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981B1 -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 Google Patents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981B1
KR102076981B1 KR1020180116266A KR20180116266A KR102076981B1 KR 102076981 B1 KR102076981 B1 KR 102076981B1 KR 1020180116266 A KR1020180116266 A KR 1020180116266A KR 20180116266 A KR20180116266 A KR 20180116266A KR 102076981 B1 KR102076981 B1 KR 10207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acral
catheter
tip
neuroplas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732A (ko
Inventor
문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케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1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9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5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Abstract

카테터 내부에 삽입되며,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에서 유착제거 또는 꼬리뼈 천골관의 천공을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여, 경막내로 약물을 전달 할 수 있는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카테터에 삽입되어 인체내부의 일정한 깊이를 천공할 수 있는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에 있어서, (a) 선단부에 위치하며, 인체 조직을 일정한 지름으로 천공 가능한 드릴 선단부; (b) 천골관 진입 드릴 중단부에 위치하여 선단부의 드릴을 일정 깊이 이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중단 팽대부; (c) 천골관 진입 드릴 상단부에 위치하는 회전 핸들; 및 (d) 상기 드릴 선단부, 중단 팽대부, 회전드릴을 연결하는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Sacral Hiatus Entering Drill for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본 발명은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테터 내부에 삽입되며,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에서 유착제거 또는 꼬리뼈 천골관의 천공을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여, 경막내로 약물을 전달 할 수 있는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요통은 추간판 탈출증, 척추 협착증, 척추 전방전위증, 추간판 내장증, 척추수술 실패 증후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경막외 차단술, 미추 차단술 등의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호전되지 않는 요통 환자들에게는 결국 수술적 치료를 다음 단계의 치료로 고려하게 된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 특히 유합술은 침습적이고 수술 후에도 지속적인 통증을 10%-40%에서 호소한다고 하며, 술 후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고 문헌에 따라 결국 9.5%-25%의 빈도로 재수술을 요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은 기존의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였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 전 시도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비수술적 치료이며 최소침습적 관혈 수술보다 술기상 더 쉽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요통을 발생시키는 질환 중 특히 추간판은 대부분 치료의 방법에 상관없이 저절로 호전되는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증 반응이 소실되고 수핵의 수분이 감소되어 수핵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므로 이렇게 자연 치유될 때까지 얼마나 환자를 편안하게 지내게 하는가가 치료의 근간이 된다. 추간판 탈출증에 있어서 신경성형술은 이러한 원칙에 따라 자연적으로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려는 보존적 치료 중 하나로서 카테터를 병변이 있는 추간판이나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섬유성 유착 조직에 직접 위치시킴으로써 국소 마취제, 고농도(10%) 식염수 등을 효과적으로 주입하여 증상의 빠른 호전을 유도하는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경성형술은 기존의 여러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방사통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만성 요통 환자들에게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을 이용한 통증 조절 시술은 유용한 치료 방법이다.
신경성형술은 통증의 원인이 되는 병변이 위치하는 경막외 공간에 정확히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약물의 전달을 방해하는 경막외 섬유화 등의 장애물을 카테터를 이용하여 뚫고 목표 지점까지 약을 전달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경막외 유착 박리의 궁극적 목적은 경막외 공간에서 병변까지 약물이 도달할 수 없도록 막고 있는 섬유성 유착 장애물을 카테터로 뚫는데 있고, 추가적으로 약물에 의한 세척 작용으로써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들을 희석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요천추부의 방사통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만성요통 환자들을 치료함에 있어서  꼬리뼈 부위, 즉 천골 열공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시행하는 시술이 바로 신경성형술 술기이다.
