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065B1 -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065B1
KR102077065B1 KR1020130017642A KR20130017642A KR102077065B1 KR 102077065 B1 KR102077065 B1 KR 102077065B1 KR 1020130017642 A KR1020130017642 A KR 1020130017642A KR 20130017642 A KR20130017642 A KR 20130017642A KR 102077065 B1 KR102077065 B1 KR 102077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pattern
pattern
insulating lay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761A (ko
Inventor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065B1/ko
Priority to US13/958,504 priority patent/US9368856B2/en
Publication of KR2014010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16Antenna or wave energy "plumbing"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는 커버 윈도우, 안테나 패턴, 절연층, 및 안테나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에는 수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은 요철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을 커버하며 하면이 요철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안테나 패턴을 커버한다. 상기 안테나 패드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는 안테나 패턴의 체적이 증가하여 안테나의 방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WINDOW ASSEMBLY FOR DISPLAY DEVICE INCLUDING ANTENN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 성능이 개선된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내장된 표시 장치가 대중화 되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커버 윈도우, 및 안테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었다.
한편, 상기 커버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은 각각 평판 형태로 제공되므로, 상기 안테나 패턴의 두께만큼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패턴을 얇게 형성하는 경우,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에 비해 두께가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방사 성능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안테나가 구비된 윈도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안테나가 구비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는 커버 윈도우, 안테나 패턴, 절연층, 및 안테나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에는 수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은 요철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바닥면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을 커버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의 하면은 요철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방사체 및 연결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방사체는 평면상에서 상기 오목부에 중첩한다. 상기 연결 패턴은 평면상에서 상기 볼록부에 중첩되며 상기 방사체에 연결된다. 상기 방사체의 두께는 상기 연결 패턴의 두께 보다 크다.
상기 절연층은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을 커버한다. 상기 절연층에는 평면상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드와 중첩하게 형성된 비아홀이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 패드는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피딩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딩 전극은 상기 비아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은 수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은 요철 형태로 제공된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납홈 내에 안테나 모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평판 형태의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을 식각 또는 인그레이빙하여 상기 요철 형태의 상기 바닥면을 갖는 상기 수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윈도우 부재에 의하면, 안테나 패턴의 하면이 요철 형태로 제공되어 종래에 비해 안테나 패턴의 체적을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안테나의 방사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이 커버 윈도우의 수납홈 내에 수납되므로, 종래에 비해 전체적인 윈도우 부재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테나 패턴의 손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가 구비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안테가가 구비된 윈도우 부재가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테나 패턴을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는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및 윈도우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ora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의 다양한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와 상기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10)은 상기 표시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0)은 상기 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미도시) 및 데이터 드라이버(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10)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패드 전극(미도시)과 집적 회로칩(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직접 회로칩은 상기 패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20)은 상기 제1 기판(10)에 접합되어 상기 제1 기판(10)에 형성된 화소, 회로, 및 배선들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킨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제2 기판(20)의 일면에 부착되어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 부재(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전면을 커버한다. 즉, 상기 윈도우 부재(200)는 상기 제2 기판(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10)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 부재(2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편평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200)는 커버 윈도우(210), 안테나 패턴(220), 절연층(230), 및 안테나 패드(2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21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윈도우 부재(200)의 나머지 구성들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21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210)에는 수납홈(GV)이 구비된다. 상기 수납홈(GV)은 바닥면(211) 및 상기 바닥면(211)에 연결된 측면(212)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211)은 요철(凹凸)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바닥면(211)은 오목부(CC), 볼록부(CV), 및 요철 측면(CL)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CC)는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방향(D1)으로 더 낮게 제공되고, 상기 볼록부(CV)는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 방향(D1)으로 더 높게 제공된다. 상기 오목부(CC) 및 상기 볼록부(CV)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요철 측면(CL)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오목부(CC)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210)의 두께는 상기 볼록부(CV)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210)의 두께 보다 더 작다. 상기 오목부(CC)와 상기 볼록부(CV)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높이 차(h1)를 갖는다. 상기 요철 측면(CL)의 높이는 상기 오목부(CC)와 상기 볼록부(CV) 사이의 높이 차(h1)와 동일하다.
