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367B1 - 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 커플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6367B1 KR102076367B1 KR1020170082727A KR20170082727A KR102076367B1 KR 102076367 B1 KR102076367 B1 KR 102076367B1 KR 1020170082727 A KR1020170082727 A KR 1020170082727A KR 20170082727 A KR20170082727 A KR 20170082727A KR 102076367 B1 KR102076367 B1 KR 102076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extension
- coupler body
- coupler
- nu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746 body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커플러 바디; 및 상기 커플러 바디에 삽입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를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철근 연결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저렴한 철근 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내부에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철근을 매립시킨 것으로, 시공의 용이성과 높은 내구성을 갖는 등의 장점에 따라 각종 건설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제작된 철근은 교각이나 고층건물 등의 대형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에는 다수의 철근을 수평 또는 수직 등의 방향으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는 철근들을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철근 연결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적절히 겹친 뒤 철사 등의 금속 와이어로 묶어주는 방법과, 연결할 두 철근의 대향 단부를 용접으로 상호 접합 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금속 와이어에 의한 접속 방법은 작업성이 나빠 공기지연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특히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가 철근의 강도에 비해 크게 취약하여 쉽게 분리되는 등 부실공사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고, 용접에 의한 결속 방법은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한 열변형이 발생하여 철근의 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두 철근을 기구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 장치들이 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나, 이러한 상용화 된 연결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철근 연결에 어려움이 있으며, 도한, 연결장치의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철근 연결이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근 커플러와 철근의 체결강도를 강화시킴과 동시에 외관으로 견고한 체결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철근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커플러 바디; 및 상기 커플러 바디에 삽입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를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연장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1중공부 및 상기 제2연장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부는 상기 제1연장부에 체결되는 제1너트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부를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플러 바디는,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내경에 위치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링 형상의 분리부링; 상기 분리부링의 일정 영역을 절개하고,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링 절개부; 및 상기 분리부링의 내경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 중공홀을 포함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플러 바디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C"의 형태에 해당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부의 상기 분리부링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링 형상에서 일정 영역을 절개한 분리부링 절개부를 포함한 "C"의 형태에 해당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너트부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에서 체결되어, 점차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연장부의 단면 직경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1연장부의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절개부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의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너트부가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에서 체결되어, 점차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연장부의 단면 직경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절개부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의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철근 연결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저렴한 철근 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기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제1절개부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분리부가 위치하는 상기 본체부 영역에 집중되는 응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분리부가 위치하는 상기 본체부 영역에서 파단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상기 제1절개부를 통해,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술한 철근이 체결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과 철근 커플러의 견고한 체결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도시하는 일방향의 투영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도시하는 타방향의 투영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너트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된 후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후의 형태를 비교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너트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된 후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후의 형태를 비교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도시하는 일방향의 투영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도시하는 타방향의 투영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바디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10)는 철근(130a, 130b)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114,124)를 포함하는 커플러 바디(100) 및 상기 커플러 바디(100)에 삽입된 철근(130)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1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플러 바디(100)는, 본체부(101); 상기 본체부(10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10); 및 상기 본체부(101)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바디(100)는, 상기 제1연장부(110)로부터 상기 본체부(101)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12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15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공부(114,124)는 상기 제1연장부(110) 방향에 위치하는 제1중공부(114) 및 상기 제2연장부(120) 방향에 위치하는 제2중공부(124)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너트부(140)는 상기 제1연장부(110)에 체결되는 제1너트부(141) 및 상기 제2연장부(120)에 체결되는 제2너트부(141)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100)는, 상기 본체부(10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내경에 위치하는 분리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102)는, 링 형상의 분리부링(102a); 상기 분리부링(102a)의 일정 영역을 절개하고, 상기 제1절개부(151)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링 절개부(102b); 및 상기 분리부링(102a)의 내경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 중공홀(102c)을 포함한다.
