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834B1 - 서브 기가헤르쯔 대역 송신을 위한 특수한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브 기가헤르쯔 대역 송신을 위한 특수한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834B1
KR102073834B1 KR1020147034188A KR20147034188A KR102073834B1 KR 102073834 B1 KR102073834 B1 KR 102073834B1 KR 1020147034188 A KR1020147034188 A KR 1020147034188A KR 20147034188 A KR20147034188 A KR 20147034188A KR 102073834 B1 KR102073834 B1 KR 102073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hz
power spectral
spectral density
center frequency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541A (ko
Inventor
린 양
유한 김
사미어 베르마니
테브피크 유셰크
히맨쓰 샘패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1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6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using historical data, averaging values or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6Requirements on out-of-channel emi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해 생성된다. 장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다.

Description

서브 기가헤르쯔 대역 송신을 위한 특수한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SPECIAL SPECTRAL MASKS FOR TRANSMISSION SUB GIGAHERTZ BANDS}
본 특허 출원은, 2012년 5월 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인 가출원 제 61/643,51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통합된다. 본 특허 출원은 추가로, 2013년 1월 29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인 가출원 제 61/757,883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통합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서브-기가헤르쯔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을 인에이블하는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특정한 양상들은 외측 대역 발산들에 대한 감쇠 요건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기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은, 몇몇 상호작용하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교환하는데 이용된다. 네트워크들은 지리적 범위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지리적 범위는, 예를 들어, 대도시 영역, 로컬 영역 또는 개인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M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로서 각각 지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들은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 및 디바이스들을 상호접속하는데 이용되는 교환/라우팅 기술(예를 들어, 회선 교환 대 패킷 교환), 송신을 위해 이용되는 물리적 매체의 타입(예를 들어, 유선 대 무선), 및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세트(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세트(suite),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 이더넷 등)에 따라 상이하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이동식이어서 동적 접속 필요성들을 갖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아키텍쳐가 고정식보다는 애드혹(ad hoc) 토폴로지로 형성되는 경우 종종 선호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라디오, 마이크로파, 적외선, 광학 등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전자기파들을 이용하여, 가이드되지 않은 전파 모드로 무형의(intangible) 물리적 매체를 이용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유리하게는, 고정식 유선 네트워크들에 비해 빠른 필드 전개 및 사용자 이동성을 용이하게 한다.
무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들은 무선 신호들을 통해 서로간에 정보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신호들이 송신될 수 있는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시스템 내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송신되는 무선 신호들 사이에서 간섭을 방지할 필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각각은 몇몇 양상들을 갖고, 이 양상들 중 어떠한 단일 양상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속성들을 단독으로 담당하지 않는다.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이제 몇몇 특징들이 간략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후, 그리고 특히, "상세한 설명"으로 명명된 섹션을 읽은 후, 본 발명의 특징들이, 저전력 장거리 무선 통신들을 위해 서브-기가헤르쯔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해 생성된다. 장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구현이 제공된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다.
다른 양상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무선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 도 2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도 2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무선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 도 2의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MIMO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도 2의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MIMO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물리 계층 패킷의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실질적으로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한 물리 계층 패킷의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b는, 단일 사용자 모드에 따라 실질적으로 2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한 물리 계층 패킷의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c는, 다중 사용자 모드에 따라 실질적으로 2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한 물리 계층 패킷의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플롯이다.
도 10a, 10b, 10c, 10d 및 10e는, 일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1은,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도 12a, 12b, 12c 및 1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및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3은,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도 14a, 14b, 14c, 14d 및 14e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5는,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도 16a, 16b, 16c, 16d 및 16e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7은,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도 18a, 18b, 18c, 18d 및 18e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9는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1은,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교시들의 개시는 다수의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 전체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이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제공되고, 본 개시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완전하게 전달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결합되어 구현되든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양상들 중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한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이 양상들의 많은 변화들 및 치환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선호되는 양상들의 몇몇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한 이점들, 이용들 또는 목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의도되고, 이들 중 일부는, 선호되는 양상들의 하기 설명 및 도면들에서 예시의 방식으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적이기 보다는 본 개시의 단지 예시이고,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균등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WL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WLAN은, 광범위하게 이용된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인근의 디바이스들을 서로 상호접속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WiFi, 또는 더 일반적으로는, 무선 프로토콜들의 IEEE 802.11 패밀리의 임의의 멤버와 같은 임의의 통신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1GHz 미만(sub-1GHz) 대역들을 이용하는 IEEE 802.11ah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서브-기가헤르쯔(sub-gigahertz)의 대역의 무선 신호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다이렉트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 통신들, OFDM 및 DSSS 통신들의 조합, 또는 다른 방식들을 이용하여, 802.11ah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될 수 있다. 802.11ah 프로토콜의 구현들은 센서들, 계량(metering) 및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02.11ah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특정한 디바이스들의 양상들은,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을 구현하는 디바이스들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약 1 킬로미터 또는 그 초과의 비교적 긴 범위에 걸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한 디바이스들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기술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고, 802.11ah 표준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의(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 있고, 독립 채널들은 또한 공간 채널들 또는 스트림들로 지칭되며, 여기서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1
이다. NS개의 독립 채널들 각각은 차원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적 차원들이 활용되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도)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WLAN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컴포넌트들인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즉 액세스 포인트들("AP들") 및 클라이언트들(또한, 스테이션들 또는 "STA들"로 지칭됨)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P는 WLAN에 대한 허브 또는 기지국으로 기능하고, STA는 WLAN의 사용자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STA는 랩탑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모바일 폰 등일 수 있다. 일례에서, STA는, 인터넷에 대한 또는 다른 광역 네트워크들에 대한 일반적 접속을 획득하기 위해, WiFi(예를 들어, 802.11ah와 같은 IEEE 802.11 프로토콜) 준수(compliant) 무선 링크를 통해 AP에 접속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STA는 또한 AP로서 이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또한 NodeB,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eNodeB,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부("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공지될 수 있다.
스테이션 "STA"는 또한 액세스 단말("AT"),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공지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무선 로컬 루프("WLL")국,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몇몇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교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폰(예를 들어, 셀룰러 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헤드셋,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 오락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게이밍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글로벌 측위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802.11ah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STA로서 이용되든 또는 AP로서 이용되든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서 이용되든, 스마트 계량을 위해 또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센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할 수 있거나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에서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그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개인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관리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또한, 확장된 범위의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예를 들어, 핫스팟들로 이용하기 위해) 또는 머신-투-머신 통신들을 구현하기 위해, 감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이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일례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802.11ah 표준과 같은 무선 표준을 따르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AP(104)를 포함할 수 있고, AP(104)는 STA들(106a, 106b, 106c 및 106d)(총괄적으로 STA들(106))과 통신한다.
AP(104)와 STA들(106) 사이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 송신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들은 OFDM/OFDMA 기술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이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OFDM/OF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호들은 CDMA 기술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이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C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AP(104)로부터 STA들(10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DL)(108)로 지칭될 수 있고, STA들(10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로부터 AP(104)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UL)(110)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AP(104)는 기지국으로 동작하고 기본 서비스 영역(BSA)(102)에서 무선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AP(104)와 연관되고 통신을 위해 AP(104)를 이용하는 STA들(106)과 함께 AP(104)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중앙 AP(104)를 갖지 않을 수 있지만, 오히려 STA들(106) 사이에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AP(104)의 기능들은 대안적으로 STA들(10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도 1의 STA들(106) 중 하나 또는 AP(10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또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으로 지칭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프로세서(204)에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2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통상적으로, 메모리(2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적 및 산술적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컴포넌트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용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들, 또는 정보의 계산들 또는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설명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이와 달리 지칭되든,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명령들은 코드를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2진 코드 포맷, 실행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코드의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포맷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2)와 원격의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208)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216)는 하우징(208)에 부착되고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트랜시버(214)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 및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이러한 신호들을 총 에너지, 심볼 당 서브캐리어 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프로세싱 신호들에 이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를 포함할 수 있다. DSP(220)는 송신을 위한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데이터 유닛은 물리 계층 데이터 유닛(PPDU)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PPDU는 패킷으로 지칭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몇몇 양상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키패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임의의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226)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226)은, 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 버스에 부가하여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컴포넌트들이, 몇몇 다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서로 커플링되거나 또는 서로에게 입력들을 제공하거나 수용할 수 있음을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다수의 별개의 컴포넌트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결합되거나 공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4)는, 프로세서(204)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신호 검출기(218) 및/또는 DSP(220)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각각은 복수의 별개의 엘리먼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세서(204)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들, 모듈들, 회로들 등 중 임의의 것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거나, 각각은 복수의 별개의 엘리먼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2)는 AP(104) 또는 STA(106)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OFDM 통신들을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도 3에 예시된 컴포넌트들은,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1.25 MHz보다 작거나 이와 동일한 대역폭에 걸쳐 전송될 패킷들을 생성 및 송신하는데 이용된다.
