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듈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에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가 이동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듈이 안경에 부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탈부착 모듈이 부착된 안경(100)은 템플(temple)(110) 및 탈부착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탈부착 모듈이 부착된 안경(1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탈부착 모듈이 부착된 안경(1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안경의 템플(110) 각각은, 렌즈 프레임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hinge)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템플(110)은 안경의 다리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템플(110) 각각은 사용자가 탈부착 모듈이 부착된 안경(100)을 착용할 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쳐질 수도 있다.
한편, 탈부착 모듈(200)은 템플(110)의 팁(tip)이 위치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탈부착 모듈(200)은 후술할 음향 출력부(도 2, 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안경은 팁 대신 탈부착 모듈(2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 모듈(200) 각각은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쳐질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탈부착 모듈(200)은 좌 우가 반전되는 형상의 한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안경의 왼쪽 템플(110)에는 왼쪽 귀에 착용되는 탈부착 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고, 안경의 오른쪽 템플(110)에는 오른쪽 귀에 착용되는 탈부착 모듈(20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탈부착 모듈(200) 각각은 음향 출력부(220)가 사용자의 귀 쪽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른쪽 귀에 착용되는 탈부착 모듈(200)은 안경의 오른쪽에 구비된 템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 모듈(200)은 템플(1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 오른쪽 템플(110)에 결합된 탈부착 모듈(200)의 일단에서 타 단으로 갈수록 타 단이 사용자의 두개골 쪽을 향하도록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른쪽 템플(110)에 결합된 탈부착 모듈(200)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220)는 사용자의 오른쪽 귀의 귓바퀴 뒤쪽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왼쪽 귀에 착용되는 탈부착 모듈(200)은 오른쪽 귀에 착용되는 탈부착 모듈(200)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탈부착 모듈(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왼쪽 귀에 착용되는 탈부착 모듈(200) 및 오른쪽 귀에 착용되는 탈부착 모듈(200)은 각각 음향 출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출력부(220) 각각은 렌즈 프레임이 위치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탈부착 모듈이 부착된 안경(100)을 착용하였을 시 음향 출력부(220) 각각이 사용자의 귓바퀴 후면의 일 영역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른쪽 탈부착 모듈(200)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220)는 왼쪽 템플 (110) 및 오른쪽 템플(110) 각각이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귀의 귓바퀴 후면의 일 영역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왼쪽 탈부착 모듈(200)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220)는 왼쪽 템플 (110) 및 오른쪽 템플(110) 각각이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왼쪽 귀의 귓바퀴 후면의 일 영역에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음향 출력부(2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부착 모듈(200)이 사용자의 귓바퀴 후면의 일 영역에 밀착되는 경우, 사용자는 귀를 열어 놓고(즉, 이어폰을 귓구멍에 착용하지 않고) 출력되는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변의 소음(예를 들어, 차량의 경적 소리 등)을 음향과 함께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의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고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어 사용자의 난청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음향 출력부(220)를 구비한 탈부착 모듈(200)이 안경에 결합되는 경우,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는 노래 등을 듣기위해 별도의 음향 출력 장치를 휴대하고 다니지 않아도 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르면 탈부착 모듈(200)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22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탈부착 모듈이 부착된 안경(100)을 착용하였을 때 자신의 귀에 맞는 위치로 음향 출력부(2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탈부착 모듈(200)의 음향 출력부(2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탈부착 모듈(200)은 하우징(210),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슬라이딩 부재(240), 전장부(250) 및 탄성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탈부착 모듈(2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탈부착 모듈(2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10)은 탈부착 모듈(2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안경의 템플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안경의 팁 역할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ㄱ자 형상으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대칭을 이루는 두개의 하우징(210)이 한 쌍을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210)의 형상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개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탈부착 모듈(200)은 음향 출력부(220)를 구비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잇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부(220)는 결합부(230)의 일 단(도 3의 231)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30)의 타 단(도 3의 232)은 슬라이딩 부재(2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10)에 구비된 개구부(도 4의 280)에 결합부(230)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30)의 일 단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220)는 하우징(2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230)의 타 단에 구비된 슬라이딩 부재(24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30)의 일부 영역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결합부(230)의 나머지 영역은 하우징(2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의 결합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음향 출력부(220)는 탈부착 모듈(200)의 통신부(미도시)가 외부 단말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음향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음향 출력부(220)가 음향을 출력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240)는 음향 출력부(220)가 하우징(210)의 일 영역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영역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으로 하우징(210)에 구비된 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240)는 제 1 고정부(도 3의 241)를 제 1 면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면은 슬라이딩 부재(240)가 음향 출력부(220)를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면일 수 있다. 