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239B1 - 개목걸이 - Google Patents

개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239B1
KR102075239B1 KR1020180045115A KR20180045115A KR102075239B1 KR 102075239 B1 KR102075239 B1 KR 102075239B1 KR 1020180045115 A KR1020180045115 A KR 1020180045115A KR 20180045115 A KR20180045115 A KR 20180045115A KR 102075239 B1 KR102075239 B1 KR 102075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and
dog collar
lower buckl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885A (ko
Inventor
남태욱
Original Assignee
남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욱 filed Critical 남태욱
Publication of KR20180045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5Quick-couplings, safety-couplings or shock-absorbing devices between leash and coll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목걸이를 개목걸이 밴드와, 개목걸이 밴드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서로가 착탈 결합되는 상하부버클로 구성하고, 상하부버클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삽입걸림수단을 삽입시키면 상하부버클에 설치된 상하부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하부버클이 슬라이드식으로 당겨지면서 삽입걸림수단의 안쪽이 걸려서 상하부버클이 간편하게 걸림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목걸이 밴드(2)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하부버클(110,13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버클(110)은 개목걸이 밴드(2)를 끼우는 밴드끼움부(112)를 절개 형성한 상부버클본체(111)의 내면에 리벳형 걸림구(38)와 상부자석(18)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리벳형 걸림구(38)는 상부버클본체(111)의 내면측에 설치되는 기둥부(37)와 기둥부(37)의 상부에 기둥부 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36)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버클(130)은 개목걸이 밴드(2)를 끼우는 밴드끼움부(132)를 절개 형성한 하부버클본체(131)의 내면에 상부자석(18)과 서로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하부자석(39)이 설치되고, 그 하부자석(39)의 전방측 하부버클본체(131)에는 상기 걸림구(38)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걸리는 역 "T"자형의 삽입걸림홈(13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목걸이{A dog collar}
본 발명은 개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목걸이를 개목걸이 밴드와, 개목걸이 밴드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서로가 착탈 결합되는 상하부버클로 구성하고, 상하부버클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삽입걸림수단을 삽입시키면 상하부버클에 설치된 상하부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하부버클이 슬라이드식으로 당겨지면서 삽입걸림수단의 안쪽이 걸려서 상하부버클이 간편하게 걸림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개목걸이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83085호(고안의 명칭 : 애완용 개목걸이)로 등록되어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고안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101)에는 고리(102)가 부착되고, 타단부(103)에는 다수개의 길이조절공(104)이 형성된 띠부분(105)과; 상기 띠부분의 타단부를 삽입한 상태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후크(106)와; 상기 띠부분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공(104)의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버클부(107); 그리고 상기 띠부분(105)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후크(106)에 착탈되는 고리(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완용 개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종래의 일반적인 사람이 착용하는 허리띠와 같이 버클부(107)에 길이조절공(104)을 끼우는 방식의 단순한 것으로, 버클부(107)의 일측 프레임 내측으로 띠부분(105)의 타단부(103)를 끼운 뒤에, 버클부(107)의 중간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끼움고리핀(108)을 필요로 하는 길이조절공(104)에 끼운다.
