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956B1 -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956B1
KR102076956B1 KR1020180107184A KR20180107184A KR102076956B1 KR 102076956 B1 KR102076956 B1 KR 102076956B1 KR 1020180107184 A KR1020180107184 A KR 1020180107184A KR 20180107184 A KR20180107184 A KR 20180107184A KR 102076956 B1 KR102076956 B1 KR 10207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metal wire
oxide film
electric field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용
김광일
김영헌
타카시 오가와
조복래
안상정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85Emission microscopes, e.g. field-emission microsc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선 팁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는 세정공정을 거치지 않고 진공 중에서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의 상호작용으로 단원자 또는 삼원자 초미세 선단부를 가진 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금속선의 선단부를 전해액으로 식각한 상태에서 별도로 클리닝 전처리를 위한 가열공정을 거치지 않고, 이온현미경에 장착하여 냉각하면서 고전압을 인가하여 이온현미경 기능을 구현하는 것만으로 금속선 팁의 선단부를 초미세 구조인 표면원자 수 1개 또는 3개 수준으로 가공하여 팁 선단부 가공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Ultrafine Ends Using Surface Oxide Film and Electric Field Evaporation of Metal Wire Tip}
본 발명은 금속선 팁(metal wire tip)의 초미세 선단부(Ends)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선 팁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는 세정공정을 거치지 않고 진공 중에서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의 상호작용으로 단원자 또는 삼원자 초미세 선단부를 가진 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현미경이나 이온현미경 등 하전입자 빔을 사용하는 현미경에서는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휘도의 안정적인 하전입자 빔을 생성하기 위해 초미세 선단부를 가진 금속선 팁을 필요로 한다. 이온빔을 활용한 식각공정 또는 증착공정을 수행하는 반도체공정에서 정밀가공을 위해 요구되는 초미세 하전입자 빔을 생성하기 위해서도 초미세 선단 금속선 팁은 필요하다. 하전입자 생성 뿐 아니라 정밀 감지를 위해서도 초미세 선단 금속선 팁은 요구되는데 전자의 터널링현상을 활용하여 물질의 표면을 정밀 관찰하는 주사터널링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y)은 측정 금속선 팁의 선단부가 뾰족할수록 분해능이 향상된다.
금속선 팁은 적은 수의 원자가 선단부에 남아 있을수록 좋은 성능을 나타내므로 원자 하나가 말단에 남아있게 되는 것이 이상적인 형상이 된다. 금속선을 이루는 재질의 결정구조상 하나보다 많은 말단 원자 수는 3개 또는 그 이상이 되므로 단원자 또는 3원자로 구성된 원자수준의 초미세 선단 팁(Trimer/Single Atom Tip, TSAT)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선 팁에서 원자수준의 초미세 선단부를 만드는 방법으로는 산소나 질소를 기반으로 하는 반응성 가스 식각방법, 또는 선단부에 원자를 쌓아가는 빌드-업(Build-up)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금속선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진공환경에서 약 1200 K의 온도에서 금속선 팁 가열을 통한 클리닝 과정을 거치는데, 상기 가열은 열을 생성하는 도체인 가열 루프(heating loop)에 팁을 용접하고 전류를 가하여 가열한다. 문제는 고온에서 표면 확산(surface diffusion) 때문에 원자가 팁의 선단 부분에서 자루(shank) 부분으로 옮겨가면서 뭉툭해지는 단점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체에 전류를 흘려주어 열을 발생시키는 줄 발열(Joule heating) 방식은 금속선 팁마다 선단까지 같은 길이가 아니거나 혹은 길이가 같다고 하여도 정확한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색 온도를 확인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등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다.
전계증발(Field evaporation) 현상은 금속선 팁 선단부분의 표면 원자들이 큰 전기장 아래에서 증발되어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선단부에 강한 전압이 인가되면 정점부의 원자들은 얼마나 뾰족한지에 따라 원자가 느끼는 전기장은 다르게 되며 각각의 금속 원자들의 위치에 따라 증발이 일어나는 전기장의 크기가 다르다. 증발이 일어날 만큼 충분한 전기장 하에 금속원자가 놓여지게 되면, 원자는 금속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 증발하여 진공 중으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전계증발에 의한 종래의 팁 제작은 선단 표면 클리닝이 끝난 후 원자의 개수가 적을 때 전기장을 조절하여 팁 끝부분에 존재하는 원자의 개수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므로, 클리닝 공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일본 등록특허 6014156호는 ‘전자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단(tip) 직경과 선단부를 가공하고 있을 때의 인가전압 또는 둘러싸는 시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원하는 선단 직경을 얻는 인가전압을 제어하고 선단부를 가공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원 제조방법도 팁을 발열체에 배열해야 하는 문제를 여전히 가진다.
