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1460A1 -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1460A1
WO2023101460A1 PCT/KR2022/019340 KR2022019340W WO2023101460A1 WO 2023101460 A1 WO2023101460 A1 WO 2023101460A1 KR 2022019340 W KR2022019340 W KR 2022019340W WO 2023101460 A1 WO2023101460 A1 WO 202310146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magnet
locking
hol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3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응웬흐우럼브엉
박보라
설남기
소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2572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82560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0146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146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system and a wear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a wearable assistive device or walking assistive device capable of assisting a pedestrian in walking
  •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wearability and usability is required.
  • An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ock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binding time.
  • An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locking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engaged.
  • An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that includes a locking system that can be easily worn.
  • a locking system includes a first locking unit including a first magnet, and
  • It may include a second locking unit including a second magnet capable of being bound or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unit and applying a magnetic force to the first magnet.
  • the second magne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second locking unit are connected, the second magnet is mov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magnet by magnetic force, so that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second locking unit can be bound there is.
  • the first locking unit includes a first locking unit body and a protruding head protruding from the first locking unit body and accommodating the first magnet
  • the second locking unit includes a protruding head It may include a holder having a head groove into which the second magnet may be inserted, and a holder housing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holder.
  • the holder may slide and mov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holder housing.
  • the holder slides so that the second magnet is mov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magnet, and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second locking unit may be coupled there is.
  • a protruding head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protruding head to be coupled with the holder, and a head groove coupling protrusion capable of being coupled with the protruding head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groove of the holder.
  • the holder housing may include a return element capable of maintaining the hold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not to slide in the holder housing when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second locking unit are released.
  • the return element may include a ferromagnetic member capable of applying a magnetic force in a pulling direction to the second magnet.
  •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pulling the second magnet may be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return element pulling the second magnet.
  • the second magnet presses and slides the hold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agnet, so that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second locking unit are can be released
  • a wearable device includes a belt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a user's waist, an auxiliary portion attachable to or detached from the belt portion, and assisting a user's walking motion, and a first magnet.
  • At least one locking system including a first locking unit and a second locking unit including a second locking unit including a second magnet capable of being engaged or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unit and applying a magnetic force to the first magnet, wherein the The locking system may bind or release the belt part and the auxiliary part.
  • a plurality of the locking systems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belt portion, the auxiliary portion, or both.
  • a plurality of the first locking units are disposed at preset positions of the belt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locking units each capable of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unit may correspond to the preset positions of the belt unit. It may be disposed at a preset location on the top.
  • the locking system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a portion of the auxiliary part mounted on the thigh of the user while the wearable device is worn by the user.
  • the 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duce binding time.
  • the locking system may be automatically engaged.
  •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easily worn.
  • FIG. 1 shows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S. 2a to 2d show a process in which a first locking unit of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second locking unit and then bound.
  • 3A and 3B show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n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 FIG. 4 shows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5A and 5B show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first locking unit and a second locking unit are mounted.
  • FIG. 6 shows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 FIG. 1 shows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a locking system 1 may include a first locking unit 10 and a second locking unit 20 .
  •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mechanically bound in a connected state.
  •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include a first locking unit body 11 , a protrusion head 12 and a first magnet m1 .
  • the first locking unit body 11 may support the protruding head 12 and form a structural skeleton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
  • One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unit body 11 may be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locking unit 20 while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 the first locking unit body 11 may cover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there is.
  • the protruding head 12 may protrude from the first locking unit body 11 .
  • the protruding head 12 may accommodate the first magnet m1.
  • the protruding head 12 is a binding structure formed so that the first locking unit 10 can be boun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can include
  • the first magnet m1 may be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head 12 .
  • the first magnet m1 may be fix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head 12 .
  • the first magnet m1 may interact with the second magnet m2 of the second locking unit 2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 the first magnet m1 may apply magnetic force to the second magnet m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 m2 is pu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include a holder 21 , a holder housing 22 and a second magnet m2 .
  • the holder 21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lder housing 22 .
  • the holder 21 may include a head groove 21h into which the protruding head 12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be inserted.
  • the head groove 21h can accommodate the protruding head 12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so that the first locking unit 10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 the head groove 21h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protruding head 12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accommodated in the head groove 21h and can be moved inside the head groove 21h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an
  • the head groove 21h may be formed through from one side of the holder 21 to the other side.