도 3의 무선 디바이스(202a)는, 송신을 위해 비트들을 변조하도록 구성되는 변조기(3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기(302)는, 예를 들어, 비트들을 성상도(constellation)에 따라 복수의 심볼들에 맵핑함으로써, 프로세서(204)(도 2)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도 2)로부터 수신된 비트들로부터 복수의 심볼들을 결정할 수 있다. 비트들은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비트들은 코드워드들에서 수신된다. 일 양상에서, 변조기(302)는, 예를 들어,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기 또는 64-QAM 변조기와 같은 QAM 변조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들에서, 변조기(302)는 2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변조기 또는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변조기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02a)는, 변조기(302)로부터의 심볼들 또는 이와 달리 변조된 비트들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변환 모듈(3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변환 모듈(304)은,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상이한 사이즈들의 데이터 유닛들을 변환하는 다수의 변환 모듈들(미도시)이 존재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변환 모듈(304)은 상이한 사이즈들의 데이터 유닛들을 스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모듈(304)은 복수의 모드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모드에서 심볼들을 변환하기 위해 상이한 수의 포인트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FFT는, 32개의 톤(tone)들(즉,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송신되고 있는 심볼들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해 32개의 포인트들이 이용되는 모드, 및 64개의 톤들을 통해 송신되고 있는 심볼들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해 64개의 포인트들이 이용되는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변환 모듈(304)에 의해 이용되는 포인트들의 수는 변환 모듈(304)의 사이즈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에서,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은 DSP(320)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몇몇 양상들에서,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프로세서(204)에서 또는 무선 디바이스(202a)의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한 상기 설명 참조).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DSP(320)는 송신을 위해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은, 복수의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들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레이닝 필드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신호(SIG)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닝 필드들 각각은 값들 또는 심볼들의 공지된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SIG 필드들 각각은, 데이터 유닛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데이터 유닛의 길이 또는 데이터 레이트의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무선 디바이스(202a)는, 변환 모듈의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모듈(306)의 시간-도메인 출력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6)에 의해 기저대역 OFDM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6)는 프로세서(204)에서, 또는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6)는 트랜시버(214)(도 2)에서 또는 데이터 송신 프로세서에서 구현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송신기(310)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는, 예를 들어, 필터링됨으로써 또는 중간 또는 캐리어 주파수로 상향변환됨으로써, 송신기(310)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양상에서, 송신기(310)는 송신 증폭기(308)를 포함한다. 송신되기 전에, 아날로그 신호는 신호 증폭기(308)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증폭기(308)는 저잡음 증폭기(LNA)를 포함한다.
송신기(310)는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패킷들 또는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유닛들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을 이용하여, 프로세서(204)(도 2) 및/또는 DSP(320)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생성 및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 유닛들은,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18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OFDM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도 4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1.25 MHz보다 작거나 그와 동일한 대역폭에 걸쳐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도 3에 대해 앞서 논의된 컴포넌트들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b)의 수신기(412)는 무선 신호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패킷들 또는 데이터 유닛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수신 및 디코딩되거나 이와 달리 프로세싱될 수 있는 데이터 유닛들은 도 5 내지 도 21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양상에서, 수신기(412)는 수신 증폭기(401)를 포함한다. 수신 증폭기(401)는 수신기(41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수신기(412)는 자동 이득 제어(AGC) 절차를 이용하여 수신 증폭기(401)의 이득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자동 이득 제어는, 예를 들어, 이득을 조정하기 위해, 수신된 숏(short) 트레이닝 필드(STF)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수신된 트레이닝 필드들의 정보를 이용한다.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AGC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들을 이해할 것이다. 몇몇 양상들에서, 증폭기(401)는 LNA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02b)는, 수신기(412)로부터의 증폭된 무선 신호를 이들의 디지털 표현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되는 것에 추가하여, 무선 신호는, 예를 들어, 필터링됨으로써 또는 중간 또는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변환됨으로써,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410)에 의해 변환되기 전에 프로세싱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10)는 프로세서(204)(도 2)에서 또는 무선 디바이스(202b)의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10)는 트랜시버(214)(도 2)에서 또는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에서 구현된다.
무선 디바이스(202b)는, 무선 신호의 표현을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변환 모듈(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변환 모듈(404)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 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변환 모듈은, 자신이 이용하는 각각의 포인트에 대한 심볼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변환 모듈(404)은 복수의 모드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모드에서 신호를 변환하기 위해 상이한 수의 포인트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모듈(404)은, 32개의 톤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하기 위해 32개의 포인트들이 이용되는 모드, 및 64개의 톤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하기 위해 64개의 포인트들이 이용되는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변환 모듈(404)에 의해 이용되는 포인트들의 수는 변환 모듈(404)의 사이즈로 지칭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변환 모듈(404)은, 자신이 이용하는 각각의 포인트에 대한 심볼을 식별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b)는, 데이터 유닛이 수신되는 채널의 추정을 형성하고, 채널 추정에 기초하여 채널의 특정한 효과들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채널 추정기 및 균등화기(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추정기(405)는, 채널의 함수를 근사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채널 균등화기는,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그 함수의 역함수를 데이터에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채널 추정기 및 균등화기(405)는,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롱(long) 트레이닝 필드(LTF)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수신된 트레이닝 필드들의 정보를 이용한다. 채널 추정은, 데이터 유닛의 시작시에 수신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TF들에 기초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이 채널 추정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TF들에 후속하는 데이터 심볼들을 균등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시간 기간 이후 또는 특정한 수의 데이터 심볼들 이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추가적인 LTF들이 데이터 유닛에서 수신될 수 있다. 채널 추정은 추가적인 LTF들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업데이트된 또는 새로운 추정일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또는 업데이트된 채널 추정은, 추가적인 LTF들에 후속하는 데이터 심볼들을 균등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새로운 또는 업데이트된 채널 추정은, 추가적인 LTF들에 선행하는 데이터 심볼들을 재균등화하는데 이용된다.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채널 추정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이해할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202b)는, 균등화된 데이터를 복조하도록 구성되는 복조기(4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기(406)는, 예를 들어, 성상도에서 심볼로의 비트들의 맵핑을 반전시킴으로써, 변환 모듈(404) 및 채널 추정기 및 균등화기(405)에 의해 출력된 심볼들로부터 복수의 비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 비트들은 프로세서(204)(도 2)에 의해 프로세싱 또는 평가될 수 있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도 2)에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그렇지 않으면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및/또는 정보는 디코딩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비트들은 코드워드들에 대응한다. 일 양상에서, 복조기(406)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복조기 또는 64-QAM 복조기와 같은 QAM 복조기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들에서, 복조기(406)는 2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복조기 또는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복조기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변환 모듈(404), 채널 추정기 및 균등화기(405) 및 복조기(406)는 DSP(420)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몇몇 양상들에서, 변환 모듈(404), 채널 추정기 및 균등화기(405) 및 복조기(40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프로세서(204)(도 2)에서 또는 무선 디바이스(202)(도 2)의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수신기(212)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된 기능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이용하면, 데이터 유닛들 또는 그 안의 데이터 심볼들은 디코딩되거나 평가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평가되거나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4)(도 2) 및/또는 DSP(420)는 변환 모듈(404), 채널 추정기 및 균등화기(405) 및 복조기(406)를 이용하여 데이터 유닛들의 데이터 심볼들을 디코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P(104) 및 STA(106)에 의해 교환되는 데이터 유닛들은,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PHY) 계층에서, 이 데이터 유닛들은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PDU들)로 지칭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PPDU는 패킷 또는 물리 계층 패킷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PPDU는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은 트레이닝 필드들 및 SIG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는, 예를 들어, 매체 액세스 제어(MAC) 헤더 또는 다른 계층들에 대한 데이터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심볼들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최소화된 피크-투-전력비를 갖는 트레이닝 필드들을 갖는 데이터 유닛들을 활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202a)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될 단일 송신 체인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202b)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될 단일 수신 체인의 일례를 도시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들(202a 또는 202b)은,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MIMO 시스템의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무선 통신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02)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MIMO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MIMO 시스템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할 수 있다. 수신기의 출력에서 수신될 송신을 위한 비트들은 인코더(504)에 제공된다. 인코더(504)는, 비트 스트림에 대해 순방향 에러 정정(FEC) 코드를 적용할 수 있다. FEC 코드는 블록 코드, 콘벌루셔널 코드 등일 수 있다. 인코딩된 비트들은, 인코딩된 비트들을 N개의 송신 스트림들에 분산시키는 인터리빙 시스템(505)에 제공된다.
인터리빙 시스템(505)은, 인코더(504)로부터의 입력 비트 스트림을 N개의 공간 스트림 인터리버들(508a, 508b 및 508n)로 파싱하는 스트림 파서(506)를 포함한다. 스트림 파서(506)는 공간 스트림들의 수를 제공받을 수 있고, 비트들을 라운드 로빈 기반으로 파싱할 수 있다. 다른 파싱 함수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파싱 함수는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2
이다(즉, 공간 스트림 당 1 비트로 라운드 로빈하고, 그 다음, 다음 공간 스트림으로 진행함, 여기서 kn은 입력 비트 인덱스이고, NTX는 송신기들/공간 스트림들의 수이다). 다른 더 일반적인 함수 f(k,n)가 또한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공간 스트림에 2 비트들을 전송하고, 그 다음, 다음 공간 스트림으로 이동한다. 그 후, 각각의 인터리버(508a, 508b 및 508n)는, 페이딩 또는 다른 채널 조건들에 기인한 에러들이 복원될 수 있도록, 비트들을 각각 분산시킬 수 있다. 이하, 인터리버들(508a, 508b 및 508n)은 인터리버(508)로 지칭될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송신 스트림은 변조기(502a, 502b 또는 502n)에 의해 변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트들은 QPSK(Quater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 BPSK(한번에 1 비트를 맵핑함), 16-QAM(6 비트들의 그룹을 맵핑함), 64-QAM 등과 같은 변조 기술들을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각각의 스트림에 대해 변조된 비트들은 변환 모듈들(510a, 510b 및 510n)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변환 모듈들(510a, 510b 및 510n)은, 변조된 비트들을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해, 이산 시간 푸리에 역변환(IDFT)을 수행할 수 있다. 변환 모듈들(510a, 510b 및 510n)은,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모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모듈들(510a, 510b 및 510n)은 32 포인트 모드 또는 64 포인트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변조된 비트들은, 공간 시간 블록 코딩(STBC)을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고, 변환 모듈들(510a, 510b 및 510n)에 제공되기 전에 공간 맵핑이 수행될 수 있다. 변조된 비트들이 각각의 공간 스트림에 대한 시간 도메인 신호들로 변환된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간 도메인 신호는 변환기들(512a, 512b 및 512n)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그 다음, 신호들은 송신기들(514a, 514b 및 514c)을 이용하여 그리고 안테나들(516a, 516b 또는 516n)을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또는 그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폭)에 걸쳐 무선 라디오 공간으로 송신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516a, 516b 및 516n)은 별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들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별개의 신호들은 N개보다 더 적은 안테나들의 상이한 폴러라이제이션 오프(polarizations off)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는, 공간적 로테이션 또는 공간적 확산이 행해지고, 여기서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단일 안테나에 맵핑되는 경우이다. 어느 경우이든, 별개의 공간 스트림들은 상이한 방식들로 조직화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는 하나보다 많은 공간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거나, 몇몇 송신 안테나들이 공간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2개의 공간 스트림들을 갖는 송신기의 경우를 고려한다. 그러한 경우,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2개의 송신 안테나들 상으로 맵핑될 수 있어서, 2개의 안테나들은 단지 하나의 공간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반송하고 있다.
