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274B1 - 수냉식 에어컨 - Google Patents

수냉식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274B1
KR102076274B1 KR1020190079523A KR20190079523A KR102076274B1 KR 102076274 B1 KR102076274 B1 KR 102076274B1 KR 1020190079523 A KR1020190079523 A KR 1020190079523A KR 20190079523 A KR20190079523 A KR 20190079523A KR 102076274 B1 KR102076274 B1 KR 10207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hose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이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훈 filed Critical 이재훈
Priority to KR102019007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using water to enhance cooling, e.g. spraying onto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수냉식 에어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수냉식 에어컨은, 본체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부; 본체에 마련되어 압축기부에서 이송된 고온, 고압의 냉매와 순환수가 열교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본체에 마련되어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본체에 마련되어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순환수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본체에 마련되어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 본체에 마련되어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본체에 마련되어 열교환부로 순환수를 펌핑시키는 펌프;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 중 선택된 호스 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균일한 수압을 갖도록 분배시키는 분배기; 및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와 본체의 탈착 결합을 가이드하는 호스 탈착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냉식 에어컨{WATER COOLED AIR CONDITONER}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를 쉽게 탈착시킬 수 있고 실외기가 필요 없는 수냉식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난방기는 크게 공기열원 방식과 수열원 방식으로 구분할수 있으며, 히트펌프 사이클 형성을 통해 열원에서 흡열 또는 방열의 과정을 거쳐 냉난방을 한다. 그 구성은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로 나누어지고, 이 실내기와 실외기가 한 몸체에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일체형 에어컨이라 하며, 각각 별도로 설치된 것을 분리형 에어컨이라 한다.
전자인 일체형 에어컨의 대표적인 것에는 창문형 에어컨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후자인 분리형 에어컨에는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 에어컨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냉난방기는 일반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냉매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하나의 히트 펌프 사이클을 형성한다. 이러한 히트 펌프 사이클을 살펴보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로 이송되어 응축(방열)되고,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에 증발기(흡열)로 이송되며,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실내공기의 열을 빼앗아 냉방을 하고 흡열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이송되어 기체상태로 압축된다.
냉매는 이와 같은 히트 펌프 사이클을 따라 순환하면서, 응축 과정에서 방열을 통해 실내 온도를 올리는 경우를 난방 프로세스라 하고, 반대로 증발 과정에서 실내 공기를 내리는 경우를 냉방 프로세스라 한다.
한편, 공기열원식 히트펌프 냉난방기에서, 전술한 응축기는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팬을 구비하며 팬의 구동에 따른 소음 때문에 실외에 설치하며, 증발기는 실내공기와 접해야 하기 때문에 실내에 배치한다. 따라서, 통상 '실외기'라 하면 응축기와 압축기를 칭하며, '실내기'라 하면 증발기와 송풍기 및 팽창밸브를 칭한다.
이렇듯, 공기조화를 위해 사용되는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나뉘며, 실내기는 거실이나 기타 온도 조절이 필요한 공간에 설치되고, 실외기는 예컨대 발코니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실외기 선반에 위치된다.
그런데 실외기를 외부의 실외기선반에 설치할 경우, 산성비나 황사 등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부식이 매우 쉽게 발생함은 물론 기계가 지저분해져 좋지 않다. 또한 실외기선반이 녹슬어 약해졌을 경우 강풍이나 실외기 자체의 중량에 의해 실외기선반이 실외기와 함께 지상으로 떨어져 대형 사고를 발생할 수도 있다. 아울러 온도차에 의해 실외기에서 맺히는 응축수가 지나가는 행인에게 떨어져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실외기를 발코니 외부로 내놓지 못하도록 규제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가 아니더라도 발코니 외부에 실외기용 선반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실외기를 발코니 내부에 위치시킬 수 밖에 없다.
실외기를 발코니 내부에 설치하면, 에어컨을 가동할 때에 발코니를 개방하여(이때 발코니와 거실 사이의 창문은 닫아야함), 실외기로부터 발생하는 열풍을 외부로 빼내어 발코니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는 밤새 에어컨을 작동해야 할 경우 발코니 창문을 밤새 열어 놓아야 함을 의미한다. 즉, 방범을 위하여 발코니 창문을 닫으면 에어컨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아무리 발코니를 활짝 개방하더라도 실외기가 발코니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상 발코니 외부에 위치한 것보다 높은 온도 분위기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그만큼 냉각 효율이 떨어지고 전기의 소모도 증가한다.
