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094B1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094B1
KR102077094B1 KR1020120013685A KR20120013685A KR102077094B1 KR 102077094 B1 KR102077094 B1 KR 102077094B1 KR 1020120013685 A KR1020120013685 A KR 1020120013685A KR 20120013685 A KR20120013685 A KR 20120013685A KR 102077094 B1 KR102077094 B1 KR 10207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indicator
display device
movement operation
un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705A (ko
Inventor
다케시 고보리
사다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3002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과제]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지시체의 위치가 이산적인 위치에 있어도 확실히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산출할 수 있어, 소정의 표시제어를 확실히 할 수 있다.
[해결 수단] 표시디바이스의 소정의 표시영역에서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이산적으로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가 표시디바이스에 중첩해서 배치되어 있다. 지시체에 의한 이동조작에 대응해서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 1 위치와, 이 제 1 위치에 이어서 검출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의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지시체에 의한 이동조작이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의해 지시체에 의한 이동조작이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산출한다. 이 단위치가 산출되었던 것에 대응해서 표시디바이스의 표시화면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 OF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디바이스를 구비함과 함께, 이 표시디바이스에 중첩해서 배치된 위치검출센서를 구비한 전자기기 및 당해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표시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평면형 표시디바이스(플랫 디스플레이 패널)가 주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에 위치검출센서를 중첩시켜 배치하고, 손가락이나 지시 입력펜 등의 지시체에 의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지시입력위치를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것으로, 여러 가지의 제어 처리를 할 수 있는 전자기기도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미국공개공보 No.2011/0209099 A1)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기기(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user)에 의한 손가락이나 펜 등의 지시체(2)의 터치 조작에 의해, 표시화면(3)의 표시영역의 단(端, 도 13(A)에서는 표시영역의 상단)을 통과하는 이동조작을 했을 때에는, 위치검출센서가 그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하는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 위치검출센서의 표시영역의 단위치의 검출 출력을 트리거(trigger)로서, 전자기기(1)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메뉴(4)를 여는 등의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공개공보 No.2011/0209099 A1
그런데 최근의 휴대전화단말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제어회로가 여러 가지의 제어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멀티태스킹 처리의 요구가 증가함으로써 각 태스크의 처리 속도를 고속화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회로는 위치검출센서에 있어서의 위치검출처리를 제어함과 함께, 그 위치검출결과에 따른 표시제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소정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어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고속처리를 실시하려고 하면 소비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특히 전지 수명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배터리 구동식의 소형 전자기기인 휴대전화단말 등에서는, 이 소비전력의 관점에서도 고속처리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이런 종류의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위치검출센서에 있어서, 근래에는 멀티 터치로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어 고속처리를 더욱더 곤란하게 하고 있다. 위치검출센서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지시체의 위치 검출을 이산적으로 실행하고, 그 위치검출결과인 지시위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시체를 터치시켜 이동시키는 조작(이하, 슬라이드 이동조작이라 함)을 했을 때에,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로서 출력되는 좌표는, 위치 검출을 위한 신호처리속도에 따른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유저에 의한 손가락이나 펜 등의 지시체의 터치 조작에 의해, 표시화면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조작을 했을 때에, 위치검출센서는 그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검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표시디바이스의 표시영역의 단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정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표시디바이스와,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에서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디바이스에 중첩해서 배치되어, 상기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이산적으로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
일방면의 측은 상기 지시체에 의한 위치 지시를 위한 조작면으로 되고, 상기 일방면과 반대측인 타방면의 측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와 상기 표시디바이스가 배치된 평면부재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에 의한 상기 조작면 상의 제 1 방향 이동조작에 대응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에 이어서 검출된 상기 소정의 시간 경과 후의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지시체에 의한 상기 제 1 방향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회로와,
상기 지시체에 의한 상기 제 1 방향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상기 판정회로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회로에 의해 상기 단위치가 산출된 것에 대응해서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표시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판정회로에 있어서 지시체에 의한 제 1 방향 이동조작이 표시디바이스의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회로는 판정회로에서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해서 당해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산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지시체의 위치가 이산적인 위치에 있어도 확실히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회로에서 당해 표시영역의 단위치가 산출된 것에 대응해서, 표시화면의 표시내용을 변경하는 등의 표시제어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지시체의 위치가 이산적인 위치에 있어도, 확실히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시체에 의한 조작면 상에 있어서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하는 이동조작이 있으면, 당해 조작에 따른 표시화면의 제어가 확실히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의 주요 회로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단위치 검출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자기기에 있어서 표시제어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제 1 실시 형태의 분해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 도 1의 예는, 전자기기가, 표시디바이스의 표시화면에 손가락이나 위치 지시기 등의 지시체에 의해 지시된 위치를, 정전용량방식의 위치검출센서로 검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단말인 경우의 예이다.
이 예의 휴대전화단말(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검출센서(20), 표시디바이스(30), 제어회로기판(40), 평면부재(50) 및 케이스(60)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검출센서(20)는, 이 예에서는 멀티 터치를 검출하기 위해 크로스포인트 정전용량방식의 센서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위치검출센서(20)는 투명기판(21)의 일면(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33)에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측인 면)에 광 투과성을 가지는 복수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투명전극군(22)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투명기판(21)은 예를 들면 유리기판 혹은 수지필름기판으로 이루어진다.