상기 오목부(CC)와 상기 볼록부(CV) 사이의 높이 차(h1)는 수납홈(GV)이 구비되지 않은 커버 윈도우(210)의 상면과 상기 오목부(CC) 사이의 높이 차(h2) 보다 작게 설정된다. 즉, 상기 커버 윈도우(210)의 두께는 상기 수납홈(GV)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에서 가장 크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상기 수납홈(GV)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211)을 커버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방사체(221) 및 연결 패턴(222)을 포함한다. 상기 방사체(221)는 평면상에서 상기 오목부(CC)에 중첩하게 제공된다. 상기 연결 패턴(222)은 평면상에서 상기 볼록부(CV)에 중첩하게 제공되며 상기 방사체(221)에 연결된다.
상기 방사체(221)는 상기 연결 패턴(222)에 비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221)와 상기 연결 패턴(222) 사이의 상기 제1 방향(D1) 높이 차는 상기 오목부(CC)와 상기 볼록부(CV) 사이의 높이 차(h1)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방사체(221) 및 상기 연결 패턴(222)이 평면상에서 동일한 면적을 갖는다고 가정할 때, 상기 방사체(221)의 체적이 상기 연결 패턴(222)의 체적 보다 더 크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상면은 편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하면은 상기 수납홈(GV)의 바닥면(211)을 따라 요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영역(DA)의 일부와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ITO(Induim 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표시 패널(100)에서 표시된 영상이 상기 안테나 패턴(220)을 투과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안테나 패턴을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복수의 방사체(221)와 스파이럴 형상으로 제공된 연결 패턴(22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상기 방사체(221)와 상기 연결 패턴(222)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층(230)은 상기 수납홈(GV)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2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230)은 평면상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220)을 커버하여 외부와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층(230)은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표시 패널(100)에서 표시된 영상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30)은 상기 윈도우 부재(200)의 상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GV)에 채워진다. 따라서, 상기 수납홈(GV)의 측면(212)에 인접한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두께와 상기 절연층(230)의 두께의 합은 상기 수납홈(GV)의 측면(212)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30)에는 상기 비표시 영역(NA)에 중첩한 패턴홈(PV)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30)에는 상기 패턴홈(PV)에 중첩하며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상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비아홀(VH)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는 상기 패턴홈(PV) 내에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는 외부에 마련된 방송신호 수신기(미도시)의 수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는 평면상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NA)에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200)는 피딩 전극(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아홀(VH)은 평면상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220)과 상기 안테나 패드(240)에 중첩하게 제공된다. 상기 피딩 전극(250)은 상기 비아홀(VH)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220)과 상기 안테나 패드(2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는 상기 피딩 전극(250)을 통해 상기 안테나 패턴(220)에 전달될 수 있다.
