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15B1 -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15B1
KR102073515B1 KR1020190051152A KR20190051152A KR102073515B1 KR 102073515 B1 KR102073515 B1 KR 102073515B1 KR 1020190051152 A KR1020190051152 A KR 1020190051152A KR 20190051152 A KR20190051152 A KR 20190051152A KR 102073515 B1 KR102073515 B1 KR 10207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fine particles
blade
clean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세형
황원태
Original Assignee
강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세형 filed Critical 강세형
Priority to KR102019005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8B1/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recipitator including a clean module to clean fine particles collected in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formed in the electric precipitator by using a cleaning liquid; and a method for cleaning the electric precipitat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rging unit (100)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ing electrodes (120); a dust collecting unit (200) which is installed in a back side of the charging unit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for collecting the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unit (100); and the cleaning module (300) which removes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The cleaning module (300) includes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spraying bodies (300) which are installed between neighboring dust collecting electrodes, and are moved while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cleaning blade units (340)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leaning liquid spraying bodies (300) and are formed to wipe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neighboring dust collecting electrodes.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e to maintain high precipitation efficiency.

Description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 오염원인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집진기에 형성된 다수의 집진극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세척액으로 적신 다음 닦아낼 수 있도록 형성된 세척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전기집진기 및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 method for clean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removing fine particles that are air pollutants, including fine dust using static electricity, and more particularly, to wash fine particles collected in a plurality of precipitators formed 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t relates to an electric precipitator and a method for clean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ovided with a cleaning module formed so as to be wiped and wiped with.

요즘 공장, 발전소 자동차 및 가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오염물질을 비롯하여, 중국으로부터 유입되는 황사와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들로 인해 대기오염이 더욱 심해지고 있고, 이는 각종 호흡기 질환을 비롯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Nowadays, air pollution from factories, power plants, automobiles, and homes, as well as pollutants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coming from China, is becoming more severe, which has a devastating effect on human body including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Can give

이와 같은 대기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미세먼지 등을 비롯한 대기 오염원인 미세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In order to solve such air pollu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effectively remove the fine particles, such as air pollution sources.

그 중 하나로 필터를 적용한 집진장치가 있는데, 이는 잦은 필터의 교환이 요구되고, 필터로 인한 공기의 흐름에 배압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대용량의 공기를 정화시키는데 문제가 있다.One of them is a dust collector using a filter, which requires frequent replacement of the filter, and a large amount of back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flow of air due to the filter, which causes a problem of purifying a large amount of air.

다른 원리의 널리 사용되는 집진장치로는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가 있다. 전기집진기는 하전부(荷電部)에서 대기 오염원인 미세입자에 전기적인 부하를 가하고, 대전된 미세입자를 집진부(集塵部)에서 포집되도록 하여 대기 오염원인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A widely used dust collector of another principle i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an apparatus that applies an electrical load to the fine particles as air pollutants at the charged portion and collects the charged fine particles at the dust collector to remove the fine particles as air pollutants.

전기집진기의 포집 성능을 유지하기 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집진부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고, 포집된 입자의 제거 방식에 따라 건식 전기집진기(dry ESP)와 습식 전기집진기(wet ESP)로 구분할 수 있다. In order to maintain the collection performanc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o continuously use i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dry ESP and wet ESP according to the removal method of the collected particles. ).

건식 전기집진기는 기계적인 충격이나 진동을 가해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방식인데, 건식 전기집진기에서는 포집된 입자를 제거할 때, 미세먼지 등의 입자가 재비산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Dry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a method of removing the collected microparticles by applying a mechanical shock or vibration, in the dry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en removing the collected particles,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particles such as fine dust re-spread.

습식 전기집진기는 등록특허공보 제10-145557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집진부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포집되는 미세입자들이 집진부의 집진극에 고착화되지 않고, 흐르는 수막에 의해 연속적으로 씻겨 내려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습식 전기집진기는 집진부의 집진극에 지속적으로 수막을 이루는 세척액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세척액을 순환시키더라도 부피가 큰 세척액 저장조가 필요하고, 에너지 소비도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척액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누전의 위험 등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진극 전체에 균일하게 수막을 형성하는 것도 어려워 대용량의 집진기에서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As the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show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555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 water film is formed by forming a water film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ortion, and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are not fixed to the dust collecting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portion, It is configured to be washed down continuously by. However, the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requires a large volume of the wash solution reservoir even when the wash solution is circulated because the wash solution continuously forming the water film is supplied to the dust collector of the dust collector. 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solution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circulate, there is a problem that is always exposed to the risk of leakage. In addition, it is also difficult to form a water film uniformly throughou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improve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in a large-capacity dust collector.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55570호(2014.10.29. 공고)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455570 (2014.10.29. Notification)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막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집진을 하고,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할 때에는 적은 양의 세척액을 사용하여 포집된 미세입자를 적신 다음, 이를 직접 제거할 수 있는 세척모듈을 구성하여, 집진극을 세척할 때 미세입자의 재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집진극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효과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집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dust is collected in the state that does not form a water film, when removing the collected microparticles to wet the collected microparticles using a small amount of washing liquid, and then directly remove the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plash of the fine particles when cleaning the dust collector, and to effectively clean and clean the micro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to maintain a high dust collection performance To provide.

또한, 상기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세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o provide a cleaning method us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는 미세입자를 대전시키는 다수의 방전극(120)을 포함하는 하전부(100)와, 상기 하전부(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전부(100)을 통과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을 포함하는 집진부(200), 및 상기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세척모듈(300)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세척모듈(300)은 이웃하는 집진극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세척액 분사체(300) 및 상기 각 세척액 분사체(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웃하는 집진극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닦아낼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각 세척액 분사체(300)는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에 세척액을 분사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각 세척 블레이드부(340)는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액이 분사된 미세입자를 닦아내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ge unit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120 for charging the fine particles, and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charge unit 100 And a dust collecting uni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charged part 100, and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It includes a washing module 300 for removing the fine particles. At this time, the cleaning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and each of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installed between the neighboring dust collecting poles, and collected in the neighboring dust collecting poles It includes a plurality of washing blades 340 formed to wipe the fine particles, wherein each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is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To move, each of the cleaning blade unit 340 may be formed to wipe off the fine particles sprayed with the cleaning liquid.