투명전극군(22)은 Y축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 1 투명전극(23)과, Y축 방향에 직교해서 X축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 2 투명전극(24)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투명전극(23)은 X축 방향으로 소정간격씩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투명전극(24)은 Y축 방향으로 소정간격씩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것들 제 1 투명전극(23) 및 제 2 투명전극(24)은 광 투과성의 도전재료, 예를 들면 ITO막으로 이루어진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투명전극(23)과 제 2 투명전극(24)은, 이 예에 있어서는 투명기판(21)의 동일 일면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서로 직교하는 제 1 투명전극(23)과 제 2 투명전극(24)의 교차점인 크로스포인트 영역에 있어서는, 제 1 투명전극(23)과 제 2 투명전극(24) 사이에 절연재가 배치되어 서로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표시디바이스(30)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기판(31) 상에 표시화소(32)가 X축 방향(횡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어 있는 동시에 X축 방향에 직교하는 Y축 방향(종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된 표시화면(33)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검출센서(20)는 이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33)상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이 예의 경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검출센서(20)가, 지시체가 지시하는 위치의 검출이 가능해지는 직사각형의 검출영역(20A, 도 3의 점선 테두리 참조)은,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33)의 직사각형 표시영역(30A, 도 3의 실선 테두리 참조)과 거의 동일 혹은 약간 큰 영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영역(20A)에 있어서 표시화면(33)의 직사각형 표시영역(30A)의 예를 들면, 좌상점(Ps) 좌표를 표시영역(30A)의 원점좌표(0, 0)로 하고, 또한 표시영역(30A)의 우하점(Pm) 좌표를 표시영역(30A)의 최대좌표(Xmax, Ymax)로 한다. 이로 인해, 위치검출센서(20)는 표시영역(30A)의 전범위에 있어서 지시체의 지시 위치를 표시영역(30A) 내의 위치좌표(X, Y)(단, 0≤X≤Xmax, 0≤Y≤Ymax)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영역(30A)의 단의 위치좌표는, 좌단위치(LT)는 (0, Y), 우단위치(RT)는 (Xmax, Y), 상단위치(TP)는 (X, 0), 하단위치(BT)는 (X, Ymax)로 규정된다. 즉, 표시영역(30A)의 단위치는 좌표(X, Y)가 X = 0 또는 Xmax 혹은 Y = 0 또는 Ymax로 되어 있는 위치로서 판정이 가능해진다.
위치검출센서(20)와 표시디바이스(30)는, 위치검출센서(20)의 검출영역(20A)에 대해서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33)의 표시영역(30A)이, 도 3에 나타낸 것 같은 좌표위치관계가 되도록 위치 맞춰 중첩된다. 이 경우에, 미리 정해진 관계가 되도록 위치 맞춤이 곤란할 때에는 표시영역(30A)의 좌상점(Ps) 좌표가 원점좌표(0, 0)로 되고, 우하점(Pm) 좌표가 최대좌표(Xmax, Ymax)로 되는 위치 보정을 위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로 돌아와, 제어회로기판(40)에는 휴대전화단말(10)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 그 외의 전자부품과 동박배선패턴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회로기판(40)에는 추가로 위치검출센서(20)의 센서회로 및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제어회로나 전화통신회로 등도 마련되어 있다.
평면부재(50)는, 이 예에서는 유리나 수지 등의 투명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일방면(50a)의 측은 손가락이나 지시펜 등의 지시체에 의한 위치 지시를 위한 조작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면부재(50)의 일방면(50a)과는 반대측 면의 측에는 위치검출센서(20) 및 표시디바이스(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평면부재(50)는 위치검출센서(20)보다 약간 큰 형상을 가진다. 즉, 도1의 평면부재(50)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 나타낸 영역(51)은 위치검출센서(20)가 대응하는 영역이고, 이 영역(51)의 주위에 테두리 영역(5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평면부재(50)는 테두리 영역(52)에 예를 들면 실크 스크린 프로세스 인쇄 등을 시행해서, 이 테두리 영역(52)을 불투명 상태로 하고, 영역(51)만을 투명상태로 유지하도록 형성해도 무방하다.
케이스(6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60)에는 위치검출센서(20)가 배설된 투명기판(21), 디스플레이기판(31) 및 제어회로기판(40)을 수납하기 위한 요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61) 내에 위치검출센서(20)가 배설된 투명기판(21), 디스플레이기판(31) 및 제어회로기판(40)이 수납된 후, 평면부재(50)의 테두리 영역(52)이 케이스(60)의 테두리 영역(62)에 예를 들면 접착재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요부(61)가 폐색되어 휴대전화단말(10)을 조립할 수 있다.
도 2는 휴대전화단말(10)의 제어회로기판(40)의 회로부 구성을 주로 센서회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즉, 제어회로기판(40)에는 센서회로부 외에 이 예의 휴대전화단말(10)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401),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표시화상을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회로(402), 전화통신회로(403) 등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회로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신호발생회로(201), 송신전극선택회로(202), 수신전극선택회로(203), 수신신호처리회로(204), 위치정보출력회로(205)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회로부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회로(401)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예를 들면 10 msec 마다 위치검출처리를 이산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위치검출센서(20) 상의 복수의 터치를 개별적으로 검출하여 각각의 위치검출결과를 얻도록 한다.
송신신호발생회로(201) 및 송신전극선택회로(202)는 송신신호공급회로를 구성하고, 수신전극선택회로(203) 및 수신신호처리회로(204)는 신호수신회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제 1 투명전극(23)은 수신전극으로 됨과 아울러, 제 2 투명전극(24)은 송신전극으로 되어 있다.
송신신호발생회로(201)는 제어회로(401)의 제어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송신신호를 송신전극선택회로(202)에 공급한다. 송신전극선택회로(202)는 제어회로(401)의 선택제어에 따라 소정의 제 2 투명전극(24)을 선택한다. 송신전극선택회로(202)에 의해 선택된 제 2 투명전극(24)에는 송신신호발생회로(201)로부터 송신신호가 공급된다.
수신전극선택회로(203)는 제어회로(401)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 1 투명전극(23)을 선택하고, 선택한 제 1 투명전극(23)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수신신호처리회로(204)에 공급한다.
수신신호처리회로(204)는 제어회로(40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해서 수신신호를 처리하고, 손가락이나 위치 지시기 등의 지시체가 위치검출센서 상에서 위치를 지시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 변화를 제 1 투명전극(23)으로 검출하고, 그 검출 출력을 위치정보출력회로(205)에 공급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제어회로(401)에 의한 제어에 기초해서, 수신신호처리회로(204)의 검출 출력으로부터, 상기 신호 변화가 생긴 제 1 투명전극(23)과 그때에 송신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제 2 투명전극(24)으로부터, 손가락 또는 위치 지시기 등의 지시체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 대응한 지시위치 검출신호인 좌표출력을 생성하여 제어회로(401)로 출력한다.
또한,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이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지시체에 의해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슬라이드 이동조작이 이루어진 것을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영역의 단의 위치좌표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단위치의 좌표출력을 제어회로(401)로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회로(401)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로부터 위치검출결과의 좌표출력을 받아, 지시체에 의한 포인팅 지시나 이동조작(제스처 조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에 따라 표시디바이스(3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한다. 또한,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영역의 단위치의 좌표출력을 받았을 때에는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슬라이드 이동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해서, 표시디바이스(30)에 표시되는 화면은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대응해서 제어된다.
