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49B1 -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49B1
KR102073549B1 KR1020180038187A KR20180038187A KR102073549B1 KR 102073549 B1 KR102073549 B1 KR 102073549B1 KR 1020180038187 A KR1020180038187 A KR 1020180038187A KR 20180038187 A KR20180038187 A KR 20180038187A KR 102073549 B1 KR102073549 B1 KR 10207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access device
jurisdiction
address informati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309A (ko
Inventor
오정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4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04L61/15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Abstract

본 발명은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기술)을 실현하는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ACCESS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댁내에 설치되는 액세스장치의 세션 연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댁 내에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장치(Access Device)를 설치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가정(댁) 내에 설치된 액세스장치는,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댁 내에 설치된 셋탑박스(Set-top Box)와 같은 수신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에 활용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무선단말에 대해서 무선 통신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된다.
더 나아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을 기반으로 고성능/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액세스장치 역시 SDN/NFV 기반의 IPTV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SDN/NFV 기반의 액세스장치(이하, SDN/NFV 단말)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의 SDN/NFV 단말은, 세션 연결의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사전에 내부 메모리에 기 저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최적 컨트롤러장치와의 세션을 연결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만약에, SDN/NFV 단말이 세션을 연결해야 하는 컨트롤러장치가 바뀌거나 같은 컨트롤러장치라도 주소정보(IP)가 변경되는 경우, 설치/운영자가 해당 SDN/NFV 단말의 내부에 저장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수정/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 컨트롤러장치와의 세션을 연결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이는, 현재까지의 SDN/NFV 단말의 수가 설치/운영자의 인력으로 통제할 수 있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SDN/NFV 단말의 수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는 그 개수가 방대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에는 SDN/NFV 단말의 수가 설치/운영자의 인력으로 통제할 수 없는 수준의 방대한 개수로 늘어날 것인데,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SDN/NFV 단말이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는,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 지정된 접속 방식을 통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하는 컨트롤러문의부; 및 상기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방식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의 특정 도메인 네임(Domain 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되는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는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각 관할지역 별로 구축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각 액세스장치 별로 설치된 관할지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액세스장치로부터 상기 문의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에 구축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응답 형태로 회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재부팅되는 경우 또는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삭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마다 상기 액세스장치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비교하여, 검색된 무선단말의 변경율이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지역변경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역변경식별부는,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장 최근의 단말검색이력을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전달하여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 형태로 변경 확인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상기 액세스장치로부터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최근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으로 회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각 세션연결 관할지역 별로 구축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각 액세스장치 별로 설치된 관할지역에 대한 정보 및 단말접속이력을 관리하며, 상기 액세스장치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과는 다른 특정 관할지역에 설치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이 임계 개수 이상이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관할지역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가 담당하는 관할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액세스장치로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됨을 통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 지정된 접속 방식을 통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하는 컨트롤러문의단계; 및 상기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 방식은, DNS 서버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의 특정 도메인 네임(Domain 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되는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는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재부팅되는 경우 또는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삭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마다 상기 액세스장치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비교하여, 검색된 무선단말의 변경율이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지역변경식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역변경식별단계는,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장 최근의 단말검색이력을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전달하여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 형태로 변경 확인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상기 액세스장치로부터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최근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으로 회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가 담당하는 관할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액세스장치로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됨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자신이 설치된 지역의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 연결이 가능해짐으로써, 액세스장치에서 제공하는 통신서비스(예: IPTV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 설치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계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 설치 환경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들이 설치되는 환경은, 각 관할지역(AREA #1,#2,#3,#4,...) 별로 해당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컨트롤러장치(#1,#2,#3,#4,...)가 구축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관할지역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극히 일부일 뿐이며 전국 규모에 달하는 수 많은 관할지역이 존재할 수 있고,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관할지역 별로 설치된 액세스장치로서 3개~5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극히 일부일 뿐이며 수 많은 액세스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액세스장치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가정(댁) 내에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가정(댁) 내에 설치된 액세스장치는,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컨텐츠를 댁 내에 설치된 셋탑박스(Set-top Box)와 같은 수신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에 활용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무선단말에 대해서 무선 통신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된다.
더 나아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을 기반으로 고성능/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액세스장치 역시 SDN/NFV 기반의 IPTV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SDN/NFV 기반의 액세스장치(이하, SDN/NFV 단말)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SDN/NFV 단말은, 네트워크 상에 인접해 있는 장비 즉 컨트롤러장치와의 세션을 연결해야만 한다.
