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314B1 -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314B1
KR102075314B1 KR1020190115806A KR20190115806A KR102075314B1 KR 102075314 B1 KR102075314 B1 KR 102075314B1 KR 1020190115806 A KR1020190115806 A KR 1020190115806A KR 20190115806 A KR20190115806 A KR 20190115806A KR 102075314 B1 KR102075314 B1 KR 10207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ound
sound absorbing
absorbing body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857A (ko
Inventor
김형석
김영인
나재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1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내면에 블록 형태의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체의 밀도, 높이, 부착개수 등의 조절을 통해 타이어 내면에의 흡음체가 전면 도포된 타이어 대비 대등한 흡음 성능을 나타내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TIRE FOR REDUCING CAVITY NOISE}
본 발명은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내면에 블록 형태의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음체의 밀도, 높이, 부착개수 등의 조절을 통해 타이어 내면에의 흡음체가 전면 도포된 타이어 대비 대등한 흡음 성능을 나타내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주행 중인 차량의 타이어 공동(cavity)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최근 차량 및 타이어 업체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소음은 차실 내에서 날카로운 피크를 가지는 음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승차감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나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 규격이 저편평화 및 인치업화 되면서, 타이어 공명소음은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타이어 공명음을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비중이 0.005 ~ 0.060인 스폰지를 타이어 내면에 부착(특허문헌 1)하거나, 중공부를 가지는 원통형 발포 흡음체를 타이어 내면에 부착(특허문헌 2)하거나, 타이어 내면에 형성되는 공간의 단면적 대비 다공질의 흡음재의 단면적의 비가 23 ~ 29% 되도록 다공질의 흡음재를 부착(특허문헌 3)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타이어 내부를 흡음재로 전체 도포할 경우 타이어 중량이 증가하여 연비성능에 불리하게 되고, 유니포미티(Uniformity)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89392호 "공기 타이어"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120911호 "타이어의 공명 소음 저감 방법"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123684호 "공명음 저감 타이어"
본 발명은 타이어 내면 전체에 흡음재를 도포함으로써 발생되는 중량증가로 인한 연비 절감문제와 유니포미티(Uniformity)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개량발명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 내면 전체에 원주방향으로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타이어에서 가장 무거운 쪽의 반대편에 블록 형태의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를 2 ~ 5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흡음제 전면 도포로 인한 연비감소의 염려를 해소하고, 유니포미티(Uniformity)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체 도포 시와 대등한 흡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 내면에는 원주 방향의 90도 각도로 블록 형태의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가 2 ~ 5개 부착되어 있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의 부착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흡음성능은 향상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3개 이상 도포하면 전면 도포 때와 대등한 흠음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5개를 초과하여 부착하면 중량 증가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3 ~ 5개 부착시키는 것이 좋으며, 보다 좋기로는 3 ~ 4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다공성 멜라민 수지 발포폼 및 우레탄 수지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다공성 멜라민 수지 발포폼을 사용한다. 상기 멜라민 수지 발포폼은 우레탄 수지 발포폼에 대비하여 가볍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공명음 저감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차음/주파수 이동 등의 부가효과를 가져와 소음 강도를 보다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밀도가 20 ~ 45 ㎏/㎥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흡음체의 밀도에 따라 소음 강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밀도가 30 ~ 40 ㎏/㎥인 흡음체의 사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칠면체 및 팔면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면체 블록(Block)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면체 블록(Block) 형태를 가지는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부피가 20x104 ~ 240x104 ㎣인 것이 흡음성 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의 부피가 유사하면 흡음체의 흡음 성능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가로 및 세로가 100 ~ 180 mm이고, 높이가 20 ~ 75 mm 인 육면체 블록(Block)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가로상단 길이가 10 ~ 40 mm, 가로하단 길이가 100 ~ 180 mm이고, 세로길이가 100 ~ 180 mm이고, 높이가 20 ~ 75 mm 인 단면적이 사다리꼴인 육면체 블록(Block)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가로상단 길이가 10 ~ 40 mm, 가로하단 길이가 100 ~ 180 mm이고, 세로길이가 100 ~ 180 mm이고, 양끝단의 높이가 10 ~ 20 mm, 중심높이가 21 ~ 75 mm인 팔면체 블록(Block)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흡음 성능에 있어서는 블록의 부피에 영향을 받으며, 상하진동에 있어서는 블록의 높이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타이어 내면에 부착된다. 상기 접착제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타입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타입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 접착테이프에 의해 타이어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는 내면 전체를 흡음재로 도포한 타이어에 대비하여 중량감소로 인한 연비개선효과, 유니포미티(Uniformity) 성능 유지 효과 및 흡음성능 향상 효과를 얻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는 다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블록의 흡음성능을 최대로 하는 유지하는 부피범위내에서 블록의 높이 조절을 통해 산하진동을 저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제공하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는 공기압 타이어로 유용하다.