그 다음에 띠부분(105)의 타단부(103)를 구부리면서 버클부(107)의 타측 프레임의 내측으로 끼우며, 버클부(107)에 길이조절공(104)이 끼워져서 절반으로 접혀지는 띠부분(105)의 단부로 걸림후크(106)를 이동시킨 뒤에, 그 걸림후크(106)를 반대편측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고리(102)에 걸어지게 끼우는 것으로 그 작업이 불편하며, 개목걸이를 개목에 착탈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83085호(고안의 명칭 : 애완용 개목걸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목걸이를 개목걸이 밴드와, 개목걸이 밴드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서로가 착탈 결합되는 상하부버클로 구성하고, 상하부버클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삽입걸림수단을 삽입시키면 상하부버클에 설치된 상하부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하부버클이 슬라이드식으로 당겨지면서 삽입걸림수단의 안쪽이 걸려서 상하부버클이 간편하게 걸림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목걸이 밴드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하부버클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상부버클은 개목걸이 밴드를 끼우는 밴드끼움부를 절개 형성한 상부버클본체의 내면에 리벳형 걸림구와 상부자석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리벳형 걸림구는 상부버클본체의 내면측에 설치되는 기둥부와 기둥부의 상부에 기둥부 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버클은 개목걸이 밴드를 끼우는 밴드끼움부를 절개 형성한 하부버클본체의 내면에 상부자석과 서로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하부자석이 설치되고, 그 하부자석의 전방측 하부버클본체에는 상기 걸림구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걸리는 역 "T"자형의 삽입걸림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목걸이는, 상하부버클을 맞댄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삽입걸림수단을 삽입시키면 상하부버클에 설치된 상하부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하부버클이 슬라이드식으로 당겨지면서 걸림 설치됨으로써, 서로 대응되는 삽입걸림수단의 입구만 삽입시키면 상하부버클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하부버클이 자동적으로 당겨지면서 상하부버클이 간편하게 걸림 설치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실시예에서는 삽입걸림수단에 포함되는 걸림구가 삽입구멍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설치함에 따라 개목걸이가 개목에서 풀리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개목걸이 버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상하부버클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의 (가) 내지 (라)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상태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포함되는 상하부버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개목걸이 밴드를 설치한 개목걸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개목걸이 버클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의 (가)(나)는 도 6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의 (가)(나)(다)는 도시된 이실시예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개목걸이 밴드를 설치한 개목걸이의 도면.
도 10은 종래의 개목걸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개목걸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는 일실시예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9는 이실시예의 설치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개목걸이(9)는, 개목걸이 밴드(2)의 자유단부(5)가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버클(30)과, 개목걸이 밴드(2)의 고정단부(4)가 설치되는 상부버클(10)로 개목걸이 버클(1)이 분리 구성되고, 상부버클(10)의 일측 단부에 개목걸이 밴드(2)의 고정단부(4)가 고정 결합되며, 하부버클(30)에는 개목걸이 밴드(2)의 자유단부(5)가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버클(30)은, 판형 하부버클 본체(31)의 전후방에 개목걸이 밴드(2)의 자유단부(5)가 끼워지는 밴드끼움부(34,33)를 각각 절개 형성하되, 후방측 밴드끼움부(33)는 한 쌍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한 쌍의 밴드끼움부(33) 사이의 하부버클 본체(31)상부에는 밴드끼움부(33)에 끼워지는 자유단부(5)의 길이조절공(3)이 끼워지는 밴드고정핀(35)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측 밴드끼움부(34) 후방의 하부버클 본체(31) 상부에는 상측의 머리부(36)와 하측의 기둥부(37)로 이루어지는 리벳형 걸림구(38)의 하단부가 결합 설치되며, 걸림구(38) 후방의 하부버클 본체(31) 상부에는 하부자석(3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버클 본체(31)의 전방에는 개줄(미도시)을 연결하는 고리유닛(6)이 설치되는 고리유닛 고정부(32)가 설치되며, 이 고리유닛 고정부(32)에는 설치홀(32a)이 형성되어 고리유닛(6)의 연결부재(7)가 볼트 및 리벳 과 같은 설치수단에 의해 설치되고, 이 연결부재(7)의 외측에는 개줄의 걸고리(미도시)를 거는 링형 회전고리(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버클(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측 단부에 개목걸이 밴드(2)의 고정단부(4)가 결합 설치되는 밴드고정부(17)를 구비한 판형 상부버클 본체(11)의 전방측에 걸림구(38)의 머리부(36)가 삽입될 