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101B1 -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101B1
KR102073101B1 KR1020180154622A KR20180154622A KR102073101B1 KR 102073101 B1 KR102073101 B1 KR 102073101B1 KR 1020180154622 A KR1020180154622 A KR 1020180154622A KR 20180154622 A KR20180154622 A KR 20180154622A KR 102073101 B1 KR102073101 B1 KR 10207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unit
lock device
lock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상희
김선
Original Assignee
(주)동광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뉴텍 filed Critical (주)동광뉴텍
Priority to KR102018015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9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with central server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스마트폰으로 개별 보관함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개별 보관함의 도어락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더 안정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20)이 설치된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100)과, 서로 캔(CAN)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별 보관함(100)의 잠금/해제상태를 제어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락장치 제어부(200)와, 상기 개별 보관함(2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락장치 전원제어부(300) 및, 상기 락장치 제어부(200) 및 락장치 전원제어부(300)와 각각 아이솔레이션이 적용된 시리얼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본체(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별 보관함(100)에 설치된 도어락(20)의 상태 변화값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본체(400)가 상기 상태 변화값을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 변화값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UNMANNED DELIVERY LOCKER}
본 발명은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휴대단말장치(스마트폰 등)로도 개별 보관함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아울러 개별 보관함의 도어락에 전원이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더 안정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한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을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 TV 홈쇼핑 등의 급증으로 인하여 택배 서비스는 쇼핑몰과 고객을 연결하는데 있어 보편화된 수단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리고 택배서비스의 일환으로 근래에는 택배기사가 택배물품을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면 수취인이 이를 원하는 시간에 직접 수취할 수 있는 무인택배 보관함이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무인택배 보관함은 택배기사를 가장하여 가정 내에 침입, 각종 범죄행위를 일삼는 행위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수령인의 부재 시에도 택배물품을 수령할 수 있으며 가정 또는 사무실에 수령자가 있더라도 택배기사와 직접 대면 없이 택배물품을 안전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무인택배 보관함을 이용하는 서비스는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무인택배 보관함에 물품을 넣고 꺼낼 때 휴대단말장치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서비스도 함께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무인택배 보관함은 한 장소에 수십, 수백개의 개별 보관함이 블록단위로 설치 운용되고 있어,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개별 보관함의 도어를 여는 등의 제어를 요청할 경우 이러한 명령이 누락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어가 잠겨 있지만 사용자에게 물품을 꺼내거나 보관하도록 하는 잘못된 안내를 하거나, 물품을 보관한 후 도어가 닫혀야 하지만 도어가 열려있는 상태로 물품을 보관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어의 상태와 상관없이 과금을 결제하는 문제도 충분히 예상된다.
또한, 기존의 무인택배 보관함은 전체 시스템의 부팅 시 개별 보관함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공급전원의 부족으로 인하여 이상동작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즉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일부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의 경우,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전원을 오프시키고 있고, 사용을 위해 다시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이 반복되는데, 이 경우 전력 부족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무인택배 보관함은 일반 사용자를 위한 구성만이 채용되었다는 점에서, 시각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이 사용하기에 있어 여전히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마다 개별 보관함의 이용을 위한 제어명령이 동시에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제어명령의 누락없이 도어락의 상태변화를 정확하게 인지함으로써, 개별 보관함의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보관함에 마련된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복수 대의 락장치 제어기를 각각 캔(CAN) 통신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인택배 보관함의 전체 시스템 부팅 시, 다수의 개별 보관함(즉 도어락)에 전원공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력부족으로 인한 이상동작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 장애인의 사용을 도모하며, 물품 보관유무의 정확한 체크 등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의 성능 개선 및 사용자의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품을 보관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이 설치된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 서로 캔(CAN)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별 보관함의 잠금/해제상태를 제어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락장치 제어부; 상기 개별 보관함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락장치 전원제어부; 그리고 상기 락장치 제어부 및 락장치 전원제어부와 각각 아이솔레이션이 적용된 시리얼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본체를 포함하는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락장치 제어부는, 상기 개별 보관함에 설치된 도어락의 상태 변화값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본체가 상기 상태 변화값을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 변화값을 전송한다.