즉, 상기 분리부(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바디(100)의 상기 본체부(10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내경에 위치하며, 이때, 상기 분리부(102)의 분리부링(102a)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링 형상에서 일정 영역을 절개한 분리부링 절개부(102b)를 포함한 “C"의 형태에 해당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부(102b)는 상기 제1절개부(151)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100)는, 상기 제1연장부(110) 방향에 위치하는 제1중공부(114) 및 상기 제2연장부(120) 방향에 위치하는 제2중공부(124)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중공부(114)에 제1철근(130a)이 삽입되고, 상기 제2중공부(124)에 제2철근(130b)이 삽입되며, 삽입된 제1철근 및 제2철근은 상기 분리부(102)에 의해 상호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부(102)는 상기 제1철근 및 상기 제2철근이 최대한으로 삽입될 수 있는 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 바디(10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원통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1); 상기 본체부(10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10); 및 상기 본체부(101)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바디(100)는, 상기 제1연장부(110)로부터 상기 본체부(101)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12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15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커플러 바디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원통형상의 커플러 바디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길이방향의 제1절개부(151)를 포함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바디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C"의 형태에 해당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바디의 제1절개부(151)의 위치와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위치는 상호 대응되어 위치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플러 바디(10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1); 상기 본체부(10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10); 및 상기 본체부(101)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110)는 상기 제1연장부(110)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1연장부 외측면(111) 및 상기 제1연장부(110)의 내면에 위치하는 제1연장부 내측면(1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연장부(120)는 상기 제2연장부(120)의 외면에 위치하는 제2연장부 외측면(121) 및 상기 제2연장부(120)의 내면에 위치하는 제2연장부 내측면(12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장부 외측면(111)은 상기 제1너트부(141)가 체결되기 위한 제1나사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장부 외측면(121)은 상기 제2너트부(145)가 체결되기 위한 제2나사부(122)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너트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제2너트부는 상기 제1너트부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너트부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너트부(141)는 제1너트부 몸체(142), 상기 제1너트부 몸체(142)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삽입홀(143) 및 상기 제1너트부 몸체의 내경에 위치하는 제3나사부(143)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너트부(141)은 상기 제1연장부 외측면(111)과 체결되며, 이때, 상기 제1삽입홀(143)에 상기 제1연장부 외측면(111)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너트부 몸체(142)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나사부(112)와 상기 제3나사부(143)가 상호 체결되면서, 상기 제1너트부(141)에 의해, 상기 제1중공부(114)에 삽입된 상기 제1철근(130a)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장부(110)의 상기 제1연장부 외측면(111)은 경사면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연장부(120)의 상기 제2연장부 외측면(121)도 경사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면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제1너트부(141)가 상기 제1연장부(110)의 끝단에서 체결되어, 점차적으로 상기 본체부(101)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부(114)에 삽입된 상기 제1철근(130a)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장부 내측면(116)은 톱니형태의 제1압입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부 내측면(126)은 톱니형태의 제2압입부(12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철근 및 상기 제2철근이 각각 상기 제1중공부(114) 및 상기 제2중공부(124)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압입부(113) 및 상기 제2압입부(123)는 각각 상기 제1철근 및 상기 제2철근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압입부(113)는 상기 제1연장부 내측면(116)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1)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압입부(123)는 상기 제2연장부 내측면(126)으로부터 상기 본체부(101) 영역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커플러 바디(100)는, 상기 제1연장부(110)로부터 상기 본체부(101)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12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151)를 포함한다.
즉, 상기 커플러 바디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되, 상기 원통형상의 커플러 바디는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길이방향의 제1절개부(151)를 포함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바디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C"의 형태에 해당한다.
상기 본체부(10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내경에 위치하는 분리부(102)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102)는, 링 형상의 분리부링(102a); 상기 분리부링(102a)의 일정 영역을 절개하고, 상기 제1절개부(151)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링 절개부(102b); 및 상기 분리부링(102a)의 내경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 중공홀(102c)을 포함한다.
