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92B1 - 케이블 타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992B1
KR102071992B1 KR1020190078737A KR20190078737A KR102071992B1 KR 102071992 B1 KR102071992 B1 KR 102071992B1 KR 1020190078737 A KR1020190078737 A KR 1020190078737A KR 20190078737 A KR20190078737 A KR 20190078737A KR 102071992 B1 KR102071992 B1 KR 102071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able tie
head
hole
une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익
Original Assignee
김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익 filed Critical 김학익
Priority to KR102019007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tricles
    • B65D25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2563/101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 B65D2563/103Details of 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details of the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teeth on the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톱니 구조를 갖는 요철밴드로 이루어지는 밴드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박스 형상의 헤드본체, 상기 헤드본체에 형성되고 밴드본체가 통과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밴드와 같은 톱니 구조를 갖는 잠금턱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 및 상기 밴드본체와 헤드본체의 경계 부위 배면에 형성되며, 수직벽과 만곡변을 포함하는 돌출몸체로 이루어지는 변형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벽과 만곡변으로 이루어지는 변형방지수단을 통해 자투리공간에 의한 결속 변형이 방지되고, 헤드본체 모서리에 형성되는 레버와 밴드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통해 결속 풀림이 방지되므로, 케이블 타이의 작동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타이{Cable-tie}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와 밴드 경계 부위 배면에 형성된 만곡변을 통해 결속 변형이 방지되고 헤드 모서리에 구비된 레버에 의해 결속 풀림이 방지되는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타이(cable tie)는 주로 전선류 다발을 묶는 체결수단을 말한다.
케이블 타이의 기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A)와 밴드(A) 일단에 구비되고 헤드(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헤드(C)에는 밴드(A)의 타단이 통과하는 통공(B)이 형성되고 밴드(A)의 배면에는 요철띠(D)가 형성되며 밴드(A) 통과시 밴드(A) 배면이 접촉하는 통공(B)의 내주면에는 걸림턱(E)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띠(D)와 걸림턱(E)은 직벽과 경사면을 갖는 톱니 구조로 이루어지되 직벽은 삽입방향(x)으로 경사면은 역방향(x')으로 배치되며, 이는 래칫(ratchet)과 폴(pawl)의 조합과 같이, 통공(B) 통과과정에서 삽입방향(x)으로는 요철띠(D)와 걸림턱(E)의 걸림이 발생하지 않으나 그 역방향(x')으로는 걸림이 발생함으로써 케이블 타이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기존의 케이블 타이 대부분은 통공(B)의 삽입방향(x)과 밴드길이방향(y)이 사잇각(θ)을 갖도록 제작되는 특성상, 체결이 이루어지면 헤드(C) 내주면에는 묶음 대상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자투리공간(F)이 형성된다.
묶음 대상물이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별 문제가 없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T)이 작용하는 경우 자투리공간(F')이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경우 체결이 헐거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 타이의 재질이 합성수지인 특성상 큰 장력(T)이 작용하면 요철띠(D)와 걸림턱(E)의 날끝이 변형(δ)되어 풀림이 발생하기도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940호(공개일: 2014.01.22.)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투리공간에 의한 결속 변형이 방지되고 장력에 의한 날끝 변형이 방지되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는, 밴드본체와 상기 밴드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톱니 구조를 갖는 요철밴드로 이루어지는 밴드부; 상기 밴드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박스 형상의 헤드본체, 상기 헤드본체에 형성되고 밴드본체가 통과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밴드와 같은 톱니 구조를 갖는 잠금턱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 및 상기 밴드본체와 헤드본체의 경계 부위 배면에 형성되며, 수직벽과 만곡변을 포함하는 돌출몸체로 이루어지는 변형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는, 상기 변형방지수단이 하나의 수직벽과 만곡변을 갖는 돌출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는, 상기 변형방지수단이 단면상 장변인 수직벽에 오목홈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는, 상기 밴드부와 헤드부에 풀림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일단이 헤드본체의 상단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밴드본체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레버 및 상기 밴드본체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레버의 타단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에 의하면, 수직벽과 만곡변으로 이루어지는 변형방지수단을 통해 자투리공간에 의한 결속 변형이 방지되고, 헤드본체 모서리에 형성되는 레버와 밴드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통해 결속 풀림이 방지되므로, 케이블 타이의 작동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에서 오목홈이 형성된 변형방지수단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변형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에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밴드부(10), 상기 밴드부(10)의 길이방향(y)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20), 상기 밴드부(10)와 헤드부(20)의 경계 부위 배면에 형성되는 변형방지수단(30) 및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풀림방지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먼저 밴드부(10)는 묶음 대상물을 감싼 상태에서 헤드부(20)에 삽입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밴드본체(11)와 밴드본체(11)의 배면에 형성되는 요철밴드(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본체(11) 배면에는 밴드길이방향(y)으로 요철밴드(13)의 훼손 방지를 위한 수용홈(11a)이 형성되고, 여기에 요철밴드(13)가 구비된다.