또한, 상기 각 세척 블레이드부(34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blade unit 34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mpressed air injectors 35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의 최외측은 각각 절연 성능을 갖는 제1, 2 절연 집진극(241, 242)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 일측의 제2 집진극(242)에는 집진 감지센서(27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re formed of first and second insulating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1 and 242 having insulation performance, respectively, and one of the second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2. ),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may be coupled.

또한, 상기 집진 감지센서(270)는 근적외선 센서이며, 상기 근적외선 센서는 발광부 및 적외선 필터가 부착된 포토트랜지스터로 형성된 수광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may be a near infrared sensor, and the near infrared sensor may include a light receiving unit formed of a phototransistor with a light emitting unit and an infrared filter.

또한,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는 집진극에 접촉되어 있으며, 이동하면서 집진극에 포집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블레이드(34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blade unit 340 is in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pole, and may include a blade 342 for removing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ole while moving.

또한, 상기 블레이드(342)는 상기 블레이드(342)의 상부에 존재할 수 있는 세척액이 상기 블레이드(342)의 전후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342)의 길이가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342 has a length of the blade 342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so that the cleaning liquid that may be present on the top of the blade 342 flows back and forth of the blade 342 It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하전부(100)의 전방에는 전방도어부(40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부(200)의 후방에는 후방도어부(40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도어부(400)와 후방도어부(500)에는 각각 전방도어(420) 및 후방도어(5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 front door part 400 is further formed at the front of the charged part 100, and a rear door part 400 is further formed at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part 200, and the front door part (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may be formed in the 400 and the rear door part 500,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세척방법은 전기집진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세척액 분사체(300)로부터 세척액을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에 분무하고 상기 세척액 분사체(300)를 이동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상기 세척액 분사체(300)와 함께 이동시키며,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세척액이 분무된 미세입자를 닦아내면서 제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cleaning method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llecting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Spraying the particles and moving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and moving the washing blade unit 340 together with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The cleaning liquid may include a third step of wiping off the sprayed fine particles.

또한, 상기 제3 단계 수행한 후,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남아있는 세척액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로부터 압축공기를 상기 집진극(240)에 분사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이동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in order to dry the cleaning liquid remaining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from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And a fourth step of moving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또한, 상기 제1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집진 감지센서(270)를 이용하여 상기 집전극(240, 241, 242)의 세척이 필요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 사이에, 상기 전방도어(420)와 후방도어(520)를 닫는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전방도어(420)와 후방도어(520)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performing the first step, using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to determine whether the cleaning state of the collecting electrode (240, 241, 242) is necessary,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Between the steps of closing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and after performing the fourth step, opening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There may be.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는,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 입자를 제거할 때, 세척액 분사체(330)에서 포집된 미세입자에 세척액을 분사하고,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세척액이 분사된 상기 미세입자를 직접 닦아내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을 보다 효과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높은 집진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on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by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leaning blade portion ( Since the cleaning liquid is formed to directly wipe the fine particles injected while moving 340,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can be more effectively and cleanly cleaned, and the advantages of maintaining high dust collecting efficiency continuously.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는, 집진극(240, 241, 242)을 세척할 때에만,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종래의 습식 전기집진기보다 현저히 적은 양의 세척액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세척액 저장부 또한 작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전기집진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pray the washing liquid only wh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re washed, and it is possible to use a much smaller amount of the washing liquid than the conventional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this reason, since the washing solution storage unit can also be configured sm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n be further miniaturized.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는,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빠른 시간 내에 집진극(240, 241, 242)에 잔류하는 세척액을 건조시킬 수 있어, 누전 위험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진 기능 작동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praying the compressed air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can dry the cleaning liquid remaining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in a short time,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leakage In addition to this, it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dust collection operation time.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는,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에 세척액을 분사한 후에 제거하고, 전, 후방 도어(420, 520)를 닫은 상태에서 세척을 하므로, 집진부 세척시 미세입자가 외부로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after spra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poles 240, 241, 242, and the front, the rear doors (420, 520) to wash, so the dust collec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fine particles from being scattered to the outside during washing.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는, 집진 감지센서(270)를 통해 집진극(240)에 포집되는 미세입자의 양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세척 필요 여부을 제어하도록 하여, 전기집진기의 집진 및 세척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through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and controls whether or not cleaning is necessary, thereby collecting and clean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configured to do it automatically.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는, 집진을 할 때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집진극(240, 241, 242)으로 집진을 하며, 세척을 할 때 소량의 세척액을 공급하면 충분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전기집진기라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without using a filter when collecting dust, and it is sufficient to supply a small amount of washing liquid when washing, and thus semi-permanent operation is possible. There is an advantage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기집진기.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집진부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집진부 및 세척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세척모듈의 부분개략도
(a) 정면도 (b)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모듈의 부분단면도.
1 is a conventional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dust collector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ea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schematic view of the clea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b) top view
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집진부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집진부 및 세척모듈이 결합된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dust collector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clea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입자를 대전시키는 다수의 방전극(120)을 포함하는 하전부(100), 상기 하전부(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전부(100)을 통과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을 포함하는 집진부(200); 및 상기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세척모듈(300)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charge part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120 for charging microparticles, and behind the charge part 100. A dust collecting part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which collect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charged part 100; And a cleaning module 300 for removing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이 때, 상기 하전부(100)의 전방에는 전방도어부(4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집진부(200)의 후방에는 후방도어부(5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ront door part 400 may be formed at the front of the charged part 100, and the rear door part 500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part 200.

상기 전방도어부(400)는 전방도어 프레임(410)과 전방도어(42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후방도어부(500)는 후방도어 프레임(510)과 후방도어(52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전방도어(420)와 후방도어(520)는 집진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ront door part 400 may include a front door frame 410 and a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part 500 may include a rear door frame 510 and a rear door 520. have.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by a controller (not shown) of the dust collector.

