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164B1 - 집진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집진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164B1
KR102070164B1 KR1020130151254A KR20130151254A KR102070164B1 KR 102070164 B1 KR102070164 B1 KR 102070164B1 KR 1020130151254 A KR1020130151254 A KR 1020130151254A KR 20130151254 A KR20130151254 A KR 20130151254A KR 102070164 B1 KR102070164 B1 KR 10207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rections
nozzle
ai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624A (ko
Inventor
이왕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1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provoking a tangential str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집진가이드장치는, 전기로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 중 3방향 각각에 배치된 프레임; 및 상기 전기로 상측에 배치된 집진캐노피로 상기 전기로의 분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4방향 중 3방향 각각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르게 구성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로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 중 3방향 각각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른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4방향 중 개방된 방향으로 분진이 이탈비산되는 것을 제한하면서 상측의 집진캐노피 측으로 분진을 가이드 유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가이드장치{Apparatus for guiding in dust collection}
본 발명은 집진가이드장치로서, 전기로 상측에 배치된 집진캐노피로 전기로의 분진을 가이드하는 집진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1차, 2차 집진을 하는데, 아울러 외부로 분진이 퍼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기로를 수용하는 크린하우스가 마련된다.
즉, 상기 크린하우스는 전기로의 조업 중에 분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커버하는 설비이다.
그러나, 전기로의 조업 중 전기로 내부로 스크랩을 재장입하는 과정에서, 크린하우스를 열어서 천정크레인에 의해 스크랩을 장입하는데, 이와 같은 크린하우스의 오픈 시 전기로 주변으로 분진이 비산됨으로써 공장 주변으로 분진이 흩어지게 되어 공장 주변을 오염시키고 나아가 공장 밖으로까지 유출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로 상측에 배치된 집진캐노피로 전기로의 분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집진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가이드장치는, 전기로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 중 3방향 각각에 배치된 프레임; 및 상기 전기로 상측에 배치된 집진캐노피로 상기 전기로의 분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4방향 중 3방향 각각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르게 구성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은, 상기 4방향 중 개방된 방향의 양측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상기 개방된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제3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에어공급라인이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에어파이프,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에어파이프, 및 상기 제3 프레임에 설치된 제3 에어파이프; 및 상기 제1 에어파이프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1 노즐, 상기 제2 에어파이프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2 노즐, 및 상기 제3 에어파이프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3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노즐과 제2 노즐은 개방된 방향 측으로 갈수록 분출압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제1 에어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재, 상기 제2 에어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재, 및 상기 제3 에어파이프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제1 노즐, 제2 노즐, 및 제3 노즐의 수평방향에 대한 상방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재, 제2 구동부재, 및 제3 구동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노즐, 제2 노즐, 및 제3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전체 에어분출량은, 상기 집진캐노피에 연결된 집진기의 최대 에어흡입량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전기로가 수용된 크린하우스 상부 일측의 고정커버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크린하우스 상부 타측의 이동커버이며, 상기 제3 프레임은 크린하우스의 후측을 폐쇄하는 후벽의 상단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가이드장치는, 전기로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 중 3방향 각각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른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4방향 중 개방된 방향으로 분진이 이탈비산되는 것을 제한하면서 상측의 집진캐노피 측으로 분진을 가이드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가이드장치의 에어분사수단에서 노즐위치에 따른 분출압의 크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집진가이드장치는, 전기로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 중 개방된 방향으로 분진이 이탈비산되는 것을 제한하면서 상측의 집진캐노피 측으로 분진을 가이드 유동시키기 위해, 전기로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 중 3방향 각각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른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집진가이드장치의 에어분사수단에서 노즐위치에 따른 분출압의 크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기로(1) 상부에 배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은 전기로(1)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A,B,C,D) 중 3방향(A,B,C)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4방향(A,B,C,D) 중 개방된 방향(D)의 양측 방향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상기 개방된 방향(D)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제3 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일단 측이 개방된 방향(D)이며 타단 측에는 제3 프레임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프레임들은 전기로(1)와 집진캐노피(2) 사이에 배치되는데, 일례로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내부에 전기로(1)가 수용된 크린하우스 상부 일측의 고정커버(11)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크린하우스 상부 타측의 이동커버(12)이며, 상기 제3 프레임은 크린하우스의 후측을 폐쇄하는 후벽(13)의 상단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11)와 이동커버(12)는 ㄱ자 형상의 커버로서 이동커버(12)가 이동하여 크린하우스를 개방하는 경우 크린하우스의 상측과 전측이 개방되게 된다.