  • the holder 21 may accommodate the second magnet m2.
  • the second magnet m2 may be fix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holder 21 .
  • the second magnet m2 is constrained to the movement of the holder 21 and can move together.
  • the holder 21 may include a second magnet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econd magnet m2.
  • the second magnet groove may be formed through from one side of the holder 21 to the other side.
  • the holder 21 may slid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side the holder housing 22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holder housing 22 .
  • the holder housing 22 can accommodate the holder 21 .
  • the holder housing 22 may accommodate the holder 21 in a sliding manner therein.
  • the holder housing 22 may include a first holder housing 221 , a second holder housing 222 and a return element 22r.
  •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 the second holder housing 222 , and the return element 22r may be combined to form the holder housing 22 .
  •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is one of the first locking unit body 11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may include a head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head 12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pass.
  •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may include a return element through-hol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return element 22r.
  •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may cover one surface of the holder 21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lder housing 222 .
  • One surface of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may come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holder 21 .
  • the second holder housing 2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
  • the holder 2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holder housing 222 .
  • the holder 21 may slide within a preset range in the inner space 22s of the second holder housing 222 .
  • the second holder housing 222 may accommodate the return element 22r together with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
  • the return element 22r may be disposed through portions of the first holder housing 221 and the second holder housing 222 .
  • the return element 22r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m1 with respect to the second magnet m2 in a state where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 the second magnet m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agnet m1 and the return element 22r.
  • the return element 22r may include a ferromagnetic member.
  • the return element 22r may be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 the return element 22r may be fastened to the holder housing 22 through, for example, a screw method.
  • the return element 22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crew made of, for example,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the holder housing 22 may include a screw thread for accommodating the screw-shaped return element 22r.
  • FIGS. 2a to 2d show a process in which a first locking unit of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a second locking unit and then bound.
  • a locking system 1 may include a first locking unit 10 and a second locking unit 20 .
  •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mechanically bound in a connected state.
  •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include a first locking unit body 11 , a protrusion head 12 and a first magnet m1 .
  •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include a holder 21 , a holder housing 22 and a second magnet m2 .
  • FIG 2A shows the shape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befor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the protruding head 12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accommodate the first magnet m1.
  • the first magnet m1 may be fix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protruding head 12 .
  • the protruding head 12 can be inserted into the head groove 21h of the holder 21.
  • the second magnet m2 may be disposed to be fixed to the holder 21 .
  • the first magnet m1 provided in the protruding head 12 may interact with the second magnet m2 of the holder 21 by exchanging magnetic force. there is.
  • the holder 21 of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older housing 22 there is.
  • the return element 22r of the holder housing 22 is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can pull the second magnet m2 disposed on the holder 21 in a direction toward the return element 22r.
  • the holder 21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ithout sliding within the holder housing 22 due to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return element 22r and the second magnet m2.
  • FIG. 2B shows a shap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the protruding head 12 when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the protruding head 12 is accommodated in the head groove 21h of the holder 21.
  • the first magnet m1 in the protruding head 12 may apply magnetic force to the second magnet m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 m2 of the holder 21 is pulled.
  • the magnitude (f1) of the magnetic force that pulls the first magnet (m1) dl and the second magnet (m2) may be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that the return element (22r) of the holder housing pulls the second magnet (m2).
  • the second magnet m2 In a state where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the second magnet m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agnet m1 and the return element 22r, and the first magnet ( m1) may pull the second magnet m2 with greater force than the return element 22r. In this case, the second magnet m2 is mov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magnet m1, and the holder 21 accommodating the second magnet m2 is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can be slid (s1) in the holder housing in the binding direction.
  • FIG. 2C shows a shap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are coupled.
  • the holder 21 slides in the inner space 22s of the holder housing 22 by the mutually pulling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m1 and the second magnet m2, and the protruding head 12 And the holder 21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head 12 can be coupled.
  • the second magnet (m2) since the magnitude of the force that the first magnet m1 pulls the second magnet m2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force that the return element 22r of the holder housing 22 pulls the second magnet m2, the second magnet (m2) may be moved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magnet (m1).
