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006B1 - Refuge air mat - Google Patents

Refuge air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006B1
KR102076006B1 KR1020190114178A KR20190114178A KR102076006B1 KR 102076006 B1 KR102076006 B1 KR 102076006B1 KR 1020190114178 A KR1020190114178 A KR 1020190114178A KR 20190114178 A KR20190114178 A KR 20190114178A KR 102076006 B1 KR102076006 B1 KR 102076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t
air
building
holde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미래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미래안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미래안전
Priority to KR102019011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jumping devices, e.g. jumping-sheets, jumping-mattress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mat for evacuation, which is conveniently installed at the outside of a building, for enabling those who need to be rescued to more rapidly and safely escape in a situation, like a fire, which requires an escap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 air mat for rescue comprises: a box shaped cabinet arranged i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n the ground of the building while having a storage space; one or more blowing fans fixedly installed within the cabinet; an air mat fol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a vent of the blowing fan to be expanded as the blowing fan is actuated; and one or more starting switches providing a rescue signal for enabling the blowing fan to be actuated according to operation of those who need to be rescued or the lik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like a fire occurs. The blowing fan is actuated by the rescue signal to unfold the air mat.

Description

피난용 에어매트{Refuge air mat}Evacuation air mat {Refuge air mat}

본 발명은 화재 등과 같이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대피가 요구되는 상황시 요구조자들이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건축물 외측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는 피난용 에어매트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evacuation air mat that is easily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so that the requesters can evacuate more quickly and safely in a situation that requires evacuation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such as a fire.

아파트, 오피스텔 등 현대의 건축물들은 고층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고층화로 인한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Modern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officetels are made of high-rise buildings so that the land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but side effects are also caused by high-rise buildings.

고층 건물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 상황시에 거주민들의 피난에 어려움이 큼에 따른 인명 피해가 심하다는 것이다.One of the major disadvantages of high-rise buildings is the high risk of human life due to the difficulty of evacuation of residents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in the event of a fire.

고층 건물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으로는 옥상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도움을 받거나, 계단을 이용한 저층으로의 대피, 창문을 통한 건물 외부로의 대피 등이 있을 것이다.Evacuation from high-rise buildings may include help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ooftop, escape to the lower floors by stairs, or escape to the building through windows.

특히나 화재시에는 연기와 열기로 인해 대피 가능한 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대피가 요구되며, 출입구를 통한 대피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창문을 통해서 건물 외부로 대피해야만 한다.Especially, in case of fire, the evacuation time is not long because of smoke and heat, and if it is impossible to evacuate through the entrance, it is inevitable to evacuate through the window.

통상 4층 이상의 건물로부터 지상으로 사람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부상을 입거나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긴급한 상황에서 어쩔수 없이 창문을 통해 사람들은 탈출하기 위해 위험을 무릎쓰고서라도 지상으로 뛰어내리게 되는데, 이때 지상에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에어매트가 미리 설치되어 있다면 생명을 잃지는 않을 것이다.In general, people falling to the ground from buildings above four floors may be injured or lose their lives. In an emergency situation, people are forced to jump through the window to the ground at risk of escape, but if they have air mats installed on the ground that can alleviate the impact, they will not lose their lives.

피난을 위한 에어매트는 119나 소방서 등에서 구비하여 위험상황시 신고를 받고 출동하여 설치하기도 하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화재와 같은 위험상황하에서 초기에 요구조자들을 대피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Air mats for evacuation are provided at the 119 or the fire department to be notified and sent for installation in case of danger. However, due to the time-consuming situation, evacuation of the requesters can not be carried out in the early stages of danger such as fi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8651호의 "화재대피 매트"가 알려져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fire evacuation mat"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8651 is known.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대피 매트는 에어매트를 건물에 압축하여 보관하여 상시 설치 가능하도록 하고 에어펌프가 에어매트에 연결되게 하여 화재신호시 에어매트가 팽창되도록 하는 것이다.Fire evacuation m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compress the air mat in the building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t all times, and the air pump is connected to the air mat so that the air mat is expanded when the fire signal.