도 6은,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02)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MIMO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MIMO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더 이용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b)는 도 5의 안테나들(516a, 516b 및 516n)로부터의 송신들을 동시에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b)는, N개의 수신 회로들에 커플링된 N개의 안테나들(518a, 518b 및 518n 또는 618a, 681b 및 681n)(적절하게, 별개의 폴러라이제이션들을 카운팅함)에서 채널로부터의 신호들을 수신한다. 그 다음, 신호들은, 수신된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는 수신기들(620a, 620b 및 620n)에 제공된다. 그 다음, 신호들은 변환기들(622a, 622b 및 622n)을 통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그 다음, 변환된 신호들은 변환 모듈들(624a, 624b 및 624n)을 통해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변환 모듈들(624a, 624b 및 624n)은, 다양한 모드들에 따라, 그리고 이용된 사이즈 및 대역폭(예를 들어, 32 포인트 64 포인트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변환된 신호들은,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는 각각의 채널 추정기 및 균등화기 블록들(626a, 626b 및 626n)에 제공될 수 있다. 채널 추정 이후, 출력들은 (예를 들어, 도 5의 MIMO 검출기(528)에 대응하는) MIMO 검출기(628)에 제공될 수 있고, 그 후, MIMO 검출기(628)는 그의 출력을 복조기들(630a, 630b 및 630n)에 제공할 수 있고, 복조기들(630a, 630b 및 630n)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변조 기술들 중 하나에 따라 비트들을 복조할 수 있다. 그 다음, 복조된 비트들은 디인터리버들(632a, 632b 및 632n)에 제공될 수 있고, 디인터리버들(632a, 632b 및 632n)은 비트들을 스트림 디-파서(634)에 전달할 수 있고, 스트림 디-파서(634)는 비트들을 단일 비트 스트림으로 (예를 들어, 도 5의 MIMO 검출기(528)에 대응하는) 디코더(636)에 제공할 수 있고, 디코더(636)는 비트들을 적절한 데이터 스트림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AP(104) 및 STA(106)에 의해 교환되는 데이터 유닛들은 물리(PHY) 계층 패킷들 또는 물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PDU들)의 형태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물리 계층 패킷(700)의 프리앰블(702) 및 페이로드(710)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프리앰블(702)은, 공지된 값들의 STF 시퀀스를 포함하는 숏 트레이닝 필드(STF)(70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STF는, 패킷 검출을 위해(예를 들어, 패킷의 시작을 검출하기 위해) 그리고 대략적인 시간/주파수 추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STF 시퀀스는 낮은 PAPR을 갖도록 최적화될 수 있고, 특정한 주기성을 갖는 넌-제로 톤들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STF(704)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리앰블(702)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있을 수 있는 롱 트레이닝 필드(LTF)(70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공지된 넌-제로 값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TF 시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LTF는 채널 추정, 정교한 시간/주파수 추정 및 모드 검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양상들에서, 프리앰블(702)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신호 필드(SIG)(708)를 포함할 수 있고, 신호 필드(SIG)(708)는, 모드 검출 목적들을 위해 및 송신 파라미터들의 결정을 위해 일 양상에서 이용되는 다수의 비트들 또는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한 구현들은, 스마트 계량을 위해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의도될 수 있다. 이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센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홈 오토메이션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에서 이용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은 그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개인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관리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은 또한, 확장된 범위의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예를 들어, 핫스팟들로 이용하기 위해) 또는 머신-투-머신 통신들을 구현하기 위해, 감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구현들은 대략 150 Kpbs와 같은 낮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이용할 수 있다. 구현들은, 802.11b와 같은 다른 무선 통신들에 비해 증가된 링크 버짓(budget) 이득들(예를 들어, 약 20 dB)을 더 가질 수 있다. 낮은 데이터 레이트들에 따라, 무선 노드들이 홈 환경에서의 이용을 위해 구성되면, 특정한 양상들은 전력 증폭없이 양호한 인-홈(in-home) 커버리지를 갖는 구현들에 대해 의도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양상들은 MESH 프로토콜을 이용하지 않고 단일 홉 네트워킹에 대해 의도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구현들은,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에 비해 전력 증폭에 있어서 상당한 실외 커버리지 개선을 도출할 수 있다. 게다가, 특정한 양상들은, 큰 실외 지연-확산 및 도플러(Doppler)에 대한 감소된 감도를 수용할 수 있는 구현들에 대해 의도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들은 종래의 WiFi와 유사한 LO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구현들은, 서브-기가헤르쯔의 대역들에서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것에 대해 의도된다. 일 양상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8.5 dB(예를 들어, 900 MHz 대 2.4 GHz에 기인하여 이용가능함)의 전파 이득을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예를 들어, 3 dB 이득을 도출할 수 있는 서브-기가헤르쯔의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차단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들은, 서브-기가헤르쯔의 대역들에서 낮은 대역폭들을 갖는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는 것에 대해 추가로 의도된다. 이것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비해 더 큰 링크 버짓 이득들을 달성하는 것을 추가로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심볼은 1 MHz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02)는 몇몇 모드들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모드에서, OFDM 심볼들과 같은 심볼들은 1 MHz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다른 모드에서, 심볼들은 2 MHz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4 MHz, 8 MHz, 16 MHz 등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심볼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 추가적인 모드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대역폭은 또한 채널 폭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이한 수의 톤들/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에서, (1 MHz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심볼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는) 1 MHz 모드는 32개의 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1 MHz 모드를 이용하는 것은, 20 MHz와 같은 대역폭에 비해 13 dB의 잡음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조건들에 따라 4-5 dB의 손실들을 초래할 수 있는 더 낮은 대역폭에 기인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손실들과 같은 효과들을 극복하기 위해, 낮은 레이트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32개의 톤들을 이용하여 전송 또는 수신된 심볼들을 생성/평가하기 위해,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은 변환 모듈(304 또는 404)은 32 포인트 모드(예를 들어, 32 포인트 IFFT 또는 FFT)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2개의 톤들은 데이터 톤들, 파일럿 톤들, 가드 톤들 및 DC 톤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24개의 톤들은 데이터 톤들로서 할당될 수 있고, 2개의 톤들은 파일럿 톤들로서 할당될 수 있고, 5개의 톤들은 가드 톤들로서 할당될 수 있고, 1개의 톤은 DC 톤을 위해 예비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심볼 지속기간은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40 ㎲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a)(도 3)는, 1 MHz의 대역폭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대역폭은 대략 1MHz일 수 있고, 여기서 대략 1 MHz는 0.8 MHz 내지 1.2 MHz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패킷은, DSP(320)(도 3) 또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할당되는 32개의 톤들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OFDM 심볼들의 형태일 수 있다. 송신 체인의 변환 모듈(304)(도 3)은, 패킷을 시간 도메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32 포인트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IFFT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송신기(310)(도 3)는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무선 디바이스(202b)(도 4)는 1 MHz의 대역폭에 걸쳐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대역폭은 대략 1MHz일 수 있고, 여기서 대략 1 MHz는 0.8 MHz 내지 1.2 MHz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b)는, 시간 도메인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하기 위해 32 포인트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FFT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는 수신 체인의 변환 모듈(404)(도 4)을 포함하는 DSP(420)를 포함할 수 있다. DSP(420)는 패킷을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MHz 모드는, 낮은 데이터 레이트 및 "정규의" 레이트 모두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지원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 따르면, 프리앰블(702)은,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바와 같이, 신뢰할 수 있는 검출 및 개선된 채널 추정을 제공하는 낮은 레이트 모드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원하는 특성들 및 모드에 대한 송신들을 최적화하도록 구성되는 대응하는 프리앰블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MHz 모드에 부가하여, 64개의 톤들을 이용하여 심볼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2 MHz 모드가 추가적으로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64개의 톤들은 52개의 데이터 톤들, 4개의 파일럿 톤들, 1개의 DC 톤 및 7개의 가드 톤들로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의 변환 모듈(304 또는 404)은, 2 MHz 심볼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경우 64 포인트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심볼 지속기간은 또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40 ㎲일 수 있다. 