이때, 각 SDN/NFV 단말은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하고, 이 세션을 기반으로 인터넷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현재(기존)의 SDN/NFV 단말에는, 세션 연결의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가 사전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기존의 SDN/NFV 단말은, SDN/NFV 단말이 설치된 관할지역의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내부에 기 저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최적 컨트롤러장치와의 세션을 연결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만약에, SDN/NFV 단말이 다른 관할지역으로 이동/설치되는 등의 이유로 세션을 연결해야 하는 최적 컨트롤러장치가 바뀌거나 같은 컨트롤러장치라도 주소정보(IP)가 변경되는 경우, 설치/운영자가 해당 SDN/NFV 단말의 내부에 저장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수정/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 컨트롤러장치와의 세션을 연결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이는, 기존의 SDN/NFV 단말 수가 설치/운영자의 인력으로 통제할 수 있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SDN/NFV 단말의 수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는 설치/운영자의 인력으로 통제할 수 없는 수준의 방대한 개수로 늘어날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방대한 개수로 늘어난 SDN/NFV 단말을 기존처럼 최적 컨트롤러장치와의 세션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치/운영자의 인력으로 통제하는 방식은, 불합리하며 사실 상 유지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예: SDN/NFV 단말)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세스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세스장치(100)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각 가정(댁)에 설치되는 액세스장치들, 각 관할지역 별로 구축되는 컨트롤러장치(#1,#2,#3,#4,...), 그리고 DNS(Domain Name System) 서버(200),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 가정(댁)에 설치되는 액세스장치들은, 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을 의미한다.
컨트롤러장치(#1,#2,#3,#4,...)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할지역(AREA #1,#2,#3,#4,...) 별로 구축되어, 해당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한다.
DNS서버(200)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대해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특정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및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예: IP)를 매핑하여,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는 액세스장치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예: IP)를 응답해 줄 수 있다.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할지역(AREA #1,#2,#3,#4,...) 별로 구축된 컨트롤러장치(#1,#2,#3,#4,...)의 주소정보(예: IP)를 관리하며, 각 액세스장치 별로 설치된 관할지역에 대한 정보(이하, 관할지역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모든 액세스장치들은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초기에 가입/등록/인증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기본적인 가입자정보(예: 이름, 연락처, 주소 등)과 액세스장치의 기기식별정보(예: 장치번호, Mac Address 등)이 사업자 측 서버에 등록/관리된다.
이에,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전술의 서비스 사업자 측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모든 액세스장치들에 대하여 각 액세스장치의 기기식별정보(Mac Address)를 DB에 저장하고 각 액세스장치가 어떤 관할지역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즉 관할지역 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각 액세스장치 별로 단말접속이력을 더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각 액세스장치로부터 기 정의된 주기 마다 보고되는 단말접속이력을 수신하여, 각 액세스장치 별로 단말접속이력을 DB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는, 해당 액세스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검색되는 무선단말 중, 해당 액세스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요구되는 패스워드를 입력 및 인증을 거쳐 해당 액세스장치에 접속된 무선단말 만이 속해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 지정된 접속 방식을 통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한다.
여기서, 접속 방식은, DNS서버(200)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특정 도메인 네임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고, DNS서버(200)로부터 응답되는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접속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대해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즉, 액세스장치(100)는,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DNS서버(200)로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한다.
이렇게 되면, DNS서버(200)는,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는 액세스장치(100)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예: IP)를 응답해 줄 것이다.
액세스장치(100)는, DNS서버(200)로부터 응답되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접속한 후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한다.
이렇게 되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는, 관리하고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에 구축된 컨트롤러장치 예컨대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이 도 1의 AREA #1이라면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응답 형태로 액세스장치(100)에 회신해 줄 것이다.
액세스장치(100)는,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수신/획득되면, 획득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고정된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 만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의/응답 과정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 AREA #1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수신/획득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는,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액세스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앞서 획득하여 저장/보유하고 있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는, 액세스장치(100)가 재부팅되는 경우 또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삭제되면, 액세스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을 것이므로, 다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세션 연결을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획득하기 위한 전술의 과정을 수행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판단부(110), 컨트롤러문의부(120), 세션연결부(1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지역변경식별부(14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DNS서버(200),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 컨트롤러장치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1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액세스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액세스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액세스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판단부(110)는,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11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시점에, 액세스장치(100) 내부 메모리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가 저장/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문의부(120)는,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 지정된 접속 방식을 통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트롤러문의부(120)는,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DNS서버(200)로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한다.