도 1은 타이어 내면에 흡음체를 전면 부착시에, 흡음체 높이에 따른 흡음 성능을 대비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타이어 내면에 블록 형태의 흡음체 1개를 부착시에, 흡음체 높이에 따른 흡음 성능을 대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블록형 흡음체의 높이 및 길이 변화에 따른 진동 저감 성능을 대비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블록 형태의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가 타이어 내면에 부착된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음체로 사용된 블록 형태의 다공성 발포폼의 밀도, 높이, 부착개수 조절에 의해 공명음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제조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켜 제조된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흡음체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서 가로*세로*높이가 130*100*75 ㎣ 이며, 밀도는 32 ㎏/㎥ 이었다.
제조된 흡음체 블록 4개를 타이어(245/45R19) 내면의 0도, 90, 180도, 270도 위치에 각각 부착하여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흡음체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부착하였다. 또한, 흡음체가 타이어 내면에 용이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흡음체의 일면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타입의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였다.
비교예 1.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제조
에테르형 우레탄 수지를 발포시켜 제조된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흡음체는 가로*세로*높이가 120*700*20 ㎣ 이며, 밀도는 30 ㎏/㎥ 이다. 타이어(245/45R19) 내면에는 접착제로서 부틸계 겔 타입 실란트를 1 ~ 2 ㎜ 두께로 전면 도포하였다. 상기에서 준비한 흡음체를 타이어 내면의 원주방향으로 전면에 부착하여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제조
에테르형 우레탄 수지를 발포시켜 제조된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흡음체는 가로*세로*높이가 120*700*20 ㎣ 이며, 밀도는 30 ㎏/㎥ 이다. 타이어(245/45R19) 내면에는 폴리에테르계 솔리드 타입 접착제를 도포하되, 폭 10 mm, 간격 20 mm이 되도록 5개 라인을 타이어의 원주방향으로 도포하였다. 상기에서 준비한 흡음체를 타이어 내면의 원주방향으로 전면에 부착하여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각각 제조된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에 대하여 흡음 성능을 대비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타이어 중량
증가량*
최고 소음
(dB)
실시예 1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1
0.05Kg 104.7
비교예 1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2
2Kg 105.3
비교예 2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3
1.5Kg 105.8
대조예 미부착 타이어(245/45R19) - 114.9
* 미부착 타이어의 중량에 대비되는 중량 증가량
상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의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는 중량 증가량이 상대적으로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흡음 성능이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실험예 1. 흡음체의 전면 부착시 높이에 따른 흡음효과 대비
본 실험예에서는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킨 흡음체를 타이어 내면의 전면에 부착하였다. 이때 흡음체는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타이어 내면 전면을 부착하였다.