일본 등록특허 6014156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팁 가열을 통한 전처리 클리닝 과정을 생략하고 금속선 표면의 산화막과 전계증발 현상만을 이용하여 초미세 선단부를 구비한 금속선 팁을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헬륨 저온조(He cryostat)와 전원부에 연결된 금속선 팁 고정부, 불활성기체 공급부, 진공 중 이온빔을 측정하는 패러데이컵(Faraday Cup), 상기 이온빔 생성 및 모양을 관찰하기 위하여 이온빔을 전자빔으로 바꿔 증폭하는 MCP(Micro Channel Plate), 상기 증폭된 전자빔이 도달하여 형광을 생성하는 형광스크린 및 상기 형광스크린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가 이온현미경(Field Ion Microscope)용 진공실(Main Chamber)에 설치되고,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과 접하되 칸막이 판(gate valve)으로 분리되는 보조 진공실에 금속선 팁 전달막대(transfer rod)가 설치되어, 상기 금속선 팁을 보조 진공실에서 이온현미경용 진공실로 진공을 유지하면서 전달하는, 로드록 장치(Load-lock system)를 구비한 이온현미경을 준비하는 단계; 지름이 200 내지 300μm이고 길이 10 내지 12 mm인 금속선을 준비하는 단계; 금속선 팁 선단부를 전해액에 침지시켜 상기 팁 선단부의 곡률반경을 20nm 이하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금속선 팁을 상기 로드록 장치(Load-lock system)를 구비한 이온현미경의 보조 진공실을 거쳐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헬륨저온조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선 팁의 온도를 절대온도 30 내지 40K로 냉각하며,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에 헬륨기체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헬륨기체가 공급된 상태에서 저온으로 냉각된 금속선 팁에 전계증발을 일으키는 제1 고전압을 인가하여 선단부의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며 이온현미경으로 상기 팁 선단부의 표면원자 상태를 관찰하는 단계; 및 상기 헬륨 저온조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선 팁의 온도를 70 내지 90K로 유지하며, 상기 팁 선단부의 표면원자가 미리 정한 개수 이하로 이온현미경으로 관찰될 때까지 상기 제1 고전압보다 낮은 제2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금속은 단결정 111 또는 다결정 텅스텐(W)이고, 상기 자연산화막은 WO3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의 진공도는 10-9 내지 10-10 mbar이며, 상기 보조 진공실의 진공도는 10-7 내지 10-9 mbar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헬륨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의 진공도가 10-7 내지 10-8 mbar로 되도록 헬륨기체를 공급하는,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해액은 수산화포타슘(KOH), 수산화소듐(NaOH) 또는 그 혼합물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1 고전압은 11 내지 13 kV이고, 상기 제2 고전압은 7 kV 내지 10kV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리 정한 개수는 3개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금속선의 선단부를 전해액으로 식각한 상태에서 별도로 클리닝 전처리를 위한 가열공정을 거치지 않고, 이온현미경에 장착하여 냉각하면서 고전압을 인가하여 이온현미경 기능을 구현하는 것만으로 금속선 팁의 선단부를 초미세 구조인 표면원자 수 1개 또는 3개 수준으로 가공하여 팁 선단부 가공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로드록 장치를 구비한 전계 이온현미경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전계 이온현미경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기화학적 식각으로 제작한 금속선 팁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압인가를 통한 전계증발 현상만을 이용한 금속선 팁 선단부의 클리닝 과정을 나타내는 이온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클리닝 후 인가전압을 조절을 통한 금속선 팁 선단부의 시간경과 순 이온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계증발 계속 중 이온현미경 진공실 내부의 기체 성분을 분석한 잔류 