종래의 안테나가 구비된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경우, 안테나 패턴은 박막 형태로 형성되었다. 즉, 안테나 패턴은 필름이나 코팅을 이용하여 형성되므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종래의 표시 장치의 경우, 커버 윈도우는 판상으로 제공되고, 안테나 패턴은 상기 커버 윈도우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윈도우 부재의 두께가 증가된다. 또한, 윈도우 부재를 얇게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패턴을 덮는 절연층을 비교적 얇게 형성할 수 밖에 없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안테나 패턴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가 구비된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000)에 의하면, 안테나 패턴(220)의 체적이 종래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한 상기 연결 패턴(222)의 두께를 종래의 안테나 패턴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한 경우, 상기 방사체(221)의 두께는 상기 연결 패턴(222)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전체적인 안테나 패턴(220)의 체적은 종래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안테나의 성능은 일반적으로 안테나 패턴의 체적이 커질수록 향상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 비해 향상된 안테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0)에 의하면, 상기 커버 윈도우(210)에 구비된 수납홈(GV) 내에 상기 안테나 패턴(220) 및 상기 절연층(230)이 수납되므로, 종래에 비해 전체적인 윈도우 부재(2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GV)의 깊이를 충분히 깊게 형성하여, 상기 절연층(230) 또한 종래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손상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A)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는 안테나 패턴과 절연층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4에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패턴(220A)은 상기 수납홈(GV)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211) 상에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A)은 상기 오목부(CC), 상기 볼록부(CV), 및 상기 요철 측면(CL) 상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A)의 상면은 상기 바닥면(211)에 대응하는 요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30A)은 상기 수납홈(GV) 내에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220A)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230A)은 평면상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220A)을 커버하여 외부와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절연층(230A)은 상기 안테나 패턴(220A)의 상면의 형상에 의한 굴곡을 평탄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230A)에 의해 상기 윈도우 부재(200)의 상면은 편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안테나 패턴(220A)이 상기 수납홈(GV)의 바닥면(211)을 따라 형성되므로, 종래의 판상으로 제공된 커버 윈도우 상에 박막 형태로 제공된 안테나 패턴에 비해 체적이 크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안테나 패턴과 종래의 안테나 패턴이 평면상에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안테나 패턴은 상기 오목부(CC) 및 볼록부(CV) 뿐만 아니라, 요철 측면(CL) 상에도 더 구비되므로, 그만큼 종래의 안테나 패턴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의 표시 장치에 비해 향상된 안테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B)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B)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수납홈(GV) 내에 구비되는 구성들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5에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 부재(200B)는 커버 윈도우(210), 제1 안테나 패턴(220B), 제1 절연층(230B), 제2 안테나 패턴(220B-1), 제2 절연층(230B-1), 안테나 패드(240B), 및 피딩 전극(250B)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210)의 수납홈(GV) 내에는 제1 안테나 패턴(220B), 제1 절연층(230B), 제2 안테나 패턴(220B-1), 제2 절연층(230B-1), 안테나 패드(240B), 및 피딩 전극(250B)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은 도 2에 도시된 안테나 패턴(2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은 방사체(221B) 및 연결 패턴(22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안테나 패턴(220)에 따른다.
상기 제1 절연층(230B)은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절연층(230B)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을 커버하여 다른 층들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절연층(230B)은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 및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표시 패널(도 1의 100)에서 표시된 영상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230B)에는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비아홀(VH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비아홀(VH1)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 및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과 중첩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은 상기 제1 절연층(230B)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은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은 상기 제1 안테나 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230B-1)은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 및 상기 제1 절연층(230B)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절연층(230B-1)은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을 커버하여 외부와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기 윈도우 부재(200B)의 상면을 평탄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절연층(230B-1)에는 비표시 영역(도 1의 NA)에 중첩한 패턴홈(PV)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연층(230B) 및 상기 제2 절연층(230B-1)에는 상기 패턴홈(PV)에 중첩하며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의 상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비아홀(VH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B)는 상기 패턴홈(PV) 내에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B)는 외부에 마련된 방송신호 수신기(미도시)의 수신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B)는 평면상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NA)에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200B)는 제1 피딩 전극(251B) 및 제2 피딩 전극(25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딩 전극(251B)은 상기 제1 비아홀(VH1)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과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피딩 전극(252B)은 상기 제2 비아홀(VH2)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과 상기 안테나 패드(240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B)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는 상기 제2 피딩 전극(252B)을 통해 상기 제1 안테나 패턴(220B) 및 상기 제2 안테나 패턴(220B-1)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안테나 패턴을 다중층으로 형성하여 전체 안테나 패턴의 체적을 일 실시예에 비해 더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윈도우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C)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피딩 전극이 제외되고, 커플링 패턴(260)이 추가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일 실시예에 따른다. 