이렇게 되면, DNS서버(200)는,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는 액세스장치(100)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예: IP)를 응답해 줄 것이다.
컨트롤러문의부(120)는, DNS서버(200)로부터 응답되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접속한 후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한다.
이렇게 되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는, 관리하고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에 구축된 컨트롤러장치 예컨대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이 도 1의 AREA #1이라면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응답 형태로 액세스장치(100)에 회신해 줄 것이다.
세션연결부(130)는, 컨트롤러문의부(120)의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획득되면, 획득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한다.
예컨대, 세션연결부(130)는, 전술의 예시와 같이 컨트롤러문의부(120)의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수신/획득되면, 획득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연결부(130) 즉 액세스장치(100) 및 컨트롤러장치 #1 간에 세션을 연결하는 절차는, 기존의 세션 연결 절차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고정된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 만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의/응답 과정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 AREA #1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획득하고 최적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수신/획득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는,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액세스장치(100) 내 판단부(11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액세스장치(100) 내부 메모리에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저장/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것이며, 세션연결부(130)는 보유하고 있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이용하여 즉시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는, 액세스장치(100)가 재부팅되는 경우 또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삭제되는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재부팅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액세스장치(100)가 재부팅되는 경우, 액세스장치(100)는 자신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액세스장치(100) 내 판단부(11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이에, 액세스장치(100) 내 컨트롤러문의부(120) 및 세션연결부(130)는, 전술의 문의/응답 과정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재 획득 및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액세스장치(100)는, 재부팅되는 경우, 이전 획득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하고 재부팅된 이후 다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에, 만약 액세스장치(100)가 재부팅된 후에도 이전과 동일한 관할지역 AREA #1에 위치하여 세션을 연결해야 하는 컨트롤러장치가 바뀌지 않았다면, 액세스장치(100)는 이전과 동일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획득하여 컨트롤러장치 #1와 세션을 연결할 것이다.
한편, 만약 액세스장치(100)가 회수된 후 다른 관할지역 예컨대 AREA #3에 설치 및 재부팅되어 세션을 연결해야 하는 최적 컨트롤러장치가 바뀐 경우라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 내에서 관리되는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정보 역시 사업자 측 서버와의 연동을 기반으로 업데이트(변경)될 것이므로, 액세스장치(100)는 바뀐 관할지역 AREA #3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 #3의 주소정보(예: IP)를 획득할 것이고, 컨트롤러장치 #3과 세션을 연결할 것이다.
다음,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자신이 관리하는 컨트롤러장치 중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특정 컨트롤러장치가 담당하는 관할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액세스장치로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됨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컨트롤러장치로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변경되는 경우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특정 컨트롤러장치 즉 컨트롤러장치 #1가 담당하는 관할지역 AREA #1에 설치된 다수의 액세스장치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가 변경됨을 통지하는 것이다.
이에,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를 수신하게 되는 관할지역 AREA #1 내 각 액세스장치(100)는, 액세스장치(100) 자신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액세스장치(100) 내 판단부(11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이에, 액세스장치(100) 내 컨트롤러문의부(120) 및 세션연결부(130)는, 전술의 문의/응답 과정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재 획득 및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전 획득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하고 다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에,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지역(관할지역 AREA #1)이 바뀌지 않아 세션을 연결해야 하는 컨트롤러장치가 컨트롤러장치 #1로 같더라도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IP)가 변경된 경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 내에서 관리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IP)가 업데이트(변경)되어 있으므로, 액세스장치(100)는 동일 관할지역 AREA #1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 #1의 변경된 주소정보(예: IP)를 획득할 것이고,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것이다.
다음,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액세스장치(100) 특히 지역변경식별부(14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마다, 액세스장치(100)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비교하여, 검색된 무선단말의 변경율이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이면 액세스장치(100)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지역변경식별부(14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예: 2시간, 24시간, 1주일 등) 마다, 모니터링 시간 동안 액세스장치(100)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생성하여 이전 모니터링 시간에 생성했던 단말검색이력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검색이력에는, 해당 액세스장치에 패스워드를 입력 및 인증을 거쳐 접속한 무선단말 외에도, 해당 액세스장치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여 검색되는 모든 무선단말이 속해있을 것이다.
