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064B1 - 고리장치 - Google Patents
고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7064B1 KR101627064B1 KR1020150007023A KR20150007023A KR101627064B1 KR 101627064 B1 KR101627064 B1 KR 101627064B1 KR 1020150007023 A KR1020150007023 A KR 1020150007023A KR 20150007023 A KR20150007023 A KR 20150007023A KR 101627064 B1 KR101627064 B1 KR 1016270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housing
- spaces
- spring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2—Hook or eye fasteners with spring closure of hook
Landscapes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링,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링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속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링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링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단속부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링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움직여 상기 개방부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리장치는 가방(핸드백, 솔더백, 백팩, 도트백, 크로스백, 매신저백, 배낭 등) 열쇠, 동물 목줄,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등과 같이 휴대할 수 있는 치장품에 끈 등을 간편하게 연결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고리장치의 보편적인 형태는 와이어를 스프링 형태로 감아 치장품에 결합된 고리와 결합하는 구조, 링 형태의 일측을 일정 폭으로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된 일측을 힌지 결합하고, 힌지에 토션 스프링을 설치하여 절개된 부분을 절개된 부분을 열고 닫으면서 치장품의 고리와 결합하는 구조 및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갈고리의 개방된 부분을 단속하여 치장품의 고리에 결합하는 구조 등이 있다.
이중, 갈고리 형태의 고리장치(2)를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개방부(61)를 가지며 치장품(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는 갈고리(60)와, 갈고리(60)에 결합되어 있고 개방부(61)를 단속하는 잠금쇠(70)와, 개방부(61)을 단속하도록 잠금쇠(7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80) 및 갈고리(60)와 연결되어 있고 끈(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는 결속부(9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고리장치(2)를 치장품에 결합하기 위해 갈고리(60)의 개방부(61)를 닫고 있는 잠금쇠(70)를 눌러 개방부(61)를 개방시킨다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쇠(70)가 개방부(311)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므로 갈고리(60)를 치장품의 고리에 거는 동안 사용자는 잠금쇠(70)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스프링 구조의 고리장치는 와이어의 두께에 따라 치장품의 고리에 끼우거나 빼는 것 불편하였으며, 특히 와이어의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 쉽게 고리장치가 쉽게 변형되어 치장품의 상품을 저하시켰다.
또한 링 구조의 고리장치는 힌지가 외력에 의해 쉽게 움직이므로 부주의 시 힌지가 움직여 절개된 부분이 개방되어 고리장치가 치장품의 고리에서 쉽게 빠지게 되었다.
아울러, 위와 같은 고리장치는 와이어를 벌리거나, 힌지와 잠금쇠는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많은 힘을 가해 조작해야 했으며, 외관적으로 고급스럽지 못하여 치장품의 상품성을 저하 시켰다.
본 발명은 치장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한번의 동작으로 개방부가 노출되어 치장품에 간편하게 걸 수 있는 고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리장치는 하우징,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링,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링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속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링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링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단속부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링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움직여 상기 개방부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링은 양단이 끊어져 있고, 양단 사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속부가 위치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링의 일부분과 상기 단속부가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제2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공간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의 일단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 스프링은 일측 걸림턱과 상기 단턱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단턱은 상기 걸림턱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링과 대응되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분할되어 있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연결되어 있으며, 분리 방지턱을 가지는 샤프트 및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이 연결된 상기 제1 바디 부분에는 슬라이드 구멍이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단속부는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슬라이드바, 상기 제1 바디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구멍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바와 연결된 레버 및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바가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단속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슬라이드 구멍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고리장치는 신체와 연결되는 띠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과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상하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과 연결된 복수의 체결홀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은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은 상기 제2 바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부의 개방부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단속부를 상승시키면 링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링이 제2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개방부가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로 자동으로 노출된다. 개방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링을 직접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고, 단속부의 한번의 상승으로 개방부가 노출되므로 고리장치의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부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할 때 단속부의 슬라이드바가 개방부에 위치하며, 단턱은 슬라이드바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슬라이드바가 단속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방부에 위치하므로 오작동에 의한 결속부의 개방부가 하우징 외부로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결속부와 치장품의 고리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리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고리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고리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개방부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종래의 고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리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고리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고리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개방부가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종래의 고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리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고리장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을 따라 고리장치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을 따라 고리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리장치(1)는 가방, 열쇠, 동물 목줄, 휴대 단말기 케이스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치장품(도시하지 않음)의 고리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끈(도시하지 않음) 등을 간편하게 걸고 쉽게 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우징(10), 결속부(30), 단속부(20) 및 연결 고리(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제1 바디(11), 제2 바디(12) 및 샤프트(13)를 포함한다.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2)는 서로 마주하며 고정부재(50)로 결합되어 있다. 제2 바디(12)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125)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바디(11)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125)와 연결된 복수의 체결홀(115)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50)의 일단이 관통 구멍(125)을 관통하여 체결홀(115)에 체결되면서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2)가 서로 결합된다. 고정부재(50)의 타단은 관통 구멍(125)에 위치하여 제2 바디(12)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고정부재(50)의 타단이 돌출되어 있으면 고리장치(1) 사용에 거치적거리고 치장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50)의 타단이 제2 바디(12)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아 위와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2)의 마주하는 면에는 각각 슬라이드 공간(111, 121)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공간(111, 121)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공간(111, 121)은 제1 공간(111a, 121a) 및 제2 공간(111b, 121b)을 포함한다.