상기 하전부(100)는 하전부 프레임(110)과 상기 하전부 프레임(110)에 설치된 다수의 방전극(1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charged part 100 may include a charged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120 provided on the charged frame 110.

상기 방전극(120)은 종래기술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전압 인가장치(미도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방전극(120)을 통과하는 미세입자는 (-)전하로 대전된다. The discharge electrode 12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 discharge by applying a high voltage from a high voltage applying device (not shown) as shown in the prior art, the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electrode 120 is charged with a negative charge .

이 때, 상기 하전부 프레임(110)과 방전극(120)은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전기 절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frame 110 and the discharge electrode 120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so that a short circuit does not occur.

상기 집진부(2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판으로 형성된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이 형성되어 있다. The dust collector 200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s 2 and 3,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formed of a plate is formed.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도 고전압 인가장치(미도시)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전극으로 형성된다.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re also applied with a high voltage from a high voltage applying device (not shown) to form a positive electrode.

따라서, 상기 방전극(120)을 통과하면서 (-)전하로 대전된 미세입자는 집진극(240, 241, 242)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전극인 집진극(240, 241, 242)의 표면에 포집된다. 이러한 전기집진기의 원리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refore, the fine particles charged with the negative charge whil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electrode 120 pass between the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the surfaces of the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which are positive electrodes. Is collected. Since the principl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a well-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집진극(240, 241, 242)는 각 집진극이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집진극 간극 유지부(28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도 2에서는 봉 형태의 간극 유지부(280)를 이용하여 각 집진극(240, 241, 242) 사이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구성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may b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gap holding part 280 such that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embodiment configur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is shown.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최외곽에 형성된 하나의 집진극(242)에는 상기 집진극(242)에 형성된 집진 감지센서 결합구(242a)에 집진 감지센서(27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llecting sensor sensor coupling hole 242a formed at the dust collecting pole 242 at on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2 form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Can be.

상기 집진 감지센서(270)를 통해 이웃한 집진극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파악하고,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집진극(240, 241, 242)의 세척 필요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may determine whether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need cleaning by grasping the fine particles attached to the surfaces of neighboring dust collecting electrodes and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상기 집진 감지센서(270)는 집진극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세입자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면 충분한데, 본 발명에서는 그 한 예로 근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may be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ine particl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o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ar-infrared sensor may be used.

상기 근적외선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는 파장 800nm인 적외선을 발광하는 LED를 사용할 수 있고, 수광부는 적외선 필터가 부착된 포토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The near infrared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and a light receiving part.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may use an LED emitting an infrared ray having a wavelength of 800nm,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phototransistor with an infrared filter.

상기 근적외선 센서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한 출력광이 집진극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되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검출전압을 표시하게 된다.The near-infrared sensor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output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part from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returns the detected voltage.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압력을 측정하여 미세입자가 포집된 정도를 표시할 수 있지만, 상기 근적외선 센서는 광의 진행경로 상에 미세입자가 많이 존재할 경우에 수광부에서 검출전압이 낮아지는 점을 이용하여 세척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집진극에 이미 충분히 많은 미세입자가 포집되어 있다면, 집진극은 더 이상 집진극을 통과하는 미세입자의 대부분을 포집할 수 없고, 반사광의 진행 경로인 집진극 사이에는 미세입자가 많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반사광의 진행 경로 상에 많은 미세입자가 존재하게 되고 수광부에서의 검출전압은 낮아지게 될 것이다. The detection pressure may be measured in various ways to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the fine particles are collected, but the near-infrared sensor needs to be cleaned by using a low detection voltage at the light receiving unit when a large number of fine particles are present on the light path. Can be determined. That is, if a sufficient amount of fine particles are already collected in the collecting electrode, the collecting electrode can no longer collect most of the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electrode, and there are many fine particles present between the collecting electrodes, which are the paths of the reflected light. Will be. Therefore, in this case, many fine particles will be present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reflected light and the detection voltage 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will be lowered.

한편, 근적외선 센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조건 및 구성을 갖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near-infrared senso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may have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having different conditions and configurations.

상기 집진극(240, 241, 242)들은 모두 절연 집진극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 양측에 구비된 집진극을 제1, 2 절연 집진극(241, 242)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may all be formed as an insulating dust collecting po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provid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dust collecting electrodes ( 241, 242 may be formed.

상기 집진극의 상부에는 집진극(240, 241, 242)의 상부를 덮을 수 있고,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집진극 상부지지체(2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pole 240 ma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a dust collecting upper support body 220 formed to be supported may be formed.

이 때, 상기 집진극 상부지지체(220)와 집진극(240, 241, 242)사이에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 상부커버(23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between the dust collector upper support 220 and the dust collectors 240, 241, and 242, a dust collector upper cover 230 may be additionally formed as shown in FIGS. 2 and 3.

상기 집진극 상부커버(23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전방 절곡부(231)와 후방 절곡부(23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dust collector upper cover 230 may be formed of a plat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a front bent portion 231 and a rear bent portion 232 may be formed.

이 때, 상기 집진극 상부커버(230)의 길이는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극 상부커버 전방 절곡부(231)는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상부 전면부와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극 상부커버 후방 절곡부(231)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상부 후면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 upper cover 23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as shown in FIG. 231 is formed in contact with or in proximity to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the rear cover of the dust collecting pole upper cover 231, the dust collecting poles 240, 241, 242 as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상기 집진극 상부커버(23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집진극 상부지지체(230)의 길이는 설치되는 상기 집진극 상부커버(23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길게 형성하여 집진극 상부지지체(23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집진극 상부커버(230)와 집진극(240, 241, 242)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When the dust collector upper cover 230 is formed,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 upper support 230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 upper cover 230 to be installed. It will be more preferable to configure so as to support the dust collector upper cover 230 and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more stably.