아울러 실외기가 발코니를 점유하는 공간만큼 발코니가 좁아져, 통행이 불편하거나 세탁물 건조대를 놓기가 빠듯할 경우가 많고, 특히 어린이가 실외기에 어려움없이 접근할 수 있어, 이를테면 실외기의 냉각팬에 손가락을 넣거나 막대기 등을 넣어 실외기의 고장은 물론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수열원식 냉난방기가 대안이 될 수 있다. 보통 수열원으로는 지열, 강물, 해수, 지하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수열원식 냉난방기에서도 실내기에 열을 전달하는 매체로 히트펌프사이클 내에 존재하는 냉매가 순환하는 경우 냉매방식이라 칭하며, 또는 물 또는 브라인수를 이용하는 방식을 물방식이라 칭한다.
한편 이전의 수냉식 에어컨은 호스를 에어컨에 설치하는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에어컨의 외부에서 에어컨의 내부로 물을 공급시 수압이 강한 경우 물이 불균일하게 공급되어 냉방 효율이나 각종 소음을 일으키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93702호(주식회사 엘지이아이) 2001. 04. 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4520호(주식회사 탑솔, 유동진) 2014. 11. 18.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스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냉식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부에서 이송된 고온, 고압의 냉매와 순환수가 열교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상기 순환수를 열교환시켜 상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순환수를 펌핑시키는 펌프;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 중 선택된 호스 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균일한 수압을 갖도록 분배시키는 분배기;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와 상기 본체의 탈착 결합을 가이드하는 호스 탈착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냉식 에어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부,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 밸브, 상기 증발기, 상기 열교환부,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펌프가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가 마련되고, 상기 호스 탈착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일측 측벽에 마련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를 지지하는 호스 지지 블록; 및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호스 지지 블록에 앞서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를 지지하는 연장 지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는 상기 연장 지지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는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지지부; 및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지지 바디; 상기 열교환기 지지 바디의 일측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스토핑시키는 복수의 스토퍼 블록;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저면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를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 지지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기 지지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수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천장부에 마련되며 중앙부가 상기 열교환기 지지 바디의 중앙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서 유입되는 액체를 상기 중앙부로 모으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 중 하나의 호스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수집부에 모이는 액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바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와 본체의 탈착 결합을 가이드하는 호스 탈착 지지부에 의해 복수의 호수 부재의 탈착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마련되는 분배기에 의해 선택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균일한 수압을 갖도록 분배할 수 있어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각종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바디에 의해 본체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본체가 지지 바디로부터 분리되게 마련되어 본체를 별도로 스탠드용이나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작동 온도나 시간 등이 표시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에어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가 지지 바디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가 베이스 바디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베이스 바디가 제외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호스 탈착 지지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열교환기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열교환기 지지부의 저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에어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가 지지 바디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가 베이스 바디로부터 분리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서 베이스 바디가 제외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호스 탈착 지지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열교환기 지지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열교환기 지지부의 저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에어컨(1)은, 본체(1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부(2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압축기부(200)에서 이송된 고온, 고압의 냉매와 순환수가 열교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3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응축기(30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4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팽창 밸브(400)에서 팽창된 냉매와 순환수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5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증발기(500)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6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열교환부(60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본체(100)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700)과, 본체(100)에 마련되어 열교환부(600)로 순환수를 펌핑시키는 펌프(8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10)와 본체(100)의 탈착 결합을 가이드하는 호스 탈착 지지부(900)와, 본체(100)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어 본체(1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바디(1000)와, 본체(100)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10) 중 선택된 호스 부재(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균일한 수압을 갖도록 분배시키는 분배기(미도시)를 구비한다.