예를 들면, 제어회로(401)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로부터의 좌표출력으로부터, 지시체의 지시조작이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영역(30A) 내에 있어서 아이콘 등의 오브젝트 포인팅 지시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포인팅 지시된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등, 당해 오브젝트 지시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회로(401)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로부터의 좌표출력으로부터,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영역(30A) 내에 있어서 지시체의 지시조작이 이동조작인 것으로 판정했을 때에는, 그 이동조작의 대상인 예를 들면 아이콘 등의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거나, 확대 또는 축소시키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오브젝트에 대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어회로(401)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로부터의 좌표출력으로부터, 지시체의 지시조작이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한 슬라이드 이동조작이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표시화면(33)에 휴대전화단말(10)의 전체 제어에 대해서 지시조작을 행하기 위한 표시화상, 예를 들면 시스템 메뉴의 일람 화상을 표시하는 등의 표시제어처리를 실시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제어회로(401)는 슬라이드 이동조작이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인지,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인지에 의해, 다른 메뉴를 표시하거나 혹은 규정된 소정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서의 단위치의 검출결과를 「돌아가기」지시로 판별하여 표시 제어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하는 표시영역(30A)의 단이 좌단, 우단, 상단, 하단 중 어느 쪽인지에 의해 표시하는 시스템 메뉴를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하는 표시영역(30A)의 단이, 예를 들면 상단에 위치하는 단이어도 이 상단을 통과하는 위치의 차이에 따라 표시화면(33)에 표시하는 메뉴를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검출처리 개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이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지시체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그 슬라이드 이동조작이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33)의 단을 통과한 슬라이드 이동조작인지를 판별하고, 표시화면(33)의 단을 통과한 슬라이드 이동조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당해 통과한 상기 표시영역의 단이 위치하는 좌표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단위치의 좌표출력을 제어회로(401)로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3은 손가락 등의 지시체(5)가 화살표(6)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33)의 표시영역(30A) 외측으로부터 표시영역(30A) 내측으로, 예를 들면 표시영역(30A)의 상단 위치(TP)를 통과해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휴대전화단말(10)에 있어서의 위치검출센서(20)는, 검출영역(20A)에 있어서의 모든 크로스포인트에 대응해 일련의 위치검출동작을 10 msec 단위로 이산적으로 완료시키고, 검출한 지시체(5)의 좌표출력을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도록 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지시체(5)가 화살표(6)로 나타낸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위치검출센서(20)는 첫 번째 점의 좌표출력으로서 위치 P11을 출력하고, 그 10 msec 경과 후에 두 번째 점의 좌표출력으로서 위치 P12를 출력하며, 아울러 그 10 msec 경과 후에 세 번째 점의 좌표출력으로서 위치 P13을 출력한다.
이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첫 번째 점의 위치(P11)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그 좌표출력은 곧바로 제어회로(401)에는 공급하지 않고, 전회(前回) 검출위치정보로서 위치정보출력회로(205)에 구비할 수 있는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 그리고 나서,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두 번째 점의 위치(P12)가 검출되었을 때에, 이 위치 P12와 버퍼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첫 번째 점의 위치(P11)로부터 0번째 점, 즉 시간적으로 첫 번째 점의 하나 전에 가상적으로 위치하는 지시체의 위치(P10)를 추정한다.
이 위치 P10의 추정은,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이동이 직선이동이고, 또한 등속이라고 가정하여 실시한다. 즉, 첫 번째 점의 위치(P11)와 두 번째 점의 위치(P12)를 연결한 직선을, 상단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연장선상에 첫 번째 점의 위치(P11)로부터, 첫 번째 점의 위치(P11)와 두 번째 점의 위치(P12)의 거리분만큼 떨어진 위치로서 위치 P10을 가상적으로 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추정한 0번째 점의 지시체 위치(P10)가 표시영역(30A)의 좌단, 우단, 상단, 하단 중 어느 쪽의 외측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추정한 0번째 점의 지시체 위치(P10)는 상단 위치(TP)의 외측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추정한 위치(P10)와 첫 번째 점의 위치(P11)를 연결한 선분과 상단과의 교점으로서 지시체가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단위치 Pe를 검출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검출한 단위치(Pe)를 두 번째 점의 위치(P12) 대신에,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 예의 경우, 첫 번째 점의 위치(P11)도 제어회로(401)로 출력하고 있지 않고,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검출한 단위치(Pe)를, 첫 번째 점 및 두 번째 점의 위치의 좌표출력을 대신해 제어회로(401)에 공급한다.
