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327B1 - 냉온 조끼 - Google Patents

냉온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327B1
KR102071327B1 KR1020180119643A KR20180119643A KR102071327B1 KR 102071327 B1 KR102071327 B1 KR 102071327B1 KR 1020180119643 A KR1020180119643 A KR 1020180119643A KR 20180119643 A KR20180119643 A KR 20180119643A KR 102071327 B1 KR102071327 B1 KR 10207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vest
slide
hot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근
Original Assignee
정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근 filed Critical 정재근
Priority to KR102018011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3Cool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온 조끼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부; 상기 조끼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온 조끼{Cold and hot vest}
본 발명은 냉온 조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온 조끼에 관한 것이다.
조끼는 길이가 짧고 몸에 맞으며 소매가 없는 윗옷의 통칭으로, 원래 군인들이 군복 안에 입는 호신용 복장이었으나 차츰 일반인에게 퍼져나가 평상복이 되었으며, 주머니가 많아 여러 가지 물건을 지니기에 편리하고, 빛깔이나 무늬에 따라 다양한 장식성과 활동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체형의 결점을 보완해주기도 한다.
아울러, 기능적인 측면에 의해 등산이나 낚시, 소풍, 작업 등의 야외활동을 하는 경우, 그에 적합한 다양한 조끼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이나 더운 열기의 외기와 개방된 무더위에서도 계속적으로 일을 해야하는 작업현장의 작업자들이나 군인 또는 경찰관 등과 같이 필요로 인해 오랜 시간 착용할 경우, 통상적인 조끼에는 냉각수단이 결여되어 있는 관계로, 작업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무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게 되어 체력이 급격하게 저하됨은 물론 작업능력도 감소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추운 겨울철에도 야외에서 작업을 하거나 난방시설이 되어있지 않는 곳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추위를 피하기 위해 두꺼운 작업복을 겹겹이 입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두터운 작업복 때문에 행동이 부자유스러워 작업능률이 떨어지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9803호(2003.03.26 등록)는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근로자들이 작업을 하거나 군인들이 경계근무를 설 때, 집중할 수 있도록 시원함과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한 냉온조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냉온조끼에 있어서, 두겹으로 된 비닐조끼 사이에 유체를 삽입하여 유체주머니를 냉온조끼의 착용자가 자유롭게 활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완전히 열압착하여 개개별로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3168호(2005.01.05 등록)는 냉온 조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유연성이 있으면서도 쉽게 변형 및 파손되지 않는 비닐지를 안감과 겉감으로 사용하되 상기 안감과 겉감을 이루는 두겹의 비닐지의 전체 가장자리부분이 고주파 접착되어 형성된 조끼본체와; 상기 조끼본체의 전후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고주파 접착한 구획부로 구획하여 형성한 다수의 수용실과;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젤 형태의 냉온매개물과; 상기 조끼본체의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조끼를 개폐하는 슬라이드화스너와, 상기 조끼본체의 양측 옆구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양측 옆구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한 각각의 슬라이드화스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온조끼는, 냉온매개물이 조끼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끼 전체를 냉장실에 냉장 보관하거나 뜨거운 물에 가열해야하므로 냉각 또는 가열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장기간 착용함에 따라 오염된 냉온매개물을 교체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9803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316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냉온 조끼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부; 상기 조끼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온부를 포함하는 냉온 조끼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온부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온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온부재는, 폴리머 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온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물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천; 및 상기 방수천의 전면에 결합 형성되어,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결로방지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부와 상기 본체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저냉의 작업환경에서나 야외 레저 활동 시 등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이 우수하며,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온부를 공간부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함에 따라 냉온부만 분리하여 냉각 또는 가열시켜 사용하면 되므로 냉각 또는 가열 작업이 용이하며, 오염되거나 손상된 냉온부를 교체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냉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조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온 조끼(10)는, 조끼부(100), 공간부(200), 냉온부(300)를 포함한다.
조끼부(100)는, 등 부분과 양쪽 가슴 부분으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 후에 양쪽 가슴 부분에 형성된 지퍼로 체결시킬 수 있으며, 지퍼 외에도 버클, 찍찍이, 단추 등 다양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되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외피와 내피의 테두리 부분이 재봉으로 결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끼부(100)는, 공간부(200)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망사형의 직물로 형성되어, 냉온부(300)로부터 제공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공간부(200)는, 조끼부(10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냉온부(300)를 삽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공간부(200)는, 상단에 지퍼, 벨크로 등의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냉온부(300)를 삽입한 후에 폐쇄함으로써, 공간부(200)에 삽입된 냉온부(300)가 공간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간부(200)는, 조끼부(100)의 외피 바깥쪽 부분, 조끼부(100)의 내피 안쪽 부분, 조끼부(100)의 외피와 내피 사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크기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간부(200)는, 망사형의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냉온부(300)로부터 제공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냉온부(300)는, 공간부(20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냉온부(300)는, 공간부(200)로부터 분리하여 냉각시키거나 가열한 후 공간부(200)에 삽입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 조끼(10)는, 전도체(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도체는, 조끼부(100)와 공간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냉온부(300)로부터 제공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사용자의 피부쪽으로 신속하게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도체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은박지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두께를 약 2 ~ 3mm로 형성하여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 조끼(10)는, 고온, 저냉의 작업환경에서나 야외 레저 활동 시 등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이 우수하며,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냉온부(300)를 공간부(200)에 삽입 또는 분리 가능함에 따라 냉온부(300)만 공간부(200)로부터 분리하여 냉각 또는 가열시켜 사용하면 되므로 냉각 또는 가열 작업이 용이하며, 오염되거나 손상된 냉온부(300)를 교체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고 조끼부(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냉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온부(300)는, 본체부재(310), 냉온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보호부재(330)를 포함한다.