상기 락장치 전원제어부는, 1개의 AC전원 입력단자; 3개의 AC전원 출력단자; 1개의 DC 입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AC전원 출력단자 중 하나의 출력단자와 도어락 사이에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이 연결되어, 상기 AC전원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은 상기 SMPS에 연결된 다수개의 도어락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개별 보관함에는 적외선 방사기; 및 상기 적외선 방사기가 방사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기로 이루어진 물품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감지센서는 물품에 반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상기 개별 보관함 내의 물품 유무를 판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휴대단말장치(스마트폰)가 보관함의 사용을 위한 명령을 요청하더라도, 이러한 명령은 락장치 제어부에 일시 저장된 후 제어기 본체의 요청에 의해서 전송되기 때문에, 명령 누락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보관함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관함의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락장치 제어부가 복수 개 설치되는데, 이러한 락장치 제어부는 각각 캔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정보를 송수신하고 있어, 종래 시스템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락장치 전원제어부는 시스템 부팅시 모든 개별 보관함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이 아니고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있어, 공급 전원 부족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동시 전원 공급시에 서로 연결된 디바이스 사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나 전압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도 최소화활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의 락장치 제어부와 관련된 회로구성도로서,
도 2a는 제어 IC 및 신호출력부 회로도,
도 2b는 통신부 회로도,
도 2c는 신호입력부 및 전원부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의 락장치 전원제어부와 관련된 회로구성도로서,
도 3a은 제어부 회로도,
도 3b는 통신부 회로도,
도 3c는 전원부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10)은, 물품을 보관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20)이 설치되는 M*N 행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100)과, 개별 보관함(100)의 잠금/해제상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장치 제어부(200), 개별 보관함(1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락장치 전원제어부(300), 그리고 락장치 제어부(200) 및 락장치 전원제어부(3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 본체(4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어기 본체(400)는,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1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개별 보관함(100)들의 중앙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기 본체(400)에는 사용자가 개별 보관함(100)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고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수단 및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GUI를 제공하도록 입력 및 표시기능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401)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는 저항막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터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어기 본체(400)에는 등록정보나 물품정보, 비밀번호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02), 과금 및 결제를 위한 결제모듈(403), 스마트폰 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404) 등 다른 구성들도 포함될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405), 이용 및 처리과정 등을 음성 출력하는 스피커(406), 점자 키패드(407) 등도 설치된다. 이러한 스피커(406) 및 점자 키패드(407)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기 본체(400)는 실질적으로 무인택배 보관함의 기능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특화된 컴퓨터일 수 있다.
제어기 본체(400)에는 락장치 제어부(200) 및 락장치 전원제어부(300)가 연결된다. 제어기 본체(400) 1대에 락장치 제어부(200)는 최대 64대가 연결될 수 있고, 1대의 락장치 제어부(200)는 최대 6개의 도어락(20)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대수는 제어기 본체(400), 락장치 제어부(200)의 성능 개선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각각의 락장치 제어부(200)는 시리얼 통신부(210)에 의해 시리얼 방식(RS232)으로 제어기 본체(400)와 연결되고, 이러한 시리얼 통신부(210)에는 제어기 본체(4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아이솔레이션이 적용된다. 즉 도 2b의 시리얼 통신부(232 통신부)(210)의 IC칩은 아이솔레이션 232 통신칩으로 상기 제어기 본체(400)로 노이즈가 유입되거나 제어기 본체(400)에서 락장치 제어부(200)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그리고 락장치 제어부(200)들 사이는 캔 통신부(220)에 의해 캔(CAN) 통신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캔 통신방식은 다른 연결 방식(예컨대, RS485)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소정 비트(5bit)마다 오류를 체크할 수 있으며, 일부 노드의 문제가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락장치 제어부(200)를 보다 더 안정되게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락장치 제어부(200) 사이를 캔 통신방식으로 연결하면, 개별 보관함(100)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더라도 관련된 제어명령이 누락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캔 통신이 정상 동작하도록 캔 통신부(220)에는 도 2b의 캔 통신부를 보인 회로도와 같이 서지 전압(surge voltage)으로부터 캔 통신을 위한 칩을 보호하도록 다이오드(TVS)(222)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 다이오드(222)는 12V 이상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락장치 제어부(200)의 다른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2a는 제어 IC 및 신호출력부의 회로도로서, 제어 IC(202)는 CPU, RAM, FLASH, EEPROM 메모리로 구성되어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딥 스위치(204)가 제공되어 개별 보관함(100)을 열 단위로하여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다운로드 포트부(206), 도어락(20)의 솔레노이드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FET(207), 이상 전압으로부터 상기 CPU를 보호하기 위한 트랜지스터(208) 등이 구성된다.