지역변경식별부(140)는, 단말검색이력을 비교한 결과, 검색된 무선단말의 변경율이 기 정의된 임계치(예: 50%) 이상이면 액세스장치(100)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역변경식별부(140)는, 액세스장치(100)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장 최근의 단말검색이력 즉 금번 모니터링 시간에 생성한 단말검색이력을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전달하여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액세스장치 별로 단말접속이력을 관리하고 있다.
이에,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로부터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가 수신되면, 금번 문의 수신 시 전달된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AREA #1과는 다른 특정 관할지역에 설치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이 임계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예컨대, 특정 관할지역 AREA #3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 10개가,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속해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는, 관할지역 AREA #3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장치에 패스워드를 입력 및 인증을 거쳐 접속한 무선단말, 즉 관할지역 AREA #3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가정(댁) 내 거주하는 서로 다른 구성원(사용자)의 무선단말 10개가, 최근 액세스장치(1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AREA #1과는 다른 특정 관할지역(예: AREA #3)에 설치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이 임계 개수(예: 10개) 이상인 것으로 파악하면,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이 AREA #1에서 AREA #3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이 AREA #1에서 AREA #3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하면, 액세스장치(100)에 대하여 관리하고 있는 관할지역 정보를 특정 관할지역 예컨대 AREA #3으로 업데이트하며, 아울러 확인 결과로서 변경 확인을 문의에 따른 응답으로 액세스장치(100)에 회신할 수 있다.
지역변경식별부(140)는,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에 따른 응답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회신되면, 응답 내 확인 결과가 변경 확인인 경우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한 액세스장치(100)는, 액세스장치(100) 자신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액세스장치(100) 내 판단부(11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이에, 액세스장치(100) 내 컨트롤러문의부(120) 및 세션연결부(130)는, 전술의 문의/응답 과정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재 획득 및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액세스장치(100)는, 액세스장치(100)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 이전 획득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하고 다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에, 액세스장치(100)가 AREA #3에 설치되어 세션을 연결해야 하는 최적 컨트롤러장치가 바뀐 경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 내에서 관리되는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정보가 이미 AREA #1에서 AREA #3로 업데이트되어 있으므로, 액세스장치(100)는 바뀐 관할지역 AREA #3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 #3의 주소정보(예: IP)를 획득할 것이고, 컨트롤러장치 #3과 세션을 연결할 것이다.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고정된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 만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의/응답 과정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획득 및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100)는,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이 바뀌어 최적 컨트롤러장치가 바뀌거나 같은 컨트롤러장치라도 주소정보(IP)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재 획득 및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액세스장치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획득 및 세션을 연결하는 전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DNS서버(200)에 대한 정보 및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대한 변경되지 않고 고정되는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S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시점에, 액세스장치(100) 내부 메모리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가 저장/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S20단계 판단 결과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S20 No), 기 지정된 접속 방식을 통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한다(S30,S40).
액세스장치(100)는,S30,S40단계에서 DNS서버(200)에 대한 정보 및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을 이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S20 No), DNS서버(200)로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한다(S30).
이렇게 되면, DNS서버(200)는,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는 액세스장치(100)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예: IP)를 응답해 줄 것이다(S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DNS서버(200)로부터 응답되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접속한 후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한다(S40).
이렇게 되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는, 관리하고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에 구축된 컨트롤러장치 예컨대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이 도 1의 AREA #1이라면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응답 형태로 액세스장치(100)에 회신해 줄 것이다(S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획득되면(S60), 획득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한다(S70).
예컨대, 액세스장치(100)는, 전술의 예시와 같이 S40의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수신/획득되면, 획득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S7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액세스장치(100)가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의 고정된 특정 도메인 네임(예: hostname) 만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문의/응답 과정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 AREA #1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획득하고 최적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수신/획득한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는,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액세스장치(100) 내부 메모리에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가 저장/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것이며(S20 Yes), 보유하고 있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이용하여 즉시 컨트롤러장치 #1과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S7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는, 액세스장치(100)가 재부팅되는 경우 또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80,S90).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재부팅되는 경우(S80 Yes), 자신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할 것이다(S90).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S20 No).
이에, 액세스장치(100)는, 전술의 문의/응답 과정(S30~S60)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재 획득(S60) 및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S70).
또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S80 Yes), 자신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할 것이다(S90).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S20 No).
이에, 액세스장치(100)는, 전술의 문의/응답 과정(S30~S60)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재 획득(S60) 및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S70).