삽입구멍(13)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13)의 전방측에는 걸림구(38)의 기둥부(37)가 끼워져 걸리는 키홈(12)이 삽입구멍(13)과 통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구멍(13)과 밴드고정부(17) 사이의 상부버클 본체(11) 저면에 상부자석(18)을 설치하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구멍(13)과 걸림구(38)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구멍(13)과 상부자석(18)의 간격(L1)이 걸림구(38)와 하부자석(39)과의 간격(L2)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걸림구(38)에 삽입구멍(13)이 끼워졌을 때,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하부자석(18,39)이 서로 자력에 의해 당겨서 키홈(12)에 기둥부(37)가 자동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13) 측방의 상부버클 본체(11)에는 힌지구멍(14)이 형성되고, 힌지구멍(1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과 폭 방향에 1,2구멍(15,16)이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구멍(14)에는 걸림몸체(21) 양단부 하측에 힌지핀(22)과 플런저형 고정핀(23)이 형성되고 걸림몸체(21) 상측에 손잡이부(24)를 형성한 스토퍼(20)의 힌지핀(22)이 힌지식으로 끼워지게 설치되며, 스토퍼(20)의 플런저형 고정핀(23)은 1,2구멍(15,16)에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이때, 1구멍(15)에는 플런저형 고정핀(23)이 헐겁지 않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1구멍(15)에 고무나 연질 합성수지재로 된 패킹을 설치하고, 그 연질 패킹에 플런저형 고정핀(23)이 헐겁지 않게 끼워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되는 도면에서 상하부버클(10,30)을 평평하게 도시하였으나, 호형으로 만곡되게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으며, 힌지핀(22)의 하단부는 힌지구멍(14)을 하향 관통한 뒤에 그 하단부가 힌지구멍(14)에서 이탈하지 않게 너트를 체결하거나, 또는 힌지핀(22)의 하단부를 확장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키홈(12)이 형성된 삽입구멍(13)과, 기둥부(37) 위에 머리부(36)가 형성된 걸림구(38)가 끼워져 걸리는 부분을 삽입걸림수단이라 칭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개목걸이(9)에 일실시예의 포함되는 상부버클(10)과 하부버클(30) 대신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상하부버클(110,130)이 설치되며, 이실시예에서는 상하부버클(110,130) 모두에 개목걸이 밴드(2)의 양단부를 길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상하부버클(110,130)에는 상부버클본체(111)의 전후방에 개목걸이 밴드(2)를 길이 조절되게 끼우는 밴드끼움부(112)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버클본체(131)의 전후방에도 개목걸이 밴드(2)를 길이 조절되게 끼우는 밴드끼움부(112)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 밴드끼움부(112)의 측방의 상부버클본체(111)의 내면과 밴드끼움부(132)의 타측방의 하부버클본체(131)의 내면에 개목걸이 밴드(2)에 형성된 길이조절공(3)에 끼워 길이조절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밴드고정핀(113,1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버클본체(111,131)가 마주보는 면을 내면이라 칭하고, 상하부버클본체(111,131)가 마주 대했을 때, 도 8에서와 같이 상하측 외측을 향하는 쪽을 외면이라고 칭하며, 상하부버클(110,130)에 설치되는 밴드고정핀(113,133)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상부버클(110)은 전후방에 밴드끼움부(112)를 절개 형성한 상부버클본체(111)의 내면에 리벳형 걸림구(38)와 상부자석(18)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리벳형 걸림구(38)는 상부버클본체(111)의 내면측에 설치되는 기둥부(37)와 기둥부(37)의 상부에 기둥부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버클(130)은 전후방에 밴드끼움부(132)를 절개 형성한 하부버클본체(131)의 내면에 상부자석(18)과 서로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하부자석(39)이 설치되고, 그 하부자석(39)의 전방측 하부버클본체(131)에는 상기 걸림구(38)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걸리는 역 "T"자형의 삽입걸림홈(13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걸림홈(134)은 하부버클본체(131)의 내면에 설치되는 걸림대(137)에 역 "T"자형으로 홈을 형성하게 하부버클본체(131)와 대면하는 내측에 머리부(36)가 삽입되는 광폭홈(136)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기둥부(37)가 삽입 안내되는 소폭홈(135)을 광폭홈(136)과 통하게 형성하되, 소폭홈(135)과 광폭홈(136)의 출입부가 하부자석(39)의 반대 방향쪽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버클본체(131)의 양측을 "ㄷ" 형으로 절곡 형성하되, 일측 벽에 상부버클(110)의 일측변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가이드벽(138)이 형성되어 있다.
이실시예에서 걸림구(38)와 이 걸림구(38)이 삽입되어 걸리는 삽입걸림홈(134)을 삽입걸림수단이라고 칭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목걸이(9)를 도 5와 같이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버클(10)의 밴드고정부(17)에 개목걸이 밴드(2)의 고정단부(4)를 고정설치하고, 수개의 길이조절공(3)이 형성된 자유단부(5)를 하부버클(30)의 전방측에 형성된 밴드끼움부(34)에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끼운 뒤에, 하부버클 본체(31)의 하측으로 관통한 자유단부(5)를 후방측 밴드끼움부(33) 중에서 전방측 밴드끼움부(33)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운다.