그러나 중요한 문제는 꼬리뼈 부위, 즉 천골관이 막혀 있는 경우이다. 약 3%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었으며 그 외 열공 입구에 협착이 있는 경우에도 바늘이나 카테터가 삽입이 안 되는 경우를 가끔 만나게 되어 시술을 어렵게 하고 환자에게 바늘을 여러번 삽입하여 무리하게 뚫으려 하게 되므로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상기 사항은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J Korean Orthop Assoc 2015; 50: 215-224) 및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percutaneous epidural adhesiolysis for different sacrum types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due to lumbar disc herniation (Moon et al. Medicine (2016) 95:3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에서 유착제거 또는 꼬리뼈 천골관의 천공을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여, 경막내로 약물을 전달 할 수 있는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천골관 진입 드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테터에 삽입되어 인체내부의 일정한 깊이를 천공할 수 있는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에 있어서, (a) 선단부에 위치하며, 인체 조직을 일정한 지름으로 천공 가능한 드릴 선단부; (b) 천골관 진입 드릴 중단부에 위치하여 선단부의 드릴을 일정 깊이 이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형의 중단 팽대부; (c) 천골관 진입 드릴 상단부에 위치하는 회전 핸들; 및 (d) 상기 드릴 선단부, 중단 팽대부, 회전핸들을 연결하는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 선단부는 1.5~2mm의 외경 및 5~20mm의 길이로 형성되는 2~6날 드릴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 팽대부는 카테터의 내경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카테터의 선단부보다 드릴 선단부가 17mm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경막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은 신경성형술, 천골관 천자 또는 경막외 유착 박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골관 진입 드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는 드릴 선단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드릴 선단부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체의 천공 잔유물이 상기 드릴 몸체와 상기 카테터 사이의 틈을 거쳐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골관 진입 드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경성형술에 있어서 경막외 유착 또는 천골관 폐쇄에 의하여 경막내로 약물을 주입하기 어려운 경우 본원 발명의 천골관 진입 드릴을 이용하여 카테터의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에서 본 발명의 천골관 진입 드릴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을 카테터에 삽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의 실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 시술에 있어서, 천골관이 막혀 카테터가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X선 사진,
도 5는 유도 카테터를 통하여 본원 발명의 천골관 진입 드릴을 삽입한 다음, 천골관의 통로를 확보하고 있는 X선 사진,
도6및 도7은 천골관 진입 드릴을 이용하여 통로를 확보한 다음, 카테터를 삽입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사진,
도 8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경막외 신경성형술 시술에 서, 천골관이 막혀 카테터가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X선 사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도 카테터를 통하여 본원 발명의 천골관 진입 드릴을 삽입한 다음, 천골관의 통로를 확보하고 있는 X선 사진,
도 10 및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천골관 진입 드릴을 이용하여 통로를 확보한 다음, 카테터를 삽입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사진,
도 12, 도 13, 도14 및 도 15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의 실제 시술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에서 약물이 주입된 X선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에서 약물이 주입된 측면 X선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의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이 카테터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은 드릴선단부(100), 중단 팽대부(200), 회전 손잡이(300) 및 천골관 진입 몸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드릴 선단부(100)는 인체를 굴착하여 인체조직을 일정 지름으로 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드릴 선단부(100)는2~6개의 날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의 날로 구성될 수 있다. 2개 미만의 날로 구성된 경우 원활한 인체 천공이 어려우며, 6개를 초과하는 경우 날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인체 천공 잔유물의 원활한 배출이 어렵다.