표시영역(30A)의 단위치를 통과하는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검출된 첫 번째 점 및 두 번째 점의 위치는 표시영역(30A)의 단위치를 통과시키는 슬라이드 이동조작 중의 위치이고, 유저는 그 지시위치 그 자체의 검출을 의도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된 첫 번째 점 및 두 번째 점의 위치를 좌표 출력하여 제어회로(401)에 어떠한 제어처리를 실시하게 하는 것은 쓸데없는 처리 동작이 된다. 이 때문에, 이 실시 형태와 같이 검출한 단위치(Pe)를, 첫 번째 점 및 두 번째 점의 위치의 좌표출력을 대신해 제어회로(401)에 공급함으로써, 제어회로(401)에 있어서의 쓸데없는 처리 동작을 배제할 수 있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위치의 좌표출력과 함께, 당해 단위치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해서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도록 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로부터 이 단위치의 좌표출력을 제어회로(401)가 수신하면, 제어회로(401)는 이 수신한 단위치를,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단위치로서 인식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표시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하는 표시영역(30A)의 단이 좌단, 우단, 하단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위치의 검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있어서, 사선을 첨부해 나타낸 왼쪽 대각선 상방영역, 왼쪽 대각선 하방영역, 오른쪽 대각선 상방영역, 오른쪽 대각선 하방영역은 단위치의 검출영역 외로 하고 있다. 이것은,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표시영역(30A)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서로 이웃하는 표시영역(30A)의 단, 예를 들면 상단과 좌단, 하단과 좌단, 하단과 우단, 상단과 우단의 어느 쪽을 통과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밖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의 경우>
도 4는 손가락 등의 지시체(5)가 화살표(7)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디바이스(30)의 표시화면(33)의 표시영역(30A)의 내측으로부터 표시영역(30A)의 외측으로, 예를 들면 표시영역(30A)의 상단 위치(TP)를 통과해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예에 있어서는, 지시체(5)가 화살표(7)로 나타낸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위치검출센서(20)는 어떤 시점에 위치 P21를 출력하고, 그 10 msec 경과 후에 위치 P22를 출력하며, 아울러 그 10 msec 경과 후에는 지시체는 검출되지 않고, 좌표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위치 P22의 출력 후 10 msec 경과했을 때에, 좌표출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것을 검출했을 때에는, 지시체(5)가 위치 P21로부터 위치 P22를 통과하는 직선경로에서 등속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가상의 지시체 위치(P20)를 추정한다. 즉, 위치 P21와 위치 P22를 연결하는 직선을, 상단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해, 그 연장선상에 위치 P22로부터, 위치 P21과 위치 P22의 거리분만큼 떨어진 위치로서 위치 P20을 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의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추정한 가상의 지시체의 위치(P20)가 표시영역(30A)의 좌단, 우단, 상단, 하단 중 어느 쪽의 외측에 있는지를 판별한다. 도 4의 예에서는, 추정한 가상의 지시체의 위치(P20)는 상단 위치(TP)의 외측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추정한 위치(P20)와 그 하나 전 시점의 위치(P21)를 연결한 선분과, 상단의 교점으로서 지시체가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단위치(Pe)를 산출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하는 표시영역(30A)의 단이 좌단, 우단, 하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위치의 검출을 할 수 있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위치의 좌표 출력과 함께 당해 단위치는,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해서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도록 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가 이 단위치의 좌표출력을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면, 제어회로(401)는 이 수신한 단위치를,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단위치로서 인식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표시제어를 실시하도록 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 조작에 의해 통과하는 표시영역(30A)의 단이, 좌단, 우단, 하단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위치의 검출을 할 수 있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를 포함한 센서회로부의 처리 상세]
다음으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회로부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의 일례를, 도 5 ~ 도 9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주로 위치정보출력회로(205)가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회로부는, 이 예에서는 10 msec 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실행한다.
우선, 전회의 위치검출처리로부터 10 msec 경과하면, 센서회로부는 지시체의 지시좌표검출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1).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지시체의 지시좌표검출처리에 의해 지시체의 좌표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02). 이 스텝(S102)에서 지시체의 좌표가 검출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전회 검출된 좌표가 있는 경우에, 금회(今回) 검출된 좌표위치의 근처에 있는 지시체의 좌표를 탐색하고(스텝 S103), 금회 검출된 좌표는 새로운 터치의 검출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별한다(스텝 S104). 즉, 금회 검출된 좌표위치의 근처에 있는 지시체의 좌표가 없으면 새로운 터치라고 판별하고, 금회 검출된 좌표위치의 근처에 있는 지시체의 좌표가 있으면 새로운 터치는 아니라고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 S104에서, 금회 검출된 좌표는 새로운 터치의 검출위치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첫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status)「1」이라고 한다(스텝 S105).
또한 스텝 S104에서, 금회 검출된 좌표는 새로운 터치의 검출위치는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는 무엇인지 판별한다(스텝 S106).
이 스텝 S106에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첫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1」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두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2」로 한다(스텝 S107).
또한 스텝 S106에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두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2」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세 번째 점 이후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3」으로 한다(스텝 S108).
또한 스텝 S106에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세 번째 점 이후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3」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는 세 번째 점 이후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3」그대로 한다(스텝 S109).
그리고, 스텝 S105 및 스텝 S107~스텝 S109의 다음으로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도 6의 스텝 S111로 진행되어,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에 부여된 스테이터스는 무엇인지 판별한다.
이 스텝 S111에서,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에 부여된 스테이터스가 첫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1」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검출된 지시체의 좌표(x, y)를, 전회 검출위치의 좌표(oldx, oldy)로서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스텝 S112). 그리고, 이 첫 번째 점의 검출위치의 좌표는 제어회로(401)에 공급하지 않고, 이 회의 위치검출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11에서,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에 부여된 스테이터스가 두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2」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도 3을 이용해 설명한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조작시 표시영역 단위치 검출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13). 이 스텝 S113의 상세한 처리 흐름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스텝 S113의 다음으로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검출된 지시체의 좌표(x, y)를, 전회 검출위치의 좌표(oldx, oldy)로서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스텝 S114). 그리고,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처리를 스텝 S117로 진행해 유효 좌표를 제어회로(401)로 출력한다. 이때, 이 두 번째 점의 좌표에 대해서는 스텝 S113에 있어서의 단검출처리가 이루어진 결과에 따른 유효 좌표가 출력된다. 즉,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단위치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 번째 점의 좌표(및 첫 번째 점의 좌표)를 대신해, 검출된 단위치의 좌표를 유효 좌표로서 제어회로(401)로 출력한다. 또한, 스텝 S113에 있어서의 단검출처리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당해 두 번째 점의 좌표를 유효 좌표로서 제어회로(401)로 출력한다.
또한 스텝 S111에서,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에 부여된 스테이터스가 세 번째 점 이후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3」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검출된 지시체의 좌표(x, y)를, 전회 검출위치의 좌표(oldx, oldy)로서 버퍼메모리에 격납한다(스텝 S115). 그리고,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처리를 스텝 S117로 진행하여 당해 세 번째 점 이후의 좌표를 유효 좌표로서 제어회로(401)로 출력한다.
또한 스텝 S111에서,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에 부여된 스테이터스가, 표시영역(30A)으로부터 멀어진 직후의 1회째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4」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도 4를 이용해 설명한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조작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 검출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16). 이 스텝 S116의 처리 흐름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처리를 스텝 S117로 진행하여 유효 좌표를 제어회로(401)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 S116에 있어서의 단검출처리가 이루어진 결과에 따른 유효 좌표가 출력된다. 즉, 표시영역의 단위치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검출된 단위치의 좌표를 유효 좌표로서 제어회로(401)로 출력한다. 또한, 스텝 S116에 있어서의 단검출처리에서 단위치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유효 좌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제어회로(401)로는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111에서,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에 부여된 스테이터스가 스테이터스「1」~「4」이외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제어회로(401)로의 출력은 실시하지 않고, 이 회의 위치검출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스텝 S102에 있어서, 지시체의 좌표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판별한다(도 7의 스텝 S121).