  • the holder 21 may slide and move due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m2.
  •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coupled.
  • the first locking unit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 the holder 21 moves inside the holder housing 22 due to the attractive force applied by the first magnet m1 to the second magnet m2.
  •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automatically coupled.
  • the first locking unit 10 can be bound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simply by connecting the first locking unit 10 to the second locking unit 20, and a separate external force may not be required.
  • the protruding head 12 may be accommodated in the head groove 21h of the holder 21 .
  •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groove 21h of the holder 21 a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head 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are engaged.
  • the protruding head 12 may include a protruding head coupling protrusion 13 .
  • the protrusion head coupling protrusion 13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head 12 .
  • the protruding head coupling protrusion 13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head 12 .
  • a head groove coupling protrusion 23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groove 21h of the holder 21 .
  • the head groove coupling protrusion 23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groove 21h.
  • the head groove coupling protrusion 23 may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groove 21h.
  • the protruding head coupling protrusion 13 of the protruding head 12 and the holder The head groove coupling protrusion 23 of (21) can bind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by being structurally engaged.
  • the holder 21 of the second locking unit 20 is pressed and slid, so that the first locking unit 10 )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released.
  • the user may release the binding between the holder 21 and the protruding head 12 by pressing the holder 2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magnet m2 moves away from the first magnet m1 (s2).
  • the protruding head coupling protrusion 13 of the protruding head 12 and the head groove coupling protrusion of the holder 21 ( 23) is released, and the first locking unit 10 can be placed in a state in which it can separate from the second locking unit 20.
  • 3A and 3B show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nd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 the locking system may be form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and second magnets.
  •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ocking unit 10 and a second locking unit 20 .
  • 3A shows a shape before the first locking unit 10 and the second locking unit 20 are engaged.
  •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include a first locking unit body 11 ,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m1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heads 12 .
  •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ding heads 12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s m1.
  •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m2 , a plurality of holders 21 and a holder housing 22 .
  •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ers 21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econd magnets m2.
  •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ers 21 may be provided with a head groove 21h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head 12 of the first locking unit 10 .
  • the holder housing 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turn elements 22r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magnets m2.
  • each of the first magnet m1, the protruding head 12, the second magnet m2, the holder 21, and the return element 22r may be formed as a pair.
  • the plurality of holders eg, a pair of holders
  •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second locking unit are engaged.
  • the holders 21 eg, a pair of holders
  • the holders 21 eg, a pair of holders
  • Binding of the second locking unit may be released.
  • FIG. 4 shows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a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belt part 2 and an auxiliary part 3 .
  • the belt part 2 may accommodate the waist of the user u.
  • the belt part 2 is mounted on the user's waist and can support the user's waist.
  • the auxiliary part 3 may be connected to the belt part 2 .
  • the auxiliary part 3 is attached to the user's body by being connected to the belt part 2, and may assist the user's walking or other movements.
  • the auxiliary part 3 may be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belt part 2 .
  • the auxiliary part 3 and the belt part 2 may be connected by the locking system described above.
  • 5A and 5B show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first locking unit and a second locking unit are mounted.
  • Fig. 5A shows the first locking unit mounted on the belt part.
  •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be provided on the belt part 2 .
  • the first locking unit 10 may be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elt unit 2 .
  • One pair of first locking units 1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elt unit 2 and one pair on the rear side of the belt unit 2, for example.
  • the first locking unit 10 mounted on the belt part 2 can be moved so that its position on the belt part 2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 Fig. 5b shows the second locking unit mounted on the auxiliary part.
  •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part 3 .
  •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provided at a preset location on the auxiliary part 3 .
  • the second locking unit 2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of the auxiliary part 3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unit of the belt part.
  • the auxiliary part 3 may be connected to the belt part at two points on the front of the user's waist and at two points on the rear of the waist.
  • FIG. 6 shows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 lock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the belt part 2 and the auxiliary part 3 may be connected and bound by a plurality of locking systems 1 .
  • the locking system 1 may bind the belt part 2 and the auxiliary part 3 at a plurality of points connecting the belt part 2 and the auxiliary part 3.
  • the locking system 1 may connect the belt part 2 and the auxiliary part 3 at four points around the waist of the user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 the locking system 1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a portion of an auxiliary part mounted on the user's thigh while the user is wearing the wearable device.