또한 상기 드릴의 외경의 경우 카테터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카테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1~0.3mm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1.5~2mm의 외경, 바람직하게는 1.85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 선단부의 길이는 5~2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mm일 수 있다. 길이가 5mm미만인 경우 인체의 천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천공부위 측면에 드릴 선단부가 접촉하여 인체의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중단 팽대부(200)는 카테터 삽입구(510)보다 직경이 크게 제작되어 드릴의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일정 깊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의 경우 경막외로 약물을 주입하게 되는데 본원 발명의 천골관 진입 드릴은 상기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확보한다. 이때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이 일정 깊이 이하로 천공하는 경우 경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경막내에 존재하는 척수 신경을 손상시켜 큰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을 일정 깊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꼭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천골관 진입 드릴의 중단부에 팽대부(200)를 형성하여 상기 중간 팽대부가 카테터 삽입구(510)에 걸려 일정 깊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단 팽대부(200)는 구형, 원통형, 사각 기둥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 가능하지만, 세척의 편의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구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단 팽대부는 카테터의 선단부보다 드릴 선단부가 15~20mm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 길이 이하로는 드릴의 선단부가 천골관 내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길이가 15mm미만인 경우 충분한 깊이로 천자가 이루어 지지 않으며, 20mm를 초과하는 경우 철골관 천자시 드릴 선단부가 경막 또는 신경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의 상단부(300)에는 회전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골관 진입 드릴은 회전에 의하여 인체를 천공하게 되므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가 필요하다. 상기 손잡이는 원통형의 손잡이가 T형으로 천골관 진입 몸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원반형, 사각기둥형의 손잡이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며, 상기 회전 손잡이가 회전식 드릴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400)는 드릴 선단부(100)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드릴 선단부(100)에 의하여 인체의 천공 잔유물이 카테터 내부를 거쳐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인체를 천공하는 경우 드릴에 의한 천공 잔유물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천공 잔유물의 경우 인체 조직의 일부이므로 일반적으로는 인체에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원 발명과 같이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천공 잔유물이 경막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경막과 척추사이에 들어가게 되어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치료효과를 반감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에서는 식염수를 공급하여 식염수와 혼합된 천공 잔유물을 흡입하여 제거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은 흡인에 의하여 주변조직이 손상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식염수와 혼합된 천공 잔유물이 경막과 척추사이로 흘러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400)부분을 드릴 선단부(100)보다 작게 제작하는 것으로 드릴 선단부(100)의 회전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려나오는 천공 잔유물이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400)와 카테터 몸체(530)의 틈 사이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카테터 몸체(530)와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400)사이의 간격은 0.2~0.4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드릴선단부(100)과 카테터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넓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은 티타늄,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철, 구리, 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드릴 선단부(100)의 경우 인체 조직중 가장 단단한 뼈를 천공해야하기 때문에 스테인레스 또는 티타늄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천골관 진입 몸체(400), 중앙 팽대부(200) 및 회전 핸들(300)의 경우 상기 드릴 선단부(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각각 제작되어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천골관 진입 몸체(400), 중앙 팽대부(200) 및 회전 핸들(300)은 드릴 선단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무게 감소 및 사용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또는 티타늄과 같이 드릴 선단부와 상이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릴 선단부(100)과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400), 중앙 팽대부(200) 및 회전 핸들(300)이 각각 제작되는 경우,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드릴 선단부(100)를 제작하여 천공 깊이에 따라 드릴 선단부(100)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 시술방법을 이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수술 전 목표로 하는 위치를 정한다. 수술방에서 환자의 혈압과 심박수, 산소포화도를 모니터하면서 복와위로 눕히고 골반의 전면에 약 10 cm 정도의 베개를 받침으로써 상체가 바닥으로 기울어지고 요추의 전만이 감소하며 천추 열공이 있는 천추 원위부가 상방으로 들려서 카테터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자세를 취한다. 수술 전에 천추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해부학적 분석을 시행 후 촉진으로써 열공으로 예상되는 부위를 표시하고, 방사선 투시기를 사용하여 그 위치가 방사선 사진에서 예상했던 열공의 위치와 맞는지 확인한다. 만약 차이가 있다면 열공의 위치에 맞게 방사선 투시기로 확인한 부위의 피부에 열공의 위치를 다시 표시하였다.