도 6에서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C)는 커플링 패턴(26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200)의 안테나 패턴(220)은 피딩 전극(250)을 통해 상기 안테나 패드(240)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였다. 하지만, 도 6의 윈도우 부재(200C)의 안테나 패턴(220)은 상기 커플링 패턴(260)을 통해 상기 안테나 패드(240)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커플링 패턴(260)은 상기 안테나 패턴(220)과 커플링되어 물리적 접촉없이 상기 안테나 패턴(220)에 방송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패턴(260)은 상기 안테나 패드(240)에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패드(240)와 동일한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플링 패턴(260)은 상기 안테나 패턴(220)과 절연된다. 한편,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커플링 패턴(260)과 상기 안테나 패드(2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테나 패드(240)가 상기 커플링 패턴(260) 상에 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패턴(260)의 크기와 형상은 표시 장치에서 사용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평판 형태의 윈도우 기판(WS)을 제공한다. 상기 윈도우 기판(WS)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윈도우 기판(WS)을 인그레이빙 머신(engraving machine)(EM)을 이용하여 인그레이빙하여 커버 윈도우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에는 인그레이빙되어 요철 형태의 바닥면을 갖는 수납홈이 형성된다. 요철 형태의 바닥면은 이후 형성될 안테나 패턴의 형상을 결정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인그레이빙 머신(EM)에 안테나 패턴의 형상에 관한 CAD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인그레이빙 머신(EM)은 상기 CAD 데이터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기판(WS)을 인그레이빙 한다. 상기 CAD 데이터는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상기 표시 장치의 송수신 전력, 및 무선 주파수 신호의 임피던스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안테나 패턴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윈도우 기판(WS)에 식각 공정을 수행하여 요철 형태의 바닥면을 갖는 수납홈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8에는 수납홈(GV)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210)를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수납홈(GV) 내에 안테나 모듈을 형성한다.
상기 안테나 모듈은 안테나 패턴(220), 절연층(230), 안테나 패드(240), 및 피딩 전극(2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납홈(GV)의 바닥면 상에 안테나 패턴(220)을 형성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도전 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220)은 전도성 잉크 또는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상기 수납홈(GV)의 바닥면 상에 코팅 또는 분사하고,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두께와 재료는 요구되는 안테나의 효율과 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안테나 패턴(220) 상에 절연층(230)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230)은 투명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절연층(230)의 일부를 식각 또는 인그레이빙하여 패턴홈(PV)을 형성한다. 상기 패턴홈(PV)은 도 1에 도시된 비표시 영역(NA)에 중첩하게 형성된다. 상기 패턴홈(PV)은 상기 절연층(230)을 두께 방향으로 일부만 제거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패턴홈(PV)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220)이 노출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절연층(230)을 관통하는 비아홀(VH)을 형성한다. 상기 비아홀(VH)은 평면상에서 상기 패턴홈(PV)에 중첩하게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VH)을 통해 상기 안테나 패턴(220)의 상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비아홀(VH) 내에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피딩 전극(25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상기 패턴홈(PV) 내에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안테나 패드(240)을 형성한다. 상기 안테나 패드(240)는 상기 피딩 전극(250)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은 외부에서 제작된 후, 상기 수납홈(GV) 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 패턴(220), 상기 절연층(230), 상기 안테나 패드(240), 및 상기 피딩 전극(250)이 모두 조립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GV)의 바닥면에 접착층(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조립된 안테나 모듈을 상기 수납홈(GV) 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안테나 패턴(220)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투명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은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는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과정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과정과 비교하여 윈도우 커버를 형성하는 과정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의 과정과 도 7 내지 도 9의 과정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7 내지 도 9의 설명에 따른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평판 형태의 윈도우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윈도우 기판을 식각 또는 인그레이빙하여 편평한 바닥면을 갖는 홈(GV1)을 형성한다. 도 10에는 편평한 바닥면을 갖는 홈(GV1)이 구비된 커버 윈도우(210A)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편평한 바닥면 상에 돌출 패턴(PT)을 형성한다. 