하지만 종래기술은 기술적으로 구현을 위한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technical lack of specificity for implement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865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68651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상황시 고층 건물로부터 요구조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건물자체에 설치되어 간단하게 동작될 수 있는 피난용 에어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vacuation air mat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being installed in the building itself so that the requesters can quickly evacuate from a high-rise build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ire.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피난용 에어매트는, 건축물의 대지상에 상기 건축물의 내측 혹은 외측에 마련되되,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의 수납함; 상기 수납함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 접혀져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송풍팬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의 가동에 따라 팽창되는 에어매트;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요구조자 등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송풍팬이 가동될 수 있는 구조신호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동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신호에 의해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어 상기 에어매트가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vacuation ai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or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box-shaped storage box having a storage space; At least one blower fan fixedly installed in the holder; An air mat folded an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lower fan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And at least one start switch for providing a rescue signal for operating the blower fan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 requester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wherein the blower fan is operated by the rescue signal to unfold the air mat.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함의 일측으로 상기 에어매트가 펼쳐질 때 팽창력에 의해 열리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oor is opened by an expansion force when the air mat is expanded to one side of the holder.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함은, 상기 건축물 하단측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하되, 상기 구조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수납함과 연결되는 무빙모듈의 동작에 따라 상기 수납함이 상기 건축물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older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building, when the rescue signal is generated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dule connected to the storage box It features.

바람직하게 상기 무빙모듈은, 상기 수용홈 바닥부에 마련되는 레일; 상기 수납함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 상기 수납함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는 수동 또는 자동 액츄에이터; 상기 수납함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oving module, the rail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 guid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fitted to the rail; A manual or automatic actuator for allowing the holder to exit from the receiving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매트는, 제1에어매트와 제2에어매트가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이며, 상기 제1에어매트는 상기 제2에어매트보다 고압으로 에어가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구조신호 발생시 상기 구조신호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관리자 등의 인증을 요청하는 확인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ir mat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air mat and a second air mat are stacked up and down, and the first air mat allows air to be filled at a higher pressure than the second air mat, and the structure when the structure signal is gener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rmation module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such as an administrator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는 기존 건축물은 물론 신규 건물 시공시에 일체로 시공되게 하여 긴급 상황시 보다 신속하게 요구조자들이 건물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damage to human life by allowing the requesters to escape out of the building more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as well as the existing building to be integrally construc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에어매트가 펼쳐진 경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의 주요 구성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에어매트가 펼쳐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의 개념도.
도 8은 도 7에서 수납함이 수용홈 외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에어매트가 펼쳐지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의 사시도.
도 11은 제5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의 사시도.
1 is a side view of an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mat is unfolded in FIG.
3 i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acuation air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5 is a side view of FIG. 4.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mat is unfolded.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vacuation air m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n FIG.
9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mat is unfold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one possible examp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에어매트가 펼쳐진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의 주요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side view of 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mat is unfolded in Figure 1, Figure 3 i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는 아파트, 오피스텔, 빌라 등과 같은 고층 건축물에 설치되어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시에 건축물 내부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n officetel, a villa, and the like to quickly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during an emergency such as a fire.

본 발명의 피난용 에어매트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로 수납함(100), 송풍팬(200), 에어매트(300), 기동스위치(400)가 있으며, 기동스위치(400)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구조신호에 의해 송풍팬(200)이 작동되면서 에어매트(300)가 팽창되어 펼쳐지도록 하여 고층에서 요구조자가 지상으로 뛰어내릴 때 에어매트(300)에 의한 충격흡수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vacuation ai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box 100, a blowing fan 200, an air mat 300, the start switch 400, which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400 As the blower fan 200 is operated by the rescue signal, the air mat 300 is expanded and expanded to safely evacuate by shock absorbing by the air mat 300 when the requestor jumps to the ground from a high floor.