대응하는 상이한 사이즈들(예를 들어, 128 포인트 FFT, 256 포인트 FFT, 512 포인트 FFT 등)의 모드들에서 동작하는 변환 모듈들(304 또는 404)을 이용할 수 있는, 상이한 대역폭들(예를 들어, 4 MHz, 8 MHz 및 16 MHz)을 갖는 추가적인 모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모드들 각각은, 단일 사용자 모드 및 다중 사용자 모드 모두에 따라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MHz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대역폭들을 이용하는 무선 신호들은, 넓은 범위의 대역폭, 전력 및 채널 제한들에 걸친 글로벌 규제 제약들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들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도 2)는, 몇몇 무선 표준들에 따라, 예를 들어, 802.11 표준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2.4 GHz 또는 5 GHz 대역의 20 MHz 채널 폭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드 뿐만 아니라 2.4 GHz 대역의 40 MHz 채널 폭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802.11ac 표준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20 MHz, 40 MHz 및 80 MHz 채널 폭 각각에서 동작하기 위한 모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변환 모듈(304 또는 404)은, 무선 디바이스(202)가 20 MHz 대역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64개의 톤들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202)가 40 MHz 대역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128개의 톤들을 이용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202)가 80 MHz 대역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 256개의 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프로세서(204) 또는 DSP(220)와 같은) 제어기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기가헤르쯔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1 MHz, 2 MHz, 4 MHz 등과 같은 모드에 따라 동작하기 위해, 프로세서(204)는, 무선 디바이스(202)가 1 MHz, 2 MHz, 4 MHz, 8 MHz 또는 16 MHz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무선 디바이스(202)의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다운클러킹(downclock)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운클러킹된 동작 동안, 변환 모듈(304 또는 404)에 의해 이용되는 톤들의 수는 몇몇 양상들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운클러킹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감소된 클럭 레이트에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클러킹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204), 신호 검출기(218), DSP(220) 및/또는 임의의 다른 디지털 신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이밍 세팅들을 조정, 변형 또는 할당함으로써, 이 컴포넌트들을 더 낮은 레이트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다운클러킹된 동작은 프로세서(204)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204)는, 20 MHz, 40 MHz 또는 80 MHz 채널 폭에서 동작하는 경우 이용되는 클럭 신호에 비해 감소된 클럭 신호를 제공한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204)는, 도 2의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이 10의 팩터만큼(예를 들어, 10x만큼) 다운클러킹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20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은 2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으로 다운클러킹될 것이고, 40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은 4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으로 다운클러킹될 것이다. 게다가, 80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은 8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으로 다운클러킹될 것이고, 160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은 16 MHz 채널 폭에서의 동작으로 다운클러킹될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일 양상에서, OFDM 심볼들의 송신 또는 수신에 대해 1 MHz 대역폭이 이용되는 경우, 32 포인트 변환 모듈(304 또는 404)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톤들은 24개의 데이터 톤들, 2개의 파일럿 톤들, 5개의 가드 톤들 및 DC 톤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OFDM 심볼들의 송신 또는 수신에 대해 2 MHz 대역폭이 이용되는 경우, 64 포인트 변환 모듈(304 또는 404)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톤들은 52개의 데이터 톤들, 4개의 파일럿 톤들, 7개의 가드 톤들 및 DC 톤으로서 할당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OFDM 심볼들의 송신 또는 수신에 대해 4 MHz 대역폭이 이용되는 경우, 도 3 및 도 4의 64 포인트 변환 모듈(304 또는 404)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톤들은 108개의 데이터 톤들, 6개의 파일럿 톤들, 11개의 가드 톤들 및 3개의 DC 톤들로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 양상에서, OFDM 심볼들의 송신 또는 수신에 대해 8 MHz 대역폭이 이용되는 경우, 256 포인트 변환 모듈(304 또는 404)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톤들은 234개의 데이터 톤들, 8개의 파일럿 톤들, 11개의 가드 톤들 및 3개의 DC 톤들로서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대역폭들에 대한 톤들 사이의 간격은 31.25 KHz일 수 있다. 또한, 심볼 지속기간은 (숏 사이클릭 프리픽스들의 경우) 4 ㎲ 또는 (롱 사이클릭 프리픽스들의 경우) 8 ㎲인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포함하는 40 ㎲일 수 있다. 실외 지연 확산들을 수용하기 위해 더 긴 사이클릭 프리픽스가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사이클릭 프리픽스 오버헤드를 관리가능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큰 심볼 지속기간들이 요구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이 다운클러킹되는 양은 미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다운클러킹 팩터는 메모리(206) 또는 프로세서(204)에 저장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202)의 시작 시에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프로세서(204)는, 무선 디바이스(202)가 미리 결정된 또는 로딩된 다운클러킹 팩터에 따라 다운클러킹된 모드에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이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다운클러킹되는 양은 인시츄(in situ)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검출기(218)는 수신기(212)에 의해 수신된 비컨 또는 파일럿으로부터 다운클러킹 팩터를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이 팩터는, 디바이스의 시작 시에 또는 최초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때에 결정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의 핸드오프 동안 또는 무선 디바이스(202)가 새로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마다 새로운 팩터가 결정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미리 결정된 팩터는, 수신된 비컨 또는 파일럿에 기초하는 것과 같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변형 또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202)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위치 또는 디바이스가 접속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따라 상이한 대역폭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무선 디바이스(202)가 그 결정된 다운클러킹 팩터에 따라 다운클러킹된 모드에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다운클러킹된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영구적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의 컴포넌트들은 하드와이어될 수 있거나, 디바이스가 다운클러킹된 동작을 항상 수행하게 하는, 그 안에 설치된 펌웨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20 MHz, 40 MHz 및 80 MHz 채널 폭들에서 통신하지 못할 수 있다. 추가로, 이러한 양상들에서 다운클러킹의 팩터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들은, 오직 고정된 다운클러킹 팩터만을 구현하도록 제조 및/또는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20 MHz, 40 MHz 및 80 MHz 채널 폭들 중 임의의 채널 폭에서 동작될 수 있거나,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채널 폭에서 동작하도록 프로세서(204)에 의해 선택적으로 다운클러킹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서브-기가헤르쯔 범위(예를 들어, 900 MHz)에서 송신하는 경우, 반복 코딩이 구현되는 반복 모드가 이용될 수 있다. 반복 모드는, 너무 많은 프리앰블 오버헤드를 희생시키지 않고 긴 거리들에 걸쳐 정확한 송신을 허용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2x 반복 인코딩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복 인코딩은, 양호한 인-홈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105 dB만큼 적은 경로손실을 허용할 수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반복 코딩을 이용하지 않으면, 고객들은, 도달하기 곤란한 장소들에 더 높은 전력의 센서들을 설치해야 할 수 있다. 2가지 타입들의 센서들("도달하기 쉬운 장소들"을 위한 센서들 대 "도달하기 곤란한 장소들"을 위한 센서들)을 판매하는 것은 실용적이 아닐 수 있다. 게다가, 높은 전력의 센서들은, 피크 전류 소모(drain)에 기인하여 낮은 전력의 배터리들(예를 들어, 동전형 전지 배터리들)로는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반복없이 다수의 AP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AP들의 위치 및 구성을 선택하는 것은 평균적인 고객들에게 사소한 일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반복 코딩은, 센서 네트워크들과 같은 낮은 데이터 레이트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특정한 구현들에 대해 다양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일 양상에서, BPSK 레이트 ½ 코딩은, 4x 반복으로 이용되어 94 Kbps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BPSK 레이트 ½ 코딩은, 2x 반복으로 이용되어 188 Kbps를 도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BPSK 레이트 ½ 코딩이 이용되어 375 Kbps를 도출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서, 64 QAM 레이트 ¾ 코딩이 이용되어, 3.75 Mbps를 도출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1 MHz 모드 및 2 MHz 모드는 상호동작가능하도록 요구 및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요구된 모드들을 이용하는 것은, 디바이스들이 몇몇 규제적 지역들에 대해서는 구성될 수 있지만 다른 규제적 지역들에 대해서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들을 회피할 수 있고, 규제적 제약들이 변하여 덜 제한적인 통신들을 허용하면, 디바이스들이 더 많은 옵션들을 갖도록 허용할 수 있다. 셀룰러 오프로드(offload)를 위해 더 높은 대역폭들(예를 들어, 8 MHz)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대역폭들을 갖는 서브-기가헤르쯔 대역들에서 패킷들을 송신하는 경우, 프리앰블(702)은, 상이한 모드들 사이에서 검출할 프리앰블의 조기(early) 상태에서 견고한 모드 검출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프리앰블(702)은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도록 추가로 최적화될 수 있고, 1 MHz 모드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디바이스들 및 2 MHz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모드들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디바이스들의 적절한 공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리앰블(702)은, 1 MHz 송신들(32 포인트 FFT)과 2 MHz 송신들(64 포인트 FFT) 사이에서 검출할 프리앰블의 조기 상태에서 견고한 모드 검출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더 큰 거리들에 걸친 데이터의 송신을 허용하기 위해, 상이한 데이터 레이트들에 대한 송신을 위한 물리 계층 패킷(700)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계층 패킷(7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정규의" 데이터 레이트와 함께 낮은 데이터 레이트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도 8a는, 특정한 구현들에 따라 실질적으로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한 물리 계층 패킷(800a)의 프리앰블(802a) 및 페이로드(810a)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물리 계층 패킷(800a)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32개의 톤들을 갖는 OFDM 심볼을 송신하기 위한 32 포인트 FFT 모드에 따라 구성되는 변환 모듈(304)(도 3)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프리앰블(802a)은 숏 트레이닝 필드(STF)(804a)를 포함할 수 있다. STF(804a)는, 특정하게 선택된 주기성을 갖는 넌-제로 톤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넌-제로 값들의 서브세트를 갖는 공지된 값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넌-제로 톤들의 주기성은, 2 MHz와 같은 더 높은 대역폭들에서 이용되는 STF 시퀀스들에 대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STF 필드(804a)는 반복 코딩을 위해 예를 들어, 3 dB만큼 부스팅될(boosted) 수 있다. STF(804a)는 4개의 OFDM 심볼들에 걸쳐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심볼은 공지된 STF 시퀀스를 반복한다.
프리앰블(802a)은 롱 트레이닝 필드(LTF)(80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TF(806a)는 4개의 OFDM 심볼들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심볼에서 송신되는 LTF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LTF 시퀀스들은, 모든 파일럿 및 데이터 톤들에 대해 넌-제로 톤들에 대응하는 공지된 넌-제로 값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구현들에서, LTF 시퀀스들은 26개의 넌-제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a)은 시그널링 필드(SIG)(80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SIG 필드(808a)는 반복 코딩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SIG 필드(808a)는 2x 반복 코딩될 수 있다. 물리 계층 패킷(800a)은, 데이터에 대해 할당된 각각의 OFDM 심볼에서 24개의 톤들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페이로드(8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a)은, 낮은 레이트 또는 정규의 레이트 1 MHz 송신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리앰블(802a)은 단일 사용자 모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1 MHz 모드에 대한 SIG 필드(808a)는 2개의 심볼들일 수 있다. 일 구현에서, SIG 필드(808a)로의 엔트리들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엔트리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SIG 필드(808a)는 36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SIG 필드(808a)는 BPSK-레이트 ½ 반복 2x로 코딩될 수 있다.