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와, 베이스 바디(110)의 전면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버(120)와,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130)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베이스 바디(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100)의 좌우 측벽과 후방벽에는 공기가 유출입되는 복수의 통풍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0)의 커버(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전면부에 탈착 결합될 수 있고, 그 상측부에는 에어컨의 작동시 개폐되는 개폐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개폐부(121)는 커버(120)에 마련되는 모터에 치합되어 작동될 수 있고, 이 모터는 전기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120)의 전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2)에는 작동 온도, 현재 시간, 예약 시간 등의 작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는 작동 상태는 엘이디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커버(120)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 후크(12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결합 후크(123)는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된 단턱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0)의 지지 프레임 바디(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 바디(1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부(200), 응축기(300), 팽창 밸브(400), 증발기(500), 열교환부(600), 송풍팬(700) 및 펌프(800)가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 바디(130)를 베이스 바디(110)로부터 분리시 압축기부(200), 응축기(300), 팽창 밸브(400), 증발기(500), 열교환부(600), 송풍팬(700) 및 펌프(800)는 지지 프레임 바디(130)와 같이 베이스 바디(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지지 프레임 바디(130)와 압축기부(200), 응축기(300), 팽창 밸브(400), 증발기(500), 열교환부(600), 송풍팬(700) 및 펌프(800)는 모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바디(130)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온, 고압은 공지된 에어컨의 냉매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온도와 압력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압축기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10)와,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20)와, 하측부는 지지 프레임 바디(130)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지지 플레이트(210)에 결합되어 냉매의 압축시 압축기(2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복수의 완충 부재(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완충 부재(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형 고무 부재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응축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20)와 이격되도록 지지 프레임 바디(130)에 마련되어 압축기(220)에서 이송된 고온,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부(600)를 순환하는 순환수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응축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가 굴곡진 타원 형상을 갖는 코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응축기(300)의 모서리를 굴곡진 형태로 마련하는 경우 꺽이는 부분에서 터짐이 발생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서리 부분에서 냉매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므로 고압에도 강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응축기(300)는 이중관으로 마련되어 하나의 관이 파손되어도 나머지 관으로 냉매를 압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응축기(300)의 상부 영역은 도 9에 도시된 지지판(310)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팽창 밸브(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바디(130)에 마련되어 응축기(30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팽창 밸브(4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팽창 밸브(400)가 마련된 영역에는 복수의 삼방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팽창 밸브(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410)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증발기(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20)와 이격되도록 지지 프레임 바디(130)에 마련되어 팽창 밸브(400)에서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부(600)를 순환하는 순환수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교환부(6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증발기(500)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열교환부(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지지부(610)와, 열교환기 지지부(610)에 탈착 결합되어 증발기(500)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620)를 포함한다.
열교환부(600)의 열교환 지지부(6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와,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의 일측 내벽에 마련되어 열교환기(620)를 스토핑시키는 복수의 스토퍼 블록(612)과,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열교환기(620)의 저면부와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면부를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 지지바(613)와,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수홀(614)과,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천장부에 마련되며 중앙부가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의 중앙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되어 배수홀(614)을 통해서 유입되는 액체를 중앙부로 모으는 수집부(615)와, 수집부(615)에 마련되며 복수의 호스 부재(10) 중 하나의 호스 부재(10)와 연결되어 수집부(615)에 모이는 액체를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616)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열교환기(620)가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에 끼워 맞춤 결합되어 열교환기(620)의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열교환기(620)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를 관통하여 열교환기(620)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나사나 볼트를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열교환기(620)에서 물방울이 발생되는 경우 물방울이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의 내부로 떨어지고, 떨어진 물방울은 배수홀(614)과 수집부(615)와 배수관(616)을 순차적으로 흐른 후 복수의 호스 부재(10) 중 하나의 호스 부재(1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배수관(616)에는 호스 부재(10)가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열교환기 지지부(610)의 복수의 이격 지지바(6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 지지 바디(611)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열교환기(620)의 저면부를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면부와 이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교환기(620)의 저면부가 액체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막아 열교환기(620)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팬(7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62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열교환기(620)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기체를 개폐부(121)나 통풍구(111)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송풍팬(700)은 전기로 작동될 수 있다.