본 발명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는 크게 건축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는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는 기 건축물인 경우 건축물의 외벽에 인접되게 설치하는 경우이다.First, 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which is a case where the building is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건축물의 형태나 구조를 고려하여 피난용 에어매트가 펼쳐지는데 지장이 없는 장소를 선택하여 설치하도록 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evacuation air mats are unfolded.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대지상에 건축물 외벽을 따라 수납함(100)이 설치되도록 하며, 수납함(10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사각 박스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torage box 100 is installed alo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n the ground of the building, and the storage box 100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thereof.

수납함(100)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게 되며, 수납함(100)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송풍팬(200)이 고정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송풍팬(200)을 적절히 배치하여 필요시 신속하게 에어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송풍팬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였지만 송풍팬은 포괄적 개념으로서 에어를 송풍시킬 수 있는 에어펌프, 에어콤프레셔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torage box 100 has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blowing fan 20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100, preferably, a plurality of blowing fans 200 are appropriately disposed so as to quickly To be supplied. Although a blower fan has been given a name, the blower fan is to be interpret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n air pump and an air compressor that can blow air.

수납함(100) 내부의 수납공간에 에어매트(300)가 수용되는데, 평상시 에어매트(300)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며, 에어매트(300)는 송풍팬(200)의 배출구(210)와 연결되어져 있어 송풍팬(200)이 가동됨에 따라 에어가 에어매트(300)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에어매트(300)는 팽창하게 되고, 수납함(100) 외부로 펼쳐지게 된다.Air mat 30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storage box 100, the air mat 300 is usually stored in a folded state, the air mat 3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210 of the blower fan 200 As the blower fan 200 is operated, air is supplied into the air mat 300 so that the air mat 300 expands and is spread out of the storage box 100.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수납함(100)은 사각박스 형상이되, 정면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110)가 구비되어 에어매트(300)가 펼쳐질 때 팽창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한다.Preferab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box 10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door 11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side so that the air mat 300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expansion force when the air mat 300 is unfolded.

이를 위해 수납함(100)에 대해 도어(110)의 상단 또는 하단이 힌지(111)로 수납함에 연결되고, 도어(110)의 하단 또는 상단은 자석(112)에 의해 구속되게 하여 에어매트(300)가 팽창되면 팽창력에 의해 자석(112)으로 구속된 부위가 떨어지면서 도어(110)가 열리게 된다.To this end,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door 11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box by the hinge 111 with respect to the storage box 100, and the lower or upper end of the door 110 is constrained by the magnet 112 to provide an air mat 300. When is expanded, the door 110 is opened while the portion constrained by the magnet 112 is dropped by the expansion force.

또한 수납함(100)은 평상시에는 주민들의 편의를 위한 의자로 활용 가능하도록 수납함(100) 배면쪽에 등받이(120)가 마련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box 100 may be such that the backrest 120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storage box 100 to be used as a chair for the convenience of the residents.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요구조자 등의 조작에 따라 송풍팬(200)이 가동될 수 있는 구조신호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동스위치(400)가 마련되는데, 기동스위치(400)는 아파트와 같이 다세대주택인 경우 각 호실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관리사무실에 설치되거나 수납함(100) 자체에도 기동스위치(400)가 마련되게 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ne or more starter switches 400 are provided to provide a rescue signal to operate the blower fan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questor. The starter switch 400 is a multi-family house such as an apartment. In this case, one may be installed in each room, and the start switch 400 may be provided in the management office or in the storage box 100 itself.

즉, 기동스위치(400)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기본적으로 요구조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건축 외부에 있는 사람들이 비상상황임을 인지하여 건축물 외부에 설치된 기동스위치(4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tart switch 40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places to be basically operated by the requestor, and in some cases people outside the building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to operate the start switch 400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To be able.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에어매트(300)는 다단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들어 에어매트(300)는 제1에어매트(310)와 제2에어매트(320)의 상하 적층되는 구조로 하고, 제1에어매트(310)와 제2에어매트(320)의 에어 충진정도를 달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air mat 300 may be made of a multi-stage structure, for example, the air mat 300 is a structure that is stacked up and down of the first air mat 310 and the second air mat 320, The air filling degree of the first air mat 310 and the second air mat 320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즉, 하부에 위치되는 제1에어매트(310)는 제2에어매트(320)보다 고압으로 에어가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고층으로부터 요구조자가 에어매트(300) 위로 낙하할 때 제2에어매트(320)에 의해 1차 충격이 흡수되게 하여 과도하게 리바운딩되는 것을 억제하고 동시에 제1에어매트(310)에 의해 2차충격이 흡수되고 지면과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air mat 310 positioned below the air is filled at a higher pressure than the second air mat 320 so that the requestor falls from the high floor to the second air mat 320 when falling from the high floor. This allows the primary shock to be absorbe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reboun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ary shock is absorbed by the first air mat 310 and the collision with the ground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피난용 에어매트는 의도치 않게 혹은 악의적으로 기동스위치(400)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확인모듈(500)이 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vacuation ai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confirmation module 500 in order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400 unintentionally or maliciously.