상기 돌출 패턴(PT)은 도 2에 도시된 볼록부(CV)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PT)의 높이는 상기 홈(GV1)의 측면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패턴(PT)은 투명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 패턴(PT)은 절연 물질을 상기 홈(GV1)의 바닥면 상에 인쇄하여 형성하거나,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하거나, 절연 물질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 패턴(PT)이 구비된 상기 홈(GV1)의 바닥면 상에 안테나 모듈을 형성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는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과정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과정과 비교하여 윈도우 커버를 형성하는 과정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의 과정과 도 7 내지 도 9의 과정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7 내지 도 9의 설명에 따른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평판 형태의 윈도우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윈도우 기판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윈도우 기판을 식각 또는 인그레이빙하여 편평한 바닥면을 갖는 홈(GV1)을 형성한다. 도 13에는 편평한 바닥면을 갖는 홈(GV1)이 구비된 커버 윈도우(210A)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도 14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사출 성형된 몰드 패턴(MT)을 상기 홈(GV1)내에 부착한다. 상기 몰드 패턴(MT)의 상면은 요철 형태를 갖고, 상기 몰드 패턴(MT)의 하면은 편평할 수 있다. 상기 홈(GV1)의 바닥면에 접착층(ADH)을 형성한 후, 상기 몰드 패턴(MT)을 상기 홈(GV1) 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ADH)은 안테나 패턴(220)의 방사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투명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ADH)은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점착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 패턴(MT) 상에 안테나 모듈을 형성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10: 제1 기판 20: 제2 기판
200: 윈도우 부재 210: 커버 윈도우
220: 안테나 패턴 230: 절연층
240: 안테나 패드 250: 피딩 전극
GV: 수납홈 CC: 오목부
CV: 볼록부 CL: 요철 측면

Claims (23)

  1. 수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은 요철 형태로 제공된 커버 윈도우;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을 커버하며 하면이 요철 형태로 제공된 안테나 패턴;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을 커버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안테나 패드와 중첩한 비아홀이 정의된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테나 패드; 및
    상기 비아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피딩 전극을 포함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높이 차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상면과 상기 오목부의 높이차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평면상에서 상기 오목부에 중첩되는 방사체; 및
    평면상에서 상기 볼록부에 중첩되며 상기 방사체에 연결된 연결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의 두께는 상기 연결 패턴의 두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의 상면은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상기 오목부의 상면, 상기 볼록부의 상면, 및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를 연결하는 요철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의 두께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의 상면은 요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과 커플링되어 물리적 접촉없이 신호를 전달하는 커플링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11. 수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은 요철 형태로 제공된 커버 윈도우;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면을 커버하며 하면이 요철 형태로 제공된 제1 안테나 패턴;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안테나 패턴;
    상기 제2 안테나 패턴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제2 안테나 패턴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안테나 패드를 포함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에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제2 안테나 패턴과 중첩하게 형성된 제1 비아홀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비아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제2 안테나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피딩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에는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안테나 패드와 중첩하게 형성된 제2 비아홀이 제공되고,
    상기 제2 비아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안테나 패턴 및 상기 안테나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피딩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높이 차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상면과 상기 오목부의 높이차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패턴은
    평면상에서 상기 오목부에 중첩되는 방사체; 및
    평면상에서 상기 볼록부에 중첩되며 상기 방사체에 연결된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의 두께는 상기 연결 패턴의 두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16. 수납홈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은 요철 형태로 제공된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납홈 내에 안테나 모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홈의 상기 바닥면 상에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패턴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안테나 패턴에 연결되도록 피딩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피딩 전극에 연결되도록 안테나 패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평판 형태의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을 식각 또는 인그레이빙하여 상기 요철 형태의 상기 바닥면을 갖는 상기 수납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평판 형태의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기판을 식각 또는 인그레이빙하여 편평한 바닥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평한 바닥면 상에 볼록부에 대응되는 돌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패턴은 투명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는
    평판 형태의 윈도우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기판을 식각 또는 인그레이빙하여 편평한 바닥면을 갖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평한 바닥면 상에 상면이 요철 형태를 갖도록 사출 성형된 몰드 패턴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21. 삭제
  22. 제16항에 있어서,
    안테나 모듈을 형성하는 단계는 외부에서 조립된 상기 안테나 모듈을 상기 수납홈 내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23. 삭제