상기 집진극의 하부에는 집진극(240, 241, 24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집진극 하부지지체(26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 dust collecting lower support body 260 may be formed below the dust collecting pol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s of the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상기 집진극 하부지지체(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세척액 저장부(261)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전방에는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를 형성하여 설치되는 집진극(240, 241, 24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여 집진극(240, 241, 24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lower support 260 may include a washing liquid storage part 261 formed in a concave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is provided to form a protrusion as necessary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Could be

상기 세척액 저장부(261)는 후술하는 세척모듈(300)을 통해 집진극(240, 241, 242)을 세척한 후의 세척액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이 설치되었을 때,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하단부와 이격이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washing liquid storage unit 261 is a space for storing the washing liquid after wash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through the washing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may be installed. At this time, it will be preferable to form a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한편, 상기 세척액 저장부(261)는 상기 세척액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종래기술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을 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미세입자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미도시) 및 순환펌프(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정화한 후에 후술하는 세척모듈(300)에서의 세척액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liquid storage unit 261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drain (not shown) for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as shown in Figure 1 of the prior art fine particles to be used to circulate the washing liquid After filtering and filtering (not shown) and the circulation pump (not shown) may be used as a cleaning liquid in the washing module 3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집진극 하부지지체(220)와 집진극(240, 241, 242)사이에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 하부커버(25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 dust collector lower cover 250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dust collector lower supporter 220 and the dust collectors 240, 241, and 242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25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전방 절곡부(251)와 후방 절곡부(25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lower cover 250 may be formed of a plat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front bent part 251 and the rear bent part 252 may be formed.

이 때,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250)의 길이는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 전방 절곡부(251)는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하부 전면부와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 후방 절곡부(251)는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하부 후면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 lower cover 25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ors 240, 241, 242, as shown in FIG. 251 is formed in contact with or in proximity to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the lower bent portion 251 of the dust collector lower cover is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It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by a certain distance.

또한,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250)에는 중앙에 세척시 세척액이 하부의 세척액 저장부(261)로 흘러갈 수 있도록 세척액 투과구(25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a washing liquid penetrating opening 253 may be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lower cover 250 so that the washing liquid may flow into the washing liquid storage part 261 in the lower part wh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lower cover 250 is washed in the center.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은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250)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집진극 하부지지체(260)의 가장자리에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필요에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상기 세척액 투과구(253)에는 지지대(254)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dust collectors 240, 241, and 242 are formed to be supported by the edge of the dust collector lower cover 250 or the edge of the dust collector lower support 260. Support 254 may be further formed at 253.

이처럼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25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집진극 하부지지체(250)의 길이는 설치되는 상기 집진극 하부커버(25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길게 형성하여 집진극 하부커버(2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such, when the dust collecting lower cover 250 is formed,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ing lower support 25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dust collecting lower cover 250 to be installed. It would be desirable to be able to support 250 more stably.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200)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집진극 상부, 하부지지체(220, 230)와 집진극(240, 241, 242)를 감쌀 수 있도록 집진부 외부 몸체(21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dust collector 200 has a dust collector outer body 210 so as to cover the dust collector upper and lower supports 220 and 230 and the dust collectors 240, 241 and 242 as necessary. It will also be possible to have additional.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세척모듈(300)은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포집된 미세입자를 적셔서 재비산을 방지하고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블레이드(342)로 직접 제거하는 방식으로 집진극(240, 241, 242)을 세척한다. 따라서, 종래의 습식 전기집진기보다 현저히 효율적이면서 보다 깨끗하게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을 세척을 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300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prays the washing liquid 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ors 240, 241, and 242 to wet the collected fine particles to prevent re-scattering and to be easily removed. In the stat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re washed in a manner of directly removing the blades 342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can be washed more efficiently and cleaner than the conventional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도 2, 4, 5 ,6을 참조하여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세척모듈(300)을 살펴보면, 상기 세척모듈(300)은 전방 이동체(310)와, 세척액 분사체(330) 및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건조를 위한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leaning module 300 performing the func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2, 4, 5, 6, the cleaning module 300, the front moving body 310, the cleaning liquid spraying body 330 and the cleaning blade unit 340 ) Is included.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mpressed air injector 350 for drying.

상기 전방 이동체(310)는 도 2,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240, 241, 242)의 전방에 구비되어 있고,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 4, 5, and 6, the front moving body 31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is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전방 이동체(310)를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체 구동부(360)를 구동하여 구동되도록 이동체 구동부(360)와 이동체 구동축(37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When the front movable body 310 is moved up and down, the movable body driving unit 360 and the movable body driving shaft 370 may be connected to be driven by driving the movable body driving unit 360.

이 때, 이동체 구동부(3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 구동모터(360)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이동체 구동부(360)는 집진부 하부지지체(26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ing body driving unit 360 may be formed of a moving body driving motor 360, as shown in Figure 2, the moving body driving unit 360 may be fixed to the dust collector lower support (260).

상기 이동체 구동부(360)는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후방 이동체(3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하거나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The moving unit 360 may be installed or additionally installed to move the rear moving unit 320 to be described later as needed.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체 구동모터(36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체 구동모터(360)의 모터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체 구동축(37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전방 이동체(310)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movable body driving motor 360 is formed, the movable body driving shaft 37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of the movable body driving motor 360, and the front movable body ( 310 is configured to move upward or downward.

전방 이동체(310)에는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이동체 가이드부(380)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ront movable body 310 may be configured to be guided by the movable guide 380 for a more stable movement.

본 발명의 도 2에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기 이동체 구동축(370)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 구동축(370)의 좌우에 이동체 가이드부(38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상기 전방 이동체(310)에 형성된 전방 이동체 구동축 안내구(318) 및 전방 이동체 가이드부 안내구(318)와 연결되어 있다.2, the movable body driving shaft 370 is formed at the center, and the movable body guide unit 380 is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able body driving shaft 370. Each is connected to the front moving body drive shaft guide 318 and the front moving body guide portion guide 318 formed in the front moving body 310.

상기 전방 이동체(310)는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압축공기 분사체(350)에 세척액과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ront moving body 31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the cleaning liquid and compressed air to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이의 한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이동체(310)에는 전방 세척액 챔버(313)와 전방 압축공기 챔버(315)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As an example thereof, as illustrated in FIG. 5, the front moving body 310 may have a front washing liquid chamber 313 and a front compressed air chamber 315.