그리고 락장치 제어부(200)의 신호입력부(240)에는 포토 커플러(242) 및 커넥터(243)가 마련된다. 또한 락장치 제어부(200)의 전원부(260)에는 락장치 제어부(200) 상호간의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캔통신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커넥터(262), 도어락의 솔레노이드 쇼트로부터 락장치 제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위치(263), 7~24V 전원레벨을 5V 전원레벨로 변환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264) 등이 구성되고 있다.
한편, 락장치 전원제어부(300)는 내부에 타이머(미도시)를 내장하며 상기 제어기 본체(400)가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즉 제어기 본체(400)가 락장치 전원제어부(300)로 소정 시간 후 리부팅 명령을 전송하면, 제어기 본체(400)는 스스로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10)을 종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락장치 전원제어부(300)는 와치독 IC(도 3a 참고)(301a)를 사용하여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10)이 불안정해지면 자동으로 리부팅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락장치 전원제어부(300) 역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 본체(400)와는 시리얼 통신부(302)를 통해 시리얼 방식(RS232)으로 연결되며, 제어기 본체(4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아이솔레이션이 적용된다. 그리고 락장치 전원제어부(300)는 도 1 및 도 3c와 같이 1개의 AC전원 입력단자(306)와 3개의 AC전원 출력단자(305), 그리고 1개의 DC 입력단자(303)로 구성된다. 상기 AC전원 입력단자(306)는 220V를 입력받고, AC전원 출력단자(305)는 도어락(20)과의 사이에 설치된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320) 등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AC전원 출력단자(305)의 전단에는 스위칭 소자(307)가 연결되며, 이러한 스위칭 소자의 예로 전자식이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SSR 소자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은 SMPS(320)에 의하여 전원공급 중 발생할 수 있는 피크전압을 분산하여 도어락(20)으로 전원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락장치 전원제어부(300)가 이와 연결된 각각의 도어락(즉 개별 보관함)(20)으로 전원을 공급할 때 일정시간마다 순차적으로 출력포트에 전원을 공급할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복수의 도어락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할 때 발생하는 전원부족으로 인한 이상동작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도어락(20)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경우 락장치 전원제어부(300)와 도어락(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전압 불안정등의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어 그만큼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도어락(20)은 개별 보관함의(100) 도어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어 개폐는 실질적으로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며, 솔레노이드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에 의해 온/오프 동작한다.