  • the auxiliary part 3 may include a thigh support belt for supporting the user's thigh.
  • the locking system 1 may be respectively mounted on a pair of thigh support belts. The locking system 1 can be driven so that the femoral support belt can be engaged or rele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은,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로킹 유닛, 및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1 마그넷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요부를 수용할 수 있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고,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보조부, 및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1 마그넷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시스템은 상기 벨트부와 상기 보조부를 결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본 발명은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가 심화됨에 따라서 관절에 문제가 있어서 이에 대한 고통과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절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이 보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보조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행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는 착용형 보조 장치 혹은 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착용성 및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결속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는 로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자동으로 결속될 수 있는 로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쉽게 착용될 수 있는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은,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로킹 유닛, 및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1 마그넷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마그넷은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마그넷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킹 유닛은, 제1 로킹 유닛 바디, 및 상기 제1 로킹 유닛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마그넷을 수용할 수 있는 돌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상기 돌출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헤드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마그넷이 배치될 수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수용할 수 있는 홀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범위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로킹 유닛이 상기 제2 로킹 유닛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마그넷이 상기 제1 마그넷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헤드 상에는 상기 홀더와 결속될 수 있도록 돌출 헤드 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헤드 그루브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돌출 헤드 결속 돌기와 결속될 수 있는 헤드 그루브 결속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하우징은,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기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는 리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 요소는 상기 제2 마그넷에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가할 수 있는 강자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결속된 결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마그넷이 상기 제2 마그넷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는 상기 리턴 요소가 상기 제2 마그넷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결속된 결속 상태에서, 상기 홀더를 상기 제2 마그넷이 상기 제1 마그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요부를 수용할 수 있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고,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보조부, 및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1 마그넷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시스템은 상기 벨트부와 상기 보조부를 결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로킹 시스템은 상기 벨트부, 상기 보조부 또는 이들 모두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제1 로킹 유닛은 상기 벨트부의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각각 결속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상기 벨트부의 기 설정된 위치와 대응될 수 있는 상기 보조부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대퇴부에 장착되는 상기 보조부의 부분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은 결속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은 자동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는 쉽게 착용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a 내지 도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의 제1 로킹 유닛이 제2 로킹 유닛에 접속되고 이후 결속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3a 및 도3b는 복수 개의 제1 마그넷 및 복수 개의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도5a 및 도5b는 제1 로킹 유닛 및 제2 로킹 유닛이 장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1)은 제1 로킹 유닛(10) 및 제2 로킹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은 상호 접속될 수 있으며,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은 접속된 상태에서 기구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은 자기력에 의하여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은 제1 로킹 유닛 바디(11), 돌출 헤드(12) 및 제1 마그넷(m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 바디(11)는 돌출 헤드(12)를 지지하고 제1 로킹 유닛(10)의 구조적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 바디(11)의 일 면은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제2 로킹 유닛(20)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 바디(11)는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의 접속 부위를 덮을 수 있다.
돌출 헤드(12)는 제1 로킹 유닛 바디(1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헤드(12)는 제1 마그넷(m1)을 수용할 수 있다. 돌출 헤드(12)는 제1 로킹 유닛(10)이 제2로킹 유닛(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과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속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m1)은 돌출 헤드(12)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마그넷(m1)은 돌출 헤드(12)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그넷(m1)은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2 로킹 유닛(20)의 제2 마그넷(m2)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 마그넷(m1)은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2 마그넷(m2)에 제2 마그넷(m2)을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가할 수 있다.