한편, 상기 전방 이동체(310)는 상기 세척액과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전방 세척액 챔버(313)와 전방 압축공기 챔버(315)를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압축공기 분사체(350)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moving body 310 is sufficient to supply the washing liquid and compressed air, so that the front washing liquid chamber 313 and the front compressed air chamber 315, which is installed separately,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and the compressed air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jector (350).

이 때, 상기 세척액과 압축공기는 각각 펌프(미도시) 등과 같은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At this time, the washing liquid and the compressed air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hrough a driving unit (not shown), such as a pump (not show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전방 세척액 챔버(313)는 종래기술에 나타난 원리와 동일하게 상기 집진극 하부지지체(260)에 형성된 세척액 저장부(261)에 저장된 세척액을 정화한 다음 순환시키면서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 washing liquid chamber 313 may be configured to be used while purifying and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shing liquid storage unit 261 formed in the dust collector lower support 26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principle. .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세척 블레이드부(340) 및 압축공기 분사체(35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극(240, 241, 242)들의 표면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집진극(240, 241, 242)들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the cleaning blade 34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may collect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surface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s shown in FIGS. 4 to 6. It is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so as to be washed.

도 4에는 집진극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인데, 압축공기 분사체(350)와 세척 블레이드부(340)가 일부 집진극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부를 생략한 도면이고, 모든 집진극(240, 241, 242)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일부에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4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top of the dust collecting pole,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and the cleaning blade portion 340 is shown as being formed between some of the dust collecting poles, which is a part omitted, all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ust collectors 240, 241, and 242, and may not be installed in some parts as necessary.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압축공기 분사체(350)는 일단이 상기 전방 이동체(310)와 연결되어 있는데, 그 길이가 길고, 이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도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압축공기 분사체(350)의 타단이 결합되는 후방 이동체(32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One end of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is connected to the front moving body 310, and the length thereof is long and is moved, so as shown in FIGS. 2, 4, and 5 as necessary.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possible to additionally install the rear moving body 32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are coupled.

상기 후방 이동체(320)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전방 이동체(310)에서와 유사하게 후방 이동체 중앙축과 후방 이동체 가이드부의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필요에 따라 후방 이동체의 이동을 위해 별도의 구동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rear movable body 320 may be configured to be guided by the rear movable body central axis and the rear movable body guide part similarly to the front movable body 310 to enable smooth movement. At this time, it will be possible to further provide a separate drive unit for the movement of the rear moving object as necessary.

또한, 후방 이동체(320)는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압축공기 분사체(350)의 타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후방 세척액 챔버(323)와 후방 압축공기 챔버(325)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rear moving body 320 may be sufficient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as shown in Figure 5, if necessary, a separate rear It will also be possible to further form the cleaning liquid chamber 323 and the rear compressed air chamber 325.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의 집진극(240) 표면에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세척액 분사노즐(3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shing liquid spraying nozzles 331 so as to spray the washing liquid on the surface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on both sides.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분사체(3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양 측면의 집진극(240)에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노즐(35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is installed on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50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a plurality of compressed air injectors 350 may spray compressed air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on both sides.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nozzle 351 may be formed.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가 상기 세축액 분사체(3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집진 작동을 하는 경우와 같이 세척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집진부(200)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배치를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다.One for the arrangement of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is located above the dust collecto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is not washed, such as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dust collection opera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icycle liquid injector 330. Example.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는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The cleaning blade unit 340 is formed between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as shown in FIGS. 5 and 6.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는 블레이드부 몸체(341)와 블레이드(242)를 포함하고 있다. The cleaning blade part 340 includes a blade part body 341 and a blade 242.

상기 블레이드부 몸체(341)는 도 5(b),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The blade portion body 341 is a portion coupled to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as shown in Figure 5 (b), 6.

상기 블레이드(342)는 상기 집진극(24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미세입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블레이드 몸체(341)는 외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몸체(3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Since the blade 342 is configured to remove fine particles while moving in contact wit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the blade body 341 is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Therefore, the blade body 341 may be configured to be more stably coupled to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as shown in FIG.

상기 블레이드 몸체(341)는,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압축공기 분사체(350)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 몸체(341)의 양단이 상기 전방, 후방 이동체(310, 320)에 닿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blade body 341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ly by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and both ends of the blade body 341 may be the front and rear movable bodies 310. It may be configured to reach 320).

상기 블레이드(3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240)의 표면에 접촉하여, 집진극(240)의 표면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닦아내는 구성요소이다.As shown in FIG. 6, the blade 342 contacts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and wipes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상기 블레이드(342)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에 의해 분사된 세척액으로 젖어있는 미세입자들을 닦아내므로, 집진극(240)에는 물기와 일부의 미세입자들이 남아있을 수 있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342)를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블레이드(342)의 상부면에 물기와 일부의 미세입자들이 잔류할 수 있다. Since the blade 342 wipes the fine particles that are wet with the cleaning liquid sprayed by the cleaning liquid spraying body 330 while moving downwar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may have water and some fine particles remaining. In addition, when the blade 342 is moved upward again, water and some fine particles may rema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342.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집진극(240)의 물기를 제거하고, 상기 블레이드(342)의 상부면에 잔류할 수 있는 물기 및 일부의 미세입자들이 제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move this,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to remove water from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and water and some fine particles that may rema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342. Particles can be removed.

상기 집진극(240)과 블레이드(342)의 상부면의 물기 및 일부 미세입자들은집진극 하부지지체(260)의 세척액 저장부(261)로 보내져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레이드(342)의 양단부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후방 이동체(310, 320)와 접하지 않고 간격(d1, d2)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블레이드(342)의 길이를 적어도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의 길이보다 짧게 하여 상기 블레이드(342)의 전, 후단부에서 간격(d1, d2)이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Water and some fine particl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240 and the blade 342 should be sent to the washing liquid storage portion 261 of the dust collector lower support 260,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blade 342 As shown in FIG. 5 (b), the front and rear moving bodies 310 and 320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have a distance d1 and d2. That is, the length of the blade 342 is at least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leaning liquid jetting body 330 so that the gaps d1 and d2 occur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lade 342.