필드 비트들 설명
공간 시간 코딩 블록 1 공간 시간 블록 코딩이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음
공간 스트림들의 수 2
숏 가드 인터벌 1
코딩 2 제 1 비트는 코딩 타입(LDPC/BCC)일 수 있는 한편, 제 2 비트는 LDPC Nsym 모호성에 관한 것일 수 있음
변조 코딩 방식(MCS) 4
어그리게이션 비트 1 AMPDU의 이용을 시그널링함
길이 9 어그리게이션이 온(on)인 경우 심볼들, 또는 어그리게이션이 오프(off)인 경우 바이트들일 수 있음. AMPDU는 511 바이트들보다 더 큰 패킷 사이즈들에 대해 요구될 수 있음
예비됨 6 MAC 비트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음
CRC 4
테일 6 BCC에 대해 요구될 수 있지만 더 적은 비트일 수 있음
도 8b는, 단일 사용자 모드에 따라 실질적으로 2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한 물리 계층 패킷(800b)의 프리앰블(802b) 및 페이로드(810b)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물리 계층 패킷(800b)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64개의 톤들을 갖는 OFDM 심볼을 송신하기 위한 64 포인트 FFT 모드에 따라 구성되는 변환 모듈(304)(도 3)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프리앰블(802b)은 숏 트레이닝 필드(STF)(804b)를 포함할 수 있다. STF(804b)는, 결정된 주기성을 갖는 64개의 톤들에 걸친 넌-제로 톤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넌-제로 값들의 서브세트를 갖는 공지된 값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넌-제로 톤들의 주기성은, 1 MHz 송신에 대해 이용되는 STF 시퀀스들에 대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b)은 롱 트레이닝 필드(LTF)(80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TF(806b)는 2개의 OFDM 심볼들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심볼에서 송신되는 LTF 시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LTF 시퀀스들은, 모든 파일럿 및 데이터 톤들에 대해 넌-제로 톤들에 대응하는 넌-제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구현들에서, LTF 시퀀스들은 56개의 넌-제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b)은 시그널링 필드(SIG)(80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IG 필드(808b)는 2개의 OFDM 심볼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SIG 필드(808b)의 2개의 OFDM 심볼들은 각각 QBPSK 로테이션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공간 스트림들이 이용되고 있으면, 프리앰블(802b)은, 이용되고 있는 추가적인 공간 스트림들 각각에 대해 추가적인 롱 트레이닝 필드들(LTF들)(816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보다 많이 존재하면, LTF(804b)는 제 1 공간 스트림에 대응할 수 있다). 물리 계층 패킷(800b)은, 데이터에 대해 할당된 각각의 OFDM 심볼에서 52개의 톤들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페이로드(8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b)은 단일 사용자 모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도 8c는, 다중 사용자 모드에 따라 2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한 물리 계층 패킷(800c)의 프리앰블(802c) 및 페이로드(810c)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리 계층 패킷(800c)은, 64개의 톤들을 갖는 OFDM 심볼을 송신하기 위한 64 포인트 FFT 모드에 따라 구성되는 변환 모듈(304)(도 3)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프리앰블(802c)은 숏 트레이닝 필드(STF)(804c)를 포함할 수 있다. STF(804c)는, 결정된 주기성을 갖는 64개의 톤들에 걸친 넌-제로 톤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넌-제로 값들의 서브세트를 갖는 공지된 값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넌-제로 톤들의 주기성은, 1 MHz 송신들에 대해 이용된 STF 시퀀스들에 대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c)은 롱 트레이닝 필드(LTF)(80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TF(806c)는 2개의 OFDM 심볼들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심볼에서 송신되는 LTF 시퀀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LTF 시퀀스들은 모든 파일럿 및 데이터 톤들에 대해 넌-제로 톤들에 대응하는 넌-제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LTF 시퀀스들은 몇몇 구현들에 따라 56개의 넌-제로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c)은 시그널링 필드(SIG)(80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IG 필드(808c)는 2개의 OFDM 심볼들로 형성될 수 있다. SIG 필드(808c)의 2개의 OFDM 심볼들 중 제 1 심볼은 QBPSK 로테이션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이것은, SIG 필드 심볼들 중 오직 하나만이 QBPSK 로테이션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패킷(800c)이 다중 사용자 모드 패킷인지 또는 단일 사용자 모드 패킷인지를 수신기가 검출하도록 허용한다. 프리앰블(802c)은, VHT-STF(very high throughput short training field)(81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HT-STF(814c)는 IEEE 802.11ac 송신들에 대해 이용되는 VHT-STF에 대응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c)은, 이용되고 있는 각각의 공간 스트림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VHT-LTF들(very high throughput long training fields)(816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VHT-LTF(816c)은 IEEE 802.11ac 송신들에 대해 이용되는 VHT-LTF들에 대응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c)은 VHT-SIG-B(very high throughput signal field)(81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HT-SIG-B(818c)는 IEE 802.11ac 송신들에 대해 이용되는 VHT-SIG-B에 대응할 수 있다. 물리 계층 패킷(800c)은, 데이터에 대해 할당된 각각의 OFDM 심볼에서 52개의 톤들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페이로드(8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802c)은 다중 사용자 모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32 포인트 모드(즉, 1 MHz)와 64 포인트 모드(2 MHz) 사이의 구별은, 32 및 64 톤 모드에 걸친 주파수에서 직교하는 LTF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또는 제 1 SIG 심볼 상에서 QBPSK 로테이션을 검출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2)는, 4 MHz, 8 MHz, 16 MHz 및 32 MHz에 대한 것과 같은, 2 MHz보다 큰 대역폭들에 걸친 송신을 위해 OFDM 심볼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2 MHz보다 큰 대역폭들에 걸쳐 OFDM 심볼들을 전송하는 경우, SIG 필드(808b)(도 8b)는 OFDM 심볼의 매 2 MHz 세그먼트마다 복제될 수 있고, 심볼의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다. SIG 필드에 대한 OFDM 심볼이 데이터에 대해 할당된 52개의 톤들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SIG 필드의 복제는 더 높은 대역폭들(4 MHz, 8 MHz, 16 MHz)을 위한 7개의 가드 톤들(심볼의 말단들 상에서 3개 및 4개의 톤들)을 남길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LTF(806b) 및/또는 SIG(808b) 필드들(도 8b)에 대해 추가적인 가드 톤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 MHz, 8 MHz 및 16 MHz 프리앰블 심볼들은, 40 MHz, 80 MHz 및 160 MHz의 802.11ac 송신들에 대해 이용되는 대응하는 심볼들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례로서, LTF(806b)는, OFDM 심볼이 각각 4 MHz, 8 MHz 및 16 MHz에 대한 것인지 여부에 따라, 40 MHz, 80 MHz 및 160 MHz 802.11ac 송신들에 대한 VHT-LTF들을 이용할 수 있다. 40 MHz, 80 MHz 및 160 MHz에 대한 VHT-LTF들이 11개의 가드 톤들(5/6)을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SIG(808b) 필드가 데이터에 대한 52개의 톤들을 할당받으면, 이 VHT-LTF들을 이용하는 것은, 각각의 엣지에서 2개의 톤들에 대한 채널 추정을 위한 넌-제로 값들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게다가, LTF(806b) 및 SIG(808b)가 52개의 데이터 톤들을 이용하여 송신되고 있으면(즉, 더 적은 가드 톤들을 가지면), 더 큰 대역폭들(4 MHz, 8 MHz 및 16 MHz)을 이용하여 심볼들이 송신되기 위한 더 엄격한 필터링 요건들이 존재할 수 있다. LTF가 52개의 넌-제로 톤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2 MHz 송신들에 대해 이용되는 LTF(802b)를 복제하는 것은, 이 문제들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할 수 있고, 따라서 동일한 가드 톤 문제가 남는다. 따라서, 최적화된 LTF(806b) 및 SIG(808b)는 2, 4 및 8 MHz 송신들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필드들은, IEEE 802.11ac 패킷들에 대해 이용되는 20, 40 및 80 MHz LTF 시퀀스들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일 구현에서,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2 MHz 패킷들의 경우, SIG 필드들(808b 및 808c)은, 패킷들(800b 및 800c)의 나머지 필드들과는 상이한 톤 할당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G 필드들(808b 및 808c)은 52개의 데이터 톤들보다는 48개의 데이터 톤들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802.11a 톤 할당의 L-SIG에 대해 이용되는 톤 할당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다음, 이 SIG 필드(808b 및 808c)는 2 MHz에 걸친 송신들을 위한 각각의 2 MHz 세그먼트에 대해 복제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STF들(804b 및 804c), LTF들(806b 및 806c) 및 SIG 필드들(808b 및 808c)은, 패킷의 나머지 필드들과는 상이한 톤 할당을 이용한 송신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F들(804b 및 804c), LTF들(806b 및 806c) 및 SIG 필드들(808b 및 808c)은 데이터에 대해 할당되는 48개의 톤들을 이용한 송신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2 MHz 모드에 대한 SIG 필드들(808b 및 808c)은 52개까지의 데이터 비트들을 송신하는 2개의 심볼들을 이용할 수 있다. SIG 필드들(808b 및 808c)로의 엔트리들은 아래의 표 2에 나타난 엔트리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음영되지 않은 처음 26개의 비트들은 제 1 심볼에 대응할 수 있는 한편, 음영된 마지막 26개의 비트들은 제 2 심볼에 대응할 수 있다. 아래의 표에는 52개의 데이터 비트들이 나타나지만,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구현들에서, SIG 필드들(808b 및 808c)은 48개의 데이터 톤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SIG 필드는 48개의 비트들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나의 대응하는 구현에서, 48개의 비트들이 전송 또는 수신되도록, 표 2에 나타난 예비된 비트들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필드 비트들 설명
대역폭 2 이것은 대역폭 모드를 나타낼 수 있음(예를 들어, 2 MHz, 4 MHz, 8 MHz 또는 16 MHz)
예비됨 1
공간 시간 블록 코딩 1 공간 시간 블록 코딩이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냄
Nsts/GID/AID 14 단일 사용자(SU) 모드의 경우 - 2 비트들이 Nsts를 나타낼 수 있고, 0-12 비트들이 부분적 AID를 나타낼 수 있음
다중 사용자(MU) 모드의 경우 - 8 비트들이 Nsts를, 6 비트가 GID를 나타낼 수 있음
예비됨 1
숏 가드 인터벌(SGI) 1
코딩 2 제 1 비트는 SU에 대한(또는 MU의 경우 사용자 제로에 대한) 코딩 타입을 나타낼 수 있는 한편, 제 2 비트는 LDPC Nsym 모호성에 대해 이용될 수 있음
변조 코딩 방식(MCS) 4 MU 모드의 경우, 처음 3개의 비트들은 사용자들 1-3에 대한 코딩 타입을 나타낼 수 있는 한편, 나머지는 예비됨
빔형성됨 1 SU 모드에서 빔형성 스티어링 행렬이 파형에 적용되는지 여부를 수신기에 나타낼 수 있음
어그리게이션 비트 1 MU를 위해 예비됨
길이 9 길이 필드(어그리게이션이 온인 경우 심볼들이고 어그리게이션이 오프인 경우 바이트들임)는, 패킷 사이즈들 > 511 바이트들인 경우 및 MU의 경우 AMPDU를 강제할 수 있음
예비됨 4 도플러 비트가 여기에 표시될 수 있음
미드앰블/도플러 1
CRC 4
테일 6 BCC에 대해 요구될 수 있음
일 양상에서, OFDM 무선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외부에서는 송신기의 발산들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MHz의 대역폭에 걸쳐 무선 신호를 통해 OFDM 심볼을 송신하는 경우,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1 MHz 대역의 엣지 근처 또는 그 외부에는 발산들(예를 들어, 전자기 방사)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영역들은 외측대역(outerband)로 지칭될 수 있고, 이러한 발산들은 외측대역 발산들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발산들은, 안테나(216)(도 2)에 무선 신호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전력 증폭기(308)(도 3)의 불완전성들 및 고조파들, 또는 다른 원인들의 결과일 수 있다. 외측대역과 중첩할 수 있는 상이한 주파수들에서의 다른 신호 송신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다양한 다른 이유들로 외측대역에서의 발산들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허용되는 발산들의 레벨을 특정하는 규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신호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다양한 규제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외측대역에서의 발산들에 대한 제한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발산들의 레벨은, 무선 신호의 전력이 주파수에 따라 어떻게 분산되는지의 레벨을 설명할 수 있는, 무선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에 의해 특성화 또는 측정될 수 있다. 즉,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일정 범위의 주파수들에 걸쳐 분산된 총 평균 전력을 설명할 수 있다. 송신기(210)는,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에 의해 표시되는 발산들의 레벨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신호를 전송하기에 바람직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은 0 dBr (즉, 신호의 최대 스펙트럼 밀도에 대해 0 dB) 대역폭으로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MHz OFDM 송신의 경우, 송신기(210)는, 중심 주파수 주위에 중심을 둔 0.9 MHz(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실질적으로 0 dBr이 되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0.9 MHz 범위 외부에서, 송신기(210)는, 중심 주파수로부터 상이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발산들을 제한 또는 감소시키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210)는,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특정한 양들만큼 감소되도록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실질적으로 0 dBr이 되도록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보다 큰 주파수들에서 0 dBr보다 작도록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주파수로부터 ±0.55 MHz보다 더 먼 주파수들에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20 dBr보다 작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고 나타낼 바와 같이, 송신기(210)는,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55 MHz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2개의 오프셋들 ±0.45 MHz와 ±0.55 MHz 사이의 차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서의 하락양, 즉, -20 dBr에 의해 정의되는 함수에 의해 정의되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보다 먼 주파수들에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28 dBr보다 작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송신기(210)는, ±0.55 MHz 내지 ±1 MHz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그 2개의 오프셋들 ±0.55 MHz와 ±1 MHz 각각 사이의 차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서의 하락양, 즉, -8 dBr의 함수가 되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먼 주파수들에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40 dBr보다 작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송신기(210)는, ±1 MHz 내지 ±1.5 MHz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그 2개의 오프셋들 ±1 MHz와 ±1.5 MHz 각각 사이의 차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서의 하락양, 즉, -12 dBr의 함수가 되도록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3