전방측 밴드끼움부(3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나온 자유단부(5)를 후방측 밴드끼움부(33)로 끼우면서 착용한 개목의 둘레에 맞게 길이조절공(3)을 하부버클 본체(31)의 후방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밴드끼움부(33) 사이의 하부버클 본체(31)상측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밴드고정핀(35)에 끼우면서 후방측 밴드끼움부(33)의 하측으로 나온 자유단부(5)를 당겨주면 도 3의 (가)와 같이 상하부버클(10,30)에 개목걸이 밴드(2)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개목걸이(9)를 착용하고자 하는 개의 목둘레에 맞게 개목걸이 밴드(2)의 양단부에 상하부버클(10,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개목걸이(9)를 개의 목에 착용하고자 할 때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버클(30)이 아래에 있고, 상부버클(10)이 하부버클(30)의 상부에 오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버클(10)의 삽입구멍(13)을 하부버클(30)의 걸림구(38) 외측으로 삽입시킨다.
상기 걸림구(38)는 리벳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의 머리부(36)의 외경이 삽입구멍(13)으로 헐렁하게 끼워질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구멍(13)을 걸림구(38)의 머리부(36)에 쉽게 끼울 수 있으며, 걸림구(38)의 머리부(36)가 삽입구멍(13)을 관통하면 도 3의 (나)와 같이 상부버클(10)의 상부자석(18)과 하부버클(30)의 하부자석(39)은 상하로 대면하되, 전후방으로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상하부자석(18,39)이 서로 달라붙으려고 자력에 의해 서로를 끌어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38)의 머리부(36)는 삽입구멍(13)의 상측으로 관통되어 상측으로 노출되고, 머리부(36)보다 외경이 대폭 감축된 기둥부(37)가 삽입구멍(13)의 내측에서 허공에 뜬 것처럼 있게 되는데, 위에서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하부자석(18,39)이 서로 달라붙으려고 자력에 의해 당기게 되어 상부버클(10)은 하부버클(30)의 상부에서 자동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거리는 삽입구멍(13)과 걸림구(38)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구멍(13)과 상부자석(18)의 간격(L1)과, 걸림구(38)와 하부자석(39)과의 간격(L2)과의 차이만큼의 간격만큼 상부버클(1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삽입구멍(13)의 전방에는 키홈(12)이 삽입구멍(13)의 내부공간과 통하게 형성되어서 도 2 및 도 3의 (다)와 같이 기둥부(37)가 키홈(12)에 자동적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 상태는 상부버클(10)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도 상부버클(10)의 전방부(A부)가 걸림구(38)의 머리부(36)에 걸려서 상부버클(10)이 하부버클(30)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부버클(10)의 삽입구멍(13)을 걸림구(38)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하부자석(18,39)이 서로 당기는 자력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상하부버클(10,30)이 결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하부버클(10,30)의 결착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으나, 안전장치를 추가하였는데, 이렇게 추가된 안전장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버클(10)의 상면에 설치된 스토퍼(20)이다.
이 스토퍼(20)는 초기에 도 4의 (가)와 같이 스토퍼(20)가 삽입구멍(13)을 가리지 않고 전후방으로 있게 하는데, 이 스토퍼(20)는 일측의 힌지핀(22)이 도 1에서와 같이 상부버클(10)의 힌지구멍(14)에 힌지식으로 끼워져 있고 타측의 플런저형 고정핀(23)은 상부버클(10)의 후방측에 형성된 1구멍(15)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스토퍼(20)를 안전장치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의 (다)와 같이 하부버클(30)에 상부버클(10)이 결착된 상태에서 스토퍼(20)의 손잡이부(24)를 손으로 잡아서 상측으로 빼내면 플런저형 고정핀(23)이 1구멍(15)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이렇게 플런저형 고정핀(23)이 1구멍(15)에서 빠져 나오면 스토퍼(20)는 힌지핀(22)만 힌지구멍(14)에 힌지식으로 끼워져 있으므로, 힌지핀(22)의 반대편에 있는 플런저형 고정핀(23) 쪽을 도 2의 "B"와 같이 1구멍(15)과 90도 각도 상에 형성된 2구멍(16)측으로 스토퍼(20)의 걸림몸체(21)를 회전시켜서 플런저형 고정핀(23)을 2구멍(16)에 삽입시킨다.