즉, 기동스위치(400)가 눌러져 구조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구조신호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오조작, 오동작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조신호가 확인모듈(500)로 전달되게 한 후 관리자 등이 확인모듈(500)을 통해 인증을 하게 되면 구조신호가 진짜임으로 판단되어 송풍팬이 작동되도록 제어되게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tart switch 400 is pressed to generate a rescue signal, a procedur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scue signal is authentic is to be solved such as a problem such as an incorrect operation or a malfunction. To this end, when the rescu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firmation module 500 and the administrator or the like is authenticated through the confirmation module 500, the rescue signal is determined to be genuine and controlled to operate the blower fan.

확인모듈(500)은 아파트 관리실 또는 경비실 등과 같이 관리자가 항상 상주하는 곳에 설치되어 구조신호가 접수되면 관리자는 통신이나 육안확인 등의 방법으로 구조신호의 진위여부를 파악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인증을 함으로써 피난용 에어매트의 올바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confirmation module 50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manager always resides, such as an apartment management room or security office, and when a rescue signal is received, the manager checks the authenticity of the rescue signal by means of communication or visual confirmation and authenticates according to the result. Ensure proper use of evacuation air mats.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에어매트(300)를 제1에어매트(310), 제2에어매트(320)와 같이 다단 적층 구조로 하되, 기동스위치(400)의 조작에 따른 구조신호가 발생되어 확인모듈(500)에 의해서 구조신호의 진위여부 및 위치(아파트인 경우 몇층인지)에 따라 제1에어매트(310)와 제2에어매트(320)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more preferably, the air mat 300 has a multi-stage stacking structure, such as the first air mat 310, the second air mat 320, the structure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400 is confirmed the confirmation module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first air mat 310 and the second air mat 320 varies depending on the authenticity and location of the rescue signal and the location (how many floors are the apartments).

예를 들어 5층에서 구조신호가 발생된 경우와 10층에서 구조신호가 발생된 경우는 요구조자가 낙하할 때의 충격력이 다르므로 미리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요구조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에어매트(310)와 제2에어매트(320)에 충진되는 에어의 충진압이 달라지도록 하여 낙하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rescue signal is generated on the 5th floor and the rescue signal is generated on the 10th floor, the impact force when the requester falls is different. Therefore, the first air mat ( The filling pressure of the air filled in the 310 and the second air mat 320 is changed so that the drop impact can be minimized.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도 4는 제2실시예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에어매트가 펼쳐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Next, the evacuation air 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vacuation air 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and FIG. 6 is air. This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mat unfolded state.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는 지면과 접한 하단측에 수납함(10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10)을 두고 수용홈(10)에 수납함이 설치되게 하고, 수납함(100) 내부에 송풍팬(200) 및 에어매트(300)를 내장되게 하여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긴급상황시 기동스위치(400)의 조작에 따라 송풍팬(200)이 작동하여 에어매트(300)에 공기가 충진되게 하면 수납함(100)의 도어가 열리면서 에어매트가 수납함 외부로 펼쳐지도록 한다.As shown, the evacuation air 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groove 10 in which the storage box 100 can be accommodated at the bottom sid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storage box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0. The blower fan 200 and the air mat 300 are built in the storage box 100 so that the blower fan 200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400 in an emergency situ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air is filled in the mat 300, the door of the holder 100 is opened so that the air mat is spread out of the hold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의 개념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수납함이 수용홈 외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9는 에어매트가 펼쳐지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vacuation air ma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box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in Figure 7, Figure 9 is a state in which the air mat is unfolded An illustration of the.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는 건축물의 하단측 내부에 설치되는 형태로서, 건축물의 하단측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수용홈(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수용홈(10)에 수납함(100)이 수용되도록 한다.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receiving groove 10 is formed along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receiving groove 10 The holder 100 is to be accommodated.