즉, 제 1 면은 슬라이딩 부재(240)가 안경의 렌즈 프레임을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면일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부(241)는 슬라이딩 부재(240)를 하우징(2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에는 제 1 고정부(241)와 맞물려 슬라이딩 부재(240)를 고정할 수 있는 제 2 고정부(도 4의 21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240)에 구비된 제 1 고정부(도 3의 241)가 전장부(250)가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 1 면에 존재하고,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부재의 제 1 면과 맞닿는 제 1 내면에 제 1 고정부(도 3의 241)와 제 2 고정부(도 4의 211)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고정부(도 3의 241)와 제 2 고정부(도 4의 211)가 맞물림이 유지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240)가 하우징(210) 내의 일 영역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음향 출력부(22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 1 고정부(241)는 슬라이딩 부재(240)를 하우징(210)에 고정하기 위해 제 1 면에 치형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치형은 슬라이딩 부재(240)를 고정하기 위한 톱니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치형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다만, 제 1 고정부(24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의 고정(즉, 맞물림)이 외력에 의해 해지된 경우, 음향 출력부(220)는 슬라이딩 부재(240)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음향 출력부(220)의 움직임 제한이 해지되어 음향 출력부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해 후술한다.
한편, 하우징(210)은 슬라이딩 부재(2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 공간(도 4의 2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은 수용 공간(211)과 연통되도록 트여지고 결합부(23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도4, 28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하우징(210)의 형상은 도 4를 통해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전장부(25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장부(250)는 탈부착 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전자적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전장부(250)에 실장되는 전자적 부품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억장치, 임시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캐쉬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적 부품은 메인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통해 탈부착 모듈(200)의 하우징(210)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전장부(25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전장부(25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20)는 전장부(250)에 포함된 통신부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향 출력부(220)는 전장부(250)의 저장부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26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포함되어 슬라이딩 부재(24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260)는 판의 휨 변형을 이용하여 탄성력 및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 부재(260)는 나선 형태의 스프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260)는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면에 대향하는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2 면에서 슬라이딩 부재(24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면은 전장부(250)가 위치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면일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고정부(241)는 탄성 부재(26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음으로써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된 제 2 고정부(212)와 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20)를 통해 탄성 부재(26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의 맞물림은 해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하우징(2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음향 출력부(22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부(220)는 하우징(2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즉, 음향 출력부(220)에 가해진 외력은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를 통해 탄성 부재(260)에 전달되어 탄성 부재(260)를 압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출력부(220)는 탄성 부재(260)가 압축된 만큼 하우징 방향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음향 출력부(22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 음향 출력부(220)가 하우징(2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한편, 음향 출력부(220)가 하우징(2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음향 출력부(220)를 움직이는 외력이 음향 출력부(220)에 전달된 경우, 슬라이딩 부재(24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슬라이딩 부재(24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210),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슬라이딩 부재(240) 및 탄성 부재(260)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및 PC-ABS(Polycarbonat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210),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슬라이딩 부재(240) 및 탄성 부재(260)는 스틸(steel)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하우징(210),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슬라이딩 부재(240) 및 탄성 부재(260)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아크릴(Acrylic resin) 등의 재질로 제조되어 투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가 맞물렸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의 귀의 형상은 사용자에 따라 제 각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음향 출력부(2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탈부착 모듈(200)에 구비된 음향 출력부(220)를 자신에게 맞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위치에 음향 출력부(2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다른 음향 출력부, 결합부 및 슬라이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230)의 일 단(231)은 음향 출력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결합부(230)의 일 단(231)은 접착제 등을 통해 음향 출력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결합부(230)의 일 단(231)에는 수나사(또는 암나사)를 구비하고, 음향 출력부(220)는 일 단(231)이 밀착되는 영역에 암나사(또는 수나사) 등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30)의 일 단(231)에 구비된 수나사(또는 암나사)와 음향 출력부(220)의 일 단(231)이 밀착되는 영역에 구비된 암나사(또는 수나사)는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음향 