또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S80 Yes), 자신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할 것이다(S90).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간헐적으로 세션 연결이 요구되는 다음 시점에,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S20 No).
이에, 액세스장치(100)는, 전술의 문의/응답 과정(S30~S60)을 거쳐 자신이 설치된 관할지역에서 세션 연결을 담당하는 가장 인접한 최적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예: IP)를 재 획득(S60) 및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다(S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S100 No), 전술의 S20단계 이후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할 것이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액세스장치에 보유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삭제되는 경우 중,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예: 2시간, 24시간, 1주일 등) 마다, 모니터링 시간 동안 액세스장치(100)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생성하여 이전 모니터링 시간에 생성했던 단말검색이력과 비교할 수 있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단말검색이력을 비교한 결과 검색된 무선단말의 변경율이 기 정의된 임계치(예: 50%) 이상이면(S120 Yes) 액세스장치(100)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액세스장치(100)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장 최근의 단말검색이력 즉 금번 모니터링 시간에 생성한 단말검색이력을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에 전달하여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S130).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각 관할지역(AREA #1,#2,#3,#4,...) 별로 구축된 컨트롤러장치(#1,#2,#3,#4,...)의 주소정보(예: IP) 및 각 액세스장치 별로 설치된 관할지역에 대한 관할지역 정보, 각 액세스장치 별로 단말접속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로부터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가 수신되면, 금번 문의 수신 시 전달된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금번 문의 수신 시 전달된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과 각 관할지역별 액세스장치의 무선단말접속이력을 비교한다(S140).
이에,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S140단계의 비교 결과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AREA #1과는 다른 특정 관할지역에 설치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이 임계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150).
예컨대, 특정 관할지역 AREA #3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 10개가,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속해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AREA #1과는 다른 특정 관할지역(예: AREA #3)에 설치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이 임계 개수(예: 10개) 이상인 것으로 파악하면(S150 Yes),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이 AREA #1에서 AREA #3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160).
그리고,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이 AREA #1에서 AREA #3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하면, 확인 결과로서 변경 확인을 문의에 따른 응답으로 액세스장치(100)에 회신할 수 있다(S160).
아울러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이 AREA #1에서 AREA #3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하면, 액세스장치(100)에 대하여 관리하고 있는 관할지역 정보를 이전 관할지역 AREA #1에서 특정 관할지역 예컨대 AREA #3으로 업데이트할 것이다(S1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에 따른 응답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회신되면, 응답 내 확인 결과가 변경 확인인 경우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할 수 있다(S80 Yes).
이에,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한 액세스장치(100)는, 액세스장치(100) 자신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삭제할 것이다(S90).
한편,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S150단계에서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 AREA #1과는 다른 특정 관할지역에 설치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이 임계 개수(예: 10개)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파악하면(S150 No), 액세스장치(100)의 관할지역이 미 변경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155).
이 경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은, 확인 결과로서 미 변경 확인을 문의에 따른 응답으로 액세스장치(100)에 회신할 수 있다(S155).
이 경우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액세스장치(100)는, 컨트롤러 정보시스템(300)로부터 회신되는 응답 내 확인 결과가 미 변경 확인인 경우 액세스장치(100)가 설치된 관할지역 미 변경으로 식별하고(S80 No), 액세스장치(100) 자신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보유되는 컨트롤러장치 #1의 주소정보(예: IP)를 저장/보유 상태로 지속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방안)을 실현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자신이 설치된 지역의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 연결이 가능해짐으로써, 액세스장치에서 제공하는 통신서비스(예: IPTV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방대한 수의 액세스장치가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설치/운영자의 인력 관여 없이도, 각 액세스장치가 최적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액세스장치
110 : 판단부 120 : 컨트롤러문의부
130 : 세션연결부 140 : 지역변경식별부

Claims (16)

  1.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 지정된 접속 방식을 통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하는 컨트롤러문의부;
    상기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부;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마다 액세스장치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역변경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식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의 특정 도메인 네임(Domain 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되는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각 관할지역 별로 구축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각 액세스장치 별로 설치된 관할지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액세스장치로부터 상기 문의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에 구축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응답 형태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재부팅되는 경우 또는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변경식별부는,
    상기 모니터링 시간 마다 상기 액세스장치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비교하여, 검색된 무선단말의 변경율이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변경식별부는,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장 최근의 단말검색이력을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전달하여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 형태로 변경 확인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상기 액세스장치로부터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최근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으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각 세션연결 관할지역 별로 구축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각 액세스장치 별로 설치된 관할지역에 대한 정보 및 단말접속이력을 관리하며,
