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982B1 - 복합 링 파일 - Google Patents

복합 링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982B1
KR102071982B1 KR1020190049076A KR20190049076A KR102071982B1 KR 102071982 B1 KR102071982 B1 KR 102071982B1 KR 1020190049076 A KR1020190049076 A KR 1020190049076A KR 20190049076 A KR20190049076 A KR 20190049076A KR 102071982 B1 KR102071982 B1 KR 10207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late
ring
pile
ground
pi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채
황선욱
황순종
Original Assignee
시지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금강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금강기업 filed Critical 시지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9004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링 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을 횡단면상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링 플레이트의 상하부 지반 구속으로 선단지지력은 물론 지지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링 플레이트의 휨 강성뿐 아니라 면내력에 의해서도 지반 반력을 지지할 수 있는 복합 링 파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의 파일 본체, 상기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링 플레이트 및 상기 파일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음 너트로 구성되되, 상기 링 플레이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횡단면상 상면과 하면이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수평에서 3~5°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의 지름은 하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링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나선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 플레이트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절삭링이 하면 외곽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링 플레이트의 시작 측 단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 본체에는 링 플레이트 끝단 후방 위치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링 파일{Complex ring pile}
본 발명은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링 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을 횡단면상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링 플레이트의 상하부 지반 구속으로 선단지지력은 물론 지지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링 플레이트의 휨 강성뿐 아니라 면내력에 의해서도 지반 반력을 지지할 수 있는 복합 링 파일에 대한 것이다.
헬리컬 파일(helical pile, 10)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의 파일 본체(11)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류 플레이트(12')가 복수 개 상호 이격되게 결합된 것으로, 파일 자체가 회전하여 지반을 천공하면서 지지층까지 근입된다(도 1).
이러한 헬리컬 파일(10)은 스크류 플레이트(12')의 확장 면적에 의한 선단지지력과 파일 본체(11)의 주면마찰력에 의해 지지력이 발휘되는 것으로서, 압축하중은 물론 인장력에도 저항할 수 있어 인장 파일에 사용 가능하다.
상기 헬리컬 파일은 지반 천공과 근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시공이 빠르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배토가 없어 친환경적이고, 소음 및 진동이 없어 민원발생 여지가 적으므로 도심지 공사 등에 많이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헬리컬 파일은 연약지반 시공시 지반 교란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헬리컬 파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 플레이트의 넓은 면적에 의해 선단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헬리컬 파일은 스크류 플레이트(12')가 단면상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지반 반력에 대해 휨 변형 발생 가능성이 있어 선단지지력 확보에 한계가 있다.
또한, 파일 관입시 스크류 플레이트(12')의 하부 지반이 이완되어 선단지지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KR 10-1238124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이나 인장 어느 방향으로나 파일의 선단지지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복합 링 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의 상하부 지반 이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 링 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파일 회전에 따라 지반을 절삭하여 배토 없이 관입되는 복합 링 파일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파일 본체, 상기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링 플레이트 및 상기 파일 본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음 너트로 구성되되, 상기 링 플레이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횡단면상 상면과 하면이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수평에서 3~5°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의 지름은 하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링 플레이트의 하면과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나선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 플레이트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절삭링이 하면 외곽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링 플레이트의 시작 측 단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 본체에는 링 플레이트 끝단 후방 위치에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링 파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링 플레이트가 횡단면상 상면과 하면이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합 링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 플레이트의 상하부 지반이 구속되어 지반 자체 지내력이 상승되므로, 파일에 압축력이나 인발력 또는 압축 및 인장의 반복하중 작용시 링 플레이트 지압에 의한 선단지지력이 증가한다. 그리고 링 플레이트의 휨 강성뿐 아니라 면내력에 의해서도 지반 반력을 지지할 수 있어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동일 두께 대비 수평 배치되는 기존 헬리컬 파일의 스크류 플레이트에 비해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여 휨 강성이 향상되므로, 링 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하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링 플레이트에 의하여 파일 회전 관입시 하부 지반의 이탈을 최소화하여 지반 교란 및 이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지내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장기 침하 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 헬리컬 파일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헬리컬 파일에 구비된 스크류 플레이트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복합 링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링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링 플레이트 단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파일 본체에 형성된 주입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절삭링이 구비된 링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가이드홈이 형성된 링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이음 너트가 구비된 본 발명 복합 링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복합 링 파일과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이음 너트와 두부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하부로 갈수록 링 플레이트의 지름이 작아지는 본 발명 복합 링 파일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복합 링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링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링 플레이트 단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복합 링 파일은 파일 회전에 따라 지반을 절삭하여 배토 없이 관입되는 것으로, 중공의 파일 본체(11), 상기 파일 본체(1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링 플레이트(12) 및 상기 파일 본체(11)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음 너트(13)로 구성되되, 상기 링 플레이트(12)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횡단면상 상면과 하면이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수평에서 3~5°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12)의 지름은 하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1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헬리컬 파일의 선단지지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지반 이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 링 파일(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복합 링 파일(1)은 파일 본체(11)와 링 플레이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일 본체(1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고강도 강관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링 플레이트(12)는 파일 본체(1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다.