제1 공간(111a, 121a)은 제1 및 제2 바디(11, 12)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간(111b, 121b)은 제1 및 제2 바디(11, 12)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바디(11, 12) 내부를 관통한다. 제1 공간(111a, 121a)과 제2 공간(111b, 121b)은 관통 구멍(125) 및 체결홀(115)과 간섭되지 않는다.
제2 공간(111b, 121b)은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간(111b, 121b)의 일측이 위치한 제1 및 제2 바디(11, 12) 에는 제1 걸림턱(113, 123)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공간(111b, 121b)의 타측이 위치한 제1 및 제2 바디(11, 12)에는 제2 걸림턱(114, 1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간(111a, 121a)과 제2 공간(111b, 121b)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공간(111a)과 제2 공간(111b)이 연결된 제1 바디(11) 부분에는 슬라이드 구멍(112)이 제1 공간(111a)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13)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제1 바디(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샤프트(13)는 제2 바디(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3)는 바디와 나사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13)의 끝에는 샤프트(13)의 외부 둘레면을 따라 분리 방지턱(131)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방지턱(131)의 직경은 샤프트(13)의 직경보다 크다.
연결 고리(4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어깨에 걸 수 있는 띠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 구멍(41)과 샤프트(13)가 관통하는 결합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구멍(42)의 직경은 샤프트(13)의 직경보다 크고 분리 방지턱(131)의 직경 보다는 작다. 이에 연결 고리(40)는 샤프트(13)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분리 방지턱(131)에 걸려 샤프트(13)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연결 고리(4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바디(11)와 제2 바디(12)에는 띠에 연결된 고리가 관통하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30)는 링(31), 단턱(32) 및 링 스프링(33)을 포함한다.
링(31)은 치장품의 고리에 걸릴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다.
링(31)은 양단은 끊어져 있고 양단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에 양단 사이에 개방부(311)가 형성된다. 링(31)은 제2 공간(111b, 121b)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링(31)의 양단이 제2 공간(111b, 121b)에 위치하면 개방부(311) 또한 제2 공간(111b, 121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개방부(311)는 제1 공간(111a, 121a)과 연결될 수 있다. 링(31)의 개방부(311) 부분은 링(31)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단턱(32)은 링(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직경은 링(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단턱(32)은 제2 공간(111b, 121b)의 둘레면에 접하며 제1 걸림턱(113, 123) 및 제2 걸림턱(114, 124)에 걸릴 수 있다. 단턱(32)이 제2 걸림턱(114, 124)에 접하면 링(31)의 타단과 개방부(311)는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하우징(10)에서 노출된 링(31)의 타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면 치장품에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 그러나 링(31)의 타단을 곡면으로 형성되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링 스프링(33)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링(31)을 감싸고 있다. 링 스프링(33)의 일단은 단턱(32)에 접하고 타단은 제1 걸림턱(113, 123)에 접해있다. 링 스프링(33)은 링(31)의 단턱(32)이 제2 걸림턱(114, 12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31)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단속부(20)는 링(30)의 움직임을 단속하는 것으로 슬라이드바(21), 레버(22) 및 단속 스프링(23)을 포함한다.