제2 로킹 유닛(20)은 홀더(21), 홀더 하우징(22) 및 제2 마그넷(m2)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21)는 홀더 하우징(22)에 수용될 수 있다. 홀더(21)는 제1 로킹 유닛(10)의 돌출 헤드(12)가 삽입될 수 있는 헤드 그루브(21h)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그루브(21h)는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될 수 있도록 제1 로킹 유닛(10)의 돌출 헤드(12)를 수용할 수 있다. 헤드 그루브(21h)는 제1 로킹 유닛(10)의 돌출 헤드(12)가 헤드 그루브(21h)에 수용되고 헤드 그루브(21h)의 내측에서 기 설정된 범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그루브(21h)는 홀더(21)의 일 면으로부터 타 면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홀더(21)는 제2 마그넷(m2)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마그넷(m2)은 홀더(21)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마그넷(m2)은 홀더(21)의 이동에 구속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홀더(21)는 제2 마그넷(m2)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마그넷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넷 그루브는 홀더(21)의 일 면으로부터 타 면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홀더(21)는 홀더 하우징(22)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 하우징(22)의 내부의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홀더 하우징(22)은 홀더(21)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 하우징(22)은 홀더(21)를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홀더 하우징(22)은, 제1 홀더 하우징(221), 제2 홀더 하우징(222) 및 리턴 요소(22r)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 하우징(221), 제2 홀더 하우징(222) 및 리턴 요소(22r)는 결합됨으로써 홀더 하우징(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홀더 하우징(221)의 일 면은,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제1 로킹 유닛(10)의 제1 로킹 유닛 바디(11)의 일 면과 맞닿을 수 있다. 제1 홀더 하우징(221)은 제1 로킹 유닛(10)의 돌출 헤드(12)가 관통될 수 있는 헤드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 하우징(221)은 리턴 요소(22r)의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리턴 요소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 하우징(221)은 제2 홀더 하우징(222)에 수용된 홀더(21)의 일 면을 덮을 수 있다. 제1 홀더 하우징(221)의 일 면은 홀더(21)의 일 면과 맞닿을 수 있다. 제2 홀더 하우징(222)은 제1 홀더 하우징(221)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홀더 하우징(222)의 내측에는 홀더(21)가 수용될 수 있다. 홀더(21)는 제2 홀더 하우징(222)의 내부 공간(22s)에서 기 설정된 범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2 홀더 하우징(222)은 제1 홀더 하우징(221)과 함께, 리턴 요소(22r)를 수용할 수 있다.
리턴 요소(22r)는 제1 홀더 하우징(221) 및 제2 홀더 하우징(222)의 일부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리턴 요소(22r)는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제2 마그넷(m2)에 대하여 제1 마그넷(m1)과 반대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과 접속된 상태에서, 제2 마그넷(m2)은 제1 마그넷(m1)과 리턴 요소(22r)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리턴 요소(22r)는 강자성(ferromagnetic)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리턴 요소(22r)는 강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리턴 요소(22r)는 예컨대 스크류 방식을 통하여 홀더 하우징(22)에 체결될 수 있다. 리턴 요소(22r)는 예컨대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홀더 하우징(22)은 나사 형태의 리턴 요소(22r)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도2a 내지 도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의 제1 로킹 유닛이 제2 로킹 유닛에 접속되고 이후 결속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2a 내지 도2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1)은 제1 로킹 유닛(10) 및 제2 로킹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은 접속된 상태에서 기구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은 자기력에 의하여 상호 결속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은 제1 로킹 유닛 바디(11), 돌출 헤드(12) 및 제1 마그넷(m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로킹 유닛(20)은 홀더(21), 홀더 하우징(22) 및 제2 마그넷(m2)을 포함할 수 있다.
도2a는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되기 전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2a를 참조하면, 제1 로킹 유닛(10)의 돌출 헤드(12)는 제1 마그넷(m1)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마그넷(m1)은 돌출 헤드(12)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과 접속되는 경우, 돌출 헤드(12)는 홀더(21)의 헤드 그루브(21h)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마그넷(m2)은 홀더(21)에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 헤드(12)가 헤드 그루브(21h)에 삽입되는 경우, 돌출 헤드(12)에 구비된 제1 마그넷(m1)은 홀더(21)의 제2 마그넷(m2)과 자기력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2 로킹 유닛(20)의 홀더(21)는 홀더 하우징(22)내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홀더 하우징(22)의 리턴 요소(22r)는 강자성체로서, 홀더(21)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m2)을 리턴 요소(22r)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홀더(21)는 리턴 요소(22r)와 제2 마그넷(m2) 사이의 인력으로 인하여 홀더 하우징(22)내에서 슬라이딩 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2b는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된 형상을 나타낸다.