즉, 상기 분리부(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바디(100)의 상기 본체부(10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내경에 위치하며, 이때, 상기 분리부(102)의 분리부링(102a)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링 형상에서 일정 영역을 절개한 분리부링 절개부(102b)를 포함한 “C"의 형태에 해당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부(102b)는 상기 제1절개부(151)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기 제1너트부(141)가 상기 제1연장부 외측면(111)과 체결되어, 상기 제1중공부(114)에 삽입된 상기 제1철근(130a)을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바디(110)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이는 도 7 내지 9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된 후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후의 형태를 비교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제1절개부(151)의 폭이 A에 해당하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제1절개부(151)의 폭이 A'에 해당하여,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기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제1절개부(151)의 폭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되기 전에는,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폭이 B에 해당하나, 커플러 바디에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폭이 B'에 해당하여,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기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폭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너트부(141)가 상기 제1연장부 외측면(111)과 체결되어, 상기 제1중공부(114)에 삽입된 상기 제1철근(130a)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너트부(141)가 상기 제1연장부(110)의 끝단에서 체결되어, 점차적으로 상기 본체부(101)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연장부(110)의 단면 직경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제1연장부(110)의 단면 직경의 점차적인 감소로 인하여, 상기 커플러 바디(110)에는 응력이 집중하게 되며, 응력이 가장 크게 집중하는 상기 본체부(101) 영역 중 상기 분리부(102)가 위치하는 영역은,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 파단이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연장부(110)의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절개부(151)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연장부(110)의 단면 직경의 감소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을, 상기 제1절개부(151)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폭의 감소를 통해 상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기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제1절개부(151)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커플러 바디(110), 예를 들면, 상기 분리부(102)가 위치하는 상기 본체부 영역에 집중되는 응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분리부(102)가 위치하는 상기 본체부 영역에서 파단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구조가 간단하여 철근 연결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기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제1절개부(151)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102b)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커플러 바디(110), 예를 들면, 상기 분리부(102)가 위치하는 상기 본체부 영역에 집중되는 응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분리부(102)가 위치하는 상기 본체부 영역에서 파단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상기 제1절개부를 통해,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술한 철근이 체결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철근과 철근 커플러의 견고한 체결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100)는 상기 제1연장부(110)로부터 상기 본체부(101)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12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151)를 포함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 바디(100)는, 비연속적인 제2절개부(152a, 152b)를 포함하며, 상기 비연속적인 제2절개부(152a, 152b)는, 상기 제1연장부(110)로부터 상기 본체부(101)의 일정 영역까지 연장되는 제2-1절개부(152a) 및 상기 제2-1절개부(152a)와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연장부(120)로부터 상기 본체부(101)의 일정 영역까지 연장되는 제2-2절개부(15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절개부(152a, 152b)는 상기 제1절개부(151)와는 달리, 상기 제1연장부(110)로부터 상기 본체부(101)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120)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절개부(152a, 152b)를 통해서도 상기 커플러 바디(110)에 집중되는 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 철근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커플러 바디; 및 상기 커플러 바디에 삽입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C"의 형태에 해당하며,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기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제1절개부의 폭이 감소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연장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1중공부 및 상기 제2연장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부는 상기 제1연장부에 체결되는 제1너트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내경에 위치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링 형상의 분리부링; 상기 분리부링의 일정 영역을 절개하고,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링 절개부; 및 상기 분리부링의 내경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 중공홀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의 상기 분리부링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링 형상에서 일정 영역을 절개한 분리부링 절개부를 포함한 "C"의 형태에 해당하고,