복수의 링 플레이트(12)는 각각 독립적으로 파일 본체(11)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파일 본체(11)에 2~5개 구비한다.
각 링 플레이트(12)는 파일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1회전(360°)하도록 파일 본체(11)에 결합 가능한 것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파일 관입시에는 파일 회전에 따라 지반을 절삭하여 배토 없이 파일이 관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파일드라이버나 백호 등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N치 50 이상의 지지층까지 회전 관입할 수 있다.
상기 링 플레이트(12)는 횡단면상 상면과 하면이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4).
즉, 상기 링플레이트(12)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링 플레이트(12) 하부에는 전체적으로 중앙이 상부로 볼록한 돔 형상의 공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링 플레이트(12) 상부에는 전체적으로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부로 볼록한 돔 형상의 공간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링 플레이트(12)의 압축이나 인장의 양 방향 하중에 대해 링 플레이트(12)의 상하부 지반이 구속되므로, 지반 자체 지내력이 상승되어 선단지지력이 증가한다. 그리고 스크류 플레이트의 휨 강성에 의해서만 지반 반력을 지지하는 종래 헬리컬 파일과는 달리, 본 발명은 링 플레이트(12)의 휨 강성뿐 아니라 면내력에 의해서도 지반 반력을 지지할 수 있어 지지력이 향상된다.
또한, 동일 두께 대비 수평 배치되는 기존 스크류 플레이트에 비해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여 휨 강성이 역시 향상된다.
따라서 링 플레이트(12)에 의한 선단지지력이 증가하고, 선단지지력이 동일할 경우 링 플레이트(1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강재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링 플레이트(12)의 하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파일 회전 관입시 하부 지반의 이탈을 최소화하여 지반 교란 및 이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반의 지내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장기 침하 방지에 효과적이다.
아울러 헬리컬 파일은 회전 관입시 스크류 플레이트의 시작 측 단부가 지반을 절삭하면서 지반에 관입되는데, 스크류 플레이트의 단면 전체가 동시에 지반을 절삭한다. 이러한 종래의 헬리컬 파일과는 달리 본 발명은 링 플레이트(12) 하면의 외측 단부가 먼저 지반을 절삭하기 시작하므로, 파일 근입시 회전 저항이 적고 수직도 확보에 유리하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직선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상면과 하면은 만곡된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하부 측 단부, 즉 시작 측 단부는 지반 절삭이 용이하도록 날카롭게 절삭날(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플레이트(12)는 단면상 상면과 하면이 각각 수평에서 3~5° 각도로 상향과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링 플레이트(12)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루는 각도 θ가 3° 미만인 경우, 압축 또는 인발 저항에 대한 선단지지력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다.
상기 링 플레이트(12)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루는 각도 θ가 5° 초과이면, 링 플레이트(12)의 평면상 투영 면적이 작아져 지지 면적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링 플레이트(12)에 의한 선단지지력이 감소된다. 이에 지지력 확보를 위해 강재량을 증가시켜야 하므로, 오히려 비경제적이다.