도2b를 참조하면,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된 경우, 돌출 헤드(12)는 홀더(21)의 헤드 그루브(21h)에 수용된다. 돌출 헤드(12) 내의 제1 마그넷(m1)은 홀더(21)의 제2 마그넷(m2)을 당기는 방향을 자기력을 제2 마그넷(m2)에 가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그넷(m1)dl 제2 마그넷(m2)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f1)는 홀더 하우징의 리턴 요소(22r)가 제2 마그넷(m2)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2 마그넷(m2)은 제1 마그넷(m1)과 리턴 요소(22r)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마그넷(m1)은 리턴 요소(22r)보다 더 큰 힘으로 제2 마그넷(m2)을 당길 수 있다. 이 경우, 제2 마그넷(m2)은 제1 마그넷(m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제2 마그넷(m2)을 수용하는 홀더(21)는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이 결속되는 방향으로 홀더 하우징의 내에서 슬라이딩(s1)될 수 있다.
도2c는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이 결속된 형상을 나타낸다.
도2c를 참조하면, 제1 마그넷(m1)과 제2 마그넷(m2)의 상호 당기는 자기력에 의하여 홀더(21)는 홀더 하우징(22)의 내부 공간(22s)에서 슬라이딩되고, 돌출 헤드(12)와 돌출 헤드(12)를 수용하는 홀더(21)는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그넷(m1)이 제2 마그넷(m2)을 당기는 힘의 크기는 홀더 하우징(22)의 리턴 요소(22r)가 제2 마그넷(m2)을 당기는 힘의 크기보다 크므로, 제2 마그넷(m2)은 제2 마그넷(m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홀더(21)는 제2 마그넷(m2)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돌출 헤드(12)와 홀더(21)가 결속됨으로써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은 결속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을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시키는 경우, 제1 마그넷(m1)이 제2 마그넷(m2)에 가하는 인력으로 인하여 홀더(21)는 홀더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고,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은 자동으로 결속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을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제1 로킹 유닛(10)은 제2 로킹 유닛(20)에 결속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력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돌출 헤드(12)는 홀더(21)의 헤드 그루브(21h)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이 결속된 상태에서, 홀더(21)의 헤드 그루브(21h)의 내주면의 일 부분과 돌출 헤드(12)의 외주면의 일 부분은 서로 맞닿은 상태일 수 있다.
돌출 헤드(12)는 돌출 헤드 결속 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헤드 결속 돌기(13)는 돌출 헤드(12)의 외주면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 헤드 결속 돌기(13)는 돌출 헤드(1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홀더(21)의 헤드 그루브(21h)의 내주면에는 헤드 그루브 결속 돌기(23)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그루브 결속 돌기(23)는 헤드 그루브(21h)의 내주면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그루브 결속 돌기(23)는 헤드 그루브(21h)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그넷(m1)과 제2 마그넷(m2)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홀더(21)가 홀더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는 경우, 돌출 헤드(12)의 돌출 헤드 결속 돌기(13)와 홀더(21)의 헤드 그루브 결속 돌기(23)는 구조적으로 맞믈림으로써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을 결속시킬 수 있다.
도2d는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의 해제 과정을 나타낸다.
