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856B1 -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856B1
KR101392856B1 KR1020120009413A KR20120009413A KR101392856B1 KR 101392856 B1 KR101392856 B1 KR 101392856B1 KR 1020120009413 A KR1020120009413 A KR 1020120009413A KR 20120009413 A KR20120009413 A KR 20120009413A KR 101392856 B1 KR101392856 B1 KR 10139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heat
water
capill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616A (ko
Inventor
김홍운
Original Assignee
김홍운
주식회사 그린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운, 주식회사 그린에너텍 filed Critical 김홍운
Publication of KR2013002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8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와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및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 및 제2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모세관을 통하여 난방동작을 압축기와 물이 순환되는 제3열교환기 및 팽창변 그리고 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를 통하여 냉방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구성으로 실외기가 필요없이 수냉각에 의해 냉방 및 난방동작이 가능토록 하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an air conditioner with water-cooled heat exchange without an outside-equipment}
본 발명은 압축기와,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및, 보조응축기 또는 보조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 및 팽창변의 역활을 수행하는 모세관을 통하여 난방동작을, 압축기와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토록 물이 순환되는 제3열교환기 및 팽창변 그리고 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제1열교환기를 통하여 냉방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구성으로 실외기가 필요없이 수냉각에 의해 냉방 및 난방동작이 가능토록 하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에서 냉매의 흐름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순환시킴으로써 냉방(冷房)과 난방(煖房)을 겸할 수 있는 공기 조절장치의 하나로써 특히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에 따라 점차적으로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인 히트펌프에 있어서 공냉식 실외측 열교환기가 갖는 열교환 온도범위인 상온 이하로 냉각시킬 수 없는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열교환방식을 수냉식으로 제작하여 사용한 종래의 수냉식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장치가 특허등록 제547670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히트펌프는 압축기(1),사방밸브(4), 실내 열교환기(3), 냉방팽창관(10), 열교환용 수액분리기(20), 난방팽창관(30), 실외 열교환기(40), 이중관(50) 및 열교환관(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1)와 사방밸브(4) 및 실내 열교환기(3)는 제 1냉매관(11)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3)와 열교환용 수액분리기(20)는 제 2냉매관(12)으로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용 수액분리기(20)와 난방팽창관(30)은 제 3냉매관(13)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팽창관(30)과 실외 열교환기(40)는 제 4냉매관(14)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40)와 이중관(50)과 사방밸브(4) 및 열교환용 수액분리기(20)는 제 5냉매관(15)으로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용 수액분리기(20)와 압축기(1)는 제 6냉매관(16)으로 연결되며, 상기 냉방팽창관(10)은 제 2냉매관(12)에서 분지되면서 분지되는 지점에 체크밸브(8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압축기(1)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사방밸브(4)는 압축기(1)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냉매를 난방시 실내 열교환기(3) 방향으로 냉방시 이중관(50) 방향으로 흐름을 전환시키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3)는 난방운전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역할을 하고, 냉방운전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며 방출 또는 흡수에 의하여 열교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냉방팽창관(10)은 난방시 실내 열교환기(3)의 토출측과 연결되고, 고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안내하는 제 1냉매관(11)에 감김으로써 실내 열교환기(3)에서 응축되며 열을 방출함에 따라 온도가 저하된 냉매의 온도를 보상하고 냉방시 열교환된 냉매를 팽창시키며, 상기 열교환용 수액분리기(20)는 난방시 제 2냉매관(12)을 통해 이동하는 응축된 냉매를 통과시켜 제 3냉매관(13)을 통해 난방팽창관(30)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실외 열교환기(40) 및 사방밸브(4)를 통과한 2상의 저온 저압 상태인 냉매를 제 5냉매관(15)을 통해 유입하면서 상호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히트펌프는, 별도의 실외열교환기(40)가 외부에 위치하여 동절기 난방용으로 사용시 외기에 의해 냉매의 원활한 순환이 힘들게 됨은 물론 미 사용시 동파의 염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난방시에 실외열교환기(40)를 사용토록 하여 과냉으로 압축기의 성능저하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를 없애 냉,난방기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실외기가 없어 동파나 냉매의 유동불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조건에 따라 압축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상태 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압축기의 효율을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하며, 사용상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축기와,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 및 보조응축기 또는 보조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 및 팽창변의 역활을 수행하는 모세관을 냉매가 순환하는 구성을 통하여 난방동작을
압축기와 물이 순환되는 제3열교환기 및 팽창변 그리고 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를 냉매가 순환하는 구성을 통하여 냉방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열교환기는, 이중관 형상으로 저수탱크의 물이 냉매관의 외측을 유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수탱크의 상부에 대류에 의해 상승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코일이 구비되어 수액기의 전방에 열량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2열교환기는 냉매파이프와 냉각핀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블럭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때 상기 열교환블럭이 그리는 수직방향폭 내부의 적어도 일측에 송풍팬이 위치토록 되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세관유니트는, 센싱유니트와 이에 연결되는 보조사방변 및 서로다른 면적을 갖는 모세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열교환기의 일측에 제1,2송풍팬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사방밸브와 수액기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은 저수탱크과 연결되는 제3열교환기의 일측에 냉매라인을 폐쇄토록 폐쇄유니트가 구비되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기를 없애 냉,난방기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실외기가 없어 동파나 냉매의 유동불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며, 운전조건에 따라 압축기에 공급되는 냉매의 상태를 조절하여 압축기의 효율을 최적화 시키며, 사용상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히트펌프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기의 회로도이다.