본체부재(310)는, 공간부(200)에 삽입 또는 분리되며, 내부에 냉온부재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재(310)는, 방수천과 결로방지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천은, 공간부(200)에 삽입 시 공간부(200)의 후방에 위치되며, 냉온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물기가 외부로 새어나가 사용자 또는 조끼부(1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천은, 방수 효과가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재질 또는 직물에 폴리염화비닐에 의해 방수 처리된 방수직물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수천은, 보호부재(3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로방지천은, 방수천의 전면에 결합 형성되어 공간부(200)에 삽입 시 공간부(200)의 전면에 위치되며,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로방지천은, 공기투과성 및 방수성이 있는 멤브레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로방지천은, 테두리 부분이 방수천의 테두리 부분과 재봉으로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조끼에는 결로현상 방지구조 또는 방수구조가 없으므로, 조끼가 물기를 그대로 흡수하게 되어 조끼가 항상 물기를 함유하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됨으로써, 착용감이 좋지 못하게 되고 장시간 사용 시 그 만큼 보온 또는 보냉 기능도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결로방지천을 형성함으로써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온부재는, 본체부재(310)의 내부(바람직하게는, 방수천과 결로방지천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에게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냉온부재는, 열함량이 우수한 소재를 겔화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부재(330)는, 본체부재(310)의 후면에 형성되어, 냉온부재의 냉기 또는 온기가 인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보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냉기와 열기가 인체에 전달되게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330)는, 본체부재(310)의 테두리 부분과 재봉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호부재(330)는, 은박 등의 단열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보온 보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체부재(310)는, 마감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재는, 방수천과 결로방지천의 테두리 부분에 둥글게 말린 형태로 형성되어, 재봉된 부분을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재는, 방수천과 결로방지천의 테두리 부분을 둥글게 말아서 말리지 않은 얇은 부분을 통해 끼운 후에 프레스기로 압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재는, 방수가 되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재는, 재봉된 틈새로 물 또는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하며, 재봉된 부분이 뜯어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온 조끼(10)는, 조끼부(100), 공간부(200), 냉온부(300), 슬라이드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끼부(100), 공간부(200), 냉온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슬라이드부(400)는, 공간부(200)와 냉온부(300)의 본체부재(310)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재(31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400)는, 슬라이드 안내부재(410), 슬라이드부재(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 안내부재(410)는, 공간부(20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며, 본체부재(31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안내부재(410)는,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부재(4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안내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420)는, 본체부재(310)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 조끼(10)는, 냉온부(300)가 슬라이드부(400)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공간부(200)에 삽입되므로, 냉온부(300)가 공간부(200)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부(400)는, 패턴부재(430),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를 더 포함한다.
패턴부재(430)는, 슬라이드부재(420)에 좌우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부재(430)는, 슬라이드 고정부재(440)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슬라이드부재(420)가 정지하였을 때 슬라이드 고정부재(440)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는,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에 형성되며, 패턴부재(430)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42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이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슬라이드 안내부재(410)의 내측과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420)가 슬라이드 안내부재(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패턴부재(430)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부재(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고정부재(440)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 조끼(10)는, 냉온부(300)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또는 필요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조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온 조끼(10)는, 조끼부(100), 공간부(200), 냉온부(300), 온도감지부(500), 온도표시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끼부(100), 공간부(200), 냉온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온도감지부(500)는, 공간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간부(200)의 온도를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감지부(5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온도 감지센서 및 디지털 온도 감지센서 등일 수 있다.
온도표시부(600)는, 온도감지부(500)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공간부(200)의 온도를 파악한 상태에서 조끼부(100)를 착용할 수 있으며, 작업 또는 활동 시 주기적으로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표시부(600)는, 온도감지부(500)의 감지 신호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LED 표시회로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냉온 조끼(10)는, 온도감지부(500)로부터 감지된 온도값을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A/D 변환기와 온도표시부(600)에 표시되는 온도표시 숫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온도감지부(500), 온도표시부(600), 제어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냉온 조끼
100 : 조끼부
200 : 공간부
300 : 냉온부
310 : 본체부재
330 : 보호부재
400 : 슬라이드부
410 : 슬라이드 안내부재
420 : 슬라이드부재
430 : 패턴부재
440 : 슬라이드 고정부재
500 : 온도감지부
600 : 온도표시부

