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423B1 -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423B1
KR102077423B1 KR1020190051523A KR20190051523A KR102077423B1 KR 102077423 B1 KR102077423 B1 KR 102077423B1 KR 1020190051523 A KR1020190051523 A KR 1020190051523A KR 20190051523 A KR20190051523 A KR 20190051523A KR 102077423 B1 KR102077423 B1 KR 102077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er
groove
gap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경
Original Assignee
박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경 filed Critical 박재경
Priority to KR102019005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2007/202Actuator connected to w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문턱이 없는 실내의 방문과 바닥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간단한 구조로서 차단하여 방음성과 단열성 및 차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는 도어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도어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한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에 끼워져 승강되는 축봉이 관통된 틈새 차단용 로울러로 이루어져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하는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의 외측에는 축봉 안치용 축봉홈이 단설되어 로울러는 요입홈에 그리고 축봉은 축봉홈에 끼워지되 로울러가 자중으로 하강되어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할 때 요입홈과 로울러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로울러의 축봉은 다수 토막으로 분리되고 계합돌기와 계합홈의 계합으로 연결되어 굴신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A sealing device for door without threshold}
본 발명은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문턱이 없는 실내의 방문과 바닥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간단한 구조로서 차단하여 방음성과 단열성 및 차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공간을 분리하는 구조물로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개폐하는 미닫이 도어와 경첩에 의해 열고 닫는 여닫이 도어로서 크게 구분되며 출입이 잦는 방문이나 출입구 등은 여닫이 도어가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경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는 사각 문틀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데 특히 문틀의 하부(문턱, 문지방)는 바닥보다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출입시 걸려 넘어지는 경우가 허다하였고, 휠체어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턱이 없는 구조의 도어를 설치하여 방과 거실 및 주방이 하나의 수평면을 이루어 신체 부자유한 장애인들이 실내에서 휠체어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고,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지 않고 활동을 자유롭게 하며 청소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어는 방음성과 단열성을 갖기 위해 기밀성을 필요로 하는데 문턱이 있는 도어일 경우에는 문짝이 문틀에 꼭맞는 크기로 제조하여 닫힘시 틈을 최소화하면 되지만 문턱이 없는 도어일 경우에는 도어의 원활한 개폐와 마찰소음의 방지 및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의 하부가 바닥과 완전 밀착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의 하부와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필연적으로 발생되므로 그 틈새를 통해 완전한 방음이 되지 않고 방과 방밖의 불빛이 새어나가 차광성이 불량해질 뿐 아니라 틈새를 통해 여름철 에어컨 가동시 실내의 냉기가 빠져나가고 외부의 더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냉방효율이 떨어지고, 겨울철에는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에 형성되는 틈새의 기밀을 유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안출되어 개시되고 있다.
그 예로 특허 공개번호 10-2017-0105773 '문지방 없는 도어의 기밀유지장치', 실용신안등록번호 20-0183456 '문턱 제거형 도어의 기밀장치' 등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자석이나 스프링을 이용하여 기밀부재를 도어의 하부에 설치하는 기술들로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시공비의 과다로 실용성이 없으며, 장기간 사용하면 고장이 쉽게 발생되어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아 오히려 개폐작동시 소음을 일으키고 특히 고장시에 도어를 분해하여야 되므로 수리작업이 매우 불편한 등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도어와 바닥과의 사이 틈새를 차단하여 방음성과 단열성, 차광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고장율이 적어 잦은 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설치 원가가 매우 저렴하여 실용적인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도어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한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에 끼워져 승강되는 축봉이 관통된 틈새 차단용 로울러로 이루어져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하는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의 외측에는 축봉 안치용 축봉홈이 단설되어 로울러는 요입홈에 그리고 축봉은 축봉홈에 끼워지되 로울러가 자중으로 하강되어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할 때 요입홈과 로울러의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로울러의 축봉은 다수 토막으로 분리되고 계합돌기와 계합홈의 계합으로 연결되어 굴신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로울러가 자중에 의해 항상 바닥과 밀착되는 상태로 도어와 함께 회전하면서 틈새를 차단하므로 방음, 단열, 차광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 원가도 매우 저렴하여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일부 확대 정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가-가" 선 단면도
도 4는 로울러의 횡단면도
도 5는 로울러의 다른 실시예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축봉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로울러의 종단면도
도 8은 로울러의 다른 실시예 종단면도
도 9는 로울러의 또 다른 실시예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도어(100)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한 요입홈(10)과 상기 요입홈(10)에 끼워져 승강되는 축봉(20)이 관통된 틈새 차단용 로울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입홈(10)은 로울러(30)의 직경에 대응되는 깊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입홈(10)의 외측에는 축봉 안치용 축봉홈(21)이 단설되어 로울러(30)는 요입홈(10)에 그리고 축봉(20)은 축봉홈(21)에 끼워지되, 로울러(30)가 자중으로 하강되어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할 때 요입홈(10)과 로울러(30)의 사이에 유격공간(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30)는 우레탄 또는 고무와 같이 부드러운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로울러(30)의 중심에는 금속재, 합성수지, 목재 중에서 선택되는 축봉(20)이 삽입되어 축봉(20)을 중심축으로 로울러(30)가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30)의 축봉(20)은 다수 토막(20')(20'')으로 분리되고 계합돌기(23)와 계합홈(22)의 계합으로 연결되어 굴신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울러(30)는 축봉(20)의 외면에 결합되는 탄성소재를 전체적으로 구성하지 않고 목재나 합성수지의 표면에 고무 또는 우레탄을 중첩시키거나 코팅하는 구조로도 실시 가능하며 탄성소재를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로도 실시 가능하다.
그리고 요입홈(10)의 내벽 양측에는 로울러(30)와 접찰되는 모헤어(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도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차단함으로서 방음성과 단열성 및 차광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도어(100)의 하부에는 문의 폭에 해당하는 가로방향으로 요입홈(10)이 형성되어 있고 이의 내부에 기밀 차단용 로울러(30)가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자중에 의해 바닥에 밀착되므로서 도어(100)와 바닥과의 틈새를 확실하게 차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100)의 하부 요입홈(10)에 끼워지는 기밀 차단용 로울러(30)는 로울러(30)의 중심을 관통하여 양단으로 돌출된 축봉(20)이 축봉홈(21)에 안치되고 로울러(30)는 요입홈(10)에 안치되므로 로울러(30)는 요입홈(10)에 축봉(20)에 의해 지지상태로 안치되어 있으면서 자중으로 하강되는 상태가 되므로 로울러(30)가 도어(100)와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하게 되며, 이때 요입홈(10)과 로울러(30)의 사이에는 유격공간(40)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100)를 열고 닫으면 도어(100)가 경첩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될 때 요입홈(10)의 내부에 끼워진 기밀 차단용 로울러(30)가 축봉(2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바닥면에 밀착상태로 개폐되므로 항상 도어(100)와 바닥과의 틈새는 차단상태에 있게 되며, 바닥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에도 유격공간(40)에 의해 로울러(30)가 승강되면서 밀착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항상 밀착 상태를 유지하여 방음과 단열 및 차광을 보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기밀 차단용 로울러(30)는 문의 개폐와 함께 축봉(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바닥과 접찰하게 되므로 마모율이 매우 적고 또 마모가 어느 정도 이루어져도 자중에 의해 항상 바닥면과의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봉(20)을 단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다수개의 토막(20')(20'')으로 구성하여 계합돌기(23)와 계합홈(22)의 계합으로 굴신 가능하게 구성하게 되면 축봉(20)이 다수개의 토막(20')(20'')으로 연결되어 로울러는 전체적으로 회전하되 계합 연결부에 의해 미세하게 부분적으로 굴신이 가능하여 고르지 못한 바닥면의 접찰시 밀착효과를 높이는 점에서 도어와 바닥과의 틈새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로울러(30)는 축봉(20)의 외면에 결합되는 탄성소재를 전체적으로 구성하지 않고 도 8 내지 도 9와 같이 합성수지나 목재의 표면에 중첩시키거나 코팅하는 구조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는 원가 절감면과 제작적인 면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 장치나 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밀 차단용 로울러(30) 한개 만으로 자중을 이용하여 항상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원가가 저렴하여 매우 실용적이며, 로울러(30)가 마모되어도 틈새 차단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10 : 요입홈 11 : 모헤어 20 : 축봉 20', 20'' : 토막 21 : 축봉홈 22 : 계합홈 23 : 계합돌기 30 : 로울러 40 : 유격공간 100 : 도어