이를 통해 상기 집진극(240)과 블레이드(342)의 상부면의 물기 및 일부 미세입자들이 상기 블레이드(342)의 전, 후로 흘러서 하부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moisture and some fine particl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and the blade 342 may flow before and after the blade 342 and flow downward.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342)의 상부면에 블레이드 경사부(342a)를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블레이드(342) 상부면의 물기 및 일부 미세입자들이 보다 원활하게 상기 블레이드(342)의 전, 후로 흘러서 하부로 흘러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a) by further forming a blade inclined portion 342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342, the moisture and some fine particl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lade 342 more smoothly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flow before and after the blade 342 to the lower portion.

한편, 전기집진기의 세척 및 건조시에 세척액이나 미세입자 등은 집진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세정액 저장부(261)로 보내진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cleaning and drying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e washing liquid, fine particles, etc. are sent to the washing liquid storage unit 261 formed under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하지만, 세척 및 건조시에 건조시에 세척액이나 일부 미세입자 등이 집진부(200)의 밖으로 비산될 수도 있다. However, at the time of washing and drying, the washing liquid or some fine particles may be scattered out of the dust collecting part 200.

이는 세척액 분사노즐(331)과 압축공기 분사노즐(351)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2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일부 해결할 수 있다. This can be partially solved by configuring the cleaning liquid injection nozzle 331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ion nozzle 351 to be locat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as shown in FIG.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이동체(310)의 하부에 돌출된 비산 방지부(316)를 추가로 형성하여, 세척액이나 미세입자 등이 하전부(100) 등으로 비산되는 것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by further forming a scattering prevention part 316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moving body 310, the cleaning liquid or fine particles, etc. are scattered to the charged portion 100, etc. It would be possible to block more effectively.

이 때, 상기 비산 방지부(316)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전부(1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집진극(240, 241, 24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유입공기 가이드부(316a)가 함께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attering prevention part 316 is formed in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air flowing from the charged portion 100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as shown in Figure 5 (a) Inlet air guide portion 316a may be formed together.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집진기에서 포집된 미세입자를 세척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Looking at the method of washing the collected fine particles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집진 감지센서(270)의 측정을 통해 집진극(240, 241, 242)의 세척 필요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First, it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need to be cleaned by measuring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이 단계에서 세척이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으로 전기집진기의 집진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전부(100)와 집진부(200)의 고부하 전압인가장치(미도시)의 전원인가를 중지하는 단계가 필요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leaning state is necessary at this stage, it is necessary to stop the power supply of the high load voltage applying device (not shown) of the charge unit 100 and the dust collector 200 to stop the dust collection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Do.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전방도어(420)와 후방도어(520)를 닫아서 집진극(240, 241, 242)을 세척하는 동안 세척액이나 미세입자 등이 외부로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e next step,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is closed to prevent the washing liquid or fine particles from being scattered to the outside whil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re washed.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액 분사체(300)로부터 세척액을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에 분무하고 상기 세척액 분사체(300)를 이동시킨다.In the next step, the washing liquid is sprayed from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is moved.

이 때, 세척액 분사체(300)는 집진극 표면에 포집된 미세입자가 세척액에 충분히 젖을 수 있도록 세척액을 분사한 다음에, 세척액 분사체(330)를 이동시킨다.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가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상부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세척액을 분무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00 sprays the washing liquid so that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re sufficiently wetted with the washing liquid, and then moves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When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is located above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moves downward while spraying the washing liquid.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상기 세척액 분사체(300)와 함께 이동시키며,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세척액이 분무된 미세입자를 닦아내면서 제거한다.In the next step, the cleaning blade unit 340 is moved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spraying body 300, and the cleaning liquid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is removed while wiping the sprayed fine particles.

실제 세척액 분사체(330)를 이동시키면, 동일하게 세척 블레이드부(340)도 이동하게 되므로, 이 단계는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를 이동하는 단계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단계이다.When the actual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is moved, the washing blade unit 340 is also moved in the same manner, and this step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tep of moving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필요한 경우에,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하단까지 이동한 세척액 분사체(330)와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다시 상부로 이동시키고, 위의 세척액 분사 및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이용한 세척을 다수회 실시할 수도 있다. If necessary, the cleaning liquid spraying body 330 and the cleaning blade portion 340 moved to the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or 240, 241, 242 back to the upper portion, the cleaning liquid spray and cleaning blade portion 340 above Washing with may be carried out several times.

또한, 필요한 경우, 세척액 분사체(330)에서 세척액을 분사할 때에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으로부터 압축공기를 함께 분사하여 물기, 미세입자 등이 상기 블레이드(342)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necessary, when the cleaning liquid is injected from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together from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to prevent water, fine particles, etc. from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blade 342. You could do it.

다음 단계로,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집진극(240, 241,242)와 세척 블레이드부(340)의 상부에 잔류하는 물기와 미세입자 등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In the next step,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to remove and dry water and fine particles remaining on the upper parts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the cleaning blade 340. There may be.

이 때,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작동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it will be more preferable to operate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while moving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상하방향으로 다수회 작동하며 물기와 미세입자 등을 제거하고 건조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may be operate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emove water, fine particles,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전방도어(420)와 후방도어(520)를 개방한다. Next,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are opened.