베타딘을 이용한 소독 후 소독포를 덮고 열공으로부터 2 cm 원위부, 1 cm 외측(좌우를 기준으로 목표로 하는 병변 부위의 반대측)에 2% 리도카인(lidocaine)으로 피하 마취하고, 11번 메스로 5 mm 정도의 피부 절개를 가한다. 이 절개를 통하여 열공에 직경 2.6 mm 유도 카테터를 삽입(도 15)하고, 경막외 공간까지 진행 후, 조영제를 1ml 주사하여 천골관 내로 잘 채워지는지 혹은 피하층 등 다른 부위로 주사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대략 제2천추체 위치에서 경막이 시작되므로 제3천추체보다 바늘이 근위부로 진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경막외 위치가 확인되면 주입 카테터를 유도 카테터를 통해 투시기 조영하에 삽입한다. 주입 카테터의 레버 암(lever arm)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피부절개 및 주입 카테터의 삽입은 좌우를 기준으로 목표 부위에 대해 반대측에서 시작하여 천추관 내에서 중앙선을 교차면서 진행하도록 하는 것 이 원하는 위치로 주입 카테터를 보내는 데 있어서 훨씬 수월하다. 삽입 전에 주입 카테터의 팁(tip)을 손잡이를 이용해 목표 부위 쪽과 환자의 전면 쪽으로 약간 구부려서 삽입하는 것이 목표 부위 및 경막 전면에 주입 카테터를 위치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목표 부위까지 도달하기 전 주입 카테터의 진행이 막히면 주입 카테터를 약간 후퇴시킨 후 기구에 달린 손잡이를 이용하여 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바꾸어 재진입한다. 경도의 유착은 이러한 술기로 박리하며 전진할 수 있다. 무리하게 주입 카테터를 움직여 박리를 하려 한다면 척추관내 혈관 손상을 초래하여 혈종이 발생하는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행위는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때 유착이 심하거나 천골관이 막혀 있는 경우 상기 주입 카테터 만으로는 진입이 불가능하므로(도4 및 도8), 본원 발명의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을 이용하여 진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천공을 원하는 위치에 유도 카테터의 선단부를 접촉시킨 다음, 카테터 삽입구(510)를 통하여 본원 발명의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을 삽입하게 된다(도 5 및 도10). 이때 드릴 선단부(100)의 경우 유도 카테터 몸체(530)보다 직경이 작게 제작되므로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천골관 진입 드릴을 삽입한 다음, 상단부의 회전 핸들(300)을 회전시키면 선단부 드릴이 회전하면서 유도 카테터 선단부에 위치하는 인체조직이 천공된다. 이때 드릴 선단부(100)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천공 잔유물은 선반부 드릴의 회전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400)와 유도 카테터 몸체(530)의 사이 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도 12 내지 도 14).
천골관 진입 드릴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일정 깊이까지 천공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중단 팽대부(200)가 유도 카테터 삽입부(510)에 접촉하게 되어 드릴 선단부(100)가 더 이상 하부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이상의 깊이로 천공하는 경우 경막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정확한 깊이까지 천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천공이 완료되면 천골관 진입드릴을 제거한 다음, 주입 카테터를 유도 카테터에 삽입하여 경막 전면으로 진입하게 된다(도 6 및 도11).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목표 부위 경막 전면에 도달하면 조영제(Ultravist; Bayer Korea, Seoul, Korea)를 1.5 ml 주입하여 주입 카테터가 경막외 공간에 잘 놓여 있는지, 원하는 목표 부위에 약제가 퍼지는지, 경막내 조영이나 혈관으로 약제가 주입되지 않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도 16 및 도 17).
원하는 위치라고 판단되면 1% 리도카인(lidocaine) 5ml를 주입 카테터를 통하여 천천히 주입한다. 이 약제는 통증 조절 외에도 시험을 위한 목적도 가지고 있는데, 주사 후 약제의 경막내 주입에 따른 하지 감각 혹은 운동 근력 저하 등이 발생 하는지 혹은 혈관내 주사에 의한 중추신경계 증상이 발생하는가를 관찰하고자 함이다. 만약 이러한 소견이 없으면 다음 단계로 생리식염수를 10 ml 주사하는데 변성된 추간판으로부터 분비되는 여러 자극성 물질을 희석시키는 세척 효과가 있다.