슬라이드바(21)는 제1 공간(111a, 121a)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바(21)에는 제1 공간(111a, 121a)과 연결된 수용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간(111a, 121a)이 제2 공간(111b, 121b)과 연결되어 있어 슬라이드바(21)는 제1 공간(111a, 121a)과 제2 공간(111b, 121b)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개방부(311)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한 경우 슬라이드바(21)는 제2 공간(111b, 121b)에서 개방부(311)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링(31)의 일단은 제1 걸림턱(113, 123)과 슬라이드바(21) 사이에 위치하며 링 스프링(33)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단턱(32)은 압축된 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바(21)의 측면에 밀착되어 걸린 상태가 된다.
단속 스프링(23)은 제1 공간(111a, 121a)에 위치하며 일단이 수용홈(211)에 수용되어 있고 타단은 제1 공간(111a, 121a)의 내부면에 접해 있다. 단속 스프링(23)은 슬라이드바(21)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 부여한다. 이때 슬라이드바(21)는 제1 공간(111a, 121a)과 제2 공간(111b, 121b)에 걸쳐 위치한다.
개방부(32)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한 경우 슬라이드바(21)는 제2 공간(111b, 121b)에서 개방부(311)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개방부(32)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경우 슬라이드바(21)는 링(31)의 일측 둘레면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바(21)는 제1 공간(111a, 121a)에 위치한다.
레버(22)는 제1 바디(11) 외측에 위치하여 관통 구멍(125)을 통하여 슬라이드바(21)와 연결되어 있다. 레버(22)와 슬라이드바(21)는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레버(22)와 슬라이드바(21)는 관통 구멍(125)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레버(22)를 사용자가 밀면 슬라이드바(21)는 제2 공간(111b, 121b)에서 제1 공간(111a, 121a)으로 이동하고 단속 스프링(23)은 압축될 수 있다.
슬라이드바(21)가 이동하면 링(31)은 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공간(111b, 121b) 일측에서 타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단턱(32)은 제2 걸림턱(114, 124) 방향으로 이동하며, 개방부(311)는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고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 한다.
먼저, 도 4를 참고하면, 링(31)의 개방부(311)는 제2 공간(111b, 121b)에 위치하여 제1 공간(111a, 121a)과 연결되어 있다. 링(31)의 일단과 타단은 하우징(10) 내부에 모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슬라이드바(21)는 단속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제2 공간(111b, 121b)에 위치한다. 이때 슬라이드바(21)는 링(3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인 개방부(311)에 위치한다. 링(31)의 단턱(32)은 슬라이드바(21)와 제1 걸림턱(113, 123) 사이에 위치하며 링 스프링(33)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단턱(32)은 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바(21)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레버(22)를 밀면 슬라이드바(21)는 제2 공간(111b, 121b)에서 제1 공간(111a, 121a)으로 이동하고 단속 스프링(23)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도 3 참조).
도 5를 참고하면, 링(31)의 단턱(32)이 링 스프링(33)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있어 제2 공간(111b, 121b)에서 슬라이드바(21)가 벗어나면 링(31)의 일단은 제2 공간(111b, 121b) 내에서 제2 걸림턱(114, 124)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며 단턱(32)은 제2 걸림턱(114, 124)에 밀착된다. 제2 걸림턱(114, 124)의 직경이 단턱(32)의 직경보다 작아 링(31)의 일단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단턱(32)이 제2 걸림턱(114, 124)에 밀착되면 개방부(311)가 형성된 링(31) 부분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단속부(20)의 이동으로 결속부(30)의 개방부(311)가 하우징(10) 외부로 자연스럽게 나오게 된다. 따라서, 링(31)의 개방부(311) 부분이 하우징(10) 내부에서 외부로 자동으로 노출될 수 있다.
레버(22)를 미는 힘을 해제하면 단속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바(21)는 제2 공간(111b, 121b)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바(21)는 제1 공간(111a, 121a)과 제2 공간(111b, 121b)이 연결된 부분에 위치한 링(31)의 외부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노출된 링(31)의 개방부(311)를 통하여 링(31)을 치장품의 고리에 걸 수 있다.