도 6은 파일 본체에 형성된 주입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관입시 주변의 교란된 지반에 그라우트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파일 본체(11)에는 링 플레이트(12) 끝단 후방 위치에 주입구(111)를 관통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주변에서 지반 교란이 가장 크게 발생하므로, 주입구(111)는 링 플레이트(12)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구(111)를 통하여 주입된 그라우트재는 주변 지반에 그라우팅된 후 파일 본체(11) 내부에 채워진다. 이에 따라 파일 본체(11)의 좌굴을 방지하고, 압축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절삭링이 구비된 링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절삭링(121)이 하면 외곽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삭링(121)은 링 플레이트(12)의 하면 외곽을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파일 회전 관입시 상기 절삭링(121)이 하부 지반을 절삭하므로, 파일 회전 관입이 용이하다.
상기 절삭링(121)은 먼저 지반에 파고들어 횡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수직도 확보에 용이하다.
아울러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하부에 돌출된 절삭링(121)은 링 플레이트(12) 하부의 토사가 링 플레이트(1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링 플레이트(12)의 절삭에 의한 지반 교란 및 이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가이드홈이 형성된 링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하면과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나선 방향으로 가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반은 불균질하기 때문에, 링 플레이트(12)의 회전시 지반의 상태에 따라 저항 편차가 발생하여 링 플레이트(12)의 회전이 경로를 벗어나 파일 자체 수직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나선 방향으로 가이드홈(122)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홈(122)이 접촉되는 지반과 상호 맞물려 링 플레이트(12)가 회전 경로대로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일 근입시 수직도 확보가 용이하다.
아울러 절삭된 지반이 링 플레이트(12)의 나선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함과 동시에 링 플레이트(12)의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지반 이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이음 너트가 구비된 본 발명 복합 링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복합 링 파일과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이음 너트와 두부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본체(11)의 상단에는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음 너트(13)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층 깊이가 깊은 경우, 복합 링 파일(1)의 상부에 다른 강관 파일(2)을 이음할 수 있도록 파일 본체(11)의 상부에 이음 너트(13)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음 너트(13)는 공구로 파지하여 회전 또는 고정 가능하도록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음 볼트(21)가 하단에 결합된 강관 파일(2)과 본 발명 복합 링 파일(1)을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이음 너트(1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이음 너트(13)를 파일 본체(11)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할 경우, 파일 본체(11)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체결해야 하므로 단면 손실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상기 이음 너트(13)는 파일 본체(11)와 맞닿은 상태에서 고속 회전시켜 접촉면의 마찰열에 의해 압접하는 마찰 용접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일 본체(11)에 별도로 나사산을 가공할 필요가 없어 단면 손실이 없고, 제작 및 시공이 매우 간단하다.
아울러 이러한 마찰 용접은 열 영향부를 최소화할 수 있고, 경제적이며, 압접면의 다듬질이 필요 없어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이종의 강재 결합에 용이하여 이음 너트(13)와 파일 본체(11)의 강종이 다른 경우에도 접합이 용이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 너트(13)의 상부에는 강관 파일(2)뿐 아니라 기초 내에 파일을 정착하기 위한 두부 플레이트(14)가 결합될 수도 있다.
압축 파일의 경우 두부 플레이트(14)를 고정할 필요 없으나, 인장 파일의 경우 두부 플레이트(14)를 파일 본체(11)에 고정하여야 한다.
상기 두부 플레이트(14)의 저면에는 이음 너트(13)의 상단이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링 형상의 결합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하부로 갈수록 링 플레이트의 지름이 작아지는 본 발명 복합 링 파일의 사시도이다.