도3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기의 제2열교환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기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기의 회로도이고, 도3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기의 제2열교환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기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냉,난방기(100)는, 압축기(110)와,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150)및 보조응축기 또는 보조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130) 및 팽창변의 역활을 수행하는 모세관유니트(170)를 냉매가 순환하는 구성을 통하여 난방동작을 수행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열교환기(130)는 모세관유니트(170)의 후단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냉,난방기(100)는, 압축기(110)와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면서 물이 순환되는 제3열교환기(120) 및 팽창변(160) 그리고 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150)를 냉매가 순환하는 구성을 통하여 냉방동작을 수행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110)의 일측에는 사방밸브(200)가 구비되어 냉매가 제1열교환기(150) 및 제3열교환기(120)측에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설치되고,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냉매중 액상의 냉매를 최소화 하도록 수액기(2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열교환기(120)는, 이중관 형상으로 외측에 저수탱크(140)의 물이 유동하도록 설치되면서 내측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저수탱크(140)의 상부에 대류에 의해 상승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코일(210)이 구비되어 수액기(250)의 일측에서 열량을 전달하도록 연결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130)는, 냉매파이프(135b)와 냉각핀(135a)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블럭(135)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블럭(135)의 공기유동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제2송풍팬(131)은, 수직방향에 적층되는 냉매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각각 유동토록 상부에의 냉매파이프에서는 강재유입 하부의 냉매파이프에는 강재공급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열교환블럭(135)의 공기유동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제2송풍팬(131)은, 수직방향에 하나가 설치되는 냉매파이프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할 때 상기에서 공급송풍팬(131a)이 하부에 배출송풍팬(131b)이 각각 배치토록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블럭(135)은, 측면으로의 공기유동이 방지토록 차폐블럭(13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블럭은 큰폭을 갖는 제2열교환블럭(135)과 적은폭을 갖는 제1열교환블럭(136)으로 구분되는 구성으로 제1열교환블럭의 일측에 제2송풍팬(131)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유니트(170)는,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싱유니트(171)와 이에 연결되는 보조사방변(173) 및 서로다른 면적을 갖도록 분리설치되는 모세관(17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2열교환기(150)(130)의 일측에 제1,2송풍팬(151)(131)이 각각 위치한다.
계속하여, 상기 저수탱크(140)과 연결되는 제3열교환기(120)의 일측에 냉매라인을 폐쇄토록 폐쇄유니트(230)가 구비된다.
다른 한편, 도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열교환기와 하기의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팽창변의 역활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단위모세관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모세관유니트(170)가 연결되고, 상기 사방변(200)에 연결되어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3열교환기(120)가 설치되며, 상기 제3열교환기(120)와 모세관유니트(170) 사이에 연결되어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130)가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어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모세관유니트(170)는, 복수의 단위모세관(175)과 복수의 가변모세관(178)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모세관(178)에는 첵밸브(C)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모세관(178)은, 하나의 가변모세관에는 첵밸브(C)가 다른 하나의 가변모세관에는 전자변(S)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열교환기(130)는, 첵밸브(C)를 갖는 제1연결관(133)과 양단에 첵밸브(C) 및 전바변(S)을 구비하면서 방열핀을 갖는 제1순환관(135)이 연결구조로서 송풍팬(131)이 된다.