도2d를 참조하면,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이 결속된 상태에서, 제2 로킹 유닛(20)의 홀더(21)를 가압하여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의 결속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마그넷(m2)이 제1 마그넷(m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홀더(21)를 가압(s2)함으로써, 홀더(21)와 돌출 헤드(12)의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홀더(21)가 제2 마그넷(m2)이 제1 마그넷(m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돌출 헤드(12)의 돌출 헤드 결속 돌기(13)와 홀더(21)의 헤드 그루브 결속 돌기(23)의 구조적 결속이 해제되게 되고, 제1 로킹 유닛(10)은 제2 로킹 유닛(2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도3a 및 도3b는 복수 개의 제1 마그넷 및 복수 개의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제1 마그넷 및 제2 마그넷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은 제1 로킹 유닛(10) 및 제2 로킹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3a는 제1 로킹 유닛(10)과 제2 로킹 유닛(20)이 결속되기 전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3a를 참조하면, 제1 로킹 유닛(10)은 제1 로킹 유닛 바디(11), 복수 개의 제1 마그넷(m1) 및 복수 개의 돌출 헤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출 헤드(12)의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마그넷(m1)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로킹 유닛(20)은 복수 개의 제2 마그넷(m2), 복수 개의 홀더(21) 및 홀더 하우징(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21)의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마그넷(m2)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더(21)의 각각에는 제1 로킹 유닛(10)의 돌출 헤드(12)를 수용할 수 있는 헤드 그루브(21h)가 구비될 수 있다. 홀더 하우징(22)은 복수 개의 제2 마그넷(m2)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리턴 요소(22r)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넷(m1), 돌출 헤드(12), 제2 마그넷(m2), 홀더(21) 및 리턴 요소(22r)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이 제2 로킹 유닛(20)에 접속되는 경우, 복수 개의 홀더(예컨대, 한 쌍의 홀더)는 제2 마그넷(m2)이 제1 마그넷(m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홀더 하우징(22)의 내에서 각각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돌출 헤드(12)와 홀더(21)의 형상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도3b는 제1 로킹 유닛과 제2 로킹 유닛이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3b를 참조하면, 제1 로킹 유닛 및 제2 로킹 유닛이 결속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제2 로킹 유닛의 홀더(21)(예컨대, 한 쌍의 홀더)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제1 로킹 유닛과 제2 로킹 유닛의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벨트부(2) 및 보조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부(2)는 사용자(u)의 요부를 수용할 수 있다. 벨트부(2)는 사용자의 요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요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보조부(3)는 벨트부(2)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부(3)는 벨트부(2)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보행 또는 기타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보조부(3)는 벨트부(2)에 장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보조부(3)와 벨트부(2)는 상술한 로킹 시스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제1 로킹 유닛 및 제2 로킹 유닛이 장착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도5a는 벨트부에 장착된 제1 로킹 유닛을 나타낸다.
도5a를 참조하면, 제1 로킹 유닛(10)은 벨트부(2)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은 벨트부(2)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로킹 유닛(10)은 예컨대 벨트부(2)의 전면에 한 쌍, 벨트부(2)의 후면에 한 쌍 장착될 수 있다. 벨트부(2)에 장착된 제1 로킹 유닛(10)은 벨트부(2)상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위치가 제어될 수 있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5b는 보조부에 장착된 제2 로킹 유닛을 나타낸다.
도5b를 참조하면, 제2 로킹 유닛(20)은 보조부(3)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로킹 유닛(20)은 보조부(3)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로킹 유닛(20)은 벨트부의 제1 로킹 유닛과 대응되는 보조부(3)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조부(3)는 벨트부와 사용자의 요부 전면의 2포인트 및 요부 후면의 2포인트에서 연결될 수 있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를 나타낸다.
도6을 참조하면, 벨트부(2) 및 보조부(3)는 복수 개의 로킹 시스템(1)에 의하여 연결되고 결속될 수 있다. 로킹 시스템(1)은 벨트부(2)와 보조부(3)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포인트에서 벨트부(2)와 보조부(3)를 결속할 수 있다. 예컨대, 로킹 시스템(1)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부 둘레로 4개의 지점에서 벨트부(2)와 보조부(3)를 연결할 수 있다.
로킹 시스템(1)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대퇴부에 장착되는 보조부의 일 부분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3)는 사용자의 대퇴부를 지지하기 위한 대퇴부 지지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시스템(1)은 한 쌍의 대퇴부 지지 벨트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로킹 시스템(1)은 대퇴부 지지 벨트가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로킹 유닛; 및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1 마그넷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유닛;
    을 포함하는,
    로킹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마그넷은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마그넷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결속될 수 있는,
    로킹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유닛은,
    제1 로킹 유닛 바디; 및
    상기 제1 로킹 유닛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마그넷을 수용할 수 있는 돌출 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상기 돌출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헤드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마그넷이 배치될 수 있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수용할 수 있는 홀더 하우징을 포함하는,
    로킹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범위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는,
    로킹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유닛이 상기 제2 로킹 유닛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마그넷이 상기 제1 마그넷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결속될 수 있는,
    로킹 시스템.
