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420B1 -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420B1
KR102077420B1 KR1020190012490A KR20190012490A KR102077420B1 KR 102077420 B1 KR102077420 B1 KR 102077420B1 KR 1020190012490 A KR1020190012490 A KR 1020190012490A KR 20190012490 A KR20190012490 A KR 20190012490A KR 102077420 B1 KR102077420 B1 KR 10207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stone
unit
block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완표
Original Assignee
홍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완표 filed Critical 홍완표
Priority to KR102019001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closing hinged l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제공하는 돌망태 본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수용부에 수용된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를 통하여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에 충전부에 의해 석재 충전시 수용부가 흔들리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및 수용부에 구성되고 석재의 충전이 완료되고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가 폐쇄되어 제작된 돌망태가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도록 회동 동작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Gabion block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망으로 제작된 돌망태 본체 내부에 석재의 충전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여 돌망태 블록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망태는, 철망으로 하나의 박스를 만들고 그 안에 돌덩이 등의 석재를 충전하는 구조체로서, 옹벽 쌓기, 사면보호시설, 하천보호시설 및 세굴방지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등록실용 20-0236327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돌망태는, 박스 형상을 가지는 돌망태 본체의 내부에 석재가 충전되는데, 주로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석재가 충전되고 있어 석재의 충전량이 돌망태 본체 마다 다르게 되고 또한, 노동 강도가 높아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이 높지 못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돌망태 본체 마다 석재의 충전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충전량 과다시 돌망태 본체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충전량 부족시 돌망태 본체의 외형이 찌그러지면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에, 상기와 같은 돌망태 본체들 다수개가 하나의 구조물로 적층되는 경우 구조물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철망으로 제작된 돌망태 본체의 내부에 일정한 양의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여 돌망태 블록의 제조 효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망태 블록 제조 장치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이 개구된 박스체 구조의 돌망태 본체가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부위를 통해 수용부 상부에서 충전부로부터 일정량의 석재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한 후 개구부위가 폐쇄된 돌망태 블록이 수용부 일측의 운반부로 배출된 후 운반부에 의해 해당 위치로 운반 및 보관되도록 하여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부의 하부에 구성된 진동부에 의해 석재가 충전시 수용부가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도록 하여 석재가 돌망태 본체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여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부의 상부에 구성된 가압부에 의해 석재가 충전된 후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가 가압되도록 하여 석재의 충전밀도가 증가되도록 하고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제공하는 돌망태 본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수용부에 수용된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를 통하여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에 충전부에 의해 석재 충전시 수용부가 흔들리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 및 수용부에 구성되고 석재의 충전이 완료되고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가 폐쇄되어 제작된 돌망태 블록이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도록 회동 동작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에 개구부위를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제작된 돌망태 본체가 수용부에 수용되는 제1단계와;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를 통하여 충전부로부터 석재가 공급 및 충전되고, 이때, 진동부에 의해 수용부에 진동이 발생되는 제2단계와; 돌망태 본체의 내부에 석재가 충전 완료된 후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가 가압부로부터 가압되어 돌망태 본체의 석재가 다져지는 제3단계와; 돌망태 본체의 내부에 석재가 충전 완료된 후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에 위치된 철망이 결속되면서 개구부위가 폐쇄되어 돌망태 블록이 제작되는 제4단계와; 수용부에 구성된 배출부가 수용부의 외부로 회동되어 돌망태 블록이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는 제5단계와; 