또한, 상기 제3열교환기(120)는, 첵밸브(C)를 갖는 제2연결관(123)과 양단에 첵밸브(C)를 구비하면는 제2순환관(125)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열교환기(120)는, 이중관 형상으로 저수탱크(140)의 물이 유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수탱크(140)의 상부에 대류에 의해 상승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코일(210)이 구비되어 수액기(250)의 일측에서 열량을 전달하도록 연결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냉,난방기(100)는, 난방시 압축기(110)의 동작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냉매가 제1열교환기(150)에 공급될 때 제1송풍팬(151)에 의해 공급되는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 하면서 응축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교환기(150)를 통과하면서 응축되는 제2열교환기(130)에 공급될 때 제2송풍팬(131)의 동작에 의해 다시 한번 응축토록 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110)에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제1열교환기(150)를 통과하면서 중온중압으로 변화된 후 제2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 중 저온저압으로 변화된다.
즉,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제1열교환기(150)및 제2열교환기(130)가 냉,난방기의 전후측에서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열교환할 때 배기되는 공기의 온도차를 최소화 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완전하게 열량을 전달하지 못한 냉매는 팽창변의 역활을 수행하는 모세관유니트(170)를 통과하면서 일반적인 냉각싸이클과 동일한 저온저압으로 변화되어 압축기(110)에 공급토록 된다.
이때, 상기 모세관유니트(170)는,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는 센싱유니트(171)와 이에 연결되는 보조사방변(173) 및 서로다른 면적을 갖도록 분리설치되는 모세관(17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및 압력에 따라 보조사방변(173)을 개방하여 최적의 모세관(170)을 흐르도록 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 및 압력의 유지가 가능토록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냉,난방기(100)를 냉방으로 사용할 경우, 제2열교환기(130) 및 모세관유니트(170)의 동작은 정지되고, 압축기(110)에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제3열교환기(120)를 통과하면서 저수탱크(140)을 물과 열교환하면서 중온중압으로 응축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변(160)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냉매로 변화되고, 이후 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150)를 순환할 때 기화된 후 압축기에 공급토록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110)의 일측에는 사방밸브(200)가 구비되어 냉매가 제1교환기(150) 및 제3열교환기(120)측에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설치되고,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라인에 수액기(250)가 구비되어 냉매중 액상의 냉매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3열교환기(120)는, 이중관 형상으로 저수탱크(140)의 물이 외부에 유동할 때 그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도록 설치되어 열교환이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저수탱크(140)의 상부에는 수액기(250)의 전단과 연결되는 히팅코일(210)이 설치되어 열교환에 의한 대류에 의해 상승되는 물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코일(210)의 열량을 수액기의 전단에 공급하여 냉매가 용이하게 기화되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130)는, 냉매파이프(135b)와 냉각핀(135a)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블럭(135)의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때 상기 열교환블럭이 그리는 수직방향폭 내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부송풍팬(131a)이 위치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공기의 신속한 유동이 가능함은 물론 열교환블럭의 측면에 송풍팬이 위치하는 구성을 삭제하여 컴팩트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토록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블럭은 큰폭을 갖는 제2열교환블럭(135)과 적은폭을 갖는 제1열교환블럭(136)으로 구분되는 구성으로 제1열교환블럭의 일측에 제2송풍팬(131)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공기의 신속한 유동이 가능함은 물론 적은두께의 열교환블럭의 측면에 송풍팬이 위치하여 컴팩트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저수탱크(140)와 연결되는 제3열교환기(120)의 일측에 냉매라인을 폐쇄토록 폐쇄유니트(230)가 구비되어 난방용으로 사용시 냉매라인을 폐쇄시켜 겨울철 냉수의 유동에 의한 동파등의 문제점을 해소토록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5에서와 같이 첵밸브와 전자변이 설치되는 제2,3열교환기(130)(120) 및 복수의 단위모세관이 연결되면서 전자변 또는 첵밸브가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 모세관유니트에 의해 별도의 팽창변이 없이도 회로의 구성이 가능토록 된다.