위와 같이 90도만큼 회전하는 스토퍼(20)의 걸림몸체(21)는 도 2 및 도 3의 (라)와 같이 상부버클(10)의 상면과 머리부(36) 저면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공간으로 삽입되며, 플런저형 고정핀(23)이 2구멍(16)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부버클(10)이 하부버클(30)에서 이탈되는 형상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목걸이 버클(1)의 착용은 이렇게 이루어지고, 개의 목에 착용한 개목걸이(9)를 풀고자 할 때는 스토퍼(20)를 머리부(36) 저면과 상부버클(10)의 상면 사이의 틈새공간에서 도 3의 (라)에 표시된 "C"와 같이 빼내어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스토퍼(20)가 삽입구멍(13)을 가리지 않게 한다.
그 다음에는 도 3의 (다)에 표시된 "D"와 같이 상부버클(10)의 후방측을 들어 올려서 상하부자석(18,39)이 분리되게 한 상태에서 도 3의 (나)와 같이 걸림구(38)의 머리부(36)와 삽입구멍(1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부버클(10)을 상측으로 들어내면 간단하게 하부버클(30)에서 상부버클(10)이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에 개목걸이 밴드(2)를 도 9와 같이 삽입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버클본체(111)와 하부버클본체(131)에 각각 형성된 밴드끼움부(112,132)에 개목걸이 밴드(2)를 끼우면서 개 목둘레에 맞게 개목걸이 밴드(2)에 형성된 길이조절공(3)을 각각의 밴드고정핀(113,133)에 끼우면 개목걸이 밴드(2)의 양단부에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를 개 목둘레에 맞는 길이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는 개목걸이 밴드(2)의 양단부에 설치된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이 분리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6 및 도 8의 (가)와 같이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의 내면측 즉, 상하부자석(18,38)이 설치된 쪽이 서로 마주 대하도록 하면서 상부버클(110)의 리벳형 걸림구(38)를 하부버클(130)의 삽입걸림홈(134) 입출구 측으로 "E"와 같이 하강시켜 머리부(36)가 하부버클본체(131)에 내면에 근접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부버클(110)의 머리부(36)가 하부버클본체(131)의 내면에 근접한 상태에서 도 8의 (나)와 같이 걸림구(38)의 머리부(36)를 삽입걸림홈(134)의 광폭홈(136)으로 "F"와 같이 삽입시키면, 걸림구(38)의 기둥부(37)가 소폭홈(135)에 안내 되면서 하부자석(39)쪽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걸림구(38)가 하부자석(39)측으로 이동한 다는 것은 상부버클(110)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하는 상부버클(110)의 상부자석(18)이 하부버클(130)의 하부자석(39)측으로 근접하면 상하부자석(18,39)이 서로의 자력에 의해 당기면서 도 8의 (다)와 같이 달라붙게 된다.
이는 걸림구(38)를 삽입걸림홈(134)의 입출구에 살짝 끼워주기만 하면 상하부자석(18,39)의 자력에 의해 걸림구(38)가 삽입걸림홈(134)으로 자동적으로 당겨지면서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이 간편하게 결착되게 된다.