가스 분석기(Residual Gas Analyzer, RGA)의 측정데이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계증발 현상이 금속선 팁 선단부를 가공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온현미경 또는 전계 이온현미경은, 시료 자신의 전자 및 이온을 쓰지 않고 외부에서 공급된 기체 등에서 생성된 이온을 금속선 팁 표면으로부터 형광판 위로 투사결상시키는 Field Ion Microscope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로드록 장치를 구비한 전계 이온현미경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온현미경은, 헬륨 저온조(He cryostat)와 전원부에 연결된 금속선 팁 고정부, 불활성기체 공급부, 진공 중 이온빔을 측정하는 패러데이컵(Faraday Cup), 상기 이온빔 생성 및 모양을 관찰하기 위하여 이온빔을 전자빔으로 바꿔 증폭하는 MCP(Micro Channel Plate), 상기 증폭된 전자빔이 도달하여 형광을 생성하는 형광스크린 및 상기 형광스크린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가 이온현미경(Field Ion Microscope)용 진공실(Main Chamber); 및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과 접하되 칸막이 판(gate valve)으로 분리되는 보조 진공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진공실에는 금속선 팁 전달막대(transfer rod)가 설치되어 상기 금속선 팁을 보조 진공실에서 이온현미경용 진공실로 진공을 유지하면서 전달하는, 로드록 장치(Load-lock system)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의 진공도는 10-9 내지 10-10 mbar이며, 상기 보조 진공실의 진공도는 10-7 내지 10-9 mbar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전계 이온현미경의 개략도이다. 이온현미경은 전계를 이용한 이온 방출형 현미경으로 빛이나 전자빔의 회절현상을 이용해 물체의 확대상을 얻는 광학현미경이나 전자현미경과는 원리가 전혀 다르다. 외부에서 공급된 기체(imaging gas supply)를 이용해 시료 표면에서 이온을 방출해 가속 직진시켜서 형광판 위로 시료 표면의 확대상을 투사하는 원리이다. 여기에서 시료는 팁으로 제작되어 그 선단부 표면의 확대상이 투사되고, 기체의 이온화를 위해 팁은 저온으로 유지되면서 고전압이 가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기화학적 식각으로 제작한 금속선 팁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선은 지름이 200 내지 300μm 이고 길이 10 내지 12mm 이다. 상기 금속선은 팁 선단부를 전해액에 침지시켜 상기 팁 선단부의 곡률반경을 20nm 이하로 식각하고, 상기 식각된 금속선 팁을 상기 로드록 장치(Load-lock system)를 구비한 이온현미경의 보조 진공실을 거쳐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해액은 수산화포타슘(KOH), 수산화소듐(NaOH) 또는 그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은 단결정 111 또는 다결정 텅스텐(W)이고, 상기 자연산화막은 WO3이다. 단결정 구조 대신 다결정 텅스텐을 사용하게 되면 단결정 구조 경계(grain boundary)가 일정 층 이하로 내려갈 때 달라지게 되어 처음 단일원자 또는 3원자층을 만들었던 동일한 위치에서 계속해 단일원자 또는 3원자층을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전자현미경용 팁으로는 단결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결정 텅스텐을 사용한 팁은 주사터널 현미경 등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압인가를 통한 전계증발 현상만을 이용한 금속선 팁 선단부의 클리닝 과정을 나타내는 이온현미경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저온 유지를 위해 헬륨저온조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선 팁의 온도를 절대온도 30 내지 40K로 냉각하며, 이온화용 기체로는 불활성 기체인 헬륨기체를 공급한다. 상기 헬륨기체가 공급된 상태에서 저온으로 냉각된 금속선 팁에 전계증발을 일으키는 제1 고전압을 인가하여 선단부의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며 이온현미경으로 상기 팁 선단부의 표면원자 상태를 관찰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고전압은 11 내지 13 kV 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헬륨기체는,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의 진공도가 10-7내지 10-8 mbar로 되도록 공급한다.