수납함(100)은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을 이루며, 수납함(100) 내부에 하나 이상의 송풍팬(200)이 설치되고, 또한 수납함(100) 내부에는 에어매트(300)가 접혀져 수용되고, 에어매트(300)는 송풍팬(200)의 배출구(210)와 연결된다.The storage box 100 forms a box shape having a storage space, one or more blower fans 200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box 100, and the air mat 300 is folded and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100, and an air mat 3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210 of the blowing fan 200.

특히, 본 제3실시예의 경우 수납함(100)은 무빙모듈(600)과 연결되어 무빙모듈(600)의 동작에 따라 수납함(100)이 수용홈(10)으로부터 건축물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holder 100 is connected to the moving module 600 so that the holder 100 moves from the receiving groove 10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dule 600.

무빙모듈(600)은 레일(610), 가이드(620), 액츄에이터(630) 및 휠(6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레일(610)은 수용홈(10)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수납함(100) 하부면에는 레일(610)에 대응하여 레일에 끼워져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납함(100)이 수용홈(1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푸싱하는 액츄에이터(630)가 구비되며, 액추에이터(630)는 실린더 타입, 랙피니언 타입, 감아걸기전동장치 타입 등과 같은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The moving module 600 may include a rail 610, a guide 620, an actuator 630, and a wheel 640, and the rail 61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10.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100 is provided with a guide 620 fitted to the rail corresponding to the rail 610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An actuator 630 is provided to push the holder 100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0, and the actuator 630 may use a technology such as a cylinder type, a rack pinion type, a winding motor type, and the like. .

한편 수납함(100) 하부면에는 복수의 휠(640)이 구비되어 휠(640)은 지면과 접촉되어 구름운동하여 수납함(100)이 쉽게 입출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wheels 640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100 so that the wheels 640 may contact the ground and move in a cloud so that the storage box 100 can be easily entered.

제3실시예의 경우 기동스위치(400)가 조작되어 구조신호가 발생되면 1차적으로 무빙모듈(600)이 동작하여 수납함(100)을 수용홈(10) 외부로 밀어내게 되고, 수납함(100)이 정해진 위치에 오게 되면 2차적으로 수납함(100) 내부의 송풍팬(200)이 작동되어 에어매트(300)에 대한 에어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start switch 400 is operated to generate a rescue signal, the moving module 600 is primarily operated to push the holder 100 out of the receiving groove 10, and the holder 100 is When it comes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blower fan 200 inside the storage box 100 is operated to allow air filling to the air mat 300.

본 제3실시예 역시 에어매트(300)는 제1에어매트와 제2에어매트의 적층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구조신호의 진위여부 확인을 위한 확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air mat 300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first air mat and the second air mat, and may include a confirmation module for checking the authenticity of the structure signal.

이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의 사시도이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건축물의 외측에 수납함(100)이 형성되되, 수납함(100)이 수용홈(10)에 내장되어 있도록 하며 평상시에는 수용홈(10)에 수납함(100)이 들어간 상태로 보관되다가, 긴급상황시 수용홈(10)에 내장된 수납함(100)이 수용홈(10) 외부로 이동되어 에어매트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torage box 10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storage box 100 is built in the receiving groove 10 and the storage box 100 in the usual case (100) While stored in this state, the box 100 built in the receiving groove 10 during the emergency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0 so that the air mat can be unfolded.