이 스텝 S121에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첫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1」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표시영역(30A)으로부터 멀어져 2회째 이후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5」로 한다(스텝 S122). 이 스텝 S122의 처리는 전회 첫 번째 점으로서 검출되었지만 금회 검출되지 않았던 것으로부터, 전회 첫 번째 점의 검출은 노이즈인 것으로 하는 것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스텝 S121에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두 번째 점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2」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표시영역(30A)으로부터 멀어진 직후의 1회째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4」로 한다(스텝 S123).
또한 스텝 S121에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세 번째 점 이후의 검출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3」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표시영역(30A)으로부터 멀어진 직후의 1회째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4」로 한다(스텝 S124).
또한 스텝 S121에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표시영역(30A)으로부터 멀어진 직후의 1회째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4」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를, 표시영역(30A)으로부터 멀어져 2회째 이후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5」로 한다(스텝 S125).
또한 스텝 S121로, 전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의 스테이터스가 표시영역(30A)으로부터 멀어져 2회째 이후인 것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5」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에는 스테이터스를 부여하지 않고, 전술한 스텝 S111로 처리를 진행시켜 이 스텝 S11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스텝 S122~125의 다음으로는, 전술한 스텝 S111로 처리를 진행시켜 이 스텝 S11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스텝 S113에 있어서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조작시 표시영역 단위치 검출처리의 흐름 일례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먼저 검출되어 있는 첫 번째 점의 좌표(버퍼메모리의 전회 검출좌표(oldx, oldy))와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로부터, 0번째 점의 좌표(nx, ny)를 산출한다(스텝 S201). 이때 0번째 점의 좌표(nx, ny) 산출식은,
nx = x - (x - oldx)×2
ny = y - (y - oldy)×2
가 된다.
다음으로,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는 표시영역(30A)의 우단의 밖이며, 아울러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는 표시영역(30A)의 우단보다 내측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2). 즉, 이 스텝 S202에서는 우단의 위치(RT)의 x좌표를 'AREA_RIGHT'라 하면, 'nx ≥ AREA_RIGHT'이며, 아울러 'x < AREA_RIGHT'를 만족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스텝 S202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우단을 통과했다고 인정하고, 당해 우단의 통과점(교점)의 좌표를 산출한다(스텝 S203). 이 예에서는,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와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를 이용해서, 슬라이드 이동조작의 통과 궤적과 표시영역(30A) 우단의 교점 좌표(tx, ty)는,
tx = AREA_RIGHT
ty = (ny - y)×(AREA_RIGHT - x)/(nx - x)+y
로서 산출되어, 이것이 유효 좌표로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AREA_RIGHT = Xmax'이다.
스텝 S203의 다음으로는,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는 표시영역(30A)의 좌단의 밖이며, 아울러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는 표시영역(30A)의 좌단보다 내측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4). 스텝 S202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고, 0번째 점은 표시영역(30A)의 우단의 밖에는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도,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스텝 S203을 실시하지 않고, 이 스텝 S204의 판별 처리를 실시한다.
이 스텝 S204에서의 처리는, 좌단 위치(LT)의 x좌표를 'AREA_LEFT'라 하면 'nx ≤ AREA_LEFT'이며, 아울러 'x > AREA_LEFT'를 만족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이 스텝 S204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좌단을 통과했다고 인정해서 당해 좌단의 통과점(교점) 좌표를 산출한다(스텝 S205). 이 예에서는,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와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를 이용해서, 슬라이드 이동조작의 통과 궤적과 표시영역(30A) 좌단의 교점 좌표(tx, ty)는,
tx = AREA_LEFT
ty = (ny - y)×(AREA_LEFT - x)/(nx - x)+y
로서 산출되어, 이것이 유효 좌표로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AREA_LEFT=0'이다.
스텝 S205의 다음으로는,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는 표시영역(30A)의 상단의 밖이며, 아울러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는 표시영역(30A)의 상단보다 내측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6). 스텝 S204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고, 0번째 점은 표시영역(30A)의 좌단의 밖에는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도,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스텝 S205를 실시하지 않고, 이 스텝 S206의 판별 처리를 실시한다.
이 스텝 S206에서의 처리는, 표시영역(30A)의 상단 위치(TP)의 y좌표를 'AREA_TOP'라 하면, 'ny ≤ AREA_TOP'이며, 아울러 'y > AREA_TOP'를 만족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스텝 S202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상단을 통과했다고 인정해서 당해 상단의 통과점(교점) 좌표를 산출한다(스텝 S207). 이 예에서는,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와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를 이용해서, 슬라이드 이동조작의 통과 궤적과 표시영역(30A) 상단의 교점 좌표(tx, ty)는,
tx = (nx - x)×(AREA_TOP - y)/(ny - y)+x
ty = AREA_TOP
로서 산출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AREA_TOP=0'이다.
다음으로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산출한 교점의 x좌표(tx)가 표시영역(30A)의 좌단과 우단 사이의 좌표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도 9의 스텝 S211). 즉, 'AREA_LEFT≤tx≤AREA_RIGHT'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 S211에서 산출한 교점의 x좌표(tx)는 표시영역(30A)의 좌단과 우단 사이의 좌표치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 S207에서 산출한 상단과의 교점 좌표를 유효 좌표로 한다(스텝 S212).
스텝 S212의 다음으로는,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는 표시영역(30A) 하단의 밖이며, 아울러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는 표시영역(30A)의 하단보다 내측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6). 스텝 S206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고, 0번째 점은 표시영역(30A) 상단의 밖에는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도,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스텝 S207를 실시하지 않고, 이 스텝 S213의 판별 처리를 실시한다.
이 스텝 S213에서의 처리는, 표시영역(30A)의 하단 위치(BT)의 y좌표를 'AREA_BOTTOM'라 하면 'ny ≥ AREA_BOTTOM'이며, 아울러 'y < AREA_BOTTOM'를 만족하고 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스텝 S202에서, 상기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상단을 통과했다고 인정해서 당해 하단의 통과점(교점) 좌표를 산출한다(스텝 S214). 이 예에서는, 두 번째 점의 좌표(금회 검출좌표(x, y))와 스텝 S201에서 산출된 0번째 점의 좌표(nx, ny)를 이용해서, 슬라이드 이동조작의 통과 궤적과 표시영역(30A) 상단과의 교점 좌표(tx, ty)는,
tx = (nx - x)×(AREA_BOTTOM - y)/(ny - y)+x
ty = AREA_BOTTOM
로 산출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AREA_BOTTOM=Ymax'이다.