도 4(a)를 보면 팁의 결정구조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팁에서 전기화학적 식각이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산화막 및 오염물질로 구성된 절연층이 팁을 덮고 있기 때문이다. 팁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 및 오염물질인 절연층 원자가 팁에 가해지는 전기장의 에너지를 받아 전계증발현상에 의해서 떨어져 나가 이온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계증발 과정은 약 10분간 진행되면, 팁 선단부가 매끄러워지면서 절연층도 같이 제거되어 도 4(b)와 같이 텅스텐의 단결정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도 4(a), (b)의 이온현미경 이미지의 왼쪽 부분이 잘린 원으로 보이는 이유는 금속선 팀과 기체 공급부 구멍 사이의 단열을 위해 설치한 금속선 팁 주위의 가리개가 겹침으로 인해 가려졌기 때문이다. 도 4(b)에서 볼 수 있듯이 고온 열처리를 이용한 사전 열처리를 하지 않고도, 절연층을 제거할 수 있으며 깨끗한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깨끗한 결정구조를 확인하면, 인가전압을 조절해서 팁의 선단부가 3원자 또는 단원자로 형성되도록 전계증발 현상을 지속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클리닝 후 인가전압을 조절을 통한 금속선 팁 선단부의 시간경과 순 이온현미경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헬륨 저온조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선 팁의 온도를 70 내지 90K로 유지하며, 상기 팁 선단부의 표면원자가 3개 이하로 이온현미경으로 관찰될 때까지 상기 제1 고전압보다 낮은 제2 고전압을 인가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면원자의 수가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계증발 계속 중 이온현미경 진공실 내부의 기체 성분을 분석한 잔류 가스 분석기(Residual Gas Analyzer, RGA)의 측정데이터이다.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에 헬륨을 주입한 직후 몇 분간 측정하고, 약 83K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계속하여 기체성분과 분압을 측정하였다. 헬륨 주입전에는 거의 모든 기체분압이 10-10 mbar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헬륨을 주입한 시점부터 헬륨 분압만 치솟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약 4.0×10-8 mbar로, 주입한 헬륨 기체로 인해 예측한 값과 일치하였다. 헬륨을 주입한 후 시간이 경과해도 헬륨은 물론이고 질소와 산소 등 반응기체들의 분압이 일정하다는 데이터를 통해서 별도의 반응기체가 추가로 유입되지 않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전계증발 현상이 금속선 팁 선단부를 가공하는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a)는 전기화학적 식각 후에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에 설치되었을 때인 초기 텅스텐 금속선 팁의 선단부를 보여준다. 도 7(b)는 앞에서 설명한 전계증발 현상을 이용하여 팁 선단부를 클리닝하는 모습이다. 도 7(c)는 상기 팁에 인가한 고전압을 낮추어 준 경우에도 전계증발 현상에 의해 상대적으로 문턱전계(threshold field)가 낮은 텅스텐 산화물이 팁의 자루 부분에서 떨어져 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현상은 산소 유도 식각(oxygen induced etching)으로, 텅스텐 산화막 내의 산소에 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현상을 지속시켜주면 도 7(d)와 같이 팁 선단부 중심에 표면원자수 3개 이하의 나노돌출부(nanoprotrusion)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고전압은 7 kV 내지 10kV 이다. 뾰족한 부분의 전계가 뭉툭한 부분보다 강하게 되는 전계강화(Field enhancement) 효과로 인해 금속선 팁의 정점부분이 느끼는 전기장보다 정점에서 거리가 먼 자루(Shank) 부분에서 느끼는 전기장이 훨씬 낮게 되어, 자루 부분에 제거되지 않은 절연층에 존재하는 산소원자가 텅스텐 내부로 들어가, 돌기(Protrusion)를 생성하게 된다. 이 돌기가 생성되면 돌기부분 또한 팁의 정점부와 비슷하게 큰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텅스텐 원자가 증발되어 떨어져 나가는 방식으로 식각이 진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헬륨 저온조(He cryostat)와 전원부에 연결된 금속선 팁 고정부, 불활성기체 공급부, 진공 중 이온빔을 측정하는 패러데이컵(Faraday Cup), 상기 이온빔 생성 및 모양을 관찰하기 위하여 이온빔을 전자빔으로 바꿔 증폭하는 MCP(Micro Channel Plate), 상기 증폭된 전자빔이 도달하여 형광을 생성하는 형광스크린 및 상기 형광스크린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가 이온현미경(Field Ion Microscope)용 진공실(Main Chamber)에 설치되고,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과 접하되 칸막이 판(gate valve)으로 분리되는 보조 진공실에 금속선 팁 전달막대(transfer rod)가 설치되어, 상기 금속선 팁을 보조 진공실에서 이온현미경용 진공실로 진공을 유지하면서 전달하는, 로드록 장치(Load-lock system)를 구비한 이온현미경을 준비하는 단계;
    지름이 200 내지 300μm 이고 길이 10 내지 12mm인 금속선을 준비하는 단계;
    금속선 팁 선단부를 전해액에 침지시켜 상기 팁 선단부의 곡률반경을 20nm 이하로 식각하는 단계;
    상기 식각된 금속선 팁을 상기 로드록 장치(Load-lock system)를 구비한 이온현미경의 보조 진공실을 거쳐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헬륨저온조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선 팁의 온도를 절대온도 30 내지 40K로 냉각하며,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에 헬륨기체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헬륨기체가 공급된 상태에서 저온으로 냉각된 금속선 팁에 전계증발을 일으키는 제1 고전압을 인가하여 선단부의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며 이온현미경으로 상기 팁 선단부의 표면원자 상태를 관찰하는 단계; 및
    상기 헬륨 저온조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선 팁의 온도를 70 내지 90K로 유지하며, 상기 팁 선단부의 표면원자가 미리 정한 개수 이하로 이온현미경으로 관찰될 때까지 상기 제 1고전압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상기 팁 선단부로터 거리가 먼 자루(Shank) 부분에 잔존하는 자연산화막 내의 산소에 의한 산소유도 식각을 일으키도록, 상기 제1 고전압보다 낮은 제2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의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는 전계증발을 일으키는, 상기 제1 고전압은 11 내지 13 kV이고,