KR1020130017642A 2013-02-19 2013-02-19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7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42A KR102077065B1 (ko) 2013-02-19 2013-02-19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13/958,504 US9368856B2 (en) 2013-02-19 2013-08-02 Window assembly for display device with antenn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42A KR102077065B1 (ko) 2013-02-19 2013-02-19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61A KR20140103761A (ko) 2014-08-27
KR102077065B1 true KR102077065B1 (ko) 2020-02-14

Family

ID=5135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642A KR102077065B1 (ko) 2013-02-19 2013-02-19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68856B2 (ko)
KR (1) KR102077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3560B2 (ja) * 2012-03-16 2016-11-30 Ntn株式会社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123851A1 (en) * 2013-11-01 2015-05-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Article Having Spray-Applied Ink
US9680205B2 (en) * 2014-08-25 2017-06-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peripheral display antenna
US10164322B2 (en) 2014-08-27 2018-12-25 Apple Inc.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9793599B2 (en) * 2015-03-06 2017-10-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KR102399741B1 (ko) * 2015-05-22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08463921B (zh) * 2015-11-27 2021-01-12 旭硝子欧洲玻璃公司 双二维多频带天线以及其上印刷有天线的嵌装玻璃面板
CN205263423U (zh) * 2015-12-30 2016-05-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及显示装置
CN105576148B (zh) * 2016-01-04 2018-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的封装方法
KR102158204B1 (ko) * 2017-08-24 2020-09-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17123360A1 (de) * 2017-10-09 2019-04-1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bildung einer halbleiterbaugruppe und halbleiterbaugruppe
KR20210009658A (ko) * 2019-07-17 2021-01-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215303B1 (ko) * 2020-09-15 2021-02-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9241A (en) * 1996-05-28 1998-03-17 Ergen; Charles W. Direct broadcast satellite antenna cover
DE10258101B3 (de) * 2002-12-11 2004-04-08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Kontaktfeder für eine Antennen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S7546671B2 (en) * 2006-09-26 2009-06-16 Micromechanic And Automation Technology Ltd. Method of forming an inlay substrate having an antenna wire
US7979975B2 (en) * 2007-04-10 2011-07-19 Feinics Amatech Teavanta Methods of connecting an antenna to a transponder chip
KR101305288B1 (ko) * 2006-12-08 201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제조방법
KR20100062539A (ko) 2008-12-02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알에프아이디 안테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100118350A (ko) 2009-04-28 2010-1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송수신기의 안테나
KR20100124954A (ko) 2009-05-20 2010-1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송신호 수신기의 안테나 및 그의 제조방법
JP5068829B2 (ja) * 2010-01-26 2012-11-0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アンテナ付射出成形同時加飾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アンテナ付筐体の給電構造
US9450292B2 (en) * 2013-06-05 2016-09-20 Apple Inc. Cavity antennas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8856B2 (en) 2016-06-14
US20140232609A1 (en) 2014-08-21
KR20140103761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065B1 (ko) 안테나가 구비된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US11696489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curved edg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7799003B (zh) 显示装置及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US9575241B2 (en) Tiled display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4445343B2 (ja) Icタグ実装液晶表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552136B2 (en) Electronic apparatus
EP313616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00069527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791753B2 (en) Circuit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800926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854750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087951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416509B2 (en)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KR2017005065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12638B2 (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 with minimal border area
KR101901253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437370B2 (en) Touch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EP2472497B1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1998005999A1 (fr) 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et materiel electronique l'utilisant
EP3664421B1 (en) Display assembly with an extended cover panel film on the back of the display panel for supporting a circuit board
AU2020326192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00261012A1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75002A (ko)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EP4102491A1 (en) Partially curved 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