하부로 갈수록 지반이 단단해지므로, 하부의 링 플레이트(12)는 좁은 면적으로도 큰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본체(11)의 하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12)의 지름은 상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1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강재 물량을 절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 링 파일
11: 파일 본체
111: 주입구
12: 링 플레이트
121: 절삭링
122: 가이드홈
13: 이음 너트
14: 두부 플레이트
141: 결합홈
2: 강관 파일
21: 이음 볼트

Claims (5)

  1. 파일 회전에 따라 지반을 절삭하여 배토 없이 관입되는 복합 링 파일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파일 본체(11), 상기 파일 본체(1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링 플레이트(12) 및 상기 파일 본체(11)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음 너트(13)로 구성되되,
    상기 링 플레이트(12)는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횡단면상 상면과 하면이 각각 외측 상향과 하향으로 수평에서 3~5°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12)의 지름은 하부에 위치하는 링 플레이트(1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하면과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나선 방향으로 가이드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하면 외측 단부에는 절삭링(121)이 하면 외곽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링 플레이트(12)의 시작 측 단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 본체(11)에는 링 플레이트(12) 끝단 후방 위치에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링 파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49076A 2019-04-26 2019-04-26 복합 링 파일 KR10207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76A KR102071982B1 (ko) 2019-04-26 2019-04-26 복합 링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76A KR102071982B1 (ko) 2019-04-26 2019-04-26 복합 링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982B1 true KR102071982B1 (ko) 2020-01-31

Family

ID=6936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076A KR102071982B1 (ko) 2019-04-26 2019-04-26 복합 링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619A (en) * 2021-04-07 2022-10-12 Franki Foundations Uk Ltd Screw pile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156A (ja) * 1997-04-01 1998-12-15 Chiyoda Koei Kk 鋼管杭及び同鋼管杭を使用した基礎工法
JP2002220829A (ja) * 2001-01-23 2002-08-09 Yoshicon Co Ltd コンクリート製ねじ杭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使用方法
JP2006283424A (ja) * 2005-04-0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回転圧入式螺旋翼付き杭の先端部構造
KR101238124B1 (ko) 2012-06-27 2013-02-27 반석기초이앤씨(주) 로타리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078382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스크류 파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156A (ja) * 1997-04-01 1998-12-15 Chiyoda Koei Kk 鋼管杭及び同鋼管杭を使用した基礎工法
JP2002220829A (ja) * 2001-01-23 2002-08-09 Yoshicon Co Ltd コンクリート製ねじ杭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使用方法
JP2006283424A (ja) * 2005-04-0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回転圧入式螺旋翼付き杭の先端部構造
KR101238124B1 (ko) 2012-06-27 2013-02-27 반석기초이앤씨(주) 로타리 파일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078382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스크류 파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619A (en) * 2021-04-07 2022-10-12 Franki Foundations Uk Ltd Screw pile system
GB2605619B (en) * 2021-04-07 2023-06-14 Franki Foundations Uk Ltd Screw pil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380B1 (ko) 스파이럴 강관 말뚝
US9115478B2 (en) Helical screw pile
US10458090B2 (en) Soil displacement piles
KR102195847B1 (ko) 나선판을 갖는 파일 결합구조
US20080302063A1 (en) Reinforcing rod
KR102071982B1 (ko) 복합 링 파일
CN104695437A (zh) 弯曲刀片螺旋地锚
KR101625192B1 (ko) 하부 개방형 관입 콘크리트 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1981B1 (ko) 인발 저항 링 파일
KR102288036B1 (ko) 래티스거더형 내진보강 말뚝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US20140301791A1 (en) Telescopic Foundation Screw Pile with Continuously Tapered Pile Body
KR101984006B1 (ko) 링 파일
KR101939020B1 (ko) 기초 배근 연결용 지압유닛 및 이를 적용한 강관 파일의 기초 공법
KR102259937B1 (ko) 관입성 향상 헬리컬 파일
JP2004285698A (ja) 異形既製杭
KR101759879B1 (ko) 회전 관입 말뚝 유니트, 회전 관입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69636B1 (ko) 지반 보강용 네일링 조립체
KR101791211B1 (ko) 좌굴 보강용 헬릭스 강관 말뚝의 시공 방법
CN113668523A (zh) 适用于岩土工程的爪锚型锚杆及其施工方法
KR102217473B1 (ko) 헬리칼 파일
KR102288209B1 (ko) 복합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 방법, 이에 의해 시공된 복합 파일
JP2014009440A (ja) モルタル注入鋼管杭及び埋設用アタッチメント
JP2023006917A (ja) 柱・梁架構と耐震壁との接合構造
JP6007863B2 (ja) 回転杭を構成する鋼管の接合構造
KR101869706B1 (ko) 시공성과 지지력이 개선된 소형강관 마이크로 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