다음으로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산출한 교점의 x좌표(tx)는 표시영역(30A)의 좌단과 우단 사이의 좌표치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15). 즉, 'AREA_LEFT≤tx≤AREA_RIGHT'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 S215에서 산출한 교점의 x좌표(tx)는 표시영역(30A)의 좌단과 우단 사이의 좌표치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 S214에서 산출한 하단과의 교점 좌표를 유효 좌표로 한다(스텝 S216).
다음으로,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유효 좌표가 구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17). 이 스텝 S217에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유효 좌표가 구해져 있지 않으면, 그대로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 S217에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유효 좌표가 구해져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금회 유효 좌표를, 지시체의 검출 좌표(두 번째 점의 좌표)를 대신해서, 유효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좌표(nx, ny)로 변경한다(스텝 S218). 그리고, 이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전술한 스텝 S116에 있어서의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이동조작시 표시 영역의 단위치의 검출처리 흐름은, 상술한 도 8 및 도 9의 흐름도와 같다. 단, 전술한 스텝 S116의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이동조작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검출처리는, 지시체의 좌표가 검출되지 않게 된 직후 1회째의 타이밍으로 실행되는 점과, 스텝 S201에서는 가상점의 좌표(nx, ny)가
nx = x - (x - oldx)
ny = y - (y - oldy)
로 추정 산출되는 점이, 상술한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이동조작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검출처리 스텝과는 다르다.
또한, 스텝 S116의 처리에 있어서는, 유효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금회 지시체의 위치검출결과로서 검출할 수 없었던 좌표를 대신해서, 유효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의 좌표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시체에 의해 표시영역(30A)의 우단, 좌단, 상단, 하단 중 어느 쪽의 단을 통과하는 조작을 했을 때에는, 그러한 우단, 좌단, 상단, 하단과 슬라이드 이동조작 궤적의 교점 위치로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가 검출된다. 따라서, 유저가 지시체에 의해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하도록 슬라이드 이동 조작했을 때에 당해 단위치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시체를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하도록 슬라이드 이동조작한 것에 의해 기동되는 필요한 제어처리도 확실히 되어, 지시체 조작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응하는 처리가 기동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지시체가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할 때 지시체의 표시 영역외에 있어서의 위치는 표시영역(30A) 내에 있어서,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한 지시체의 위치좌표를 이용해 추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검출센서(20)의 검출영역(20A)은 표시영역(30A)과 거의 동일 혹은 약간 크게 하는 것만으로 좋다. 이 때문에, 전자기기 케이스의 크기도 표시영역(30A)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할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영역(30A)의 우단, 좌단, 상단, 하단과 슬라이드 이동조작 궤적의 교점 위치를,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좌표출력으로 하고 있다. 즉,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좌표 출력은, 표시영역(30A)의 우단, 좌단, 상단, 하단을 나타내는 좌표, 예를 들면 x=0 또는 y=0, 혹은 x=Xmax 또는 y=Ymax를 포함한, 각각 1 라인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영역(30A) 주위의 단을 제외한 에어리어(area)의 전체에서 위치검출할 수 있어, 위치검출에 따른 조작용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위치는 표시영역 내의 단부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시만이 아니고,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시도, 표시영역(30A)의 단위치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지시체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조작시에 있어서는, 표시영역(30A) 내에서 지시체가 위치 검출된 두 번째 점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Pe)의 좌표산출을 해, 당해 두 번째 점 및 첫 번째 점의 좌표 출력을 대신해서, 산출한 단위치의 좌표를 출력하도록 했다.
그렇지만, 표시영역(30A) 내에서 지시체가 위치 검출된 두 번째 점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Pe)의 좌표를 산출하는 것은, 상술한 예와 같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출한 단위치(Pe)의 좌표를, 지시체(5)의 첫 번째 점의 검출위치(P11)의 좌표를 대신해서 출력함과 함께, 지시체(5)의 두 번째 점의 검출위치(P12)의 좌표는 그대로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영역(30A) 내에 있어서의 지시체의 두 번째 점 및 첫 번째 점의 좌표출력을 대신해서,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통과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Pe)의 좌표를 출력하도록 했기 때문에, 제어회로(401)에 공급되는 지시체의 검출위치좌표는, 도 3에 있어서 '×'표의 단위치(Pe)의 좌표와 검은점으로 나타낸 위치(P13, P14, …)의 좌표가 되어 버린다.
그러면 제어회로(401)는 지시체(5)가 예를 들면 등속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거기에 따른 검출위치의 좌표출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올바른 지시체의 조작상태를 검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영역(30A)에 있어서의 지시체(5)의 세 번째 점의 위치(P13)를 검출할 수 있었을 때에, 그 세 번째 점의 검출위치좌표를 그대로 제어회로(401)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회로(401)가 지시체(5)의 이동조작에 대응한 이동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세 번째 점의 검출위치좌표를 보정해 그 보정한 위치(P13')의 좌표를 출력하도록 하면 좋다.
이 경우,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세 번째 점의 검출위치좌표를 얻었을 때에, 먼저 그 하나 전의 두 번째 점의 위치(P12)의 좌표와 당해 세 번째 점의 검출위치(P13)의 좌표로부터 네 번째 점의 위치(P14)를 추정한다. 그리고,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그 추정한 네 번째 점의 위치(P14)의 추정 좌표와 산출된 단위치(Pe) 좌표의 예를 들면 중점 위치좌표로서, 지시체의 세 번째 점의 검출위치(P13)에 대해서 보정된 위치(P13')의 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위치정보출력회로(205)는 그 산출한 보정된 위치(P13')의 좌표를, 세 번째 점의 위치(P13)의 좌표를 대신해서 제어회로(401)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시에 있어서는, 지시체가 표시영역(30A)의 밖으로 되었기 때문에 지시체의 좌표를 검출할 수 없게 된 첫 번째 점에서,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한 단위치의 산출을 실시했다.