출력부(220)와 결합부(230)의 결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향 출력부(220)와 결합부(2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부(230)의 타 단(232)은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면의 일 영역(242)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영역(242)은 슬라이딩 부재(240)가 갖는 세로 방향 길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영역(242)은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면 상에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면은 일 영역(242)을 제외한 영역에 제 1 고정부(24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면에서 일 영역(242)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 1 영역 및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면에서 일 영역(24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에 제 1 고정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에 결합부(230)가 결합되는 일 영역(242)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결합부(230)의 타 단(232)은 슬라이딩 부재(240)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결합부(230)의 타 단(232)도 접착제 등을 통해 슬라이딩 부재(240)의 일 영역(242)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결합부(230)의 타 단(232)에는 수나사(또는 암나사)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부재(240)의 일 영역(242)은 암나사(또는 수나사) 등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30)의 타 단(232)에 구비된 수나사(또는 암나사)와 슬라이딩 부재(240)의 일 영역(242)에 구비된 암나사(또는 수나사)는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230)와 슬라이딩 부재(240)의 결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부(230)와 슬라이딩 부재(2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는 동일한 나사산을 가지는 암나사가 중앙에 가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는 볼트 등을 통해 한번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 부재(240)에는 제 1 고정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면에는 톱니 모양의 치형이 형성된 제 1 고정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 1 고정부(241)의 형상은 톱니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 또는 물결 형상 등일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부재(2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11) 및 결합부(230)의 일부 영역이 하우징(210)의 외부로 빠져나가기 위한 개구부(280)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모듈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211), 제 2 고정부(212) 및 개구부(280)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하우징(21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하우징(21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수용 공간(211)은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즉,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는 수용 공간(21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수용 공간(211)은 개구부(280)가 존재하는 제 1 내면에 제 2 고정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면은 수용 공간(211) 내에서 전장부(도 2의 250)가 위치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제 1 내면은 제 2 고정부(212)가 슬라이딩 부재(도 3의 240)의 제 1 면과 맞닿게 되는 수용 공간(211) 내의 일 면일 수 있다.
한편, 제 2 고정부(212)는 제 1 고정부(241)와 맞물려 슬라이딩 부재(240)에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고정부(212)는 제 1 고정부(24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고정부(212)는 제 1 고정부(241)와 동일한 크기의 톱니 형상을 갖는 치형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고정부(212)는 제 1 고정부(24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고정부(241)는 원뿔 형상의 치형이 돌출(함입)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부(212)는 제 1 고정부(241)의 치형에 대응하는 원뿔 형상의 치형이 함입(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 1 고정부(241) 및 제 2 고정부(212)의 형상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수용 공간(211)의 세로 방향 길이는, 슬라이딩 부재(240)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211)의 세로 방향 길이가 슬라이딩 부재(240)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짧거나 같을 경우, 슬라이딩 부재(240)는 하우징(210) 내에서 이동이 불가능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211)의 세로 방향 길이는 슬라이딩 부재(240)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고정부(241)의 세로 방향 길이는 수용 공간(211)의 제 2 고정부(212)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고정부(212)의 세로 방향 길이가 제 1 고정부(241)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짧거나 같을 경우,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가 맞물려서 슬라이딩 부재(240)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고정부(212)의 세로 방향 길이는 제 1 고정부(241)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구부(280)는 하우징(210)이 안경에 부착된 경우, 하우징(2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전면은 안경이 위치하는 방향에 존재하는 일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220)는 안경이 위치하는 하우징(21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20)를 하우징(210)에 결합함에 있어서, 결합부(230)의 일 단(231)은 하우징(210)의 바깥에 위치하고 타 단(232)은 개구부(280)를 통과하여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부(230)는 개구부(280)를 통해 일부 영역만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230)와 결합된 음향 출력부(220)는 하우징(210)과 결합되었을 때 개구부(280)의 세로 방향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30)의 단면적의 세로 방향 길이는 개구부(280)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과 같이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 공간(211), 제 2 고정부(212) 및 개구부(280)를 구비함으로써, 탈부착 모듈(200)의 음향 출력부(22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에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음향 출력부(220)는 결합부(230)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24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240)는 제 1 면에 제 1 고정부(241)를 구비하여 하우징(210)의 제 2 고정부(212)와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는 탄성 부재(260)의 탄성력을 통해 맞물림이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240)는 가이드부(24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243)는 탄성 부재(260)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기 위한 세로 방향의 홈일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240)는 슬라이딩 부재(240)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243)를 제 2 면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면은 제 1 고정부(241)가 구비된 제 1 면의 반대측 면일 수 있다.