또한 밴드본체(11)의 길이방향(y) 말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폭과 두께가 작아지는 파지단(11b)이 형성되어 밴드본체(11)가 후술할 헤드부(20)의 관통공(2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요철밴드(13)는 단면 구조가 수직면과 경사면을 갖는 톱니 구조로 이루어지되,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면은 역방향(x')으로 배치된다.
헤드부(20)는 요철의 맞물림을 통해 밴드부(10)와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박스 형상의 헤드본체(21), 상기 헤드본체(21)에 형성되고 밴드본체(11)가 통과되는 관통공(23), 관통공(23)에 형성되는 잠금턱(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공(23)은 단면이 밴드본체(1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되 파지단(11b)의 삽입 편의를 위해 입구측(23i)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잠금턱(25)이 돌출 형성된다.
잠금턱(25)은 요철밴드(13)와 같은 톱니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삽입방향(x)으로는 요철밴드(13)와의 맞물림이 발생하지 않으나 그 역방향(x')으로는 맞물림이 발생하여 밴드부(10)와 헤드부(2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요철밴드(13)와 잠금턱(25)이 결속된 상태에서 밴드본체(11)에 장력(T)이 작용하면, 자투리공간(F)의 존재로 인해 헤드본체(21)와 밴드본체(11)로 이루어지는 내측 코너(k)는 하강(P)하고 내측 코너(k)의 인접 밴드부위(10a)는 원주방향(Q)으로 이동(이하 ‘결속 변형’이라 한다)하게 되며, 이로 인해 묶음 대상물의 묶음 상태가 흐트러지거나 심한 경우 밴드부(10)와 헤드부(20)의 체결이 해제되기도(이하 ‘결속 불량’이라 한다) 한다.
변형방지수단(30)은 이러한 결속 변형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밴드본체(11)와 헤드본체(21)의 경계 부위 배면에 형성되며, 수직벽(31)과 만곡변(33)을 포함하는 돌출몸체(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벽(31)은 밴드본체(11)나 헤드본체(21)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단면상 길이가 서로 다른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지고, 만곡변(33)은 수직벽(31)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묶음 대상물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장력(T)에 의한 내측 코너(k)의 하강(P)을 저지함으로써 결속 불량을 방지한다.
여기서, 만곡변(33)의 곡률(r) 선정 방법은 일례로서, 도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본체(21)로부터 밴드본체(11) 총길이의 2/3 지점을 기준지점(m)으로 상정하고, 상기 기준지점(m)의 요철밴드(13) 부위가 잠금턱(25)에 결속되었을 때 형성되는 밴드 내접원(c)의 곡률을 만곡변(33)의 곡률(r)로 정할 수 있다.
다만, 묶음 대상물의 곡률이 만곡변(33)의 곡률(r)보다 클 경우에는 만곡변(33)의 중앙부위(33a)가 묶음 대상물에 밀착됨으로써 결속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나, 대상물의 곡률이 만곡변(33)의 곡률(r)보다 작을 경우에는 돌출몸체(35)의 단부(30a)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장변인 수직벽(31)에 오목홈(37)을 형성하여 묶음 대상물과의 밀착시 단부(30a) 변형을 통해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몸체(35')가 단면상 장변인 하나의 수직벽(31')과 만곡변(33')을 갖는 구조로 개시됨으로써 묶음 대상물과의 밀착시 변형방지수단(30)의 굽힘 변형을 극대화하여 간섭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목홈(37)이 단면상 장변인 수직벽(31')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변형방지수단(30)를 통해 결속 변형이 방지되더라도, 큰 장력(T)이 작용하면 요철밴드(13)와 잠금턱(25)의 날끝 변형(δ)으로 인해 그 결속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날끝 변형(δ)을 억제하는 풀림방지수단(40)이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풀림방지수단(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헤드본체(21)의 상단 모서리(21b)에 고정되고 타단은 밴드본체(1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레버(41), 밴드본체(11)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레버(41)의 타단과 인접되게 형성되는 걸림턱(43)으로 이루어진다.