수용부의 일측에 구성된 이동부의 푸시에 따라 돌망태 블록이 구동 중인 운반부로 이동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돌망태 블록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면이 개구된 박스체 구조의 돌망태 본체가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부위를 통해 수용부 상부에서 충전부로부터 일정량의 석재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한 후 개구부위가 폐쇄된 돌망태 블록이 수용부 일측의 운반부로 배출된 후 운반부에 의해 해당 위치로 운반 및 보관되도록 하여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하부에 구성된 진동부에 의해 석재가 충전시 수용부가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도록 하여 석재가 돌망태 본체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여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상부에 구성된 가압부에 의해 석재가 충전된 후 돌망태 본체의 상면 개구부위가 가압되도록 하여 석재의 충전밀도가 증가되도록 하고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의 수용부에 수용될 상면이 개방된 블록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의 수용부에 상면이 개방된 블록체가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블록체에 석재가 충전되는 모습과 석재 충전시 진동부에 의해 블록체에 진동이 전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석재 충전후 상면이 폐쇄된 블록체의 상부가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과 도 7은 도 5의 석재 가압후 제조된 돌망태 블록이 수용부로부터 운반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는, 철망이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제공하는 돌망태 본체(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10),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수용부(110)에 수용된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를 통하여 일정량의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120), 수용부(110)의 하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10)에 충전부(120)에 의해 석재 충전시 수용부(110)가 흔들리도록 진동을 발생시켜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전체에 석재가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는 진동부(130),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10)에 충전부(120)에 의해 석재 충전 완료시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를 가압하여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전체에 석재가 다져지도록 하여 석재의 충전밀도를 향상시키는 가압부(140), 수용부(110)에 구성되고 석재의 충전이 완료된 뒤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가 폐쇄되어 제작된 돌망태 블록(20)이 수용부(110)로부터 배출되도록 회동 동작하는 배출부(150) 및 수용부(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배출부(150)의 회동 동작시 돌망태 블록(20)이 배출부(150)로부터 운반부(C)로 이동되도록 돌망태 블록(2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160) 등을 포함한다.
돌망태 본체(10)는, 다수개의 철선이 격자 구조로 연결된 철망이 통체 형상을 제공하는 본체, 본체의 중공에 설치 구성되어 상기 중공을 복수개의 충전공간으로 구분 구획하며 각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여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획체 및 일단부가 구획체에 고정되거나 구획체와 본체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여 충전공간에 석재가 충전된 본체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로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돌덩이 등과 같은 석재가 충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로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철망이 복수개의 면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절곡 제조된 후, 철망의 시작단과 끝단이 소정 면적 중첩된 후 상호간 결속편을 통해 결속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획체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이 '+', 'T', 마름모 및 원형의 단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면서 절곡되거나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로프는, 일단부가 구획체에 고정되거나 구획체와 본체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110)는, 철망이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제공하는 돌망태 본체(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부(11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ㄷ'자 구조를 가지는 복수개의 벽체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체의 후면에 해당되는 제1벽체(111)의 양단에 좌우 측면에 해당되는 제2벽체(112)와 제3벽체(113)가 구성되고, 이때, 제1벽체(111)에 대해 제2벽체(112)와 제3벽체(113)가 슬라이딩 되면서 좌우폭이 가변되는 구조를 통하여 돌망태 본체(1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용부(110)는, 통체 구조 중 상면, 정면 및 하면에 대응되는 벽체의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이는, 통체의 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가압부(140)가 구성되고 통체의 정면과 하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배출부(150)가 구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수용부(110)에 의하면, 복수개의 벽체에 의해 상면이 