그러나,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시에 있어서도,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시와 마찬가지로, 표시영역(30A) 내에 있어서 지시체의 이동조작시 두 번째 점의 위치검출좌표를 이용해서,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할 때의 단위치를 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10 msec 등의 소정 시간간격으로 연속해서 이산적으로 얻을 수 있는 지시체의 검출 좌표 2개 중, 금회 위치검출처리로 검출된 지시체의 좌표와 전회 위치검출처리로 검출된 지시체의 좌표로부터, 다음 회의 위치검출처리로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시체의 좌표를,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수법에 의해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가상의 지시체의 위치좌표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시영역(30A)의 외측이라고 판정했을 때에, 당해 산출된 가상의 지시체의 위치좌표와 금회 지시체의 검출좌표로부터,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 궤적과 표시영역의 단과의 교점 위치로서 단위치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산출한 단위치좌표를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산출한 단위치좌표는 금회 지시체의 검출좌표를 대신해서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고, 금회 지시체의 검출좌표와 함께 제어회로(401)에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에, 산출한 단위치좌표에는 표시영역(30A)의 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시에 있어서, 상술한 단위치의 추정산출처리는 표시영역(30A)의 단 근처의 에어리어만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 형태]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검출센서(20)의 검출영역(20A)의 크기를, 표시영역(30A)의 크기와 거의 동일 혹은 조금 큰 것으로 했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느린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시에는, 혹은 전자기기로서의 크기에 여유가 있는 경우 등에서는, 지시체의 위치검출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위치검출센서(20)의 검출영역(20A’)을 표시영역(30A)의 크기보다 큰 것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검출영역(20A’)은 표시영역(30A) 밖의 영역에서 지시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표시영역(30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시체(5)를 슬라이드 이동 조작했을 때에는, 표시영역(30A)의 영역 외에서 지시체(5)의 위치(P30)가 검출된다. 그리고, 표시영역(30A) 내에서 지시체(5)의 위치(P31)가 검출된다.
이 때문에, 지시체의 전회 위치검출처리결과의 좌표위치(P30)가 표시영역 외이며, 지시체의 금회 위치검출처리결과의 좌표위치(P31)가 표시영역 내인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영역 내 지시체(5)의 위치(P31) 좌표와 표시 영역외 지시체(5)의 위치(P30) 좌표를 이용해서, 지시체가 슬라이드 이동해서 통과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Pe)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표시영역(3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시체(5)를 슬라이드 이동 조작했을 때에는, 표시영역(30A) 내에서 지시체(5)의 위치(P41, P42)가 검출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 표시영역(30A)의 영역 외에서 지시체(5)의 위치(P43)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시체의 전회 위치검출처리결과의 좌표 위치(P42)가 표시영역(30A)의 내측이며, 지시체의 금회 위치검출처리결과의 좌표 위치(P43)가 표시영역(30A)의 외측인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표시영역(30A)의 단을 통과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영역(30A) 내측의 지시체(5)의 위치(P42) 좌표와 표시영역(30A) 외측의 지시체의 위치(P43) 좌표를 이용해서, 지시체가 슬라이드 이동해 통과한 표시영역(30A)의 단위치(Pe)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처럼, 표시영역(30A) 외측의 지시체의 위치를, 표시영역(30A) 내측의 2개의 지시체 검출위치의 좌표에 기초해서 추정하고 산출하는 처리는 불필요해진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시에 통과한 단위치인지, 표시영역의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통과한 단위치인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어느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부여하도록 했다. 그러나,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을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이와 같은 플래그는 불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무엇보다도, 슬라이드 이동시에 통과한 표시영역의 단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표시영역의 단위치의 좌표에 부가해서 출력하도록 해도 무방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영역의 단의 좌표로서 표시영역의 우단, 좌단, 상단, 하단의 좌표를 출력하도록 했지만, 표시영역의 외측의 좌표를 표시영역의 단의 좌표로서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어회로는 표시영역 외측의 예를 들면 특정의 좌표를 받았을 때에, 지시체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에 의해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통과한 것을 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1개의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복수 개의 손가락으로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검출센서는 정전용량방식의 위치검출센서로 했지만, 정전용량방식의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자유도방식의 위치검출센서나 저항막방식의 위치검출센서여도 좋다. 단, 전자유도방식의 위치검출센서의 경우에는, 위치검출센서는 평면부재와 표시디바이스 사이가 아니고, 표시디바이스의 평면부재와 대향하는 면의 측과는 반대인 면측에 배치된다. 전자유도방식의 위치검출센서는, 위치검출센서가 위치 지시기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것으로 위치 지시기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다. 전자유도방식의 위치검출센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특개 2007-164356호 공보 등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기는 휴대전화단말의 경우로 했지만, 휴대전화단말에 한정하지 않고, 패드형 단말이나 노트북 혹은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에 접속하는 표시장치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5…지시체, 20…위치검출센서, 20A…검출영역, 30…표시디바이스, 30A…표시영역, 40…제어회로기판, 50…평면부재

Claims (12)

  1. 소정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표시디바이스와,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에서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디바이스에 중첩해서 배치되어, 상기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이산적으로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
    일방면의 측은 상기 지시체에 의한 위치 지시를 위한 조작면으로 되고, 상기 일방면과 반대측인 타방면의 측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와 상기 표시디바이스가 배치된 평면부재를 가지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지시체에 의한 상기 조작면 상의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에 대응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 검출 후에 검출된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지시체에 의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회로와,
    상기 지시체에 의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상기 판정회로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회로에 의해 상기 단위치가 산출된 것에 대응해서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표시제어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내측으로의 이동조작임과 아울러,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상기 판정회로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위치를 대신해서 혹은 상기 제 1 위치를 대신해서, 상기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회로에 의해 산출된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내에서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판정회로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위치 혹은 상기 제 2 위치에 인접하는 위치를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에 대응해서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가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내측으로의 이동조작인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 위치에 인접하는 위치를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에 기초해서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가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상기 판정회로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표시제어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전체 제어에 대해서 지시 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판정회로는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을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회로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의 검출 후에 검출된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과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을 서로 식별 가능하게 판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소정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표시디바이스와,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에서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표시디바이스에 중첩해서 배치되어, 상기 지시체에 의한 지시 위치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이산적으로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와, 일방면의 측은 상기 지시체에 의한 위치 지시를 위한 조작면으로 되고, 상기 일방면과 반대측인 타방면의 측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와 상기 표시디바이스가 배치된 평면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조작면 상의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에 대응해서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의 검출 후에 검출된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스텝과,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상기 판정스텝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스텝과,