링(31)이 치장품의 고리에 걸린 상태에서 링(31)의 타단이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링(31)을 회전시킨다. 제2 걸림턱(114, 124)에 밀착된 단턱(32)은 제1 걸림턱(113, 123) 방향으로 이동한다. 링(31)의 단턱(32)이 슬라이드바(21)를 통과하고 개방부(311) 부분이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면서 제1 공간(111a, 121a)과 연결되면 단속 스프링(23)에 의해 탄성력을 받고 있는 슬라이드바(21)는 제2 공간(111b, 121b)으로 이동하게 되어 개방부(311)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링(31)의 타단이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개방부(311)는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고리장치(1)는 치장품의 고리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링(31)을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링 스프링(23)에 의해 단턱(32)은 슬라이드바(21) 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슬라이드바(21)가 단속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방부(311)에 위치하므로 오작동에 의한 결속부(30)의 개방부(311)가 하우징(10) 외부로 쉽게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결속부(30)와 치장품의 고리 결합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바(21)를 이동시키는 레버(22)가 제1 바디(11)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링(31)의 개방부(311)가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외관미가 향상된 고리장치(1)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고리장치(1)의 외관미 향상은 치장품의 외관을 더욱 향상시켜 치장품을 고급스럽게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고리장치 10: 하우징
11: 제1 바디 12: 제2 바디
111, 121: 슬라이드 공간 111a, 121a: 제1 공간
111b, 121b: 제2 공간 112: 슬라이드 구멍
113, 123: 제1 걸림턱 114, 124: 제2 걸림턱
115: 체결홀 125: 관통 구멍
13: 샤프트 131: 분리 방지턱
20: 단속부 21: 슬라이드바
211: 수용홈 22: 레버
23: 단속 스프링 30: 결속부
31: 링 311: 개방부
32: 단턱 33: 링 스프링
40: 연결 고리 41: 연결 구멍
42: 결합 구멍 50: 고정부재
2: 고리장치 60: 갈고리
61: 개방부 70: 잠금쇠
80: 스프링
11: 제1 바디 12: 제2 바디
111, 121: 슬라이드 공간 111a, 121a: 제1 공간
111b, 121b: 제2 공간 112: 슬라이드 구멍
113, 123: 제1 걸림턱 114, 124: 제2 걸림턱
115: 체결홀 125: 관통 구멍
13: 샤프트 131: 분리 방지턱
20: 단속부 21: 슬라이드바
211: 수용홈 22: 레버
23: 단속 스프링 30: 결속부
31: 링 311: 개방부
32: 단턱 33: 링 스프링
40: 연결 고리 41: 연결 구멍
42: 결합 구멍 50: 고정부재
2: 고리장치 60: 갈고리
61: 개방부 70: 잠금쇠
80: 스프링
Claims (5)
- 하우징(10),
개방부(311)를 가지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여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개방부(311) 부분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하여 자동으로 노출될 수 있는 링(31),
상기 하우징(10)에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링(31)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단속부(20) 및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상기 링(31)이 움직이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링 스프링(33)
을 포함하고,
상기 링 스프링(33)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링(31)의 감싼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링(31)에 형성된 단턱(32)과 접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제1 걸림턱(113, 123)과 접하여 압축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32)은 상기 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단속부(20)와 접하여 걸려 있고, 상기 단속부(20)가 움직여 상기 단턱(32)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링(31)은 상기 링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링(31)의 움직임으로 상기 개방부(311)는 상기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단속부(20)와 접하고 있던 상기 단턱(32)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된 제2 걸림턱(114, 124)과 접하는
고리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링(31)은 양단이 끊어져 있고, 양단 사이에 상기 개방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단속부(20)가 위치하는 제1 공간(111a, 121a) 및 상기 제1 공간(111a, 121a)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링(31)의 일부분과 상기 단속부(20)가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제2 공간(111b, 12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공간(111b, 121b)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걸림턱(113, 123)이 형성되어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2 걸림턱(114, 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속부(20)는 상기 제1 걸림턱(113, 123)과 상기 제2 걸림턱(114, 124)에 위치하여 상기 단턱(32)과 접하는