탄성 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260)는 슬라이딩 부재(240)의 가이드부(24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2 면에서 제 1 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탄성 부재(260)의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은 아치(arch)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은 외력에 의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된 경우 복원되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라이딩 부재(240)의 형상에 따라 인장 스프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은 아치 형상을 갖고, 아치 형상의 아치 크라운(arch crown)이 가이드부(24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판 스프링(261)의 형상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탄성 부재(260)의 판 스프링(261)은 하우징(210)의 수용 공간(211)의 제 1 내면과 마주보는 수용 공간(211)의 제 2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내면은 제 1 내면을 마주보는 수용 공간(211) 내의 일 면일 수 있다. 제 1 내면에 슬라이딩 부재(240)에 구비된 제 1 고정부(241)와 맞물리는 제 2 고정부(212)가 존재하고, 제 1 내면을 마주보는 제 2 내면에 탄성 부재(260)가 구비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 부재(260)의 복원력(또는 탄성력) 때문에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 부재(260)는 하우징(210)의 제 2 내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240)에 구비된 가이드부(243)에 탄성 부재(260)의 판 스프링(261)이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4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슬라이딩 부재(240)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하우징(210)에 고정 결합된 탄성 부재(260)에 구비된 판 스프링(261)이 슬라이딩 부재(240)에 구비된 가이드부(243)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40)는 세로 방향의 움직임만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240)는 탄성 부재(260)의 판 스프링(261)으로부터 안정적인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탄성 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을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고정부(241)와 하우징(210)의 제 2 고정부(21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260)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을 통해 세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라이딩 부재(240)의 상측과 하측에 동일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60)를 통해 상측과 하측에 탄성력을 제공받은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고정부(241)는 하우징(210)의 제 2 고정부(212)와 정확히 맞물림으로써,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체 또는 먼지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비, 사용자의 땀 또는 먼지 등에 의해 전장부(25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탈부착 모듈(200)은 탄성 부재(260)를 구비함으로써, 음향 출력부(22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었을 경우에 음향 출력부(2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판 스프링(261)의 탄성계수는 기 설정된 값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은 사용자가 탈부착 모듈이 부착된 안경(100)을 착용하였을 때 귀에 의해 압축되지 않는 값일 수도 있다. 다만, 기 설정된 값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탈부착 모듈(200)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탄성 계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 없이는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의 맞물림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탈부착 모듈(200)의 음향 출력부(220)는 사용자의 외력이 없을때는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탄성 부재(260)의 판 스프링(261)이 압축된 경우,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의 맞물림을 해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외력을 통해 음향 출력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을 통해 사용자가 음향 출력부(2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과 관련된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부가 이동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탈부착 모듈(200)의 음향 출력부(220)는 제 1 외력(F1)이 가해진 경우, 제 1 외력(F1)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길이는 탄성 부재(260)의 판 스프링(261)과 관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길이는 판 스프링(261)에 형성된 아치 크라운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20)가 일정 길이 삽입된 경우, 슬라이딩 부재(240)의 제 1 고정부(241)와 하우징(210)의 제 2 고정부(212)의 맞물림은 해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220), 결합부(230) 및 슬라이딩 부재(240)는 하우징(21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제 2 외력(F2)이 발생한 경우, 음향 출력부(220)는 제 2 외력(F2)이 발생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6(b)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10)의 하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한 경우, 음향 출력부(220)는 하우징(210)의 하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출력부(220)는 결합부(230)의 단면적의 세로 방향 길이와 개구부(280)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차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20)는 제 1 고정부(241)의 세로 방향 길이와 제 2 고정부(212)의 세로 방향 길이의 차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탈부착 모듈(200)의 음향 출력부(220)를 자신에게 맞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력을 제거한 경우, 탈부착 모듈(200)의 탄성 부재(260)는 복원력(F3)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26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261)은 제 1 외력(F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복원력(F3)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240)에 구비된 제 1 고정부(241)는 하우징(210)에 고정된 제 2 고정부(212)와 다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241)와 제 2 고정부(212)가 맞물림으로써, 음향 출력부(2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음향 출력부(220)의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음향 출력부(220)를 하우징(210)의 방향으로 누른 채로 슬라이딩 이동한 후 손을 떼기만 하면 음향 출력부(220)가 고정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청구범위에서의 방법에 대한 권리범위는, 각 단계들에 기재된 기능 및 특징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지, 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계에서 그 순서의 선후관계를 명시하지 않는 이상, 청구범위에서의 각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단계 및 B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기재된 청구범위에서, A단계가 B단계 보다 먼저 기재되었다고 하더라도, A단계가 B단계에 선행해야한다는 것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Claims (11)