마지막으로, 전기집진기의 집진 작동을 재개하도록 하전부(100)와 집진부(200)의 고부하 전압인가장치(미도시)의 전원을 다시 인가하는 단계가 필요하다.Finally, the step of applying the power of the high load voltage application device (not shown) of the charging unit 100 and the dust collector 200 again to resume the dust collection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통해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는 집진 및 세척 모드로 운행할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is series of steps,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the dust collecting and washing mod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하전부 110: 하전부 프레임
120: 방전극 200: 집진부
210: 집진부 외부 몸체 220: 집진부 상부지지체
230: 집진극 상부커버 231: 집진극 상부커버 전방 절곡부
232: 집진극 상부커버 후방 절곡부 240: 집진극
241: 제1 절연 집진극 242: 제2 절연 집진극
242a: 집진 감지센서 결합구 250: 집진극 하부커버
251: 집진극 하부커버 전방 절곡부
252: 집진극 하부커버 후방 절곡부 253: 세척액 투과구
254: 지지대 260: 집진극 하부지지체
261: 세척액 저장부 270: 집진 감지센서
280: 집진극 간극유지부 300: 세척모듈
310: 전방 이동체 313: 전방 세척액 챔버
315: 전방 압축공기 챔버 316: 비산방지부
316a: 유입 공기 가이드부 318: 전방 이동체 구동축 안내구
319: 전방 이동체 가이드부 안내구 320: 후방 이동체
323: 후방 세척액 챔버 325: 후방 압축공기 챔버
328: 후방 이동체 중앙축 안내구
329: 후방 이동체 가이드부 안내구
330: 세척액 분사체 331: 세척액 분사노즐
340: 세척 블레이드부 341: 블레이드부 몸체
342: 블레이드 342a: 블레이드 경사부
350: 압축공기 분사체 351: 압축공기 분사노즐
360: 이동체 구동부 370: 이동체 구동축
380: 이동체 가이드부 400: 전방도어부
410: 전방도어 프레임 420: 전방도어
500: 후방도어부 510: 후방도어 프레임
520: 후방도어
100: charge part 110: charge part frame
120: discharge electrode 200: dust collector
210: dust collector outer body 220: dust collector upper support
230: dust collector upper cover 231: dust collector upper cover front bent portion
232: dust collecting pole upper cover rear bent portion 240: dust collecting pole
241: first insulating dust collecting electrode 242: second insulating dust collecting electrode
242a: dust collecting sensor coupling hole 250: dust collection lower cover
251: front bent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lower cover
252: rear bend of the dust collecting lower cover 253: washing liquid penetrating opening
254: support 260: dust collector lower support
261: cleaning solution storage unit 270: dust collection sensor
280: dust collecting pole maintenance unit 300: cleaning module
310: front moving body 313: front cleaning liquid chamber
315: front compressed air chamber 316: shatterproof portion
316a: inlet air guide portion 318: front moving body drive shaft guide
319: front moving body guide portion guide 320: rear moving body
323: rear cleaning liquid chamber 325: rear compressed air chamber
328: rear vehicle center axis guide
329: rear moving guide guide
330: washing liquid spray nozzle 331: washing liquid spray nozzle
340: cleaning blade portion 341: blade portion body
342: blade 342a: blade slope
350: compressed air jet nozzle 351: compressed air jet nozzle
360: movable body driving unit 370: movable body driving shaft
380: moving body guide portion 400: front door portion
410: front door frame 420: front door
500: rear door part 510: rear door frame
520: rear door

Claims (10)

미세입자를 대전시키는 다수의 방전극(120)을 포함하는 하전부(100);
상기 하전부(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전부(100)을 통과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을 포함하는 집진부(200); 및
이동하면서 상기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세척모듈(300)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모듈(300)은 이웃하는 집진극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세척액 분사체(330);
상기 각 세척액 분사체(3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압축공기 분사체(350); 및
상기 각 세척액 분사체(330)와 각 압축공기 분사체(350)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웃하는 집진극에 포집된 미세입자를 닦아낼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는 블레이드부 몸체(341)와 블레이드(342)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 몸체(341)는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와 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342)는 이동하면서 집진극에 포집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집진극에 접촉되어 있으며,
세척시에 상기 각 세척액 분사체(330)는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에 세척액을 분사하면서 이동하고, 상기 각 블레이드는(342)는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액이 분사된 미세입자를 닦아내고,
건조시에 상기 각 블레이드(342)는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극(240, 241, 242) 상의 물기를 닦아내고, 상기 각 상기 각 압축공기 분사체(350)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A charging unit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electrodes 120 for charging the fine particles;
A dust collecting unit 2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harging unit 100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unit 100; And
It includes a cleaning module 300 to remove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while moving,
The washing module 300 includes a plurality of washing liquid spraying bodies 330 installed between neighboring dust collectors;
A plurality of compressed air injectors 35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washing liquid injectors 330; And
A plurality of washing blades 340 that are coupled between each of the washing liquid injectors 330 and each of the compressed air injectors 350 and are configured to wipe off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neighboring dust collectors; Include,
The cleaning blade portion 340 includes a blade portion body 341 and the blade 342,
The blade unit body 341 is combined with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and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The blade 342 is in contact with the collecting electrode to remove the fine particles trapped in the collecting electrode while moving,
During washing, each of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ies 330 moves while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each of the blades 342 moves and the washing liquid is sprayed. Wipe off the fine particles,
During drying, each blade 342 moves, wiping off the moisture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each of the compressed air injectors 350 moves while injecting compressed air to move the dust collecting poles.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remove the water remaining in the (240, 241, 242).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집진극(240, 241, 242)의 최외측은 각각 절연 성능을 갖는 제1, 2 절연 집진극(241, 242)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 일측의 상기 제2 절연 집진극(242)에는 집진 감지센서(27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most sid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re formed of first and second insulating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1 and 242 having insulation performance, respectively.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is coupled to the second insulating dust collecting pole 242 of one s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감지센서(270)는 근적외선 센서이며,
상기 근적외선 센서는 발광부 및 적외선 필터가 부착된 포토트랜지스터로 형성된 수광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is a near infrared sensor,
The near-infrared sensor i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formed of a light emitting unit and a phototransistor with an infrared fil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342)는, 상기 블레이드(342)의 상부에 존재할 수 있는 세척액이 상기 블레이드(342)의 전후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342)의 길이가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lade 342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blade 342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cleaning liquid injector 330 so that the cleaning liquid that may exist on the top of the blade 342 flows back and forth of the blade 342. Electrostatic precipit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100)의 전방에는 전방도어부(40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부(200)의 후방에는 후방도어부(40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도어부(400)와 후방도어부(500)에는 각각 전방도어(420) 및 후방도어(5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door portion 400 is further formed in front of the charged portion 100,
A rear door part 400 is further formed at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part 200.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erein the front door part 400 and the rear door part 500 are formed with a front door 420 and a rear door 520, respectively.
제1항에 나타난 전기집진기를 세척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기집진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로부터 세척액을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포집된 미세입자에 분무하고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를 이동하는 제2 단계;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를 상기 세척액 분사체(330)와 함께 이동시키며, 상기 집진극(240, 241, 242)의 세척액이 분무된 미세입자를 닦아내면서 제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 수행한 후, 상기 집진극(240, 241, 242)에 남아있는 세척액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로부터 압축공기를 상기 집진극(240)에 분사하며, 상기 압축공기 분사체(350)를 상기 세척 블레이드부(340)와 함께 이동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세척방법.
In the method of washing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shown in claim 1,
A first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 second step of spraying the washing liquid from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to the fine particl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moving the washing liquid spraying body 330;
A third step of moving the cleaning blade unit 340 together with the cleaning liquid spraying body 330 and wiping off the fine particles sprayed with the cleaning liquid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And
After performing the third step, in order to dry the cleaning liquid remaining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242, the compressed air from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is injected in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240, Electrostatic precipitator cleaning method comprising a; a fourth step of moving the compressed air injector (350) together with the cleaning blade portion (340).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에서 집전극(240, 241, 242)의 일측 최외곽에 집진 감지센서(270)를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하전부(100)의 전방에 전방도어(420)가 구비된 전방도어부(400)를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집진부(200)의 후방에 후방도어(420)가 구비된 후방도어부(400)를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제1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집진 감지센서(270)를 이용하여 상기 집전극(240, 241, 242)의 세척이 필요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단계와 제2 단계 사이에, 상기 전방도어(420)와 후방도어(520)를 닫는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전방도어(420)와 후방도어(520)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 세척방법.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 dust collecting sensor 270 is further formed at one outermost side of the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In addition, the front door 400 is provided with a front door 420 in front of the charged portion 100,
By further forming a rear door unit 400 having a rear door 420 behind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Before or after performing the first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240, 241 and 242 need to be cleaned using the dust collecting sensor 270;
Closing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eps; And
After performing the fourth step, opening the front door 420 and the rear door 520; further comprising a dust collector.
KR1020190051152A 2019-05-01 2019-05-01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KR102073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52A KR102073515B1 (en) 2019-05-01 2019-05-01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152A KR102073515B1 (en) 2019-05-01 2019-05-01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515B1 true KR102073515B1 (en) 2020-03-02