이에 아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제1 프레임은 고정커버(11), 제2 프레임은 이동커버(12), 제3 프레임은 후벽(13)의 상단부인 경우에, 상기 고정커버(11), 이동커버(12), 후벽(13)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에어분사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전기로(1)에서 나오는 분진의 비산경로를 살펴보면,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전기로(1)의 상부로 스크랩을 2차 장입하는 과정에서, 크린하우스의 상부구성인 이동커버(12)를 이동시킴으로써 전기로(1)의 상측을 개방시키는데, 이와 같이 크린하우스를 여는 순간에 열기와 함께 크린하우스 내에 갇혀 있던 내부의 분진이 공장주변으로 흩어지게 된다.
즉, 전기로(1)에서 나오는 분진이 크린하우스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오는 경우, 전기로(1)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A,B,C,D) 중 3방향(A,B,C) 각각에 배치된 크린하우스의 고정커버(11)와 이동커버(12), 후벽(13)의 상단부에 의해 둘러싸인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후벽(13)과 마주보는 1방향도 개방된 부분으로서 천정크레인의 이동경로로 이용되며, 전기로(1)를 점검 및 수리하는 경우 전기로(1)의 이동경로로 이용되는데, 이와 같이 전기로(1)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A,B,C,D) 중 1방향인 개방된 방향(D)을 통해서도 분진이 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전기로가 정상적으로 조업하는 시점, 즉 크린하우스의 이동커버가 고정커버에 맞닿아서 크린하우스의 상부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작동(에어분사)되지 않으며, 조업 후 다음 스크랩을 장입하는 시점인 크린하우스의 이동커버가 이동하여 크린하우스의 상부가 열려진 상태에서 작동됨으로써, 크린하우스 내에 갇혀 있던 내부의 분진이 공장주변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4방향(A,B,C,D) 중 3방향(A,B,C)에 구성되는 에어분사수단에 의해서도 상기와 같은 분진의 확산을 방지하면서 상측의 집진캐노피(2)로 집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분사수단은, 전기로(1) 상측에 배치된 집진캐노피(2)로 상기 전기로(1)의 분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4방향(A,B,C,D) 중 3방향(A,B,C) 각각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르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에어공급라인이 각각 연결되되, 제1 프레임으로서 고정커버(11)에 설치된 제1 에어파이프(21), 제2 프레임으로서 이동커버(12)에 설치된 제2 에어파이프(22), 및 제3 프레임으로서 후벽(13)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3 에어파이프(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에어파이프(21), 제2 에어파이프(22), 제3 에어파이프(23)는 길게 연장된 파이프형상을 취함으로써 4방향(A,B,C,D) 중 3방향(A,B,C)을 감싸는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제1 에어파이프(21)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1 노즐(31), 상기 제2 에어파이프(2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2 노즐(32), 및 상기 제3 에어파이프(23)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3 노즐(3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노즐(31), 제2 노즐(32), 제3 노즐(33) 각각은 대응되는 제1 에어파이프(21), 제2 에어파이프(22), 제3 에어파이프(23)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노즐(31)과 제2 노즐(32)이 개방된 방향(D) 측으로 갈수록 분출압이 낮아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노즐(31)과 제2 노즐(32)은 개방되지 않은 후벽(13) 측으로 갈수록 분출압이 높아지는데, 이에 따라 전기로(1)에서 나오는 분진은 개방된 상부를 통과하면서 전기로(1)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A,B,C,D) 중 개방된 방향(D)으로 비산되는 것이 제한되면서 상측의 집진캐노피(2) 측으로 가이드 유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에어분사수단의 에어분출압은 베르누이 정리가 응용된 것으로서, 분출압이 높은 부분에서는 내부압력이 떨어짐으로써 주위의 분진들이 분출압이 높은 부분으로 유동하도록 설정된다. 즉, 전기로(1) 상측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나오는 분진들이 상기 4방향(A,B,C,D) 중 개방된 방향(D)으로 비산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분진들을 분출압이 높은 후벽(13) 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효과적으로 분진을 집진캐노피(2) 측으로 가이드 유동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노즐(31), 제2 노즐(32), 및 제3 노즐(33)로부터 분출되는 전체 에어분출량은, 집진캐노피(2)에 연결된 집진기(미도시)의 최대 에어흡입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집진기의 최대 에어흡입량을 넘어가게 되면 제1 노즐(31), 제2 노즐(32), 및 제3 노즐(33)로부터 분출되어 집진캐노피(2)에 이르는 에어가 역류함으로써 분진의 