  6.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헤드 상에는 상기 홀더와 결속될 수 있도록 돌출 헤드 결속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헤드 그루브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돌출 헤드 결속 돌기와 결속될 수 있는 헤드 그루브 결속 돌기가 형성되는,
    로킹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하우징은,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해제된 해제 상태에서, 상기 홀더가 상기 홀더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기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는 리턴 요소;
    를 포함하는,
    로킹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요소는 상기 제2 마그넷에 당기는 방향의 자기력을 가할 수 있는 강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로킹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결속된 결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마그넷이 상기 제2 마그넷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는 상기 리턴 요소가 상기 제2 마그넷을 당기는 자기력의 크기보다 큰,
    로킹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이 결속된 결속 상태에서, 상기 홀더를 상기 제2 마그넷이 상기 제1 마그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해제될 수 있는,
    로킹 시스템.
  11. 사용자의 요부를 수용할 수 있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에 장착 또는 탈거될 수 있고, 사용자의 보행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보조부; 및
    제1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1 로킹 유닛과,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결속 또는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1 마그넷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는 제2 로킹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시스템은 상기 벨트부와 상기 보조부를 결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로킹 시스템은 상기 벨트부, 상기 보조부 또는 이들 모두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1 로킹 유닛은 상기 벨트부의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로킹 유닛과 각각 결속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로킹 유닛은 상기 벨트부의 기 설정된 위치와 대응될 수 있는 상기 보조부 상의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대퇴부에 장착되는 상기 보조부의 부분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PCT/KR2022/019340 2021-12-01 2022-12-01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WO202310146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150 2021-12-01
KR20210170150 2021-12-01
KR1020220125721A KR20230082560A (ko) 2021-12-01 2022-09-30 로킹 시스템 및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KR10-2022-0125721 2022-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60A1 true WO2023101460A1 (ko) 2023-06-08

Family

ID=8661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340 WO2023101460A1 (ko) 2021-12-01 2022-12-01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10146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181Y1 (ko) * 2005-05-20 2005-08-18 김성일 Rfid를 이용한 전자자물쇠
KR20180045885A (ko) * 2017-09-25 2018-05-04 남태욱 개목걸이
WO2018169147A1 (ko) * 2017-03-14 2018-09-20 (주)에센루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
KR20190000585U (ko) * 2017-08-23 2019-03-07 성주용 휴대용 선풍기
KR102096062B1 (ko) * 2019-01-03 2020-04-01 김혜수 버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181Y1 (ko) * 2005-05-20 2005-08-18 김성일 Rfid를 이용한 전자자물쇠
WO2018169147A1 (ko) * 2017-03-14 2018-09-20 (주)에센루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
KR20190000585U (ko) * 2017-08-23 2019-03-07 성주용 휴대용 선풍기
KR20180045885A (ko) * 2017-09-25 2018-05-04 남태욱 개목걸이
KR102096062B1 (ko) * 2019-01-03 2020-04-01 김혜수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18169147A1 (ko) 자석식 버클을 이용한 아기띠 및 그 착용방법
WO2018074657A1 (ko)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13058466A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목걸이형 오디오 출력장치
WO2023101460A1 (ko) 로킹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WO2022065880A1 (ko) 진단 키트 트레이
WO2015111983A1 (ko) 방사선 화상 검출기 및 방사선 화상 검출기용 하우징
WO2018190514A1 (ko)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WO2016182129A2 (ko) 착용 가능한 스마트폰이 병렬연결 배터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WO2020171319A1 (ko) 웨어러블 카메라 장치
WO2023003371A1 (ko) 단말기 거치대
WO2021025244A1 (ko)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스마트 근육 마사지기
WO2024029743A1 (ko) 밴드를 지지하기 위한 탈착식 장치
WO2023043065A1 (ko) 구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3219260A2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2211289A1 (ko) 착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1256718A1 (ko) 끈 결속구, 끈 결속구를 이용한 운동기구, 운동 보조기구용 틀 및 운동 보조기구용 틀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기구
WO2012053745A2 (ko)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WO2022250319A1 (ko) 외골격 로봇 및 이의 수동형 근력지원장치
WO2022098005A1 (ko) 잠금구조를 갖는 모바일단말기용 핑거그립
WO2022255772A1 (ko) 볼 마운트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2004984A1 (ko) 착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0149496A1 (ko) 헬멧용 피팅 시스템
WO2022004983A1 (ko) 쌍안정 스프링을 갖는 지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WO2023063574A1 (ko) 마그넷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18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