하기 표 2는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를 전면 부착 시에, 흡음체의 높이(H)에 따른 흡음 효과를 대비한 결과이다,
[흡음체 전면 부착]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4
구 분 밀도
(kg/m3)
높이
(mm)
최고 소음
(dB)
실험 1-1 32 10 107.8
실험 1-2 20 105.7
실험 1-3 25 105.5
실험 1-4 35 104.2
실험 1-5 75 102.8
상기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를 전면 부착 시에도 흡음체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흡음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도 1에는 높이(H)가 10, 20, 25 ㎜ 되도록 흡음체를 전면 도포 시에 주파수 별로 소음도를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블록 형태의 흡음체 1개를 부착시 높이에 따른 흡음효과 대비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로*세로*높이가 130*100*높이(H) ㎣인 육면체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흡음체는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1개 부착하였다.
하기 표 3은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1개 부착 시에, 흡음체의 높이(H)에 따른 흡음 효과를 대비한 결과이다,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5
구 분 밀도
(kg/m3)
부착
개수
높이
(mm)
최고 소음
(dB)
실험 1-3 32 전면 25 105.5
실험 2-1 1개 25 113.5
실험 2-2 1개 35 110.7
실험 2-3 1개 75 107.1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를 전면 부착 시와 마찬가지로 흡음체의 높이(H)가 높아질수록 흡음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기 표 3에 의하면, 블록 형태의 흡음체는 높이 25 ㎜ 또는 75 ㎜를 부착하였을 때, -6.4 dB 흡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25 ㎜ 높이의 흡음체를 대비할 때 전면 부착시에는 1개 부착시에 대비하여 -8 dB 흡음 효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75 ㎜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부착하였을 때는 25 ㎜ 높이로 전면 부착한 타이어에 대비하여, 불과 1.6 dB의 흡음 효과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블록 형태의 흡음체는 높이 조절에 의해 전면 도포와 대등한 흡음 성능을 가지는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25 ㎜ 높이로 흡음체를 전면 도포한 타이어와 대비되는, 높이(H)가 25 또는 75 ㎜인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1개 부착한 타이어의 소음도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블록 형태의 흡음체 부착 개수에 따른 흡음효과 대비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로*세로*높이가 130*100*높이(H) ㎣인 육면체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흡음체는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90도 되는 방향으로 부착하였다.
하기 표 4는 블록 형태의 흡음체 부착 개수에 따른 흡음 효과를 대비한 결과이다,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6
구 분 밀도
(kg/m3)
개수 높이
(mm)
최고 소음
(dB)
실험 3-1 0 0 0 114.9
실험 3-2 32 4 20 111.4
실험 3-3 4 25 110.7
실험 3-4 4 35 106.5
실험 3-5 1 75 107.1
실험 3-6 2 106.4
실험 3-7 3 105.0
실험 3-8 4 104.7
상기 표 4에 의하면, 블록형 흡음체를 4개 부착 시에는 1개 부착 시(표 2)에 대비하여 높이(H)에 따른 흡음 효능이 보다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블록형 흡음체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흡음 효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블록 형태의 흡음체가 3개 이상 부착된 경우는 전면 부착과 대등한 흡음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높이가 75 ㎜인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4개 부착하였을 때는, 흡음체를 부착하지 않은 타이어에 대비하여 -10.2 dB 흡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에 의하면, 멜라민 수지 발포 폼은 흡음 뿐만 아니라 차음/주파수 이동 등의 부가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소음 지수를 효율적으로 낮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흡음체의 밀도에 따른 흡음효과 대비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로*세로*높이가 130*100*75 ㎣ 인 육면체 블록 형태의 흡음체를 제조하되, 발포 밀도를 다르게 하여 흡음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흡음체는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1개 부착하였다.
하기 표 5는 블록 형태의 흡음체의 밀도에 따른 흡음 효과를 대비한 결과이다,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7
구 분 밀도
(kg/㎥)
높이
(mm)
최고 소음
(dB)
실험 4-1 0 0 114.9
실험 4-2 20 10 110.2
실험 4-3 30 10 109.3
실험 4-4 32 10 107.8
실험 4-5 44 10 109.7
상기 표 5의 결과에 의하면, 흡음체의 밀도가 증가하면서 흡음 효능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도 32 kg/㎥의 폼을 사용할 때 최고의 흡음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흡음체가 부착되지 않은 타이어(실험 4-1)에 대비하여 7.1 dB의 흡음 효능을 보였다. 반면에, 밀도 44 kg/㎥로 증가된 폼을 사용하면 오히려 흡음 효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밀도가 20 ~ 45 ㎏/㎥인 발포폼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적합한 흡음체를 제조할 수 있다.