장력(T) 작용시 만곡변(33)의 저지에 의해 내측 코너(k)의 하강(P)이 억제되더라도 밴드본체(11)의 신장으로 인해 밴드본체(11)는 원주방향(Q)으로 미세 이동하게 된다. 이 미세 이동에 의해 상기 걸림턱(43)은 레버(41)를 회동시키며, 이 회동에 의해 관통공(23)의 하부 내주면이 잠금턱(25)을 상방으로 밀어내며, 이를 통해 요철밴드(13)와 잠금턱(25) 간의 맞물림이 강화됨으로써 날끝 변형(δ)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밴드부
11: 밴드본체 13: 요철밴드
20: 헤드부
21: 헤드본체 23: 관통공
25: 잠금턱
30: 변형방지수단
31: 수직벽 33: 만곡변
35: 돌출몸체 37: 오목홈
40: 풀림방지수단
41: 레버 43: 걸림턱

Claims (4)

  1. 밴드본체(11)와 상기 밴드본체(11)의 배면에 형성되고 톱니 구조를 갖는 요철밴드(13)로 이루어지는 밴드부(10);
    상기 밴드본체(11)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박스 형상의 헤드본체(21), 상기 헤드본체(21)에 형성되고 밴드본체(11)가 통과되는 관통공(23), 상기 관통공(23)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밴드(13)와 같은 톱니 구조를 갖는 잠금턱(25)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20); 및
    상기 밴드본체(11)와 헤드본체(21)의 경계 부위 배면에 형성되며, 수직벽(31, 31')과 만곡변(33, 33')을 포함하는 돌출몸체(35, 35')로 이루어지는 변형방지수단(30);
    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방지수단(30)은 단면상 장변인 수직벽(31, 31')에 오목홈(37)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수단(30)은 하나의 수직벽(31')과 만곡변(33')을 갖는 돌출몸체(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10)와 헤드부(20)에는 풀림방지수단(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풀림방지수단(40)은 일단이 헤드본체(21)의 상단 모서리(21b)에 고정되고 타단은 밴드본체(1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레버(41) 및 상기 밴드본체(11)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레버(41)의 타단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걸림턱(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KR1020190078737A 2019-07-01 2019-07-01 케이블 타이 KR102071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37A KR102071992B1 (ko) 2019-07-01 2019-07-01 케이블 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37A KR102071992B1 (ko) 2019-07-01 2019-07-01 케이블 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992B1 true KR102071992B1 (ko) 2020-01-31

Family

ID=6936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37A KR102071992B1 (ko) 2019-07-01 2019-07-01 케이블 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78Y1 (ko) * 2005-10-24 2006-11-17 경신공업 주식회사 밴드케이블의 보강구조
KR20140008940A (ko) 2012-07-13 2014-01-22 김문환 이중결속 구조 수지재 케이블타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78Y1 (ko) * 2005-10-24 2006-11-17 경신공업 주식회사 밴드케이블의 보강구조
KR20140008940A (ko) 2012-07-13 2014-01-22 김문환 이중결속 구조 수지재 케이블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347A (en) Cable tie
JP6554362B2 (ja) ベルトクランプ
EP1967462B1 (en) Two-piece cable tie suitable for use in an automated cable tie installation tool
US7730592B2 (en) In-line cable tie with fixed and hinged locking mechanisms
US20070067965A1 (en) Binding tool, and fixing tool for binding and binding band for the same
JP2005160222A (ja) プロテクタのロック構造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20060162130A1 (en) Cable tie
US20090014198A1 (en) Corrugated tube with a locking structure
KR102268898B1 (ko) 기능성 케이블 타이
KR20030086918A (ko) 급경사면을 갖는 볼잠금 케이블 타이
JP2004131182A (ja) 補強用のリブを設けたボールロック式ケーブルタイ
US7784634B2 (en) Fuel filler cap
KR102071992B1 (ko) 케이블 타이
US6477746B1 (en) Releasable ball-lock cable tie
EP3088324B1 (en) Accordion strap with formed waves
JP2014088952A (ja) 係止具
US6594867B1 (en) Device at a bundle tie
KR101845586B1 (ko) 호스 클램프
JP3491799B2 (ja) バンドクランプ
CN100344512C (zh) 捆扎带中的装置
KR200465576Y1 (ko) 결속용 타이
JP3184991U (ja) 結束用バンド
JP2012044856A (ja) 結束バンド
TWI738607B (zh) 捆束具
JP6924573B2 (ja) 巻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