이때, 소폭홈(135)의 내측에 소폭홈(135) 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36)가 끼워지면서 걸려서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이 서로 이탈되지 않게 결착되어 개목걸이를 개의 목에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버클(130)의 일측 벽에는 상부버클(110)의 일측변이 슬라이딩 안내되는 가이드벽(138)이 형성되어서 "E"와 같이 걸림구(38)를 삽입걸림홈(134)의 입출구로 접근 시킬 때, 상부버클(110)을 일측변을 가이드벽(138)에 얹은 상태에서 "F"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이동시키면, 상부버클(110)의 일측변이 가이드벽(138)에 슬라이드식으로 안내되면서 걸림구(38)가 삽입걸림홈(134)에 바로 삽입되어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을 더욱더 간편하게 결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의 목에 본 발명에 의한 개목걸이(9)를 결착시킨 뒤에 개의 목에서 개목걸이(9)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결착시킬 때와 반대로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를 양측으로 이동시키면, 상하부자석(18,39)이 분리되면서 걸림구(38)가 삽입걸림홈(134)에서 이탈되어 상부버클(110)과 하부버클(130)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의 목에 개목걸이(9)를 설치한 상태에서 개가 앞으로 가고 개주인이 개줄(10)을 잡고 있으면, 개줄(10)이 팽팽해지면서 개목걸이 밴드(2)가 개줄(10)측으로 "G"와 같이 당겨지게 되고, 상하부버클(110,13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도 8의 (다)에서와 같이 각기 반대방향으로 "H"와 같이 당겨진다.
이렇게 상하부버클(110,13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H"와 같이 당겨지면, 도 8의 (다)에서와 같이 걸림구(38)의 기둥부(37)가 소폭홈(135)의 막힌 안쪽으로 당겨져 걸려서 상하부버클(110,130)이 절대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 : 개목걸이 버클 2 : 개목걸이 밴드 3 : 길이조절공
4 : 고정단부 5 : 자유단부 6 : 고리유닛
7 : 연결부재 8 : 회전고리 9 : 개목걸이
10,110 : 상부버클 11,111 : 상부버클 본체 12 : 키홈
13 : 삽입구멍 14 : 힌지구멍 15 : 1구멍
16 : 2구멍 17 : 밴드고정부 18 : 상부자석
20 : 스토퍼 21 : 걸림몸체 22 : 힌지핀
23 : 플런저형 고정핀 24 : 손잡이부 30,130 : 하부버클
31,131 : 하부버클 본체 32 : 고리유닛 고정부
33,34,112,132 : 밴드끼움부 35,113,133 : 밴드고정핀
36 : 머리부 37 : 기둥부 38 : 걸림구
39 : 하부자석 134 : 삽입걸림홈 135 : 소폭홈
136 : 광폭홈 137 : 걸림대 138 : 가이드벽

Claims (4)

  1. 상하부버클(10,30)과, 고정단부(4)가 상부버클(1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수개의 길이조절공(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자유단부(5)가 하부버클(30)에 길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목걸이밴드(2)를 포함하는 개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하부버클(30)은 하부버클 본체(31)의 전후방에 개목걸이 밴드(2)의 자유단부(5)가 끼워지는 밴드끼움부(34,33)를 각각 형성하되, 후방측 밴드끼움부(33)는 한 쌍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한 쌍의 밴드끼움부(33) 사이의 하부버클 본체(31)상부에는 밴드끼움부(33)에 끼워지는 자유단부(5)의 길이조절공(3)이 끼워지는 밴드고정핀(35)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전방측 밴드끼움부(34) 후방의 하부버클 본체(31) 상부에는 상측의 머리부(36)와 하측의 기둥부(37)로 이루어지는 리벳형 걸림구(38)의 하단부가 결합 설치되며, 걸림구(38) 후방의 하부버클 본체(31) 상부에는 하부자석(39)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버클(10)은 후방측 단부에 개목걸이 밴드(2)의 고정단부(4)가 결합 설치되는 밴드고정부(17)를 구비한 상부버클 본체(11)의 전방측에 걸림구(38)의 머리부(36)가 삽입될 삽입구멍(13)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13)의 전방측에는 걸림구(38)의 기둥부(37)가 끼워져 걸리는 키홈(12)이 삽입구멍(13)과 통하게 형성되며, 삽입구멍(13)과 밴드고정부(17) 사이의 상부버클 본체(11) 저면에 상부자석(18)을 설치하되, 삽입구멍(13)과 걸림구(38)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삽입구멍(13)과 상부자석(18)의 간격(L1)이 걸림구(38)와 하부자석(39)과의 간격(L2)보다 짧은 간격으로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목걸이.