수용홈(10)으로부터 수납함(1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무빙모듈(600)이 구비되어 구조신호에 따라 무빙모듈(600)이 작동하여 수납함(100)이 수용홈(10) 외측으로 이동되어 에어매트(300)의 전개가 가능하도록 동작된다. 자동으로 작동되는 무빙모듈(600)은 상술한 타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를 참조하도록 한다.Moving module 600 is provided to move the holder 100 from the receiving groove 10, the moving module 60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cue signal, the holder 10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0 to air The mat 300 is operated to enable deployment of the mat 300. The moving module 600 which is automatically operated is the same as that of the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is will be referred to.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며, 도 11은 제5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의 사시도이다.Next,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제5실시예에서는 수용홈(10)에 수납함(100)이 설치되는 경우로서, 수용홈(10)은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건축물의 하단측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과 같이 건축물의 하단 외측으로 수용홈(10)이 형성되고, 수용홈(10) 내부에 수납함(100)이 삽입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In the fifth embodiment, when the storage box 10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0, the receiving groove 10 may be form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s. Receiving groove 10 is form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10 may be in the form of the holder 100 is inserted.

특히, 제5실시예는 수용홈(10)에 수용되는 수납함(100)을 수동으로 꺼집어 낼 수 있도록 하는데, 수납함(100) 일측면에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를 형성시켜서 비상시 사람이 손잡이(630)를 잡고서 당김으로써 수납함(100)이 수용홈(10) 외측으로 이동되어 에어매트(300)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fifth embodiment to manually pull out the storage box 10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0, by forming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hand on one side of the storage box 100 in the emergency human handle 630 ) By holding and pulling the holder 100 is moved to the receiving groove 10 outside to allow the air mat 300 to be unfolded.

수동 방식의 무빙모듈(600)은 레일(610), 가이드(620), 수동 액츄에이터(630), 휠(640)로 이루어지며, 수동 액츄에이터(630)는 손잡이(630)를 의미하는 것이고, 휠(640)이 지면과 접촉되는 상태에서 레일(610)이 가이드(620)를 따라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manual moving module 600 includes a rail 610, a guide 620, a manual actuator 630, and a wheel 640, and the manual actuator 630 means a handle 630. The rail 610 may be stably moved along the guide 620 while the 64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난용 에어매트는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 건축물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마련되어 긴급상황 발생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요구조자들이 계단 등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건물 외부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vacuation air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r inside of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nd the like, so that the casualties can safe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a situation where the requestor cannot use the stairs, etc., even with a simple operation in case of emergency. To reduce the

본 발명에 의한 피난용 에어매트는 고층 건물용 피난설비로 활용되기에 적합한 유용한 기술이다.The air mat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technique suitable for being utilized as an evacuation facility for high-rise buildings.

100 : 수납함
110 : 도어 111 : 힌지
112 : 자석 120 : 등받이
200 : 송풍팬 210 : 배출구
300 : 에어매트 310 : 제1에어매트
320 : 제2에어매트
400 : 기동스위치 500 : 확인모듈
600 : 무빙모듈 610 : 레일
620 : 가이드 630 : 액츄에이터
640 : 휠 10 : 수용홈
100: storage box
110: door 111: hinge
112: magnet 120: backrest
200: blower fan 210: discharge port
300: air mat 310: first air mat
320: second air mat
400: Start switch 500: Confirmation module
600: moving module 610: rail
620: Guide 630: Actuator
640: wheel 10: receiving groove

Claims (5)