안정적인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노즐(31), 제2 노즐(32), 제3 노즐(33)은 제1 에어파이프(21), 제2 에어파이프(22), 제3 에어파이프(23) 각각에 설치 시, 상측에 위치된 집진캐노피(2) 방향으로 적정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제1 에어파이프(21)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재(41), 제2 에어파이프(22)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재(42), 및 제3 에어파이프(23)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재(4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구동부재(41), 제2 구동부재(42), 제3 구동부재(43)는 제1 에어파이프(21), 제2 에어파이프(22), 제3 에어파이프(23) 각각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물론 제1 에어파이프(21), 제2 에어파이프(22), 제3 에어파이프(23) 각각의 타단부에는 제1 베어링부재(51), 제2 베어링부재(52), 제3 베어링부재(53)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부재(41), 제2 구동부재(42), 제3 구동부재(43)는 전기모터가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구동부재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1 구동부재(41), 제2 구동부재(42), 제3 구동부재(43)가 구동력을 제공하여 제1 에어파이프(21), 제2 에어파이프(22), 제3 에어파이프(23)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노즐(31), 제2 노즐(32), 제3 노즐(33)은 상측에 위치된 집진캐노피(2)에 대해 적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이때의 적정 각도란 집진캐노피(2)에서의 에어흡입력을 고려하여 상기 집진캐노피(2) 방향을 향하는 각도보다 일정 정도 낮은 각도를 의미한다.
나아가,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제1 노즐(31), 제2 노즐(32), 및 제3 노즐(33)의 수평방향에 대한 상방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재(41), 제2 구동부재(42), 및 제3 구동부재(43)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제어하는 제어부(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기로(1) 상측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나오는 분진들이 항상 일정한 분포로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로(1)의 조업과정에서 불규칙으로 어떤 시점에서는 개방된 상부의 일측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높은 분포로 나올 수 있고 이와 다른 시점에서는 개방된 상부의 타측부분에서 다른 부분보다 높은 분포로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작업자가 관찰하면서 많은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상측의 집진캐노피(2)에 가이드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부(C)를 통해 제1 노즐(31), 제2 노즐(32), 및 제3 노즐(33)의 수평방향에 대한 상방경사각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전기로(1)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A,B,C,D) 중 3방향(A,B,C) 각각에서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른 에어분사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4방향(A,B,C,D) 중 개방된 방향(D)으로 분진이 이탈비산되는 것을 제한하면서 상측의 집진캐노피(2) 측으로 분진을 가이드 유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전기로 2 : 집진캐노피
A,B,C,D : 4방향 A,B,C : 3방향
D : 개방된 방향 11 : 고정커버
12 : 이동커버 13 : 후벽
21 : 제1 에어파이프 22 : 제2 에어파이프
23 : 제3 에어파이프 31 : 제1 노즐
32 : 제2 노즐 33 : 제3 노즐
41 : 제1 구동부재 42 : 제2 구동부재
43 : 제3 구동부재 51 : 제1 베어링부재
52 : 제2 베어링부재 53 : 제3 베어링부재
C : 제어부

Claims (6)

  1. 전기로(1) 상부에서 수평방향 둘레를 감싸는 4방향(A,B,C,D) 중 3방향(A,B,C) 각각에 배치된 프레임; 및 상기 전기로(1) 상측에 배치된 집진캐노피(2)로 상기 전기로(1)의 분진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4방향(A,B,C,D) 중 3방향(A,B,C) 각각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따라 분출압이 다르게 구성되는 에어분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4방향(A,B,C,D) 중 개방된 방향(D)의 양측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및 상기 개방된 방향(D)과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된 제3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에어공급라인이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에어파이프(21),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에어파이프(22), 및 상기 제3 프레임에 설치된 제3 에어파이프(23); 및 상기 제1 에어파이프(21)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1 노즐(31), 상기 제2 