개구된 통체 구조를 가지는 돌망태 본체(10)가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돌망태 본체(10) 내부에 석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작업자들이 일일이 돌망태 본체(10)를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한 상태에서 내부에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전부(120)는,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수용부(110)에 수용된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를 통하여 일정량의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는 석재공급수단으로서, 수용부(110)의 상부에 이격된 높이를 가지면서 위치되고 컨베이어수단으로부터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에 석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석재공급호퍼(121)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부(120)는, 석재공급호퍼(121)에 일정한 양의 석재가 충전되도록 한 후, 돌망태 본체(10)에 항상 일정량의 석재가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항상 일정한 양의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여 돌망태 블록(20)의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부(120)에 의하면, 수용부(110)에 수용된 돌망태 본체(10)에 자동으로 석재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석재를 충전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부(130)는, 수용부(110)의 하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10)에 충전부(120)에 의해 석재 충전시 수용부(110)가 흔들리도록 진동을 발생시켜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전체에 석재가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는 진동발생수단으로서, 수용부(110)의 벽체를 지지하는 마운트(131)와, 마운트(131)에 상하 및 좌우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13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수단(132)은,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진동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진동부(130)에 의하면, 돌망태 본체(10)에 충전부(120)로부터 석재 충전시 돌망태 본체(10)가 수용된 수용부(110)가 상하 또는 좌우 또는, 상하좌우 흔들리게 되어,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고르게 석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작업성과 제품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140)는,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10)에 충전부(120)에 의해 석재 충전 완료시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를 가압하여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전체에 석재가 다져지도록 하여 석재의 충전밀도를 향상시키는 가압수단으로서, 석재 충전이 완료된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가압용플레이트(141)와, 가압용플레이트(141)를 상하 이동시키고 가압력을 제공하여 가압용플레이트(141)에 의해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가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수단(14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수단(142)은, 유압용 실린더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가압부(140)에 의하면, 돌망태 본체(10)에 석재가 충전된 후 상면 개구부위를 가압하여 개구부위 상부로 불규칙하게 솟아오른 석재들이 다져지면서 돌망태 본체(10)의 내부로 분산 및 충전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작업성과 제품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부(150)는, 수용부(110)에 구성되고 석재의 충전이 완료된 뒤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가 폐쇄되어 제작된 돌망태 블록(20)이 수용부(110)로부터 배출되도록 회동 동작하는 배출수단으로서, 'L'자 형상을 가지고 수용부(110)의 통체 중 정면과 하면에 해당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배출패널(151)과, 배출패널(151)을 90도 회동시켜 돌망태 블록(20)이 수용부(11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회동수단(15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동수단(152)은, 배출패널(151)의 회동바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배출부(150)에 의하면,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태로 내부에 석재가 충전되어 무거운 중량을 가지면서 제작된 돌망태 블록(20)이 수용부(110)로부터 90도 회동되면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용부(110)로부터 돌망태 블록(20)을 배출시키지 않아도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동부(160)는, 수용부(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배출부(150)의 회동 동작시 돌망태 블록(20)이 배출부(150)로부터 운반부(C)로 이동되도록 돌망태 블록(20)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 수용부(110)로부터 90도 회동된 배출패널(151)의 일측에 위치되는 푸시패널(161)과, 수용부(110)로부터 90도 회동된 배출패널(161)의 타측에 위치되는 운반부(C)로 돌망태 블록(20)이 위치되도록 푸시패널(161)을 전진 및 후진시켜 돌망태 블록(20)이 배출패널(161)로부터 운반부(C)로 밀리면서 이동되도록 하는 푸시수단(16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푸시수단(162)은, 유압용 실린더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동부(160)에 의하면, 수용부(110)로부터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돌망태 