  2. 삭제
  3. 개목걸이 밴드(2)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상하부버클(110,130)이 착탈 가능하게 되며;
    상기 상부버클(110)은 개목걸이 밴드(2)를 끼우는 밴드끼움부(112)를 절개 형성한 상부버클본체(111)의 내면에 리벳형 걸림구(38)와 상부자석(18)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리벳형 걸림구(38)는 상부버클본체(111)의 내면측에 설치되는 기둥부(37)와 기둥부(37)의 상부에 기둥부 보다 외경이 큰 머리부(36)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버클(130)은 개목걸이 밴드(2)를 끼우는 밴드끼움부(132)를 절개 형성한 하부버클본체(131)의 내면에 상부자석(18)과 서로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하부자석(39)이 설치되고, 그 하부자석(39)의 전방측 하부버클본체(131)에는 상기 걸림구(38)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져 걸리는 역 "T"자형의 삽입걸림홈(134)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개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삽입걸림홈(134)은 하부버클본체(131)의 내면에 설치되는 걸림대(137)에 역 "T"자형으로 홈을 형성하게 하부버클본체(131)와 대면하는 내측에 머리부(36)가 삽입되는 광폭홈(136)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기둥부(37)가 삽입 안내되는 소폭홈(135)을 광폭홈(136)과 통하게 형성하되, 소폭홈(135)과 광폭홈(136)의 출입부가 하부자석(39)의 반대 방향쪽으로 개방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목걸이.
  4. 삭제
KR1020180045115A 2017-09-25 2018-04-16 개목걸이 KR102075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598A KR20170118634A (ko) 2017-09-25 2017-09-25 개목걸이
KR1020170125598 201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85A KR20180045885A (ko) 2018-05-04
KR102075239B1 true KR102075239B1 (ko) 2020-02-07

Family

ID=602999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598A KR20170118634A (ko) 2017-09-25 2017-09-25 개목걸이
KR1020180045115A KR102075239B1 (ko) 2017-09-25 2018-04-16 개목걸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598A KR20170118634A (ko) 2017-09-25 2017-09-25 개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186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915A (ko) 2018-11-28 2020-06-05 임우창 반려동물 접근 방지장치
KR20210070638A (ko) 2019-12-05 2021-06-15 박선정 반려동물 접근 방지장치
KR102259978B1 (ko) * 2019-12-11 2021-06-21 (주)럼플 애완동물용 자석버클 가이드벨트
WO2023101460A1 (ko) * 2021-12-01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51Y1 (ko) * 2016-03-03 2016-05-13 강재현 애완동물용 목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085Y1 (ko) 2005-01-28 2005-04-29 김동현 애완용 개목걸이
KR101747187B1 (ko) * 2015-11-05 2017-06-28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51Y1 (ko) * 2016-03-03 2016-05-13 강재현 애완동물용 목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85A (ko) 2018-05-04
KR20170118634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239B1 (ko) 개목걸이
US10117421B2 (en) Magnetic clasp animal leash assembly
US8434429B2 (en) Pet leash assemblies, pet collar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04822260B (zh) 可变换牵拉带和挽具系统以及方法
US20100313327A1 (en) Cut away vest
US9518690B2 (en) Fire hose girdle
US20200069019A1 (en) Purse Having Interchangeable Ornamental Portion
AU2015321426B2 (en) A clasp
KR102248898B1 (ko) 반려견 입벌림 방지 기능을 갖는 반려견 목걸이
US20210137076A1 (en) Interlinking collar components and collar devices including the same
US20030015213A1 (en) Hair fashion accessory
US7407430B1 (en) Adjustable front closure for bra or bikini top
US20140224190A1 (en) Clasp
US20170295754A1 (en) Animal Collar
US5435045A (en) Tension fastener for use with backpacks and the like
TWM447668U (zh) 簡易動物接便器快速穩固安裝構造
KR200456626Y1 (ko) 지퍼 보조손잡이
US1987337A (en) Fastener
US20190343086A1 (en) Buckle for collar and leash
AU2008201529A1 (en) A Clasp
KR101933078B1 (ko) 장식이 가능한 벨트용 버클 조립체
TW201436711A (zh) 動物用鉤扣具
DK178330B1 (en) Locking device for pet & dog leash
KR101627064B1 (ko) 고리장치
US2066062A (en) Separable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