송신기(210)는, 1 MHz에 대한 임계치들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심볼들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표 3에서 앞서 나타낸 임계치들에 따르도록,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심볼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1 MHz 심볼들을 참조하여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기(210)는, 표 3에 나타낸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그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차 및 표 3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서의 하락양의 함수가 되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플롯이다. 도 9의 플롯은 표 3의 값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a, 10b, 10c, 10d 및 10e는, 일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0a, 10b, 10c, 10d 및 10e의 마스크들에 도시된 임계치들의 포인트들은 상기 표 3에 정의된 임계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마스크는, 앞서 설명되고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가 중심 주파수로부터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 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0a의 마스크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임계치들 사이의 라인을 따라 선형인 포인트들로 정의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0.45 MHz 내지 0.55 MHz에서, 송신기(210)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0.45 MHz와 0.55 MHz 사이의 라인 상에 나타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들을 따라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0a의 임계값들에 의해 정의되는 라인들 아래에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0b, 10c, 10d 및 10e에 각각 도시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 아래에 있도록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심볼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전력 송신기 디바이스들은 -40 dBr을 충족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일반적인 값들이 허용될 수 있다. 0 dBm 송신에 대해 -40 dBr 레벨을 가정하면, 1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5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0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2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3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3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4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6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6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8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2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16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24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이 1 MHz 심볼들 및 2 MHz 심볼들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리고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임계치들에 따르도록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송신기(210)는, 표 4에 나타낸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표 4에 정의된 바와 같이,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차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서의 하락양의 함수이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4
도 11은,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플롯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계치들에 대응할 수 있다.
저전력 송신기 디바이스들은 -40 dBr을 충족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일반적인 값들이 허용될 수 있다. 0 dBm 송신에 대해 -4 dBr 레벨을 가정하면, 1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2.5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0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2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3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3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4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6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6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8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2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그리고 16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24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한다.
도 12a, 12b, 12c 및 12d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및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2a, 12b, 12c 및 12d의 마스크들에 도시된 임계치들의 포인트들은 상기 표 4에 정의된 임계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마스크는, 앞서 설명되고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가 중심 주파수로부터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1 MHz 및 2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 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2a의 마스크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임계치들 사이의 라인을 따라 선형인 포인트들로 정의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0.9 MHz 내지 1.1 MHz에서, 송신기(210)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0.9 MHz와 1.1 MHz 사이의 라인 상에 나타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들을 따라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2a의 임계값들에 의해 정의되는 라인들 아래에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2b, 12c 및 10d에 각각 도시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 아래에 있도록 4 MHz, 8 MHz 및 16 MHz 심볼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것은, 1 MHz 심볼들을 송신하기 위한 요건들을 완화할 수 있고, 이것은 개선된 그리고/또는 단순화된 송신 회로를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하락시키는 제 1 임계치에 대한 주파수 오프셋을 완화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송신기(210)는, 아래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임계치를 충족시키도록,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 3과는 대조적으로, 주파수 오프셋은, 0.55 MHz로부터 0.6 MHz로 제 1 기울기로 이동될 수 있어서, 1 MHz 마스크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완화된 1 MHz 마스크들은, 상기 표 3에 따른 마스크들에 비해 이웃 1 MHz 채널에서의 간섭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1 MHz 및 2 MHz 송신들 모두에 대해 더 양호하게 이용될 전력 증폭기 백오프(backoff)들을 허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5
도 13은, 표 5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도 14a, 14b, 14c, 14d 및 14e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4a, 14b, 14c, 14d 및 14e의 마스크들에 도시된 임계치들의 포인트들은 상기 표 5에 정의된 임계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4a에 도시된 마스크는, 앞서 설명되고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가 중심 주파수로부터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 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4a의 마스크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임계치들 사이의 라인을 따라 선형인 포인트들로 정의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0.45 MHz 내지 0.6 MHz에서, 송신기(210)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0.45 MHz와 0.6 MHz 사이의 라인 상에 나타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들을 따라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4a의 임계값들에 의해 정의되는 라인들 아래에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4b, 14c, 14d 및 14e에 각각 도시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 아래에 있도록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심볼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것은, 1 MHz 심볼들을 송신하기 위한 요건들을 완화할 수 있고, 이것은 개선된 그리고/또는 단순화된 송신 회로를 허용할 수 있다.
저전력 송신기 디바이스들은 -40 dBr을 충족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일반적인 값들이 허용될 수 있다. 0 dBm 송신에 대해 -40 dBr 레벨을 가정하면, 1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5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0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2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3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3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4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6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6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8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2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16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24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210)는, 표 5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것에 추가하여 1 MHz에 대한 요건들을 완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아래의 표 6에서 설명되는 임계치들보다 작도록,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 5와는 대조적으로, 주파수 오프셋은, 0.55 MHz로부터 0.6 MHz로 이동될 수 있고, 0.45 MHz 주파수 오프셋은 0.4 MHz로 제 1 기울기로 이동될 수 있어서, 1 MHz 마스크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0 dBr로부터 -20 dBr로 하락하는 경우 (1 MHz로부터 16 MHz까지의) 모든 마스크들이 동일한 제 1 기울기를 갖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완화된 1 MHz 마스크들은, 상기 표 3에 따른 마스크들에 비해 이웃 1 MHz 채널에서의 간섭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것은 1 MHz 및 2 MHz 송신들 모두에 대해 더 양호하게 이용될 전력 증폭기 백오프들을 허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6
도 15는, 표 6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도 16a, 16b, 16c, 16d 및 16e는, 표 6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6a, 16b, 16c, 16d 및 16e의 마스크들에 도시된 임계치들의 포인트들은 상기 표 6에 정의된 임계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6a에 도시된 마스크는, 앞서 설명되고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가 중심 주파수로부터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 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6의 마스크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임계치들 사이의 라인을 따라 선형인 포인트들로 정의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0.4 MHz 내지 0.6 MHz에서, 송신기(210)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0.4 MHz와 0.6 MHz 사이의 라인 상에 나타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들을 따라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6a의 임계값들에 의해 정의되는 라인들 아래에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6b, 16c, 16d 및 16e에 각각 도시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 아래에 있도록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심볼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것은, 1 MHz 심볼들을 송신하기 위한 요건들을 완화할 수 있고, 이것은 개선된 그리고/또는 단순화된 송신 회로를 허용할 수 있다.