실험예 5. 실차 유니포미티 성능 평가
본 실험예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흡음체를 타이어에 부착한 후에 유니포미트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분 특성치 RFV(kgf) 편차 D/B(g) 편차
미부착 부착 미부착 부착
실험 5-1 25㎜
(5.9g)
8.64 8.64 0 76.4 68.2 -8.2
6.35 6.64 0.29 59.8 56.3 -3.5
9.52 9.18 -0.34 53.4 46.9 -6.5
실험 5-2 50㎜
(11.8)
7.47 8.25 0.78 51.7 33 -18.7
7.67 7.91 0.24 38.2 37.5 -0.7
9.18 7.45 -1.73 35.2 48.4 13.2
실험 5-3 65㎜
(14.5)
8.84 9.38 0.54 47.9 46.4 -1.5
7.71 8.25 0.54 29.8 50.6 20.8
8.69 8.74 0.05 32.6 26.9 -5.7
실험 5-4 75㎜
(15.6)
8.4 8.79 0.39 38.8 33.1 -5.7
7.62 8.11 0.49 42.6 60.6 18
9.52 10.16 0.64 55.4 56.5 1.1
상기 표 6에 의하면, RFV는 재측정 시 편차가 ㅁ1의 범위로 흡음체 부착 후에 RFV(radial force variation) 영향도는 없다고 판단된다. 또한, 흡음체 부착 후 D/B의 변화량 역시 제품 관리 가능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흡음체의 높이, 길이, 단면적 변화 따른 흡음 성능 평가
본 실험예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흡음체의 높이 및 길이 변화에 따른 흡음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블록형 흡음체는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킨 밀도 32 kg/㎥의 팔면체 블록 형태의 흡음체로서, 단면적이 3000 ㎟ 및 폭이 120 mm로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즉, 팔면체 블록 형태의 흡음체는 부피가 36x104 ㎣로 동일하고, 다만 흡음체의 길이와 높이를 다르게 하여 흡음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흡음체 4개를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4개 부착하였다.
구분 밀도
(kg/㎥)
부착개수 흡음체 형상 부피
(㎣)
최고소음
(dB)
실험 6-1 0 0 - 0 119.3
실험 6-2 32 4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8
36x104 107.3
실험 6-3 4
Figure 112019096232118-pat00009
36x104 109.0
실험 6-4 4
Figure 112019096232118-pat00010
36x104 108.0
상기 표 7에 의하면, 흡음체가 부착되지 않은 타이어(실험 6-1)에 대비하여 흠음체가 부착된 타이어(실험 6-2, 6-3, 6-4)는 약 10 dB 정도 흡음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험 6-2, 6-3 및 6-4는 부피가 36x104 ㎣로 서로 동일하되, 높이와 길이가 서로 다른 흡음체로서, 흡음효과는 높이와 길이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표 7에 의하면 흡음체의 흡음효과는 단면적의 크기 변화에 영향을 받지만 길이 및 높이의 변화에는 영향을 받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흡음체의 높이, 길이 변화 따른 진동 저감 성능 평가
본 실험예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흡음체의 높이 및 길이 변화에 따른 진동 저감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이어의 속도에 따른 상하방향 진동을 계측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흡음체로는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블록형 흡음체(6-2, 6-3, 6-4)를 각각 4개씩 타이어에 부착하였다.