이러한 도어락(20)이 장착된 개별 보관함(100)에는 도어의 락상태를 감지하는 락상태 감지센서(101), 물품유무를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서(103), 물품 도난을 방지하는 카메라(105) 등이 장착된다. 락상태 감지센서(101)는 락장치 제어부(200)에 마련된 신호입력부(240)로 포토커플러 방식에 따라 광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물품감지센서(103)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물품 유무를 체크하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개별 보관함(100)의 내부에서 미도시하고 있는 적외선 방사기가 적외선을 방사후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적외선 검출기가 검출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반사광이 검출되면 물품이 있는 것이고, 반사광이 미검출되면 물품은 없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반사광이 검출되면 개별 보관함(100)의 도어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반면 반사광이 미검출되면 도어는 개방상태가 되게 하는 것과 같이 도어의 개방상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105)는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미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개별 보관함(100)이 억지로 개방될 경우 사용자를 촬영하여 제어기 본체(400)로 전송하거나 물품이 없어질 경우 물품 인출상태를 제어기 본체(40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카메라(105)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분실할 경우 사용자 본인을 확인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개별 보관함(100)에 물품을 보관할 경우 제어기 본체(400)에 마련된 카메라나 개별 보관함(100)에 마련된 상기 카메라(105)가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고, 추후에 이렇게 촬영된 사진과 비밀번호 분실 후에 다시 촬영한 사진을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분실된 비밀번호 또는 새롭게 부여된 비밀번호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는 다수 사용자에 의한 각각의 스마트폰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등의 제어명령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명령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는 실질적으로 락장치 제어부(200)가 도어락(20)의 잠금여부 상태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메모리(250)에 저장하고, 제어기 본체(400)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어락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고 닫았지만 락장치 제어부(200)가 이를 제어기 본체(400)로 전송하지 못하거나, 또는 제어기 본체(400)가 락장치 제어부(200)로부터 도어락 상태를 수신하였지만 이를 처리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던 것이고, 이는 실질적으로 다수의 스마트폰에 의한 요청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빈번하게 일어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결국 제어기 본체(400) 및 락장치 제어부(200)가 도어락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여러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 사용자가 자신들의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보관함을 이용할 경우 대량으로 발생하는 제어명령을 충분하게 처리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다음 [표 1]과 같이 상태 값을 부여하여 정리할 수 있다.
상태 값 상태 설명
0 시작값 도어 개방 등의 제어명령이 수신된 상태
1 도어 닫힘 상태 시작값 설정 후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
2 도어 개방 상태 시작값 설정 후 도어가 닫혀 있었는데 열림
3 도어 닫힘 상태 시작값 설정 후 도어가 닫힘-개방-닫힘 상태
4 도어 개방 상태 시작값 설정 후 도어가 닫힘-개방-닫힘-열림상태
5 도어 개방 상태 시작값 설정 후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
6 도어 닫힘 상태 시작값 설정 후 도어가 개방-닫힘상태
7 부팅 후 초기값 초기 전원 인가된 경우
[표 1]과 같이 상태 값이 부여된 경우, 닫힘 상태의 도어를 스마트폰으로 개방하고 다시 닫았을 때 0->1->2->3으로 상태값이 변경된다. 다른 상태로 개방 상태의 도어를 스마트폰으로 열고 닫았을 때는 상태값은 0->5->6으로 변경된다. 또, 제어기 본체(400)가 임의의 도어락(20)의 상태 값을 3을 수신받은 경우에는, 제어명령 전송 후 도어가 열리고 다시 닫힌 상태로서 정상적으로 동작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어의 변화된 상태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락장치 제어부(200)가 메모리(250)에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기 본체(400)의 요청에 의해서만 전송하고 있어, 제어기 본체(400)는 도어 상태(즉 보관함의 잠금상태의 유지 또는 해제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락장치 제어부(200)가 제어기 본체(400)로 상태값을 무작정 전송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어기 본체(400)가 락장치 제어부(2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제어기 본체(400)는 락장치 제어부(200)가 전송한 도어락의 상태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의한 원격제어 명령을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고, 락장치 제어부(200), 락장치 전원제어부(300), 개별 보관함(100)에 마련된 도어락(20) 등의 기능을 개선하여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 도어락 100: 개별 보관함