저전력 송신기 디바이스들은 -40 dBr을 충족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일반적인 값들이 허용될 수 있다. 0 dBm 송신에 대해 -40 dBr 레벨을 가정하면, 1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5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0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2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3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3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4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6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6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8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2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16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24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0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아래의 표 7에서 정의된 임계치들에 따르도록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심볼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들과는 대조적으로, -45 dBr은 최외측 주파수 영역에 있는 것으로 요구될 수 있다. 괄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울기로, 0.55 MHz 주파수 오프셋은 0.6 MHz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0.45 MHz 주파수 오프셋은 0.4 MHz로 이동될 수 있어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1 MHz 마스크를 느슨하게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7
도 17은, 표 7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의 예시적인 송신 제한들에 대한 다른 플롯이다.
도 18a, 18b, 18c, 18d 및 18e는, 표 7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MHz,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OFDM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스펙트럼 마스크들의 도면들이다. 도 18a, 18b, 18c, 18d 및 18e의 마스크들에 도시된 임계치들의 포인트들은 상기 표 7에 정의된 임계치들에 대응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마스크는, 앞서 설명되고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가 중심 주파수로부터 다양한 주파수 오프셋들에서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 값들을 정의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8의 마스크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오프셋들 사이의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임계치들 사이의 라인을 따라 선형인 포인트들로 정의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1 MHz 내지 1.5 MHz에서, 송신기(210)는, 최대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1 MHz와 1.5 MHz 사이의 라인 상에 나타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들을 따라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8a의 임계값들에 의해 정의되는 라인들 아래에 있도록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210)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도 18b, 18c, 18d 및 18e에 각각 도시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 제한들 아래에 있도록 2 MHz, 4 MHz, 8 MHz 및 16 MHz 심볼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전력 송신기 디바이스들은 -45 dBr을 충족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일반적인 값들이 허용될 수 있다. 5 dBm 송신에 대해 -45 dBr 레벨을 가정하면, 1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5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5 dBr 및 -40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2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3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5 dBr 및 -43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4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6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5 dBr 및 -46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8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12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5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하고; 그리고 16 MHz 채널의 경우, 송신 스펙트럼은, 24 MHz 주파수 오프셋 및 그보다 큰 오프셋에서 -45 dBr 및 -49 dBm/MHz의 최대값을 가져야 한다.
외측대역 주파수들에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에 대한 제한들에 추가하여, 송신기(210)에 의해 추가적인 최대 송신 스펙트럼 평탄화 편차들(flatness deviations)이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PSK 변조된 서브캐리어의 평균 성상도 에너지 Ei,avg가 정의될 수 있다. 대안적인 변조 기술들을 이용한 변조된 서브캐리어들의 다른 평균 성상도 에너지들이 또한 고려된다. 아래의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역폭에 따른 인접 송신에서, 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들 각각은, 서브캐리어들의 평균 성상도 에너지 Ei,avg가, 아래의 표 8에 평균 서브캐리어 인덱스들로 나열된 서브캐리어 인덱스들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표 8에 나타난 최대 값들보다 더 많이 벗어나지 않도록 송신기(21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210)는, 인덱스들 -8 내지 -1 및 +1 내지 +8을 갖는 서브캐리어들(즉, 톤들)에 대한 최대 편차가, 인덱스들 -8 내지 -1 및 +1 내지 +8을 갖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4 dB가 되는 한편, 인덱스들 -13 내지 -9 및 +9 내지 +13을 갖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최대 편차가, 인덱스들 -8 내지 -1 및 1 내지 8을 갖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4/-6 dB가 되도록 1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2 MHz, 4 MHz, 8 MHz 및 16 MHz에 대한 톤 인덱스들 및 대응하는 최대 편차들은 아래의 표 8에 나타낸 것들에 대응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8
따라서, 송신기(210)는, 서브-캐리어에 대한 전력 변동에서의 편차를 표 8에 기술된 최대 편차보다 실질적으로 작거나 그와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력 레벨들 및 다른 송신 특성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210)는 복제(DUP)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2 MHz DUP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송신기(210)는 신호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2 MHz 송신을 복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송신기(210)는, 2개의 복제된 2 MHz 송신들을 포함하는 4 MHz 대역폭을 갖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 모드에 따르면, 8 MHz 송신은 4개의 복제된 2 MHz 송신들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이 모드에 따르면, 16 MHz 송신은 8개의 복제된 2 MHz 송신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송신기(210)는, 2 MHz DUP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변동들에서의 편차를 최대 편차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유지하기 위해 전력 레벨들 및 다른 송신 특성들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변조된 서브캐리어의 평균 성상도 에너지 Ei,avg가 정의될 수 있다. 아래의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역폭에 따른 인접 송신에서, 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들 각각은, 서브캐리어들의 평균 성상도 에너지 Ei,avg가, 아래의 표 9에 평균 서브캐리어 인덱스들로 나열된 서브캐리어 인덱스들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표 9에 나타난 최대 값들보다 더 많이 벗어나는 것을 송신기가 방지하게 구성되도록, 송신기(21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210)는 4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인덱스들 -42 내지 -33, -31 내지 -6, +6 내지 +31 및 +33 내지 +42를 갖는 서브캐리어들(즉, 톤들)에 대한 최대 편차를, 인덱스들 -42 내지 -33, -31 내지 -6, +6 내지 +31 및 +33 내지 +42를 갖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4 dB가 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송신기(210)는, 인덱스들 -58 내지 -43 및 +43 내지 +58을 갖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최대 편차를, 인덱스들 -42 내지 -33, -31 내지 -6, +6 내지 +31 및 +33 내지 +42를 갖는 서브캐리어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4/-6 dB가 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8 MHz 및 16 MHz에 대한 톤 인덱스들 및 대응하는 최대 편차들은, 송신기(210)가 특정된 바와 같은 최대 편차를 유지하게 구성되도록 아래의 표 9에 나타낸 것들에 대응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09
일 양상에서, 표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2 MHz DUP 모드에 대한 4 MHz 송신에 대해 최대 편차를 적용하기 위한 톤 인덱스들과, 4 MHz 송신에 대해 최대 편차를 적용하기 위한 톤 인덱스들 사이의 차는, 복제가 톤 할당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MHz가 다수의 가드 톤들을 가질 수 있다면, 복제된 2 MHz 송신들을 포함하는 송신은 데이터/파일럿 톤들 사이에 과도한 가드 및 DC 톤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편차들을 적용하기 위한 톤 인덱스들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210)는 1 MHz DUP 모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송신기(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전체 대역폭의 각각의 1 MHz 부분에 대해 1 MHz 송신들을 복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송신기(210)는, 2개의 복제된 1 MHz 송신들을 포함하는 2 MHz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210)는, 4개의 복제된 1 MHz 송신들을 포함하는 4 MHz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8 MHz 및 16 MHz에 대해서도 유사하다. 따라서, 송신기(210)는, 1 MHz DUP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변동들에서의 편차를 최대 편차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유지하기 위해 전력 레벨들 및 다른 송신 특성들을 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변조된 서브캐리어의 평균 성상도 에너지 Ei,avg가 정의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역폭에 따른 인접 송신에서, OFDM 심볼의 서브캐리어들 각각은, 서브캐리어들의 평균 성상도 에너지 Ei,avg가, 아래의 표 10에 평균 서브캐리어 인덱스들로 나열된 서브캐리어 인덱스들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표 10에 나타난 최대 값들보다 더 많이 벗어나는 것을 송신기가 방지하게 구성되도록, 송신기(21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210)는 2 MHz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인덱스들 -15 내지 -3 및 +3 내지 +15를 갖는 서브캐리어들(즉, 톤들)에 대한 최대 편차를, 인덱스들 -15 내지 -3 및 +3 내지 +15를 갖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4 dB가 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송신기(210)는, 인덱스들 -29 내지 -17 및 +17 내지 +29를 갖는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최대 편차를, 인덱스들 -15 내지 -3 및 +3 내지 +15를 갖는 서브캐리어에 대한 Ei,avg의 평균으로부터 실질적으로 +4/-6 dB가 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4 MHz, 8 MHz 및 16 MHz에 대한 톤 인덱스들 및 대응하는 최대 편차들은, 송신기(210)가 특정된 바와 같은 최대 편차를 유지하게 구성되도록 아래의 표 10에 나타낸 것들에 대응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8269006-pct00010
유사하게, 2 MHz DUP 모드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것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1 MHz DUP 모드에 대한 2 MHz 송신에 대해 최대 편차를 적용하기 위한 톤 인덱스들과, 2 MHz 송신에 대해 최대 편차를 적용하기 위한 톤 인덱스들 사이의 차는, 복제가 톤 할당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MHz가 다수의 가드 톤들 및 DC 톤을 가질 수 있다면, 복제된 1 MHz 송신들을 포함하는 송신은 다른 데이터/파일럿 톤들 사이에 과도한 가드 및 DC 및 데이터 톤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편차들을 적용하기 위한 톤 인덱스들은 상이할 수 있다.
표 8, 9 및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 및/송신기는 "평균 서브캐리어들"에 대한 전체 전력 평균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속적으로, 송신기(210) 및/또는 프로세서는, 각각의 개별적인 서브캐리어에 대한 평균 전력을 최대 편차보다 실질적으로 작거나 그와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력 레벨들 및 다른 송신 특성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몇몇 실시예들에서, 해상도 및 비디오 대역폭들에 대한 대역폭이 정의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해상도 및 비디오 대역폭들은 각각 10 kHz 및 3 kHz일 수 있다.