즉, 제2,3열교환기및 모세관유니트에서 각각 구비되는 첵밸브 또는 전자변을 통하여 냉매의 흐름방향을 제어할 때 수냉식구조 또는 복수의 체적팽창에 의해 열교환 또는 팽창이 이루어져 별도의 팽창변을 구비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냉,난방회로의 구현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100...냉,난방기 110...압축기
130...제2열교환기 140...저수탱크
160...팽창변 170...모세관유니트
200...사방밸브 230...폐쇄유니트
250...수액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압축기(110),
    상기 압축기(110)에 연결되어 냉매를 응축기 또는 증발기측으로 공급하는 사방변(200),
    상기 사방변(200)에 연결되면서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1열교환기(150),
    상기 제1열교환기와 하기의 제2열교환기 사이에 연결되어 팽창변의 역활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단위모세관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모세관유니트(170),
    상기 사방변(200)에 연결되어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면서 이중관 형상으로 저수탱크(140)의 물이 유동하도록 설치되는 제3열교환기(120),
    상기 제3열교환기(120)와 모세관유니트(170) 사이에 연결되어 증발기 또는 응축기의 역활을 수행하는 제2열교환기(130)가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어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세관유니트(170)는, 복수의 단위모세관(175)과 복수의 가변모세관(178)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변모세관(178)에는 첵밸브(C)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모세관(178)은, 하나의 가변모세관에는 첵밸브(C)가 다른 하나의 가변모세관에는 전자변(S)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130)는, 첵밸브(C)를 갖는 제1연결관(133)과 양단에 첵밸브(C) 및 전자변(S)을 구비하면서 방열핀을 갖는 제1순환관(135)이 연결구조로서 송풍팬(131)이 연결되고,
    상기 제3열교환기(120)는, 첵밸브(C)를 갖는 제2연결관(123)과 양단에 첵밸브(C)를 구비하는 제2순환관(125)이 연결되며,
    상기 제3열교환기(120)는, 이중관 형상으로 저수탱크(140)의 물이 유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수탱크(140)의 상부에 대류에 의해 상승되는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코일(210)이 구비되어 수액기(250)의 일측에서 열량을 전달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KR1020120009413A 2011-09-09 2012-01-31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92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039 2011-09-09
KR20110092039 2011-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16A KR20130028616A (ko) 2013-03-19
KR101392856B1 true KR101392856B1 (ko) 2014-05-14

Family

ID=4817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4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2856B1 (ko) 2011-09-09 2012-01-31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155A (zh) * 2018-10-31 2019-03-19 向春兰 一种节能环保型降温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8333B (zh) * 2018-12-11 2021-01-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冷系统、空调控制方法及空调器
CN111664524B (zh) * 2020-05-18 2022-05-13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供冷系统及其供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479A (ko) * 1996-10-30 1998-07-2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팽창장치
KR20010028151A (ko) * 1999-09-18 2001-04-06 차승식 실외기 없는 일체형 냉.난방기
KR20040001006A (ko) * 2002-06-26 2004-01-07 문영치 물탱크가 구비된 히트펌프시스템
KR100516923B1 (ko) * 2003-10-10 2005-09-26 신봉재 히트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479A (ko) * 1996-10-30 1998-07-2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팽창장치
KR20010028151A (ko) * 1999-09-18 2001-04-06 차승식 실외기 없는 일체형 냉.난방기
KR20040001006A (ko) * 2002-06-26 2004-01-07 문영치 물탱크가 구비된 히트펌프시스템
KR100516923B1 (ko) * 2003-10-10 2005-09-26 신봉재 히트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9155A (zh) * 2018-10-31 2019-03-19 向春兰 一种节能环保型降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616A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4154B2 (ja) 空気調和装置
JP6685409B2 (ja) 空気調和装置
JP5327308B2 (ja) 給湯空調システム
CN102297487B (zh) 空调热管一体机
WO2020029582A1 (zh) 空气源热泵空调器用无风机且内置蓄热介质的室内换热器
KR101325319B1 (ko) 축열식 냉난방 장치
KR101392856B1 (ko) 수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실외기 없는 냉,난방장치
JP2013083439A5 (ko)
JP442834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30032681A (ko) 공기조화기
JP5447438B2 (ja) 冷蔵庫
CN105953485A (zh) 一种换热方法和系统及具有化霜功能的热泵系统
KR101404554B1 (ko) 공냉식 열교환 구조를 갖는 냉,난방장치
KR101423137B1 (ko) 실외기 없는 난방장치
KR100946381B1 (ko)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식 냉난방장치
KR20150133966A (ko) 냉방 시스템
KR20180105031A (ko) 순환형 수냉식 공기조화기
KR101520914B1 (ko) 냉각탑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장치
KR101175635B1 (ko) 무제상 냉난방 시스템
CN106949670B (zh) 制冷系统及控制方法
KR100900440B1 (ko) 히트펌프 냉난방장치
JP2015017722A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暖房空調システム
KR101216532B1 (ko) 히트펌프형 냉,난방장치
KR100983325B1 (ko) 일체형 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
KR101139760B1 (ko) 압축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