펌프(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20)와 응축기(3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 프레임 바디(130)에 마련되어 물이 열교환기(620)를 순환하도록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펌프(800)에서 펌핑되는 물은 삼방 밸브를 통해 열교환기(620)로 공급되어 순환될 수 있고, 이때 순환되는 액체를 순환수라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펌프(800)에서 펌핑되는 물은 삼방 밸브를 통해 응축기(300)로 공급되어 응축기(300)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고, 열교환기(620)를 통과한 물은 증발기(500)로 공급되어 증발기(500)의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압축기부(200), 응축기(300), 팽창 밸브(400), 증발기(500), 열교환기(620), 펌프(800)를 순환하거나 열교환되는 냉매와 순환수의 흐름은 공지된 한국등록특허 제10-1464520호의 흐름이 적용될 수 있다.
호스 탈착 지지부(9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지지 바디(1000)의 일측벽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10)의 탈착을 편리하게 하거나 복수의 호스 부재(10)를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호스 탈착 지지부(9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일측 측벽에 마련되는 베이스 블록(910)과, 베이스 블록(9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10)를 지지하는 호스 지지 블록(920)과, 호스 지지 블록(92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블록(910)의 내부로 삽입되며 호스 지지 블록(920)에 복수의 호스 부재(10)를 지지하는 연장 지지 블록(9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호스 부재(10)는 세개가 마련될 수 있고, 이 중 한 쌍의 호스 부재(10)는 펌프(800)와 연결되어 펌프(800)로 물을 공급하거나 펌프(800)로부터 물을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호스 부재(10)는 열교환부(600)의 배수관(616)과 연결되어 열교환기(620)에서 발생되는 물방울을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호스 부재(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지지 블록(930)의 내부로 인입된 후 베이스 블록(910)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호스 지지 블록(920)의 내부로 인입되며, 호스 지지 블록(920)의 내부로 인입된 복수의 호스 부재(10)는 호스 지지 블록(920)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 바디(1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호스 부재(10)를 통해 물을 막힘없이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고, 복수의 호스 부재(10)를 쉽게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본체(100)의 내부에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호스 부재(10)와 이지 커넥팅 방식으로 편리하게 탈착 결합되는 별도의 복수의 호스를 구비하고, 복수의 호스 부재(10)와 호스를 서로 끼움 방식으로 결합시 본체(100)에 마련된 호스 지지 블록(920)과 연장 지지 블록(930)에 의해 복수의 호스 부재(10)와 호스의 밀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양자의 탈착 결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호스 지지 블록(920)에는 커버(120)에 접하는 체결 플랜지(921)가 마련되고, 이 체결 플랜지(921)에는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체결 후크(922)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바디(10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저면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바디(1000)의 상측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00)이 마련되고, 그 저면부에는 복수의 롤러(1200)가 마련될 수 있다.
분배기(미도시)는,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10) 중 선택된 호스 부재(1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선택된 호스 부재(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균일한 수압을 갖도록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분배기는 물이 유입되는 메인 관(미도시)과, 메인 관에서 분기된 후 펌프(800) 등과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와 본체의 탈착 결합을 가이드하는 호스 탈착 지지부에 의해 복수의 호수 부재의 탈착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마련되는 분배기에 의해 선택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균일한 수압을 갖도록 분배할 수 있어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각종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바디에 의해 본체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본체가 지지 바디로부터 분리되게 마련되어 본체를 별도로 스탠드용이나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에 작동 온도나 시간 등이 표시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수냉식 에어컨
100 : 본체 110 : 베이스 바디
111 : 통풍구 120 : 커버
121 : 개폐부 122 : 디스플레이부
123 : 결합 후크 130 : 지지 프레임 바디
200 : 압축기부 210 : 지지 플레이트
220 : 압축기 230 : 완충 부재
300 : 응축기 310 : 지지판
400 : 팽창 밸브 410 : 지지 브래킷
500 : 증발기 600 : 열교환부
610 : 열교환기 지지부 611 : 열교환기 지지 바디
612 : 스토퍼 블록 613 : 이격 지지바
614 : 배수홀 615 : 수집부
616 : 배수관 620 : 열교환기
700 : 송풍팬 800 : 펌프
900 : 호스 탈착 지지부 910 : 베이스 블록
920 : 호스 지지 블록 921 : 체결 플랜지
922 : 체결 후크 930 : 연장 지지 블록
1000 : 지지 바디 1100 : 수용홈
1200 : 롤러 10 : 호스 부재

Claims (5)

  1. 본체에 마련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기부에서 이송된 고온, 고압의 냉매와 순환수가 열교환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와 상기 순환수를 열교환시켜 상기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순환수를 펌핑시키는 펌프;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 중 선택된 호스 부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균일한 수압을 갖도록 분배시키는 분배기;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복수의 호스 부재와 상기 본체의 탈착 결합을 가이드하는 호스 탈착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냉식 에어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부,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 밸브, 상기 증발기, 상기 열교환부, 상기 송풍팬 및 상기 펌프가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바디가 마련되고,