Family

ID=6980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152A KR102073515B1 (en) 2019-05-01 2019-05-01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1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2938A (en) * 2020-10-10 2021-03-09 杭州职业技术学院 Dedicated ash removal device of resistance load case
CN113182073A (en) * 2021-05-10 2021-07-30 苏州艾尔克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or convenient to clean
KR102292219B1 (en) 2021-05-04 2021-08-23 주식회사 지이테크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at the rear end of the tenter
KR102396661B1 (en) 2020-12-29 2022-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ust collection filter module capable of regeneration
KR20220066488A (en)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프레쉬엔 Center discharge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on module
KR20220095270A (en) 2020-12-29 2022-07-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generation system of dust collection fil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1135A (en)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ethod of dry typ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KR100992307B1 (en) * 2003-10-15 2010-11-05 주식회사 포스코 An apparatus for cleaning precipitation plates of a electric dust precipitator
KR101455570B1 (en) 2014-01-29 2014-10-29 주식회사 한국이피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70027603A (en) * 2015-09-02 2017-03-10 정동협 Col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07B1 (en) * 2003-10-15 2010-11-05 주식회사 포스코 An apparatus for cleaning precipitation plates of a electric dust precipitator
JP2008221135A (en)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ethod of dry type electrostatic dust precipitator
KR101455570B1 (en) 2014-01-29 2014-10-29 주식회사 한국이피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70027603A (en) * 2015-09-02 2017-03-10 정동협 Collection efficiency is improv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2938A (en) * 2020-10-10 2021-03-09 杭州职业技术学院 Dedicated ash removal device of resistance load case
KR20220066488A (en)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프레쉬엔 Center discharge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on module
KR102530863B1 (en) * 2020-11-16 2023-05-10 주식회사 프레쉬엔 Center discharge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on module
KR102396661B1 (en) 2020-12-29 2022-05-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ust collection filter module capable of regeneration
KR20220095270A (en) 2020-12-29 2022-07-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egeneration system of dust collection filter
KR102292219B1 (en) 2021-05-04 2021-08-23 주식회사 지이테크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at the rear end of the tenter
CN113182073A (en) * 2021-05-10 2021-07-30 苏州艾尔克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or convenient to clean
CN113182073B (en) * 2021-05-10 2022-01-25 苏州艾尔克科技有限公司 Dust collector convenient to cle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515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leaning Method of the Same
KR101610240B1 (en)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CN110464265A (en) Base station
CN109528111A (en) Base station
KR101074724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954691B1 (en) Box cleaning device
KR100601029B1 (en) Air cleaner with self cleaning function
CN204544465U (en) A kind of self-cleaning rotating anode arrangement for wet electric cleaner
KR101170935B1 (en) Multi-cleaning device to wash electrical precipitator
CN107062326B (en) Fume exhaust fan
JP2009119316A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436381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leaning
KR101549793B1 (en) Multi-cleaning device to wash electrical precipitator
CN105521871A (en) Water film forming device of wet-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657596B1 (en) A cleaning system moving on dust collecting plate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KR20170020682A (en) filter washing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CN112762498A (en) Intelligent range hood based on high-voltage static and steam cleaning and cleaning method
CN106881000B (en) The air purification method of fibre precipitator
KR101404056B1 (en) Dust collecting speed fan tunnel with self-cleaning electric filter
KR101037340B1 (en) Street cleaning vehicle
KR100667271B1 (en) A cleaning system moving on electrode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JP4282421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with cleaning function
CN106288003A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ication method
CN215843604U (en) Purification assembly and air purifier
CN215914463U (en) Medium distribution mechanism and self-moving cleaning equipment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