블록(20)이 운반부(C)로 용이하게 이동 및 운반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작업자가 직접 수용부(110)로부터 돌망태 블록(20)을 운반부(C)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는, 수용부(110)의 일측에 하나의 철망을 절곡하여 통체 구조의 돌망태 본체(10)를 절곡 제조하는 본체제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제조부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철망이 위치되는 마운트와, 마운트의 일단에 구성되고 마운트에 대해 수직하게 회동되면서 철망의 일부분이 수직하게 절곡되도록 하는 회동절곡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하나의 철망이 복수개의 면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절곡 제조되도록 하고, 철망의 시작단과 끝단이 소정 면적 중첩된 후 상호간 결속편을 통해 결속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통체 구조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 블록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면에 개구부위를 가지면서 통체 구조로 제작된 돌망태 본체(10)가 수용부(110)에 수용되며, 이때, 수용부(110)에는 배출부(150)가 구성되어 돌망태 본체(10)가 수용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움직임이 억제되는 상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여기서, 돌망태 본체(10)는, 일예로, 사각통 구조를 가지는 경우, 먼저,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철망의 길이방향으로 플랜지가 소정 면적으로 절곡되고, 이어서 플랜지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면서 제1면이 절곡되며, 이어서 제1면 넓거나 같거나 좁은 면적 중 어느 한 면적으로 제2면이 절곡되고, 이어서, 제1면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제3면이 절곡되며, 이어서, 제2면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제4면이 절곡된 후, 제4면의 끝단이 제1면의 시작단에 위치시 플랜지가 제1면의 시작단과 제4면의 끝단을 커버한 상태에서, 플랜지, 제1면 및 제4면의 하나 이상의 철선들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는 것을 통해 양단부가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조립되며, 이후, 돌망태 본체(10)의 양단부 개구 부분 중 하면에 해당 면적을 가지는 철망이 위치된 후 철망의 가장자리 부분과 제1면 내지 제4면의 가장자리 부분이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어 제1측면이 구성되고, 상면에 해당 면적을 가지는 철망이 위치된 후 제1면 내지 제4면의 가장자리 부분 중 어느 한 면에만 결속편으로 결속 고정되어 상면이 개구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제2측면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망태 본체(10)는, 통체 구조의 내부에 구성되는 구획체나 변형방지수단을 통하여 통체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고, 일단부가 구획체나 변형방지수단에 고정되거나 통체에 동시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통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를 형성하는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석재가 충전된 본체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를 통하여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된 충전부(120)로부터 석재가 일정량 공급 및 충전되고, 이때, 수용부(110)의 하부에 위치된 진동부(130)에 의해 수용부(110)에 진동이 발생되어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고르게 석재가 충전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돌망태 본체(10)의 내부에 석재가 충전 완료된 후,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가 가압부(140)로부터 가압되고, 이때, 돌망태 본체(10)의 개구부위에 솟아오른 석재가 다져지면서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분산되어 돌망태 본체(10)의 충전밀도가 증가된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에 위치된 철망이 결속되면서 개구부위가 폐쇄되는 제2측면이 구성되는 것을 통하여 돌망태 블록(20)이 제작된다.
이후, 수용부(110)에 구성된 배출부(150)가 수용부(110)의 외부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돌망태 블록(20)이 배출부(150)의 일측에 구성된 운반부(C)와 동일한 높이 또는 위치를 가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이동부(160)의 푸시에 따라 돌망태 블록(20)이 구동 중인 운반부(C)로 밀리면서 위치되어 운반부(C)에 의해 해당 위치로 운반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일면이 개구된 박스체 구조의 돌망태 본체(10)가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부위를 통해 수용부(110) 상부에서 충전부(120)로부터 일정량의 석재가 공급 및 충전되도록 한 후 개구부위가 폐쇄된 돌망태 블록(20)이 수용부(110) 일측의 운반부(C)로 배출된 후 운반부(C)에 의해 해당 위치로 운반 및 보관되도록 하여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의 하부에 구성된 진동부(130)에 의해 석재가 충전시 수용부(110)가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리도록 하여 석재가 돌망태 본체(10)의 내부 전체에 고르게 충전되도록 하여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0)의 상부에 구성된 가압부(140)에 의해 석재가 충전된 후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가 가압되도록 하여 석재의 충전밀도가 증가되도록 하고 생산성과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제공하는 돌망태 본체(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10);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수용부(110)에 수용된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를 통하여 석재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120);