Claims (5)

  1.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조끼부;
    상기 조끼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온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온부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온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와 상기 본체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공간부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안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기 위한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우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턴부재;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패턴부재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조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부재는,
    폴리머 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조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공간부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온부재로부터 발생하는 물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천; 및
    상기 방수천의 전면에 결합 형성되어,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결로방지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조끼.
  5. 삭제
KR1020180119643A 2018-10-08 2018-10-08 냉온 조끼 KR10207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43A KR102071327B1 (ko) 2018-10-08 2018-10-08 냉온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43A KR102071327B1 (ko) 2018-10-08 2018-10-08 냉온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327B1 true KR102071327B1 (ko) 2020-01-30

Family

ID=6932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43A KR102071327B1 (ko) 2018-10-08 2018-10-08 냉온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3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82Y1 (ko) * 2000-04-01 2000-09-15 주식회사아이비 냉온팩을 이용한 작업용 보온, 보냉 겸용 조끼
KR20020083522A (ko) * 2002-08-20 2002-11-02 이교만 냉온매 수납용 팩주머니를 구비한 자켓
KR200309803Y1 (ko) 2002-12-31 2003-04-11 손정필 냉온조끼
KR200373168Y1 (ko) 2004-10-21 2005-01-15 김성태 냉온 조끼
KR200395433Y1 (ko) * 2005-06-09 2005-09-14 케이웨더(주) 보냉조끼용 아이스팩 주머니
JP3142738U (ja) * 2008-03-24 2008-06-26 プラネット ゲーデーツェット アーゲー シール部材、及びケース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82Y1 (ko) * 2000-04-01 2000-09-15 주식회사아이비 냉온팩을 이용한 작업용 보온, 보냉 겸용 조끼
KR20020083522A (ko) * 2002-08-20 2002-11-02 이교만 냉온매 수납용 팩주머니를 구비한 자켓
KR200309803Y1 (ko) 2002-12-31 2003-04-11 손정필 냉온조끼
KR200373168Y1 (ko) 2004-10-21 2005-01-15 김성태 냉온 조끼
KR200395433Y1 (ko) * 2005-06-09 2005-09-14 케이웨더(주) 보냉조끼용 아이스팩 주머니
JP3142738U (ja) * 2008-03-24 2008-06-26 プラネット ゲーデーツェット アーゲー シール部材、及びケース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744B1 (en) Thermal vest
US5787505A (en) Cooling and/or warming shirt
US20040244090A1 (en) Climate controlled glove for sporting activities
US20050193742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e and method
US20040211189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190104778A1 (en) Integrated riot vest
KR102071327B1 (ko) 냉온 조끼
EP1660822A1 (en) Personal hea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CN108936864B (zh) 一种智能加热警用防刺服
KR101981172B1 (ko) 발열조끼
CN206137278U (zh) 一种专门用于户外运动的制冷保温运动服
KR101655784B1 (ko) 착탈식 냉각 패드를 구비한 조끼
CN216796547U (zh) 一种一体式降温服
CN202588337U (zh) 全天候电热保暖衣
KR200439781Y1 (ko) 탈부착이 가능한 다용도 멀티포켓, 공기 주머니 및에어백이 장착된 폴라폴리스/폴리에스테르 메쉬 의류
CN215381609U (zh) 一种多功能拉链服装
JP3116633U (ja) 暑寒用ベスト
CN201742954U (zh) 一种穿脱方便的羽绒裤
KR200309803Y1 (ko) 냉온조끼
KR200348544Y1 (ko) 상변환물질을 이용하는 냉각자켓
CN215603392U (zh) 一种腋下散热防护服
JP3113134U (ja) 装飾用頭部バンド
CN215124497U (zh) 一种轻便御寒的冬天校服套装
CN220832017U (zh) 一种可红外发热的棉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