101: 락상태 감지센서 103: 물품감지센서
105: 카메라 200: 락장치 제어부
202: 제어IC 204: 딥 스위치
210: 시리얼 통신부 220: 캔 통신부
230: 신호 출력부 240: 신호 입력부
250: 메모리 260: 전원부
300: 락장치 전원제어부 301a: 와치독 IC
302: 시리얼 통신부 303: DC 입력단자
305: 출력단자 306: AC 입력단자
307: 스위칭소자 320: SMPS
400: 제어기 본체

Claims (4)

  1. 물품을 보관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개폐를 위한 도어락(20)이 설치된 복수 개의 개별 보관함(100);
    서로 캔(CAN)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별 보관함(100)의 잠금/해제상태를 제어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락장치 제어부(200);
    상기 개별 보관함(1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락장치 전원제어부(300); 그리고
    상기 락장치 제어부(200) 및 락장치 전원제어부(300)와 각각 아이솔레이션이 적용된 시리얼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어기 본체(400)를 포함하고,
    상기 락장치 제어부(200)는,
    상기 개별 보관함(100)에 설치된 도어락(20)의 잠금 여부 상태 변화값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본체(400)가 상기 상태 변화값을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250)에 저장된 상태 변화값을 전송하는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장치 전원제어부(300)는,
    1개의 AC전원 입력단자(306);
    3개의 AC전원 출력단자(305); 그리고
    1개의 DC 입력단자(303)를 포함하고,
    상기 AC전원 출력단자(305)와 도어락(20) 사이에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320)이 연결되어, 상기 AC전원 출력단자(305)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은 상기 SMPS(320)에 연결된 다수개의 도어락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보관함(100)에는 적외선 방사기 및 상기 적외선 방사기가 방사한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기로 이루어진 물품감지센서(103)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감지센서(103)는 물품에 반사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상기 개별 보관함 내의 물품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KR1020180154622A 2018-12-04 2018-12-04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KR10207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22A KR102073101B1 (ko) 2018-12-04 2018-12-04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622A KR102073101B1 (ko) 2018-12-04 2018-12-04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101B1 true KR102073101B1 (ko) 2020-03-02

Family

ID=6980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622A KR102073101B1 (ko) 2018-12-04 2018-12-04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1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73B1 (ko) * 2015-11-16 2016-11-22 (주)솔루션아이티 무인택배 보관함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673B1 (ko) * 2015-11-16 2016-11-22 (주)솔루션아이티 무인택배 보관함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23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KR101603121B1 (ko) 택배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택배 수령 방법과 비밀번호 인증 방법
KR101875282B1 (ko) 개인용 무인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US20180070753A1 (en) Receptacle Security System
TWI662518B (zh) 遠端鎖定系統結構和使用者介面
US20180041493A1 (en) Authenticating mobile lockers
US20180091503A1 (en) Networked storage system and method
CN104408828A (zh) 快递取件及放件装置
AU2016222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dside medication dispensing
KR101629845B1 (ko) 온라인 기반의 가상 키를 이용한 객실 출입 및 전원 제어시스템
TWI540246B (zh) 保全門禁系統及其具門鎖管理的手持裝置
KR102073101B1 (ko) 무인택배 보관함시스템
US201503707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port based asset management
KR100938622B1 (ko) 전자 사물함 장치의 도어를 이용한 식별 번호 부여 방법
US11544980B2 (en) Electronic key storage device
CN108240140A (zh) 电子锁及所述电子锁的数字认证方法
US103323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aving on access control products
KR20200128976A (ko) 고장시 비상 제어 기능이 부가된 무인보관시스템
KR20150125312A (ko) 호스트 단말기 연동에 의한 작동 및 해제 장치
KR102546283B1 (ko) 전자 키 보관장치
US1086126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lock and powered load enumeration and secure activation
JP2009035866A (ja) 電気錠施解錠システム
JP2006183351A (ja) ロッカー装置
TWM544049U (zh) 雲端門禁管理系統
KR101505880B1 (ko)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