    상기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스텝에 의해 상기 단위치가 산출된 것에 대응해서 상기 표시디바이스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표시제어스텝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내측으로의 이동조작임과 아울러,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이 상기 판정스텝에 의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위치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위치를 대신해서 혹은 상기 제 1 위치를 대신해서, 상기 표시영역 단위치 산출스텝에 의해 산출된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위치를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내에서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판정스텝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위치 혹은 상기 제 2 위치에 인접하는 위치를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에 대응해서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가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를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에 기초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외측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 내측으로의 이동조작인 것이 판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 위치에 인접하는 위치를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에 기초해서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가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내측과 외측에서 각각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판정스텝은 상기 지시체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이동조작이 상기 표시디바이스의 상기 소정의 표시영역의 단을 통과한 것을 판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KR1020120013685A 2011-09-15 2012-02-10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KR102077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2464A JP5372091B2 (ja) 2011-09-15 2011-09-15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表示画面制御方法
JPJP-P-2011-202464 2011-09-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17A Division KR101973334B1 (ko) 2011-09-15 2018-10-05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05A KR20130029705A (ko) 2013-03-25
KR102077094B1 true KR102077094B1 (ko) 2020-02-14

Family

ID=456076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685A KR102077094B1 (ko) 2011-09-15 2012-02-10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KR1020180119017A KR101973334B1 (ko) 2011-09-15 2018-10-05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017A KR101973334B1 (ko) 2011-09-15 2018-10-05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9971486B2 (ko)
EP (1) EP2570898B1 (ko)
JP (1) JP5372091B2 (ko)
KR (2) KR102077094B1 (ko)
CN (1) CN102999287B (ko)
IL (1) IL217694B (ko)
TW (1) TWI5393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6873B2 (ja) * 2012-08-28 2016-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装置、選択メニュー表示方法、選択メニュー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221527B2 (ja) * 2013-09-02 2017-11-0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座標入力プログラム
JP2015173787A (ja) * 2014-03-14 2015-10-05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DE102014003864B4 (de) * 2014-03-18 2023-06-07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onisches Gerät und Bedienanordnung mit einem elektronischen Gerät
CN105578811B (zh) * 2014-10-17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使用方法
US20180059811A1 (en) * 2015-03-31 2018-03-01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66767B2 (ja) * 2015-07-29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9093A1 (en) * 2010-02-19 2011-08-25 Microsoft Corporation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3044A (ja) * 1998-01-16 1999-07-30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US7821503B2 (en) * 2003-04-09 2010-10-26 Tegic Communications, Inc. Touch scree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50168441A1 (en) * 2002-11-05 2005-08-04 Fujitsu Limited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computer product
US20050030293A1 (en) * 2003-08-05 2005-02-10 Lai Chih Chang Method for predicting and estimating coordinates of a touch panel
JP4457051B2 (ja) * 2005-07-19 2010-04-28 任天堂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移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7041790A (ja) * 2005-08-02 2007-02-15 Sony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
JP4751191B2 (ja) 2005-12-12 2011-08-1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器、及び、位置入力装置
KR100758288B1 (ko) * 2006-02-10 2007-09-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손 동작 기반의 입출력 장치, 시스템 및 방법
TWM313819U (en) * 2006-10-27 2007-06-11 Heng-Lan Tsau Integrated structure of a touch panel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107067A1 (en) * 2008-10-27 2010-04-29 Nokia Corporation Input on touch based user interfaces
JP4904375B2 (ja) * 2009-03-31 2012-03-28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JP5158023B2 (ja) * 2009-06-09 2013-03-06 富士通株式会社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10001706A1 (en) * 2009-07-02 2011-01-06 Emery Sanford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US8381118B2 (en) * 2009-10-05 2013-02-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and devices that resize touch selection zones while selected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JP5289273B2 (ja) * 2009-10-28 2013-09-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110175827A1 (en) * 2009-12-04 2011-07-21 Adam Bogue Filtering Input Streams in a Multi-Touch System
US8988356B2 (en) 2009-12-31 2015-03-24 Google Inc. Touch sensor and touchscreen user input combination
JP2011150414A (ja) * 2010-01-19 2011-08-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決定方法及び操作入力決定プログラム
US9310994B2 (en) *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8799827B2 (en) * 2010-02-19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manipulations us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8823656B2 (en) * 2010-08-30 2014-09-02 Atmel Corporation Touch tracking across multiple touch screens
US8890817B2 (en) * 2010-09-07 2014-11-18 Apple Inc. Centralized processing of touch information
US20120154303A1 (en) * 2010-09-24 2012-06-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the same
CN103221914B (zh) * 2010-09-24 2020-01-31 黑莓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9092082B2 (en) * 2010-12-22 2015-07-28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touch senso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9093A1 (en) * 2010-02-19 2011-08-25 Microsoft Corporation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05A (ko) 2013-03-25
US20130069868A1 (en) 2013-03-21
KR101973334B1 (ko) 2019-04-26
US20220147232A1 (en) 2022-05-12
IL217694A0 (en) 2012-06-28
EP2570898B1 (en) 2017-08-23
JP5372091B2 (ja) 2013-12-18
JP2013065122A (ja) 2013-04-11
KR20180113481A (ko) 2018-10-16
US20200218436A1 (en) 2020-07-09
US20180232131A1 (en) 2018-08-16
CN102999287B (zh) 2017-12-26
US9971486B2 (en) 2018-05-15
EP2570898A2 (en) 2013-03-20
IL217694B (en) 2018-04-30
EP2570898A3 (en) 2014-07-30
US10599312B2 (en) 2020-03-24
US11237707B2 (en) 2022-02-01
TW201312411A (zh) 2013-03-16
TWI539337B (zh) 2016-06-21
CN102999287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34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표시화면 제어방법
CN109992149B (zh) 触摸显示装置、触摸系统、触摸驱动电路、笔和笔感测方法
JP5642900B2 (ja) 電子機器及び振動制御方法
EP2600230B1 (en) Position detector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EP2428881A2 (en)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US20140091817A1 (e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capacitive type touch panel
US20150370412A1 (en) Touch pane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US9746963B2 (en) Detection method using capacitiv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10936093B2 (en) Position detection sensor and position detection module
US20100073321A1 (en) Display apparatus
EP2541383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2014063212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5026394A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
CN10446122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4225283A (ja) 電子機器及び座標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14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05

Effective date: 20191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