    상기 호스 탈착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일측 측벽에 마련되는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를 지지하는 호스 지지 블록; 및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블록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호스 지지 블록에 앞서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를 지지하는 연장 지지 블록을 포함하는 수냉식 에어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는 상기 연장 지지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는 상기 호스 지지 블록의 상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에어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지지부; 및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순환수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지지 바디;
    상기 열교환기 지지 바디의 일측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를 스토핑시키는 복수의 스토퍼 블록;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저면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면부를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 지지바;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기 지지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수홀;
    상기 지지 프레임 바디의 천장부에 마련되며 중앙부가 상기 열교환기 지지 바디의 중앙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서 유입되는 액체를 상기 중앙부로 모으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호스 부재 중 하나의 호스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수집부에 모이는 액체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수냉식 에어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바디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수냉식 에어컨.
KR1020190079523A 2019-07-02 2019-07-02 수냉식 에어컨 KR10207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23A KR102076274B1 (ko) 2019-07-02 2019-07-02 수냉식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23A KR102076274B1 (ko) 2019-07-02 2019-07-02 수냉식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274B1 true KR102076274B1 (ko) 2020-02-11

Family

ID=6956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23A KR102076274B1 (ko) 2019-07-02 2019-07-02 수냉식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2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702B1 (ko) 1998-10-14 2001-10-26 구자홍 수냉각시스템에어컨
KR20020086191A (ko) * 2001-05-11 2002-11-18 차승식 수냉식 냉각 시스템
KR20050046844A (ko) * 2003-11-14 200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냉식 공기조화기
KR20110102615A (ko) * 2010-03-11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1464520B1 (ko) 2013-08-08 2014-11-25 주식회사 탑솔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냉난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702B1 (ko) 1998-10-14 2001-10-26 구자홍 수냉각시스템에어컨
KR20020086191A (ko) * 2001-05-11 2002-11-18 차승식 수냉식 냉각 시스템
KR20050046844A (ko) * 2003-11-14 200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냉식 공기조화기
KR20110102615A (ko) * 2010-03-11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1464520B1 (ko) 2013-08-08 2014-11-25 주식회사 탑솔 실외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냉난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10685A (ja) 空気調和装置
JP2009293839A (ja) 冷凍装置の排熱利用システム
KR101549691B1 (ko) 응축수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항온 항습기
KR101029571B1 (ko) 지열 및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히트펌프 공기 조화기
KR100521851B1 (ko) 물탱크가 구비된 히트펌프시스템
KR102076274B1 (ko) 수냉식 에어컨
KR101157548B1 (ko) 폐열회수 냉난방장치
KR101392856B1 (ko)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KR20030065313A (ko) 공기조화장치
KR20020029284A (ko) 히트 펌프식 냉난방장치
KR100452807B1 (ko) 폐열회수식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CN210425382U (zh) 一种带余热回收及自然冷源利用的室外机
KR20180105031A (ko) 순환형 수냉식 공기조화기
CN102226568A (zh) 空调悬挂式辐射换热板及空调机组
KR200396845Y1 (ko) 수도 직결형 냉각관에 의한 코일응축부를 갖는 수냉식에어컨
CN106322590A (zh) 机房用热管冷却系统
KR10081371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열교환기
CN215951565U (zh) 一种采用风冷与水冷相结合的冷凝器的空调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39019B1 (ko) 수냉식 공조 시스템의 실내기
KR200406474Y1 (ko) 이동식 냉·온풍기
CN215808849U (zh) 空调器室内机
CN213630704U (zh) 移动式空调器
KR100647817B1 (ko) 공기조화기의 냉수코일 분리구조
KR200261348Y1 (ko) 폐열회수식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