    상기 액세스장치의 최근 단말검색이력 내에,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과는 다른 특정 관할지역에 설치된 액세스장치의 단말접속이력에 속해 있는 무선단말이 임계 개수 이상이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관할지역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가 담당하는 관할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액세스장치로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됨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
  10.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보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 지정된 접속 방식을 통해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세션을 연결할 컨트롤러장치를 문의하는 컨트롤러문의단계;
    상기 문의에 따른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획득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장치와 세션을 연결하는 세션연결단계;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마다 액세스장치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역변경식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방식은,
    DNS 서버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의 특정 도메인 네임(Domain Name)에 대한 주소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DNS 서버로부터 응답되는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접속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재부팅되는 경우 또는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으로부터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 변경 통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이 식별되는 경우에,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변경식별단계는,
    상기 모니터링 시간 마다 상기 액세스장치 주변에서 검색되는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검색이력을 비교하여, 검색된 무선단말의 변경율이 기 정의된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변경식별단계는,
    상기 액세스장치의 설치 지역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가장 최근의 단말검색이력을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에 전달하여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 형태로 변경 확인이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가 설치된 관할지역 변경으로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상기 액세스장치로부터 관할지역 변경 여부 문의가 수신되면, 상기 액세스장치의 최근 단말검색이력을 근거로 상기 액세스장치의 관할지역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를 상기 문의에 따른 응답으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정보시스템은,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가 담당하는 관할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액세스장치로 상기 특정 컨트롤러장치의 주소정보가 변경됨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38187A 2018-04-02 2018-04-02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7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87A KR102073549B1 (ko) 2018-04-02 2018-04-02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87A KR102073549B1 (ko) 2018-04-02 2018-04-02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09A KR20190115309A (ko) 2019-10-11
KR102073549B1 true KR102073549B1 (ko) 2020-03-02

Family

ID=6821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187A KR102073549B1 (ko) 2018-04-02 2018-04-02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2583A (ja) 2019-10-31 2021-05-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995A (ja) * 2003-02-19 2004-09-09 Canon Inc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JP2006295961A (ja) * 2006-05-29 2006-10-26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
JP2012217131A (ja) * 2011-03-30 2012-11-08 Casio Comput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63628B1 (ko) * 2015-04-27 2016-10-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995A (ja) * 2003-02-19 2004-09-09 Canon Inc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JP2006295961A (ja) * 2006-05-29 2006-10-26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
JP2012217131A (ja) * 2011-03-30 2012-11-08 Casio Comput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63628B1 (ko) * 2015-04-27 2016-10-0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무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09A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77736B2 (en) Pdu type setting method, ue policy setting method, and related entity
US20240114080A1 (en)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Edge Node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US20180046445A1 (en) Transferring operating environment of registered network to unregistered network
CN111970315A (zh) 推送消息的方法、装置及系统
GB2612917A (en) Firmware management for IOT devices
WO2018064848A1 (zh) 家用电器的配网方法、系统、家用电器和移动终端
US10250677B1 (en) Decentralized network address control
KR20190049874A (ko) 웹 페이지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디바이스
US105819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a connected device connection
CN107104958B (zh) 管理私有云设备的方法、私有云和公有云设备及存储装置
JP6364160B2 (ja) メニュー制御方法、メニュー制御装置およびメニュー制御プログラム
US20200287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publish/subscribe services
US20230164234A1 (en) Service continuity event no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40032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ping gateway in device management system
KR102073549B1 (ko)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CN110611690B (zh) 主核心设备重选的方法、远程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2022504548A (ja) クラウドデグレードモードにおいてデバイス動作信頼性を継続的に確保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2995723A (zh) 一种epg数据管理方法、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CN106792843B (zh) 一种设备管理方法及装置
US20150282121A1 (en) Local resource sharing method of machine to machine component and apparatus thereof
KR20060124174A (ko) 중앙 인증 서버의 장애시 중앙 인증 서버로부터 로컬 동적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서버로 인증을 전환하는 시스템 및방법
CN105208435B (zh) Iptv系统中的数据处理方法及网元设备
KR102030599B1 (ko) 액세스장치 및 액세스장치의 동작 방법
US11853560B2 (en) Conditional role decision based on source environments
US11924030B2 (en) Client device configuration based on client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