고리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링(31)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공간(111b, 121b)은 상기 링(31)과 대응되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리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10)과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연결 고리(40)를 더 포함하는 고리장치. - 제4항에서,
상기 하우징(10)은,
분할되어 있는 제1 바디(11) 및 제2 바디(12),
상기 제1 바디(11)와 연결되어 있으며 분리 방지턱(131)을 가지는 샤프트(13) 및
상기 제1 바디(11) 및 상기 제2 바디(12)를 결합하는 고정부재(5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12)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125)이 상하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1 바디(11)에는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125)과 연결된 복수의 체결홀(115)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50)의 일단은 상기 관통 구멍(125)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115)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제2 바디(12)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고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023A KR101627064B1 (ko) | 2015-01-14 | 2015-01-14 | 고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7023A KR101627064B1 (ko) | 2015-01-14 | 2015-01-14 | 고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7064B1 true KR101627064B1 (ko) | 2016-06-13 |
Family
ID=5619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7023A KR101627064B1 (ko) | 2015-01-14 | 2015-01-14 | 고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0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9969A (ko) | 2020-01-09 | 2021-07-19 | 김민경 | 연속성을 갖는 오브젝트를 위한 커넥팅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2034U (ko) * | 1999-02-13 | 1999-06-25 | 오재관 | 열쇠고리용키홀더 |
KR200295612Y1 (ko) * | 2002-08-24 | 2002-11-18 | 김영곤 | 걸고리 |
KR20030078055A (ko) | 2003-09-15 | 2003-10-04 | 이남희 | 애완동물용 견인줄 |
WO2010017645A1 (en) * | 2008-08-15 | 2010-02-18 | Lucien Laflamme | Openable ring for attaching keys or other objects |
KR101290315B1 (ko) * | 2012-06-18 | 2013-07-26 | 김성환 | 열쇠고리 |
-
2015
- 2015-01-14 KR KR1020150007023A patent/KR1016270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2034U (ko) * | 1999-02-13 | 1999-06-25 | 오재관 | 열쇠고리용키홀더 |
KR200295612Y1 (ko) * | 2002-08-24 | 2002-11-18 | 김영곤 | 걸고리 |
KR20030078055A (ko) | 2003-09-15 | 2003-10-04 | 이남희 | 애완동물용 견인줄 |
WO2010017645A1 (en) * | 2008-08-15 | 2010-02-18 | Lucien Laflamme | Openable ring for attaching keys or other objects |
KR101290315B1 (ko) * | 2012-06-18 | 2013-07-26 | 김성환 | 열쇠고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9969A (ko) | 2020-01-09 | 2021-07-19 | 김민경 | 연속성을 갖는 오브젝트를 위한 커넥팅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56501C (en) | Self-aligning handling or storing device having side or top actu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for | |
US5713467A (en) | Tool display pack having a security device | |
US2443335A (en) | Fastening device | |
CN100434011C (zh) | 保持件 | |
US8635750B1 (en) | Self-aligning handling or storing device | |
US5934526A (en) | Device for facilitating manipulation of jewelry clasps | |
US20080302382A1 (en) | Hair hoop structure | |
JPH1146816A (ja) | 紐 具 | |
US5491986A (en) | Interchangeable multiple mount head system for jewelry | |
JP6596513B2 (ja) | 装身具用留め具とこれを用いた装身具 | |
US3057029A (en) | Shoestring fastening apparatus | |
KR101627064B1 (ko) | 고리장치 | |
US20080000671A1 (en) | Cable bundle clamp with two opposing spring-loaded hinged shells | |
CN211833163U (zh) | 饰品用紧固部件、饰品用紧固件以及饰品 | |
KR910007985B1 (ko) | 머 리 핀 | |
KR101703188B1 (ko) | 신분증 착용 목걸이 | |
KR101507279B1 (ko) | 장신구 고정용 기구 | |
JP4883497B2 (ja) | 携行品の着身連結具 | |
CN212382208U (zh) | 一种具有两档推拉式锁链扣的手链 | |
US2455465A (en) | Strap-end attaching clasp | |
JP3166723U (ja) | 装身具用引き輪の装飾構造 | |
JP4286614B2 (ja) | 長尺物の保持装置 | |
KR100528978B1 (ko) | 체결용 버클 | |
KR200181619Y1 (ko) | 고정구 | |
TWM506504U (zh) | 繩索扣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