    상기 산소 유도 식각을 일으키는, 상기 제2 고전압은 7 kV 내지 10kV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단결정 111 또는 다결정 텅스텐(W)이고,
    상기 자연산화막은 WO3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의 진공도는 10-9 내지 10-10 mbar이며,
    상기 보조 진공실의 진공도는 10-7 내지 10-9 mbar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륨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이온현미경용 진공실의 진공도가 10-7 내지 10-8 mbar로 되도록 헬륨기체를 공급하는,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수산화포타슘(KOH), 수산화소듐(NaOH) 또는 그 혼합물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개수는 3개인,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KR1020180107184A 2018-09-07 2018-09-07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KR10207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84A KR102076956B1 (ko) 2018-09-07 2018-09-07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84A KR102076956B1 (ko) 2018-09-07 2018-09-07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956B1 true KR102076956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184A KR102076956B1 (ko) 2018-09-07 2018-09-07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780A (ko) 2021-11-18 2023-05-2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미터 팁 및 그 제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56A (ja) 1983-07-06 1985-01-24 Hideaki Takahashi アノード分極試験用試験液
JP2003042929A (ja) * 2001-07-31 2003-02-13 Seiko Instruments Inc 走査型アトムプローブ
KR101448199B1 (ko) * 2013-07-30 2014-10-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고진공에서의 미세팁의 클리닝 방법
JP6014156B2 (ja) * 2012-10-12 2016-10-2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子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56A (ja) 1983-07-06 1985-01-24 Hideaki Takahashi アノード分極試験用試験液
JP2003042929A (ja) * 2001-07-31 2003-02-13 Seiko Instruments Inc 走査型アトムプローブ
JP6014156B2 (ja) * 2012-10-12 2016-10-2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電子源の製造方法
KR101448199B1 (ko) * 2013-07-30 2014-10-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고진공에서의 미세팁의 클리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780A (ko) 2021-11-18 2023-05-2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에미터 팁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605B2 (en) Metal hexaboride cold field emitter, method of fabricating same, and electron gun
KR100686294B1 (ko) 카본 나노튜브를 갖는 전자원과 그것을 이용한 전자현미경 및 전자선 묘화 장치
JP5301168B2 (ja) 冷電界エミッタ
Smith et al. Advances in source technology for focused ion beam instruments
WO2012017789A1 (ja) ガス電解電離イオン源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イオンビーム装置、並びに、エミッタチ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24099A (ja) 荷電粒子線装置のエミッタ、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エミッタを備える荷電粒子線装置
EP2546862B1 (en) Particle source and apparatus using particle source
US5587586A (en) Particle-optical apparatus comprising an electron source with a needle and a membrane-like extraction electrode
JP5564689B2 (ja) 電界電離型ガスイオン源のエミッ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集束イオンビーム装置ならびに電界電離型ガスイオン源のエミッタの製造方法
US7288773B2 (en) Electron source, and charged-particle apparatus comprising such an electron source
KR102076956B1 (ko) 표면산화막과 전계증발현상을 이용한 금속선 팁의 초미세 선단부 가공방법
Latham et al. ‘Electron pin-holes’: the limiting defect for insulating high voltages by vacuum, a basis for new cold cathode electron sources
JP2941058B2 (ja) 冷陰極を製造する方法
CA2849938A1 (en) Method of fabricating nano-tips with controlled profile
Jungjohann et al. In situ and operando
Ernst et al. Tip preparation for usage in an ultra-low temperature UHV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JP3582855B2 (ja) 熱電界放射陰極及びその製造方法
EP224208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 source
KR100264365B1 (ko) 니들 전극 및 전자 에미터용 니들 전극의 제조방법
WO2014057570A1 (ja) 電子源の製造方法
Neo et al.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graphite nanoneedle cathode and its application to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P3547531B2 (ja) 電子線装置
Mantei et al. Plasma etching with surface magnetic field confinement
Navitski Scanning field emission investigations of structured CNT and MNW cathodes, niobium surfaces and photocathodes
JP3250724B2 (ja) 針状電極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