  1. 제 1 고정부를 제 1 면에 구비하는 슬라이딩 부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와 일 단이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의 일 영역과 타 단이 결합하는 결합부;
    안경의 템플(temple)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도록 트여지고 상기 결합부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제 1 고정부와 맞물리는 제 2 고정부를 구비함 -;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제 2 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맞물림을 유지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탈부착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개구부가 존재하는 제 1 내면에 상기 제 2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제 1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제 2 내면에 위치하는,
    탈부착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의 형상은,
    상기 제 1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탈부착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치형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제 1 내면에 치형을 형성하는,
    탈부착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ㄱ자 형상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안경에 부착된 경우, 상기 안경이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하는,
    탈부착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상기 제 2 면에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탈부착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맞물림이 해제된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향하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탈부착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세로 방향 길이 보다 긴,
    탈부착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아치(arch)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제 2 고정부의 세로 방향 길이 보다 짧은,
    탈부착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단면적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개구부의 세로 방향 길이보다 짧은,
    탈부착 모듈
KR1020190061092A 2019-05-24 2019-05-24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KR10207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92A KR102077483B1 (ko) 2019-05-24 2019-05-24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EP19214060.6A EP3742755A1 (en) 2019-05-24 2019-12-06 Detachable module for glasses
PCT/KR2020/006737 WO2020242155A1 (ko) 2019-05-24 2020-05-25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92A KR102077483B1 (ko) 2019-05-24 2019-05-24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312A Division KR20200135137A (ko) 2019-05-24 2020-01-02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483B1 true KR102077483B1 (ko) 2020-02-14

Family

ID=6880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92A KR102077483B1 (ko) 2019-05-24 2019-05-24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742755A1 (ko)
KR (1) KR1020774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937A (ko) 1996-10-30 1998-07-25 배순훈 일반트리거보드의 입력신호처리장치
JP2006157318A (ja) * 2004-11-29 2006-06-15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ーユニット
JP2007072015A (ja) * 2005-09-05 2007-03-22 Eyetec Co Ltd 眼鏡フレーム用モダン
KR101786613B1 (ko) * 2016-05-16 2017-10-18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321B1 (en) * 1993-10-22 2002-07-23 Kopin Corporation Head-mounted matrix display
DE19613872A1 (de) 1996-04-06 1997-10-09 Vdo Schindling Antriebsverbindung für ein Registrierorgan in einem Fahrtschreiber
DE19624184A1 (de) * 1996-06-18 1998-01-02 Elster Guenther Brille mit Empfangseinrichtung
MXPA05001079A (es) * 2002-07-26 2005-06-03 Oakley Inc Audifonos interactivos inalambricos.
DE102007051959A1 (de) * 2007-10-29 2009-05-14 Carl Zeiss Ag Anzeigevorrichtung
FR2982110B3 (fr) * 2012-01-10 2014-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f de lunettes pour visionner une image d'affichage
CN117499825A (zh) * 2018-08-24 2024-02-0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组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937A (ko) 1996-10-30 1998-07-25 배순훈 일반트리거보드의 입력신호처리장치
JP2006157318A (ja) * 2004-11-29 2006-06-15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ーユニット
JP2007072015A (ja) * 2005-09-05 2007-03-22 Eyetec Co Ltd 眼鏡フレーム用モダン
KR101786613B1 (ko) * 2016-05-16 2017-10-18 주식회사 정글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2755A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0227B2 (en) Modular acoustic systems
US10506321B2 (en) Headphones with adaptable fit
EP1880572B1 (en) Audio equipment attachable to spectacles
KR101786613B1 (ko) 스피커가 장착된 안경
US8243973B2 (en) Communication eyewear assembly
AU2010326368B2 (en) Personal audio equipment
CN117499825A (zh) 一种电子组件
US20130195307A1 (en) Headphone
KR20070049946A (ko) 귀걸이를 갖춘 삽입형 이어폰
US20180160208A1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JP5766219B2 (ja) 通信用眼鏡
US20070253588A1 (en) Eyewear device with signal communicative members
CN108882076B (zh) 一种电子组件及眼镜
CN110463221B (zh) 耳机及眼镜
KR102077483B1 (ko)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WO2019104494A1 (zh) 一种可灵活调节骨传导耳机位置的太阳眼镜
KR20200135137A (ko)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WO2020242155A1 (ko)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 모듈
US11653140B2 (en) Modular acoustic systems
KR200416165Y1 (ko) 이어폰 고정핀
KR20200043723A (ko) 귀거치형 비삽입식 이어폰
JPH054127U (ja) スピーカ装置
KR20040084284A (ko) 헤드셋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