도 19는, 패킷을 생성하고 이를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900)의 흐름도이다. 패킷들은 AP(104) 또는 STA(106)에서 생성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100)의 다른 노드에 송신될 수 있다. 방법(1900)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엘리먼트들을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구현하기 위해 다른 컴포넌트들이 이용될 수 있음을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블록(1902)에서,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쳐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해 패킷이 생성된다. 이 생성은, 예를 들어,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을 이용하여, 프로세서(204) 및/또는 DSP(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1904)에서, 패킷은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된다. 송신기(210)는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킷은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고, 송신기(210)는,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도록 무선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5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55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다.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다. 추가로, 몇몇 양상들에서, 송신기(210)의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로세서(2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0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20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보다 더 많은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음을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도시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2000)는, 특정한 구현들의 몇몇 지배적 특징들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그러한 컴포넌트들만을 포함한다. 디바이스(2000)는, 무선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생성 모듈(2002)을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서,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생성 모듈(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 모듈(2002)은, 도 19의 블록(1902)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0)는, 생성 모듈(2002)로부터의 출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2004)을 더 포함한다. 송신 모듈(2004)은, 도 19에 도시된 블록(1904)에 대해 앞서 설명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모듈(2004)은 송신기(210)에 대응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 모듈(2004)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듈(2004)은, 성상도 맵퍼, 변조기, IDFT(도 3에 대해 앞서 설명된 IFFT(304) 또는 이산 시간 푸리에 역변환 모듈),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증폭기, 안테나 및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2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2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보다 더 많은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음을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디바이스(2100)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21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2102)은, 도 19의 블록(19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모듈(2102)은 수신기(212)에 대응할 수 있고, 증폭기(40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수신 모듈(2102)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0)는, 무선 신호를 평가하기 위한 디코딩 모듈(2104)을 더 포함한다. 디코딩 모듈(2104)은, 도 19에 도시된 블록(190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되는 패킷들의 디코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평가하기 위한 수단은 디코딩 모듈(210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정"은 광범위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은 계산, 컴퓨팅, 프로세싱, 유도, 검사, 검색(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검색),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선택, 선정,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채널 폭"은 특정한 양상들에서 대역폭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지칭되는 구문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전술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상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유형의(tangible)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한 순서가 규정되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또는 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특정한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및/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이 또한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들은 적용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획득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다운로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들(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저장 수단들을 디바이스에 커플링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전술한 것과 정확히 같은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기본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 및 추가적 양상들이 고안될 수 있고, 이들의 범위는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상기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해 생성됨―;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제 2 패킷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이용하여 2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해 생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전력 밀도를 갖는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제 2 중심 주파수의 ±0.9 MHz 내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0.9 MHz 내지 1.1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0.9 MHz 내지 -1.1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1 MHz 내지 2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1 MHz 내지 -2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2 MHz 내지 3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2 MHz 내지 -3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3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제 2 패킷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이용하여 4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해 생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전력 밀도를 갖는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제 2 중심 주파수의 ±1.9 MHz 내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9 MHz 내지 2.1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9 MHz 내지 -2.1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2.1 MHz 내지 4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2.1 MHz 내지 -4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4 MHz 내지 6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4 MHz 내지 -6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6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제 2 패킷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이용하여 8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해 생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전력 밀도를 갖는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제 2 중심 주파수의 ±3.9 MHz 내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3.9 MHz 내지 4.1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3.9 MHz 내지 -4.1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4.1 MHz 내지 8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4.1 MHz 내지 -8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8 MHz 내지 12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8 MHz 내지 -12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2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2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제 2 패킷을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패킷은,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이용하여 16 MHz의 대역폭에 걸친 송신을 위해 생성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전력 밀도를 갖는 상기 제 2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제 2 패킷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제 2 중심 주파수의 ±7.9 MHz 내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7.9 MHz 내지 8.1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7.9 MHz 내지 -8.1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8.1 MHz 내지 16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8.1 MHz 내지 -16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6 MHz 내지 24 MHz 및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6 MHz 내지 -24 MHz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24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FDM 심볼은 3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고, 24개의 서브캐리어들이 데이터를 위해 이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10 kHz 해상도 대역폭 및 3 kHz 비디오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상기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40 dB/MHz 및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대해 -40 dBr의 최대값에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3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43 dB/MHz 및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대해 -40 dBr의 최대값에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6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46 dB/MHz 및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대해 -40 dBr의 최대값에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12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49 dB/MHz 및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대해 -40 dBr의 최대값에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신호의 상기 제 2 중심 주파수로부터 ±24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49 dB/MHz 및 상기 제 2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대해 -40 dBr의 최대값에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해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해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이용하여 1 MHz의 대역폭에 걸친 무선 신호를 통한 송신을 위해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무선 신호를 통해 상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의 ±0.45 MHz 내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있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45 MHz 내지 -0.6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0.6 MHz 내지 -1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0 dBr보다 작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 MHz 내지 -1.5 MHz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28 dBr보다 작고;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1.5 MHz보다 큰 주파수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상기 제 1 전력 스펙트럼 밀도 레벨에 비해 -40 dBr보다 작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47034188A 2012-05-07 2013-05-07 서브 기가헤르쯔 대역 송신을 위한 특수한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73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3512P 2012-05-07 2012-05-07
US61/643,512 2012-05-07
US201361757883P 2013-01-29 2013-01-29
US61/757,883 2013-01-29
US13/887,848 2013-05-06
US13/887,848 US20130343433A1 (en) 2012-05-07 2013-05-06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PCT/US2013/039917 WO2013169750A1 (en) 2012-05-07 2013-05-07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special spectral masks for transmission sub gigahertz ba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541A KR20150018541A (ko) 2015-02-23
KR102073834B1 true KR102073834B1 (ko) 2020-02-05

Family

ID=4847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188A KR102073834B1 (ko) 2012-05-07 2013-05-07 서브 기가헤르쯔 대역 송신을 위한 특수한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30343433A1 (ko)
EP (1) EP2848049B1 (ko)
JP (1) JP6262210B2 (ko)
KR (1) KR102073834B1 (ko)
CN (1) CN104272818B (ko)
BR (1) BR112014027672B1 (ko)
CA (1) CA2869186C (ko)
ES (1) ES2606385T3 (ko)
HK (1) HK1203269A1 (ko)
HU (1) HUE031101T2 (ko)
PH (1) PH12014502318B1 (ko)
RU (1) RU2621690C2 (ko)
WO (1) WO2013169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8511B2 (en) 2012-05-07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CN104521172B (zh) 2012-05-24 2017-09-22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在远程无线局域网中的频域重复
US9820239B2 (en) * 2014-06-20 2017-11-14 Apple Inc. Power allocation for encoded bits in OFDM systems
US10355956B2 (en) * 2015-10-30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Spectral masking for wideb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ransmissions
DE102016014375B4 (de) * 2016-12-03 2018-06-21 Diehl Metering Systems Gmbh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Übertragungsqualität zwischen einem Datensammler und einer Mehrzahl autonomer Messeinheiten sowie Kommunikationssystem
KR102366020B1 (ko) * 2017-03-14 202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863456B2 (en) * 2017-10-11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communicating via sub-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2600192B1 (ko) * 2020-11-10 2023-1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드앰블을 이용한 채널 판단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1910332B2 (en) * 2020-11-18 2024-02-2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configuring a spectral mask
RU210172U1 (ru) * 2021-02-15 2022-03-30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Абонентская спутниковая станция для работы с многолучевыми спутниками-ретрансляторами с высокой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47682B (zh) * 2006-04-10 201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字用户线收发器发送功率谱密度整形方法
US8811293B2 (en) * 2006-05-18 2014-08-19 Lenovo (Singapore) Pte. Ltd. Optimizing communications throughput in a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s channel topologies
US8780936B2 (en) * 2006-05-22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acquis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80025254A1 (en) * 2006-07-25 2008-01-31 Motorola Inc Spectrum emission level variation in schedul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4435216B2 (ja) * 2007-07-19 2010-03-17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端末
US8086258B2 (en) * 2007-09-28 2011-12-27 Ntt Docomo, Inc. Base station, receiving device, mobile terminal, and frequency sharing method
US9031006B2 (en) * 2008-03-13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guard band as data subcarrier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frequency overlay
US8274885B2 (en) * 2008-10-03 2012-09-25 Wi-Lan,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distribution in VHF/UHF bands
KR101473758B1 (ko) * 2008-11-28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릴레이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US9655002B2 (en) * 2009-04-13 2017-05-16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US8855131B2 (en) * 2010-04-05 2014-10-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determina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Huang Chen et al, "Propsoed TGac Draft Amendment", IEEE 802.11-10/1361r3, January 2011(2011.01.18.)*
Hongyuan Zhang et al, "11ah Data Transmission Flow", IEEE 802.11-11/1484, November 2011(2011.11.07.)*
Minyoung Park, "Proposed Specification Framework for TGah", EEE 802.11-11/1137r5, January 2012(2012.01.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7672A8 (pt) 2021-06-22
JP2015522977A (ja) 2015-08-06
BR112014027672A2 (pt) 2017-06-27
BR112014027672B1 (pt) 2022-08-16
HK1203269A1 (en) 2015-10-23
EP2848049A1 (en) 2015-03-18
CA2869186A1 (en) 2013-11-14
PH12014502318A1 (en) 2015-01-12
ES2606385T3 (es) 2017-03-23
US20130343433A1 (en) 2013-12-26
RU2014149209A (ru) 2016-06-27
KR20150018541A (ko) 2015-02-23
EP2848049B1 (en) 2016-08-31
WO2013169750A1 (en) 2013-11-14
HUE031101T2 (en) 2017-06-28
PH12014502318B1 (en) 2015-01-12
CN104272818B (zh) 2018-08-31
CN104272818A (zh) 2015-01-07
RU2621690C2 (ru) 2017-06-07
CA2869186C (en) 2021-06-01
JP6262210B2 (ja)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834B1 (ko) 서브 기가헤르쯔 대역 송신을 위한 특수한 스펙트럼 마스크들을 적용하는 장치 및 방법
US96674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US90885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long data units
CN106797292B (zh) 用于无线通信的高效资源分配
US89232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long data units
JP6224083B2 (ja) スペクトル平坦度を保証するサブギガヘルツ帯域中でのワイヤレス通信のための装置
WO20130067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ing doppler effect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131550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long data units
US201400789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