에어파이프(22)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2 노즐(32), 및 상기 제3 에어파이프(23)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장착된 제3 노즐(33);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노즐(31)과 제2 노즐(32)은 개방된 방향(D) 측으로 갈수록 분출압이 낮아지며,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제1 에어파이프(21)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재(41), 상기 제2 에어파이프(22)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재(42), 및 상기 제3 에어파이프(23)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재(4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가이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수단은,
    상기 제1 노즐(31), 제2 노즐(32), 및 제3 노즐(33)의 수평방향에 대한 상방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재(41), 제2 구동부재(42), 및 제3 구동부재(43)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제어하는 제어부(C);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가이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31), 제2 노즐(32), 및 제3 노즐(33)로부터 분출되는 전체 에어분출량은, 상기 집진캐노피(2)에 연결된 집진기의 최대 에어흡입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가이드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전기로(1)가 수용된 크린하우스 상부 일측의 고정커버(11)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크린하우스 상부 타측의 이동커버(12)이며, 상기 제3 프레임은 크린하우스의 후측을 폐쇄하는 후벽(13)의 상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가이드장치.
KR1020130151254A 2013-12-06 2013-12-06 집진가이드장치 KR10207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54A KR102070164B1 (ko) 2013-12-06 2013-12-06 집진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54A KR102070164B1 (ko) 2013-12-06 2013-12-06 집진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624A KR20150066624A (ko) 2015-06-17
KR102070164B1 true KR102070164B1 (ko) 2020-01-28

Family

ID=5351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254A KR102070164B1 (ko) 2013-12-06 2013-12-06 집진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1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4524A (ja) * 2005-08-30 2007-03-15 Daikin Ind Ltd 換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986U (ja) * 1991-12-24 1993-07-23 株式会社ニッコー 電気炉用ガス排出装置
JP3324685B2 (ja) * 1997-07-28 2002-09-17 川崎製鉄株式会社 取鍋精錬処理における集塵方法及び集塵装置
KR100910516B1 (ko) * 2007-12-27 2009-07-3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4524A (ja) * 2005-08-30 2007-03-15 Daikin Ind Ltd 換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624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9137A (zh) 一种除尘除静电装置
KR101552562B1 (ko) 레이저 가공 시스템용 파티클 석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레이저 가공 시스템
CN209844317U (zh) 一种变电站用电气柜体
KR101654103B1 (ko) 축전지 충전 수조의 가스포집장치 및 방법
KR102362753B1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CN110880697B (zh) 一种用于除尘散热的配电箱
KR102070164B1 (ko) 집진가이드장치
CN104084344A (zh) 一种喷漆室漆雾捕捉工艺
JP2009249151A (ja) バケット式エレベータ
CN109184967A (zh) 进风口清理装置
CN112827991A (zh) 具有补风结构的通风柜
JP2007255777A (ja) 溶解炉工場における原料投入時の建家集塵方法および集塵設備
TW201741259A (zh) 脆性基板劃線器用粉塵除去裝置
CN207085557U (zh) 一种物料除尘装置
KR20140104634A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포위식 후드
CN104550177A (zh) 一种吹吸结合的热镀锌消烟除尘装置
KR101225413B1 (ko) 분진 방출 차단 기능을 갖는 쇼트 블라스팅 장치
CN110180291B (zh) 吸尘喷射设备以及包括其的对喷除尘系统
KR101555468B1 (ko) 실내 사격장용 공조시스템
CN107713908B (zh) 一种机房设备的除尘方法
KR20160087243A (ko) 비산먼지 저감형 친환경 샌딩부스
KR20200087468A (ko) 비산물 포집장치
CN215348737U (zh) 清洁系统的基座及清洁系统
CN215348712U (zh) 清洁系统的基座及清洁系统
CN104084346A (zh) 一种文丘里式漆雾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