건축물의 하단측 내부 혹은 외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되,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의 수납함;
상기 수납함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송풍팬;
접혀져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송풍팬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의 가동에 따라 팽창되는 에어매트;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요구조자 등의 조작에 따라 상기 송풍팬이 가동될 수 있는 구조신호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신호에 의해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어 상기 에어매트가 펼쳐지도록 하되,
상기 수납함의 일측으로 상기 에어매트가 펼쳐질 때 팽창력에 의해 열리는 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구조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수납함과 연결되는 무빙모듈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납함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무빙모듈은,
상기 수용홈 바닥부에 마련되는 레일과, 상기 수납함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가이드와, 상기 수납함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는 자동 액츄에이터와, 상기 수납함 하부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매트는,
제1에어매트와 제2에어매트가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이며, 상기 제1에어매트는 상기 제2에어매트보다 고압으로 에어가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구조신호 발생시 상기 구조신호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관리자 등의 인증을 요청하는 확인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에어매트.
A box-shaped storage box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groove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bottom side of the building, and having a storage space;
At least one blower fan fixedly installed in the holder;
An air mat folded and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blower fan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an;
And at least one start switch for providing a rescue signal for operating the blower fan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 requester or the lik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 blower fan is operated by the rescue signal to expand the air mat,
When the air mat is expanded to one side of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door that is opened by the expansion force,
When the rescue signal is generated, the storage box is released from the receiving groove by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dule connected to the storage box, and the moving module includes:
A rail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groove, a guid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and fitted to the rail, an automatic actuator for allowing the holder to exit from the receiv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the lower surfaces of the holder. Made of wheels,
The air mat,
The first air mat and the second air mat is a structure that is stacked up and down, the first air mat to be filled with air at a higher pressure than the second air mat,
Evacuation air ma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confirmation module for requesting authentication, such as administrator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rescue signal when the rescue signal occu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14178A 2019-09-17 2019-09-17 Refuge air mat KR102076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78A KR102076006B1 (en) 2019-09-17 2019-09-17 Refuge air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178A KR102076006B1 (en) 2019-09-17 2019-09-17 Refuge air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006B1 true KR102076006B1 (en) 2020-02-12

Family

ID=6956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178A KR102076006B1 (en) 2019-09-17 2019-09-17 Refuge air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00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764Y2 (en) * 1984-01-05 1985-05-10 株式会社原織機製作所内 Sliver unevenness control device in a drawing machine with multiple deliveries
KR20020094589A (en) * 2001-06-12 2002-12-18 박재국 An escape equipment from a skyscraper for emergency
KR100616064B1 (en) * 2004-08-11 2006-08-28 김범식 An airbag system to prevent from the death by falling
KR20120068651A (en) 2010-12-18 2012-06-27 이영재 Fire escape air mat
KR101906579B1 (en) * 2018-01-18 2018-10-11 (주)신아방재 Firefighting structure system for lifesaving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764Y2 (en) * 1984-01-05 1985-05-10 株式会社原織機製作所内 Sliver unevenness control device in a drawing machine with multiple deliveries
KR20020094589A (en) * 2001-06-12 2002-12-18 박재국 An escape equipment from a skyscraper for emergency
KR100616064B1 (en) * 2004-08-11 2006-08-28 김범식 An airbag system to prevent from the death by falling
KR20120068651A (en) 2010-12-18 2012-06-27 이영재 Fire escape air mat
KR101906579B1 (en) * 2018-01-18 2018-10-11 (주)신아방재 Firefighting structure system for lifesaving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609B1 (en) A safety d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KR101975737B1 (en) The fire escaping apparatus using a gallery window in the high building
EP3639896B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755263B1 (en) Fire-fighting apparatus for high rise building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KR101615728B1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KR101023683B1 (en) Fire movable shelter of multi-residences
KR101561800B1 (en) Safty net for protecting from falling
KR100787812B1 (en) System of emergency escape for multistory building
KR101892255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1545524B1 (en) Escaping Apparatus
KR102076006B1 (en) Refuge air mat
KR101082185B1 (en) A fire shelter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2085587B1 (en) Folding Evacuation Apparatus
KR101647013B1 (en) A veranda railing installation structure of a high rise building
KR100878012B1 (en) Apparatus for installing safety net for person's fling upon fire occurrence
KR101093039B1 (en) A balcony structure having emergency exit of a building
KR20100088440A (en) Fireproof apparatus using material capable of transforming shape
US20130098708A1 (en)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101922173B1 (en)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JP6117130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device
KR101314706B1 (en) Emergency Evacuating Apparatus
JPH04367670A (en) Smoke exhausting method at the time of fire in high multiple dwelling house
KR102093278B1 (en) Descent apparatus
KR102259133B1 (en) Emergency stairway evacuation structure of th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