상기 제1너트부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에서 체결되어, 점차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연장부의 단면 직경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1연장부의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절개부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의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철근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커플러 바디; 및 상기 커플러 바디에 삽입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상기 본체부를 지나 상기 제2연장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은 "C"의 형태에 해당하며,
상기 커플러 바디에 상기 너트부가 체결된 후에는 상기 제1절개부의 폭이 감소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연장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1중공부 및 상기 제2연장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부는 상기 제1연장부에 체결되는 제1너트부 및 상기 제2연장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는, 상기 본체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커플러 바디의 내경에 위치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링 형상의 분리부링; 상기 분리부링의 일정 영역을 절개하고, 상기 제1절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링 절개부; 및 상기 분리부링의 내경 영역에 위치하는 분리부 중공홀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의 상기 분리부링의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링 형상에서 일정 영역을 절개한 분리부링 절개부를 포함한 "C"의 형태에 해당하고,
상기 제2너트부가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에서 체결되어, 점차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연장부의 단면 직경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2연장부의 단면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제1절개부의 폭 및 상기 분리부링 절개부의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플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727A KR102076367B1 (ko) | 2017-06-29 | 2017-06-29 | 철근 커플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2727A KR102076367B1 (ko) | 2017-06-29 | 2017-06-29 | 철근 커플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186A KR20190002186A (ko) | 2019-01-08 |
KR102076367B1 true KR102076367B1 (ko) | 2020-02-12 |
Family
ID=6502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2727A KR102076367B1 (ko) | 2017-06-29 | 2017-06-29 | 철근 커플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63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3494A (ko) | 2019-05-20 | 2020-11-30 | 김정훈 | 원터치 나사철근 커플러 |
KR102501205B1 (ko) | 2021-09-01 | 2023-02-17 | 양현민 | 보강링을 가진 일체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 |
KR102504839B1 (ko) | 2022-07-26 | 2023-02-28 | 양현민 | 일체형 커플러바디를 가진 원터치 철근 커플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146B1 (ko) * | 2016-05-04 | 2016-12-06 |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2207B1 (ko) * | 2007-07-28 | 2009-08-14 | 박동수 | 원터치식 철근연결구 |
KR20120098159A (ko) * | 2011-02-28 | 2012-09-05 | 김사현 | 철근 이음장치 |
KR101547290B1 (ko) | 2014-06-03 | 2015-08-25 | (주) 테크노라이즈 | 강구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
-
2017
- 2017-06-29 KR KR1020170082727A patent/KR1020763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3146B1 (ko) * | 2016-05-04 | 2016-12-06 |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186A (ko) | 2019-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6367B1 (ko) | 철근 커플러 | |
AU2013201397B2 (en) | Wooden member assembly | |
JP6431708B2 (ja) | 二重鉄筋籠構造、およびその製作方法 | |
KR101490812B1 (ko) |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후프 일체형 선조립 골조 | |
JP7075782B2 (ja) | 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及び床スラブ構造体 | |
JP2007321499A (ja) | 木造軸組家屋の補強装置 | |
JP2007032159A (ja) |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連結構造 | |
KR20170121955A (ko)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
KR200415050Y1 (ko) | 철근 연결장치 | |
JP2008280786A (ja) | 木質建築部材の接合構造体 | |
EP3095923A1 (en) | Han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 |
JP6261976B2 (ja) | 変断面梁 | |
KR101496413B1 (ko) | 강관 연결 구조체 | |
JP6667273B2 (ja) |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 |
KR200381028Y1 (ko) | 편체식 철근 이음메 | |
KR102004041B1 (ko) | 철근 콘크리트 보강용 철근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강 방법 | |
EP2664732B1 (en) | Socket for attachment to rebar and casting into a concrete structure | |
JP3938718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構造 | |
KR200398008Y1 (ko) | 철근 연결 장치 | |
JP2005155058A (ja) | Rc構造の梁部材 | |
JP6357303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方立壁 | |
KR101605010B1 (ko) | 강성보강 거더 | |
JPH03191149A (ja) | フラットスラブ構造物における鋼管柱とスラブの接合構造 | |
JP6312130B2 (ja) | 柱梁構造及び梁端部材 | |
JP6771782B2 (ja) | 連結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