Claims (4)

  1. 도어(100)의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도어(100)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한 요입홈(10)과 상기 요입홈(10)에 끼워져 승강되는 축봉(20)이 관통된 틈새 차단용 로울러(30)로 이루어져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하는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0)의 외측에는 축봉 안치용 축봉홈(21)이 단설되어 로울러(30)는 요입홈(10)에 그리고 축봉(20)은 축봉홈(21)에 끼워지되 로울러(30)가 자중으로 하강되어 바닥과의 틈새를 차단할 때 요입홈(1)과 로울러(30)의 사이에 유격공간(40)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로울러(30)의 축봉(20)은 다수 토막(20')(20'')으로 분리되고 계합돌기(23)와 계합홈(22)의 계합으로 연결되어 굴신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1523A 2019-05-02 2019-05-02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KR10207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23A KR102077423B1 (ko) 2019-05-02 2019-05-02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523A KR102077423B1 (ko) 2019-05-02 2019-05-02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423B1 true KR102077423B1 (ko) 2020-04-02

Family

ID=7028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523A KR102077423B1 (ko) 2019-05-02 2019-05-02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4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66A (ja) * 2001-05-15 2002-11-27 Ohbayashi Corp 電磁シールドドア
KR101430957B1 (ko) * 2013-06-04 2014-08-18 오성훈 도어의 방음 및 방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666A (ja) * 2001-05-15 2002-11-27 Ohbayashi Corp 電磁シールドドア
KR101430957B1 (ko) * 2013-06-04 2014-08-18 오성훈 도어의 방음 및 방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11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US20180209192A1 (en) Sliding door
KR101270318B1 (ko) 개폐문시스템
KR102077423B1 (ko) 문턱이 없는 도어의 하부 틈새 차단장치
KR20140036442A (ko) 슬라이딩 창호용 필링피스
WO2015161497A1 (zh) 玻璃门的密合结构
KR101913569B1 (ko)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KR200472327Y1 (ko) 슬라이딩 이중창
JP7028470B2 (ja) 引き違い建具
JP6839009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CN205330403U (zh) 一种隔热节能带纱窗活动式一体化平开窗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20160061119A (ko) 행거식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200400851Y1 (ko) 슬라이드창호의 방음구조
KR102017120B1 (ko) 공기통로가 구비된 전실용 중문
TWI753962B (zh) 用於門或窗的安裝組件以及使用其之門或窗組件
KR20110101652A (ko) 여닫이문 하단용 모헤어 프레임
KR200344967Y1 (ko) 강화유리도어용 방풍패드
KR100596455B1 (ko) 건축용 창호 구조
JP3366992B1 (ja) 自動換気装置付き建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ガラリ
CN104453577B (zh) 一种四面窗体手摇型材平开窗
KR101329302B1 (ko) 창틀의 통풍장치
JP3824946B2 (ja) 換気装置
CN216197532U (zh) 一种扇面平齐式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