그 후 0.25% 부피바카인(bupivacaine) 2.25ml와 생리식염수 7.75ml를 혼합 하여 10ml로 만든 후 주사하여 통증 조절을 기대하는 한편, 다음 에 주사할 고농도 식염수가 통증을 유발하므로 사전 마취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후 약 5분의 간격을 두고 마지막으로 10% 고농도 식염수를 주사하는데 이때 속도를 천천히 하여야 주사로 인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그 후 주입 카테터와 바늘을 후퇴시켜서 제거하는 데, 천천히 걸리는 느낌이 없도록 주의하여야 주입 카테터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 카테터를 제거한 다음에는 유도 카테터를 제거하고 상처를 봉합한 다음 환자의 처치를 완료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드릴 선단부
200 : 중앙 팽대부
300 : 회전 핸들
400 :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
510 : 카테터 삽입부
520 : 카테터 중앙부
530 : 카테터 몸체

Claims (2)

  1. 카테터에 삽입되어 인체내부의 일정한 깊이를 천공할 수 있는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용 드릴에 있어서,
    (a) 선단부에 위치하며, 인체 조직을 일정한 지름으로 천공 가능한 드릴 선단부;
    (b) 천골관 진입 드릴 중단부에 위치하여 선단부의 드릴을 일정 깊이 이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형의 중단 팽대부;
    (c) 천골관 진입 드릴 상단부에 위치하는 회전 핸들; 및
    (d) 상기 드릴 선단부, 중단 팽대부, 회전핸들을 연결하는 천골관 진입 드릴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 선단부는 1.5~2mm의 외경 및 5~20mm의 길이로 형성되는 2~6날 드릴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 팽대부는 카테터의 내경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카테터의 선단부보다 드릴 선단부가 17mm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경막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천골관 진입 드릴은 신경성형술, 천골관 천자 또는 경막외 유착 박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골관 진입용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골관 진입용 드릴 몸체는 드릴 선단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드릴 선단부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체의 천공 잔유물이 상기 드릴 몸체와 상기 카테터 사이의 틈을 거쳐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골관 진입용 드릴.
KR1020180116266A 2018-09-28 2018-09-28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KR10207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66A KR102076981B1 (ko) 2018-09-28 2018-09-28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66A KR102076981B1 (ko) 2018-09-28 2018-09-28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756A Division KR20180070257A (ko) 2016-12-16 2016-12-16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732A KR20180111732A (ko) 2018-10-11
KR102076981B1 true KR102076981B1 (ko) 2020-02-13

Family

ID=6386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266A KR102076981B1 (ko) 2018-09-28 2018-09-28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9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5663A (ja) * 2000-08-09 2004-02-26 アースロケア コーポレイション 脊椎の不整を治療する装置
KR101632240B1 (ko) * 2015-11-09 2016-06-23 (주)올소테크 뼈 고정용 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뼈 고정용 나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1122B1 (en) * 1999-10-19 2006-07-25 Kyphon Inc. Hand-held instruments that access interior body regions
JP4058614B2 (ja) * 2001-08-09 2008-03-12 株式会社Jimro 骨髄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5663A (ja) * 2000-08-09 2004-02-26 アースロケア コーポレイション 脊椎の不整を治療する装置
KR101632240B1 (ko) * 2015-11-09 2016-06-23 (주)올소테크 뼈 고정용 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뼈 고정용 나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732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9331B2 (en) Medical device for selective intrathecal spinal cooling in aortic surgery and spinal trauma
US7758489B2 (en) Spinal disc therapy system
US7181289B2 (en) Epidural nerve root access catheter and treatment methods
US20160250451A1 (en) Methods of using a dual-lumen sheath in intraluminal procedures
KR20090125778A (ko) 확장형 회전 장치 및 조직 흡인 방법
JPH10512169A (ja) 神経偏向導管針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8529594A (ja) ノンコアリングニード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080413B (zh) 用于椎管狭窄和椎间孔狭窄的经皮方法
Rimondi et al. Radiofrequency thermoablation of primary non-spinal osteoid osteoma: optimization of the procedure
Gabal Percutaneous technique for sclerotherapy of vertebral hemangioma compressing spinal cord
US9808233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tenosis
KR102076981B1 (ko)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KR20180070257A (ko) 경피적 경막외 신경성형술용 천골관 진입 드릴
JP2022523748A (ja) 医療送達装置及び椎間板の線維輪内に直接的に治療薬を送達する方法
Zhu et al. Surgical management of gynecomastia under endoscope
Liu et al. Exploring the epidural trail
RU2454961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гемангиом позвоночника
Kanpolat Cordotomy for pain
JP3971321B2 (ja) 骨治療用器具
RU2230577C2 (ru) Способ обезболивания
Suzuki et al. Large aneurysm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obliterated with seven fenestrated clips under intraoperative monitoring of anterior choroidal arterial blood flow insufficiency
Tandon et al. EPILEPSY, FUNCTIONAL, AND PAIN NEUROSURGERY
van Zundert et al. Complications of Cervical Facet Procedures
Bloom DO, MSc et al. Complications of Sacroiliac Joint Block and Ablation
RU2145890C1 (ru) Способ селективной катетер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