    수용부(110)의 하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10)에 충전부(120)에 의해 석재 충전시 수용부(110)가 흔들리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130);
    수용부(110)에 구성되고 석재의 충전이 완료되고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가 폐쇄되어 제작된 돌망태 블록(20)이 수용부(110)로부터 배출되도록 회동 동작하는 배출부(150); 및
    수용부(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배출부(150)의 회동 동작시 돌망태 블록(20)이 배출부(150)로부터 운반부(C)로 이동되도록 돌망태 블록(2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110)는,
    상면이 개방된 통체 구조를 가지고,
    통체의 후면에 해당되는 제1벽체(111)의 양단에 좌우 측면에 해당되는 제2벽체(112)와 제3벽체(113)가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150)는,
    수용부(110)의 통체 중 정면과 하면에 해당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배출패널(151)과;
    배출패널(151)을 회동시켜 돌망태 블록(20)이 수용부(11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회동수단(152)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160)는,
    푸시패널(161)과;
    푸시패널(161)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푸시수단(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부(110)의 상부에 위치되고 돌망태 본체(10)에 충전부(120)에 의해 석재 충전 완료시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40)는,
    돌망태 본체(10)의 상면 개구부위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가압용플레이트(141)와;
    가압용플레이트(141)를 상하 이동시키고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90012490A 2019-01-31 2019-01-31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207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90A KR102077420B1 (ko) 2019-01-31 2019-01-31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90A KR102077420B1 (ko) 2019-01-31 2019-01-31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420B1 true KR102077420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490A KR102077420B1 (ko) 2019-01-31 2019-01-31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3306A (zh) * 2022-11-09 2023-01-06 广东景翔建设工程有限公司 河道护岸预置空心砌块格宾生态挡墙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814A (ja) * 1993-03-03 1995-07-11 Kunio Watanabe コンクリート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成形される製品
JP2002097616A (ja) * 2000-09-25 2002-04-02 Eiji Yasuda フトン籠施工方法
KR200330342Y1 (ko) * 2003-06-26 2003-10-17 청우건설 주식회사 채움재로서 폐콘크리트 파쇄골재를 이용하는 사면 보호용돌망태
KR20070040872A (ko) * 2005-10-13 2007-04-18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814A (ja) * 1993-03-03 1995-07-11 Kunio Watanabe コンクリート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成形される製品
JP2002097616A (ja) * 2000-09-25 2002-04-02 Eiji Yasuda フトン籠施工方法
KR200330342Y1 (ko) * 2003-06-26 2003-10-17 청우건설 주식회사 채움재로서 폐콘크리트 파쇄골재를 이용하는 사면 보호용돌망태
KR20070040872A (ko) * 2005-10-13 2007-04-18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73306A (zh) * 2022-11-09 2023-01-06 广东景翔建设工程有限公司 河道护岸预置空心砌块格宾生态挡墙施工方法
CN115573306B (zh) * 2022-11-09 2023-05-16 广东景翔建设工程有限公司 河道护岸预置空心砌块格宾生态挡墙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9948B2 (en) Pipeline padding apparatus
US2859502A (en) Block molding machine
KR102077420B1 (ko) 돌망태 블록 제조장치 및 그 방법
US4275650A (en) Compacting apparatus
JP2010521312A (ja) ベール形成装置
US4460307A (en) Refuse collection vehicle compaction apparatus
JP2008088696A (ja) トンネル覆工の施工方法
US2050806A (en) Loader for refuse vehicles
US8753103B1 (en) Dry-cast concrete block molding machine
CN210712871U (zh) 回填装置
CN212948331U (zh) 一种透水砖压制成型装置
EP2018453A2 (en) Vibratory plate compactor with aggregate feed system
JP2015047597A (ja) 圧密成形体の製造システム及び圧密成形体の製造方法
AU2013369602A1 (en) Device for excavating a shaft
US4260352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charging fluent material to block making machinery
US2676915A (en) Device to pack coal in coke ovens
JP3375574B2 (ja) 土質改良機械の土砂ホッパ及び自走式土質改良機械
US20150104260A1 (en) Vibrating arrangement for producing columns of filling material
CN210589798U (zh) 一种混凝土预制件设备
CN214051766U (zh) 一种混凝土破碎机
JP2001279676A (ja) フトンかごの石詰め施工方法
JPH04510B2 (ko)
JP3597170B2 (ja) 自走式土質改良機及びこれに用いる篩装置
CN219744668U (zh) 一种腻子粉生产用装置
CN220371554U (zh) 一种粉末涂料筛分用的废料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