도 3에 의하면, 흡음체 미부착 타이어(A)에 대비하여 블록형 흡음체(6-2, 6-3, 6-4)가 부착된 타이어(B, C, D)는 진동발생 영역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흡음체의 길이 및 높이 변화에 의해서도 상하방향 진동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타이어(B)는 다른 타이어에 비교하여 높이가 높은 흡착제가 부착된 타이어로서 이보다 높이가 낮은 흡착제가 부착된 타이어(C, D)에 대비하여 특정영역에서 진동이 더 세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블록형 흡음체가 부착된 타이어(B, C, D) 중에서도 흡음체 6-3가 부착된 타이어(C)가 진동저감 효능이 특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6과 실험예 7의 결과에 의하면, 블록형 흡음체의 흡음 성능은 흡음체의 부피에 영향을 받으며, 진동저감 성능은 흡음체의 높이에는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타이어 내면에는, 원주 방향의 90도 각도로 블록 형태의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가 2 ~ 4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의 재질은 다공성 멜라민 수지 발포폼이고,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가로상단 길이가 10 내지 40㎜, 가로하단 길이가 100 내지 180㎜이고, 세로길이가 100 내지 180㎜이고, 양끝단의 높이가 10 내지 20㎜, 중심높이가 25 내지 75㎜인 팔면체 블록(Block) 형태이고,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6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면 및 2개의 육각형 형태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6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상기 타이어 내면에 맞닿아 부착되고,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의 세로방향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부피가 36x104 ㎣이고,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열가소성 폴리아크릴 타입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타이어 내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발포폼 흡음체는 밀도가 20 ~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3. 삭제
  4. 삭제
KR1020190115806A 2016-11-02 2019-09-20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KR102075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31 2016-11-02
KR20160145331 2016-11-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23A Division KR20180048315A (ko) 2016-11-02 2017-10-17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57A KR20190111857A (ko) 2019-10-02
KR102075314B1 true KR102075314B1 (ko) 2020-02-07

Family

ID=621840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23A KR20180048315A (ko) 2016-11-02 2017-10-17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KR1020190115806A KR102075314B1 (ko) 2016-11-02 2019-09-20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423A KR20180048315A (ko) 2016-11-02 2017-10-17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483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3680A (ja) * 2018-12-13 2020-06-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027A (ja) * 2004-06-14 2005-12-2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9128C2 (de) * 1998-04-29 2000-06-21 Continental Ag Kraftfahrzeugrad mit einem auf eine Felge aufgebrachten Ring aus schallabsorbierendem Material
KR100926627B1 (ko) * 2007-08-17 2009-11-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KR20090120911A (ko) 2008-05-21 2009-11-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공명 소음 저감 방법
KR20150123684A (ko) 2014-10-13 2015-11-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명음 저감 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027A (ja) * 2004-06-14 2005-12-2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57A (ko) 2019-10-02
KR20180048315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109B2 (ja) 共鳴音低減空気圧タイヤ
KR101100065B1 (ko) 저소음 공기 타이어
KR101147627B1 (ko) 저소음 공기 타이어
DE102010029081B4 (de) Reifen - Felge - Einheit
KR102075314B1 (ko) 공명음 저감용 타이어
US20150306922A1 (en) Cavity noise reduction tire
CN109641493B (zh) 具有不对称的刻纹元件和偏心噪声衰减器的轮胎
PT1697923E (pt) ''componente de absorção do ruído provocado pelo ar''
JP7047771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3325285B1 (de) Fahrzeugluftreifen
EP1153973A4 (en) RUBBER ANTI-VIBR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METHOD
US4289187A (en) Pneumatic wheels for vehicles
EP3558722B1 (de) Fahrzeugluftreifen aufweisend ein akustikelement
CN107745609A (zh) 交错中空型非充气轮
KR101473850B1 (ko) 공명음 저감 타이어
CN205376115U (zh) 聚合微粒吸声体
KR20150123684A (ko) 공명음 저감 타이어
JP2023514415A (ja) メタマテリアル遮音デバイス
CN111186262A (zh) 一种低噪音充气轮胎
JP514033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75780B2 (ja) タイヤ
DE1008598B (de) Daempfungsmittel fuer Kraftfahrzeugreifen, insbesondere fuer schlauchlose Reifen
JPH043110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103070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37248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